Mk.14 EBR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EBS의 교양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EBS 비즈니스 리뷰 문서
EBS 비즈니스 리뷰번 문단을
EBS 비즈니스 리뷰# 부분을
,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동명의 어뢰와 이 어뢰로 인해 미국이 겪은 문제에 대한 내용은 어뢰 스캔들 문서
어뢰 스캔들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어뢰 스캔들# 부분을
# 부분을
, 프랑스의 차륜 정찰장갑차에 대한 내용은 파나르 EBR 문서
파나르 EBR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파나르 EBR#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Mk.14 EBR
Mark 14 Enhanced Battle Rifle
Mk.14 개수형 전투소총


파일:external/www.imfdb.org/Mk_14_Mod_1_EBR.jpg

종류
전투소총
지정사수소총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
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파일:uscg__emblem.png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
2002년~현재
개발
NSWC 크레인
스미스 엔터프라이즈
개발년도
2001년
생산
NSWC 크레인
록 아일랜드 조병창
스미스 엔터프라이즈
풀톤 아머리
생산년도
2002년~현재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사용된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기종
원형
M14
파생형
Mk.14 Mod.0~2
M14 EBR-RI/NM
M14 T
M39 EMR
세부사항
탄약
7.62×51mm NATO
급탄
10/20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단행정 가스 피스톤식
노리쇠 회전식
총열길이
457mm
전장
889mm
중량
5.1kg (빈 총)
7.37kg (탄창 + 양각대 + 조준경)
탄속
853m/s
유효사거리
500~850m

1. 개요
2. 상세
2.1. 역사
2.2. 특징
3. 종류
3.1. Mk.14
3.1.2. Mk.14 Mod.0 후기형
3.1.3. Mk.14 Mod.1
3.1.4. Mk.14 Mod.2
3.2. M14 EBR-RI
3.2.1. M14 EBR-RI NM
3.3. M14 T
4. 기타
5. 출처
6. 등장매체
6.2.1. 패키지 게임
6.2.2. 온라인 게임
6.2.3. 모바일 게임
6.3. 애니메이션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Mk14_Family.jpg



Mk.14 EBR(개수형 전투소총, Enhanced Battle Rifle)은 미군의 제식 전투소총이자 지정사수소총이다.


2. 상세[편집]



2.1. 역사[편집]


파일:mk14mod1_seals 0.jpg

2002년 미 해군 네이비 씰의 노후화된 M14의 개수 요청을 받아들인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는 이전부터 시행해온 소화기 개조 사업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크레인 미 해군 해상전연구부문(NSWC Crane Division)과 M14 및 M1A 애프터마켓 부품 전문의 SEI(스미스 엔터프라이즈, Smith Enterprise Inc.) 사가 함께 개발한 개량형을 Mk.14 Mod.0 제식명으로 도입하였다.

파일:mk14mod0_usn 0.jpg

곧이어 베트남 전쟁 시절부터 쌓여버린 M14의 재고 소진을 모색하는 미 육군, 미 해병대, 미 해안경비대에도 각각 다른 형태와 제식명을 갖춘 파생형들이 채택되어 테러와의 전쟁에 각각 다른 제식명과 형태를 가진 지정사수소총으로 운용되기도 했으나, 2022년을 기준으로 폭발물 처리# 등의 제한적인 용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M110 SASS 같은 후속 기종들에게 자리를 내주고 일선에서 도태된 상태에 있다.


2.2. 특징[편집]



파일:mk14mod0_prototype 2.jpg

초기형 Mk.14 Mod.0
파일:m14ebr-ri_usa 5.jpg

공통적으로 세이지 인터내셔널(Sage International)사의 M14ALCS 계열 총몸을 적용하면서, 기존의 M14가 가진 고질적인 내구성 문제가 해결됨은 물론, 피카티니 레일까지 통합되어 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장기적인 개조사업 중에 추가된 각종 부가장비와의 호환이 가능하다.


3. 종류[편집]



파일:external/www.fulton-armory.com/Mk14Mod01.jpg
파일:external/www.fulton-armory.com/mk14%20mod%201%20inset%202.png
파일:external/www.fulton-armory.com/fapmri161.jpg
파일:m14ebr-ri 0.jpg
파일:m14t 1.jpg
파일:external/www.imfdb.org/M-39EMR.jpg
제식명
제품명
Mk.14 Mod.0
Mk.14 Mod.0 SEI
Mk.14 Mod.1
Mk.14 Mod.2
M14 EBR-RI
M14 T
M39 EMR
운용처
USSOCOM
USN
USAF
USSOCOM
USN
USSOCOM
USN
USA
USCG
USMC
제조처
NSWC 크레인
SEI
NSWC 크레인
NSWC 크레인
RIA
NSWC 크레인
PWS 퀀티코
연도
2004년~현재
2006년~현재
2011년~현재
2008년~현재
2005년~현재
2007년~현재
수량
1,000정
125정
500정
250정
6,200정
500정
700정
총몸
M14ALCS
~/CV
~/PMRI-HB
M14ALCS
M14ALCS
M14ALCS
도색
회색
사막색
회색
흑색
회색
회색
총열
SEI 18인치
SEI 18인치
SEI 22인치
SA/RIA 22인치
SA/RIA 22인치
크리거 22인치
소염기
SEI 2000V
SF FH762KM14
SEI 2000V
SA/RIA M14NM
SEI 2001
SA/RIA M14NM
부착대
세이지 M14SCSB
SEI 2006
라루 LT-608
NSWC 크레인
세이지 M14DCSB
세이지 M14DCSB
SEI 2006
조정간
단발
연발
단발
연발
단발
단발
단발
연발
단발


