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L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SL을 약칭으로 쓰는 음반사에 대한 내용은 Key Sounds Label 문서
Key Sounds Label번 문단을
Key Sounds Label# 부분을
, 한국수어(Korea Sign Language)에 대한 내용은 수어 문서
수어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수어# 부분을
# 부분을
, 나라 관계에 대한 내용은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관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KSL_simple logo.png
정식 명칭
Korea Starcraft League
주관
파일: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중계
파일:트위치 로고 블랙.svg


1. 개요
2. 개인 리그
2.1. 역대 우승
3. 역대 시즌별 오프닝



1. 개요[편집]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직접 주최한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개인 리그로,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Korea StarCraft League)라고도 부른다.

한편 트위치가 매회 1천만 US 달러(한화로 약 100억 원)를 지불하며 독점 중계를 하였다. 2018년부터 ASL과 함께 새로운 양대 리그로 탄생했다가[1], 2019년 KSL 시즌4를 마지막으로 1년 반 만에 폐지되었다.


2. 개인 리그[편집]




2.1. 역대 우승[편집]


}}} ||

[ 펼치기 · 접기 ]
KSL
시즌 1

KSL
시즌 2

KSL
시즌 3

KSL
시즌 4

파일:테란아이콘.png Last
김성현

파일:저그아이콘.png SoulKey
김민철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Rain
정윤종

파일:테란아이콘.png Light
이재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DDD; border: solid 2px #DDD;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right;"
역대 KSL 준우승자



}}} ||


}}} ||



역대 대회
우승
세트 스코어
준우승
KSL 시즌1
김성현(T)
4
0
이제동(Z)
KSL 시즌2
김민철(Z)
4
1
조기석(T)
KSL 시즌3
정윤종(P)
4
1
변현제(P)
KSL 시즌4
이재호(T)
4
2
정윤종(P)

우승 횟수
준우승 횟수
김성현
김민철
정윤종
이재호
(각 1회)
이제동
조기석
변현제
정윤종
(각 1회)

종족별 우승/준우승 횟수

우승
준우승
이름
대회
이름
대회
파일:attachment/Ticon_small.png
테란

김성현
시즌1
조기석
시즌2
이재호
시즌4


우승 2회
준우승 1회
파일:attachment/Zicon_small.png
저그

김민철
시즌2
이제동
시즌1
우승 1회
준우승 1회
파일:attachment/Picon_small.png
프로토스

정윤종
시즌3
변현제
시즌3


정윤종
시즌4
우승 1회
준우승 2회



3. 역대 시즌별 오프닝[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20:11:22에 나무위키 KSL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운영위원회에서도 스타크래프트 부문 선정 기준으로, 조사 대상 대회를 현역 시절의 스타리그, MSL, WCG와 은퇴 이후의 ASL, KSL로 선정할 만큼 비록 리그의 지속성이 짧았다 하더라도 커리어로 인정 받는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