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가요대축제

최근 편집일시 :



파일:KBS 로고.svg 가요대축제

파일:1638259544223_350538.jpg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최
파일:KBS 로고.svg 제작2본부 예능센터
첫 개최 연도
1965년(59주년)

1. 개요
2. 설명
3. 역사
4. 역대 수상자
4.1. 대상
4.2. 최고가수상
4.3. 올해의 가수상
4.4. 프로듀서가 선정한 최고 인기 가수상
4.5. 작사상
4.6. 작곡상
4.7. 특별상
4.8. 공로상
4.9. 뮤직비디오상
5. 역대 진행자
6. 시청률



1. 개요[편집]


가요대축제(歌謠大祝祭)는 매년 12월 여의도 KBS 홀에서 열리는 KBS 2TV의 연말 가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이 신설된 1981년부터 2011년까지는 12월 30일에 개최되었고, 2012년부터는 뮤직뱅크를 대체하기 위해 12월 셋째주[1] 혹은 넷째주 금요일에 방송되는 경우가 많아졌다.[2] 1990년에 한시적으로 12월 29일에 열린 적도 있었는데 이는 이날이 토요일이라 동시간에 같은 채널에 방송하는 '쇼 토요특급'을 대체하기 위한 조치였고, 2015년에는 12월 30일(수), 2016년에는 12월 29일(목)에 개최되었다.


2. 설명[편집]


1965년 'TBC 방송가요대상'이 그 뿌리를 두고 있었는데, 전두환이 단행한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가요대상으로 변경되었다.

1981년부터 1993년까지 KBS 1TV에서 생방송으로 진행했었고 광고도 넣었다. 당시 시간대는 오후방송 시작하고 뉴스가 방송된 뒤 오후 6시에 시작하여 KBS 뉴스 9 시작 전까지 방송했다. 3시간 풀로 방송하는건 아니고 7시 30분을 기점으로 1부와 2부로 나누어서 방송하였는데 7시 25분부터 35분까지가 광고시간이었기 때문에 가수들이 짬내서 쉬었으며, 1993년 시상식에서 1부와 2부 사이에 대기실에서 가수들이 저녁식사를 하는 장면이 전파를 타기도 했고 1984년 시상식은 행사가 끝나고 출연진들끼리 뷔페식으로 리셉션 행사하는 장면이 전파에 타기도 했다. 당시에는 1부 후 광고- 1부 엔딩 타이틀 - 공익광고 내지 프로그램 예고 - 2부 오프닝 타이틀 - 2부 전 광고 순으로 진행하였다.[3] 1994년부터 KBS 1TV에서 상업광고를 폐지한 관계로 KBS 2TV에서 방송하기 시작했다.[4] 이대로 쭈욱 시상식을 진행하다가 음반시장 축소, 공정성 논란,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KBS 가요대상'에서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이름을 바꾼 뒤 프로그램의 포맷도 변경했다. 이후 SBS 가요대전도 2007년부터 시상식이 아닌 그냥 가요 축제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때 라디오가 영향력이 있었던 시절인 90년대 초반에는 KBS 제2라디오KBS 2FM을 통해 동시 방송된 적도 있고 중반부터 KBS 제2라디오를 통해 동시 방송되었다. 80년대에는 KBS 제1라디오를 통해 동시 방송되었다. 87년 가요대상 방송에서 김동건 아나운서가 1라디오로 동시 방송되고 표준FM 97.3MHz를 통해 입체 음향 스테레오로 들을 수 있다고 나온다.[5]

1981년부터 1986년까지는 신인가수상과 가수상을 성별로 따로 뽑아서 시상했다가 1987년부터 통합해서 시상했다. 또 1986년까지는 중창단상과 록 그룹 상도 있었으며 1987년을 기점으로 가수들의 특별 무대와 가수들의 콩트 코너로 채워졌다. 특이하게도 1993년 방송에선 아예 일본NHK 홍백가합전 콘셉트를 따와서 청백팀 간 대결 형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1991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를 이름을 바꾼 현재까지 행사를 서울 여의도 KBS홀에서 진행하고 있으며[6] 그 이전에는 KBS 별관 공개홀에서 진행했다.[7] 그래서 매년 똑같이 오프닝과 노래와 노래 사이에 KBS홀 전경이 배경으로 항상 나오고 있다.

참고로 2008년까지는 트로트 가수가 이 프로그램에서 노래를 부르고 상을 받았으며, 2009년부터는 'KBS 트로트대축제'라는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어 진행하고 있다.[8]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아이돌 대축제가 된 걸 잘 알 수 있다. 물론 그 사이에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고 1세대 아이돌부터 아이돌이 등장해서 가요계가 10대 위주로 재편되었는데도 2008년까지는 트로트 가수들과 중견 가수들이 나와서 상도 받고 노래도 부르는 그야말로 가족들이 함께 보는 열린음악회 특집 같은 프로그램이었다.