3.1. Mk.14[편집]



3.1.1. Mk.14 Mod.0 전기형[편집]



파일:M14_SOPMOD_1.jpg


파일:M14_SOPMOD_2.jpg

미 해군 네이비 씰에서의 운용 목적으로 실시된 개수사업(EBR) 초기의 성능 실험형으로, 트로이(Troy)사가 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크레인(NSWC Crane) 부문과 록 크릭 배럴스(Rock Creek Barrels)사의 협력을 통해 SOPMOD M14 코만도 카빈(CC)을 개발하였지만 소음 문제로 인해 채택되지 않았다.

소음 문제 이전에 ,기존 나무스톡 M14에서 별다른 개조 없이 바로 장착이 가능한(Drop-in) EBR 스톡에 비해 SOPMOD M14는 추가로 개조를 해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두번째 사진을 보면 총열이 45도 틀어져 가스 피스톤을 옆으로 빼내 것을 알수있는데 총열 길이를 줄이기 위한 고육지책이였지만 이것이 오히려 독으로 작용했던 것. 에당초 Mk.14 EBR의 탄생 개념부터가 창고에서 남아도는 M14를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현대전에서도 쓸만하게 개수해 보급하는 것이였으니, 따로 추가작업이 필요한 SOPMOD M14는 EBR에 비해 메리트가 떨어질수밖에 없다.


3.1.2. Mk.14 Mod.0 후기형[편집]



파일:Mk14_Mod0_1.jpg


파일:Mk14_Mod0_2.jpg

해당 개수사업(EBR)의 주체였던 미 해군 크레인 부문이 M14 및 M1A의 전문 부품 생산업체로 유명한 SEI사로 변경한 2003년 이후에 개발된 양산형으로, 미 공군에서는 이미 납품된 125정 가량을 Mk.14 SEI 사양으로 바꾸어 도입하기도 했다.


3.1.3. Mk.14 Mod.1[편집]



파일:Mk14_Mod1_1.jpg


파일:Mk14_Mod1_2.jpg

주요 운용처인 미 해군 네이비 씰에서의 요청에 따른 1차 개량형으로, 가장 큰 변경점으로는 세이지 인터내셔널 사의 M14ALCS/CV 총몸과 맥풀(Magpul)사의 CTR 개머리판이며 그외에는 탱고다운(TangoDown)사의 BGV-MK46 FDE 전방손잡이 및 ACB-4 FDE 양각대 등이 있다.


3.1.4. Mk.14 Mod.2[편집]


파일:mk14mod2_necc-crs3 0.jpg

2006년에 창설된 미 해군 원정전투사령부(NECC) 전용의 지정사수소총(EBR-EDMV) 명칭을 가진 2차 개량형으로, 22인치(약 559mm)로 늘어난 중총열과 맥풀사의 PRS2-G3 개머리판이 부착된 세이지 인터내셔널 사의 M14ALCS/PMRI-BS 총몸 등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3.2. M14 EBR-RI[편집]



파일:m14ebr-ri_usa 4.jpg


파일:m14ebr-ri_usa 6.jpg

미 육군에서의 또다른 M14 재활용 방안으로 채택된 지정사수소총 형태로, 이는 자군 소속의 록 아일랜드 조병창(Rock Island Arsenal)에서 직접 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파생형들보다 훨씬 많은 6,200 정이 2008년과 2011년 사이에 제조되어 이라크아프가니스탄과 같은 전방에서 쓰이기도 했다.


3.2.1. M14 EBR-RI NM[편집]


2010년의 긴급 조달요청에 맞추어 개발된 NM(경기용, National Match) 명칭의 개량형으로, 세이지 인터내셔널 사의 M14ALCS/PMRI-BS 총몸과 맥풀 사의 PRS2-G3 개머리판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상술된 Mk.14 Mod.2와 유사한 모습을 취하고 있으며 도입 수량이나 자세한 운용에 관련된 정보는 전무하다.


3.3. M14 T[편집]


파일:uscg_m14t 0.jpg

미 해안경비대 헬리콥터 감시단(HITRON)의 주요 임무인 선박 감시용 등의 목적으로 별도 채택된 M14 T(전술형, Tactical) 명칭의 지정사수소총형으로, 전체적으로는 Mk.14 Mod.0의 사양과 동일하지만 명중률 확보를 위한 22인치 총열과 SEI 사의 SEI 2001 소염기의 외형을 통해 식별이 가능하다.