MC는 가요대상 시절부터 매년 아나운서들이 진행하다가[9], 2012년에는 연예인이 진행하기 시작했다.[10] 예전 가요대상 시절에는 당시 KBS의 가요 프로그램이었던 가요무대, 가요톱10, 열린음악회의 MC가 서로 나와서 진행하기도 했다. 특히 김동건 전 아나운서는 1985년부터 2002년까지 18년 연속으로 가요대상을 진행했다.

전체적인 특징은 SBS보다는 안정적이고 나은데 MBC보다는 기획과 구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루하다는 평을 듣는다. SBS처럼 방송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점은 좋지만 기획과 구성 그리고 무대에서는 지루하다는 평이 많다. 선후배 가수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는 훈훈한 무대도 있다. 2015년 고척돔에서 진행하면서 그런 촌스러운 분위기는 거의 사라졌으나 열린음악회 같은 지루한 분위기는 벗어나지 못했다. [11]

이러한 이유는 아마도 KBS는 가요대축제에 큰 관심이 없어서 그런 거 같다. 왜냐하면 KBS는 연기대상에 사실상 올인하는 분위기이지 가요대축제에 올인하는 방송사는 아니라는 이야기.

하지만 2012년에는 라인업에 원로가수라 할만한 출연진은 부활을 빼면 별로 없고 MC들도 위에 언급한 것처럼 젊은 가수들로 채워졌다. 결국 타 방송사처럼 가요대축제도 아이돌의 잔치가 되어버렸다. 방송을 진행해보지 못한 MC들도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진행하지 못했기에 기존의 장점을 거의 살리지 못했다.

MBC 가요대제전SBS 가요대전에 비해 방송분량이 짧은 편이다. 가요대축제는 2시간 안팎으로 짧게 끝내지만 다른 연말 가요제들은 3시간이나 4시간 정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MBC 가요대제전이 연말 저녁에 시작해 연초 새벽에 끝나기 때문에 엔딩도 보지 못하고 졸음을 견디지 못하기도 하는 것에 비하면 분량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뮤직뱅크의 연말 행사로 보인다는 네티즌들의 비판이 있었고 최근에는 3시간 30분 정도로 증가했지만 타 방송사보다 가장 짧다.

2009년부터 방송중 문자투표를 받아서 그 결과로 마지막에 '올해의 노래상'을 시상했다. 하지만 2012년에는 시상이 없었으며 문자투표로 올해의 노래를 뽑는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돼서 매번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팬들은 대부분 환영하는 분위기...였지만 2013년에도 올해의 노래를 선정해서 EXO의 <으르렁>이 수상한 후 2014년에 수상형식에서 공연형식으로 바뀌면서 다른 가수들과 합동 무대를 선보여 올해의 노래를 선정하는 것을 대신했으며, 2014년은 그래도 KBS 가요대축제 치고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2년 시상식부터 HD 방송을 시험으로 시작했다. 2002년 가요대상 시상식은 HD로 진행되었지만 그 전의 로고나 방식, 세트는 그대로 두었다가 2003년도부터 로고를 바꾸고 전체적으로 분위기를 바꿨다. 2003년에는 SD로 방송되었고, 2004년부터는 지금까지 쭉 HD로 방송 중.

KBS 공식 유튜브 중 하나인 'Again 가요톱10' 채널#에 KBS 가요대상 과거 방송 클립이 업로딩되었다. 2001년 가요대상까지 업로드되었다. 2019년 10월 30일부터 1981년 가요대상부터 2018년 가요대축제까지 KBS KPOP채널과 Again 가요톱10 채널에 12시부터 동시에 스트리밍 형식으로 방송분 풀버전을 업로드하고 있다.


3. 역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KBS 가요대축제/역사 문서의 r3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KBS 가요대축제/역사 문서의 r3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1. 1981~1990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상/1981~199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1991~2005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상/1991~2005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2006~2015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축제/2006~2015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2016~2020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축제/2016~202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2021~2025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S 가요대축제/2021~2025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수상자[편집]


2014년부터 현재까지 시상식을 중단했다.


4.1. 대상[편집]


TBC 방송가요대상
연도
대상
1965년
최희준
연도
남자 대상
여자 대상
1966년
최희준
최양숙
1967년
김상희
1968년
배호
이미자
1969년
남진
1970년
최희준
1971년
남진
김상희
1972년
나훈아
하춘화
1973년
남진
1974년
김세환
1975년
이수미
1976년
김훈
하춘화
1977년
혜은이
1978년
최헌
이은하
1979년
조경수[12]
1980년
조용필
윤시내
KBS 가요대상
1981년
조용필
이정희
1982년
윤시내
1983년
1984년
김수철
이은하
1985년
조용필
정수라
1986년
전영록
연도
대상
1987년
전영록
1988년
주현미
1989년
현철
1990년
1991년
김정수
1992년
신승훈
1993년
김수희
1994년
김건모
1995년
1996년
1997년
임창정
1998년
H.O.T.
1999년
조성모
2000년
god
2001년
2002년[13]
장나라
2003년
이효리
2004년[14]