3.4. M39 EMR[편집]


파일:m39emr_usmc 0.jpg

2001년부터 미 해병대에서 쓰여온 M14 DMR의 대체를 겸하면서도 차후에 있을 신속교전용 저격소총(REPR) 사업 이전의 공백 기간에 운용하기 위한 지정사수소총형으로, 미국 버지니아 주 퀀티코에 소재한 정밀무기부서(PWS Quantico)에서 자체적인 개조를 거쳤다.


4. 기타[편집]



4.1. 에어소프트건[편집]


M14 전동건 컨버전 부품으로 여러 회사에서 나왔으며, 가공하면 M1 개런드 GBB와의 결합이 가능하다

WE에서 만든 M14 베이스로 EBR로 만든 제품들이 존재한다. 특유의 찰캉거리는 작동음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베이스가 내부설계미스로 격발시 내부가 엄청 갈려지기로 유명한 제품을 베이스로 만든터라 독으로 만든 성배라고 불리우고 있다.

후에 Ra-Tech사에서 옵션 부품들을 만들어 출시를 했으나 옵션부품을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이 역으로 갈리는 상황이 발생해서 여전히 구입하기 꺼려지는 제품으로 남아있다.

G&G에서 만든 전동건인 M14 EBR은 초기에는 어느 총들과 다를바 없이 외관만 EBR인 평범한 제품으로 출시됐으나 후에 내부 전자회로와 모스펫을 장착한 ETU시리즈가 출시해 엉뚱한 각인과 무게에 대한 비판을 제외하고는 게임용으로서 어느정도 호평을 받고있다.


5. 출처[편집]



5.1. 웹사이트[편집]




5.2. PDF[편집]




6. 등장매체[편집]


  • M39 EMR의 등장 매체 목록은 해당 문서 참고.


6.1. 영화[편집]



  • 쥬라기 월드 - 인젠(InGen) 사의 경비부대원이 Mk.14 Mod.1을 사용한다.


  • 28주 후 - 영국에 파견된 델타포스 대원들이 저격소총으로 사용한다.


6.2. 게임[편집]



6.2.1. 패키지 게임[편집]







  • 킬링 플로어 시리즈
    • 킬링 플로어 - 레이저 조준기와 가늠좌만 탑재한 모습으로 등장. 최강의 DLC 무기인 싱글피스톤 머스켓에게 뭍힌다.
    • 킬링 플로어 2 - 샤프슈터의 3 티어 무기로 등장. 준수한 화력과 속도로 빠른 잡몹 정리로 10 웨이브전 까지 레일건을 대신하여 센터파이어와 M14 EBR 조합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6.2.2. 온라인 게임[편집]


  • 블랙스쿼드 - 괴랄한 데미지와 적은 반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기총으로 불린다.

  • 워페이스 - 협동과 특수 임무에서 매우 유용한 총기 중 하나이다.


  • America's Army: Proving Grounds - 파생형인 M14 EBR-RI가 등장한다.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며 미 육군 진영의 지정사수와 저격수 병과가 선택 가능한 장비로 등장한다.

  • AVA - 라이플맨 소총으로 M14 EBR, DMR, CWR, EBR도색 BattleShip등의 다양한 시리즈가 있다. 리메이크인 DMR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나머지는 사이좋게 쓰레기 디테일(...)로 알려져있다.

  • Krunker - Semi Auto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PUBG: BATTLEGROUNDS - 작중 유일하게 보급 상자에서만 구할 수 있는 DMR로 등장한다. 피해량이 높아 1레벨 헬멧을 한방에 박살낼 정도며, 연사까지 할 수 있다는 엄청난 장점이 있다. 대신 반동이 엄청 강한데다가 패턴마저 이상해서 연사는 활용이 힘들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Mk14(PUBG: BATTLEGROUNDS) 참고.

6.2.3. 모바일 게임[편집]



6.2.4. Roblox[편집]


  • Arsenal - M14 EBR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완전 자동 사격이 가능하며 몸샷 위력은 5방컷이 뜰 정도로 낮지만 헤드샷 배수가 3배로 높고 정조준이 가능한 홀로그램 조준기가 달려 있어 헤드를 잘 노려야 좋다.

  • Aimblox -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저격소총 분류지만 장탄수가 20발로 많고 데미지가 몸샷 3방컷이 뜰 정도로 낮아 고배율 조준경을 단 DMR이라고 보면 된다. DMR 느낌의 저격소총인 만큼 줌하고 쏴도 반동이 낮은 것이 장점.

  • Dummies vs Noobs - 전문가의 기본 무기 점사소총의 업그레이드 Steelforge의 외형으로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5점사다.

  • FRONTLINES - M14 소총이 원형인 EBR의 리시버를 교체하여 Mk.14 EBR로 만들 수 있다. EBR일 때와는 달리 자동사격이 가능해지지만 반동이 상당히 강한 게 흠.

6.3. 애니메이션[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29, XM8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SIG716, MSG90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X, M635, APC9K,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723, M727, M733, M4A1 URG-I,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Mk.22, LRP-07, RPR, TAC-338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4:00:13에 나무위키 Mk.14 EB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