2005년
김종국
KBS 가요대축제
연도
아티스트
올해 최고 인기가요상
2009년
2PM
Again & Again
2010년
소녀시대
Oh!
연도
아티스트
올해의 노래상
2011년
비스트
《Fiction》
2012년
(미시상)
2013년
EXO
으르렁


4.2. 최고가수상[편집]




4.3. 올해의 가수상[편집]




4.4. 프로듀서가 선정한 최고 인기 가수상[편집]



레드벨벳 7년 연속 Kpop 1위

4.5. 작사상[편집]




4.6. 작곡상[편집]




4.7. 특별상[편집]




4.8. 공로상[편집]




4.9. 뮤직비디오상[편집]




5. 역대 진행자[편집]


연도
진행자
장소
KBS 방송음악대상
1981년
황인용, 김미회
장충체육관
KBS 가요대상
1982년
황인용, 서동숙
잠실실내체육관
1983년
1984년
황인용, 왕영은[15]
여의도 KBS 별관 공개홀
1985년
김동건, 김미회
1986년
김동건, 이영미
1987년
1988년
1989년
김동건, 전은진
1990년
김동건, 김자영
1991년[16]
김동건, 고현정, 서정민[17]
여의도 KBS홀
1992년
김동건, 구영희
1993년
김동건, 손범수
1994년
김동건, 손범수, 진양혜[18]
1995년
김동건, 손범수, 장은영
1996년
1997년
김동건, 손범수, 황현정
1998년
김동건, 손범수, 황수경
1999년
2000년
2001년
김동건, 손범수, 최은경
2002년
김동건, 김병찬, 황수경
2003년
김병찬, 손범수, 황수경
2004년
김병찬, 손범수, 김경란
2005년
김병찬, 황수경, 노현정
KBS 가요대축제
2006년
한석준, 황수경
여의도 KBS홀
2007년
한석준, 손범수, 황수경
2008년
한석준, 황수경, 박사임
2009년
한석준, 황수경, 김경란
2010년
한석준, 전현무, 박은영
2011년
전현무, 이휘재, 박사임
2012년
성시경, 정용화, 윤아
2013년
이휘재, 윤시윤, 수지
2014년
이휘재, 택연, 윤아
2015년
이휘재, 택연, 하니
고척 스카이돔
2016년
메인: 박보검, 설현
인터뷰: 김세정
여의도 KBS홀
2017년
1부: 아이린, 사나, , 찬열
2부: 민규, 예린, 강다니엘, 솔라
2018년
메인: 찬열, 진, 다현
인터뷰: 최원명, Kei
2019년
메인: 신동엽, 아이린, 진영
인터뷰: 최보민, 신예은
KINTEX 제1전시장 4,5홀
2020년
유노윤호, 차은우, 신예은
인터뷰: 아린, 수빈
여의도 KBS홀
여의도 KBS 신관 TS-15
2021년
설현, 로운, 차은우
여의도 KBS홀

6. 시청률[편집]


연도
1부
2부
3부
2006년
11.7%
9.1%
10.9%
2007년
10.6%
9.6%
-
2008년
12.9%
11.6%
2009년
15.2%
15.3%[19]
2010년
11.9%
11.4%
2011년
11.7%
13.0%
2012년
9.1%
8.9%
2013년
8.2%
9.1%
2014년
7.4%
7.5%
2015년
9.5%
6.7%
2016년
6.5%
5.7%
2017년
6.6%
6.2%
2018년
5.1%
6.5%
4.3%
2019년
6.4%
6.0%
5.9%
2020년
3.0%
3.1%
3.8%
2021년
2.4%
2.3%
2.3%
  • 지루한 구성으로 인해 매년 시청률이 하락하는 추세이다. 특히 MBC 방송연예대상과 시간대가 겹쳤던 2016~17년에는 7% 밑으로 떨어졌고, SBS 연예대상과 겹쳤던 2018년에는 5%대로 떨어졌다.

  • 동시간대 다른 시상식 없이 단독 편성되었던 2019년에는 다시 6%대로 소폭 상승하며 당해년도 전체 3사 가요제 시청률 1위 자리를 수성했다. 하지만 이듬해에는 동시간대 트로트의 민족의 여파로 1, 2, 3부 모두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곤두박질쳤으며, 가요제 시청률 1위 타이틀도 MBC에게 뺏기고 말았다. 그리고 2021년 또 다시 전년 대비 1%씩 또 떨어졌다.
[1] 2020년에 2017년부터 성탄절로 고정된 SBS 가요대전과 스케줄이 겹쳐 12월 18일로 당겨서 진행했고, 2021년에도 12월 17일 금요일에 개최될 예정이다.[2] 그래서인지 뮤직뱅크 현 제작진과 구 제작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3] 다만 KBS에서 올리는 영상에서는 다른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광고와 프로그램 예고같은것은 일체 삭제하고 제공하고있고, 또한 방송 당시에 제공자막을 일체 삽입하지 않있기 때문에 이런것을 볼수는 없지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 장면에 CF 끝부분 일부를 볼 수는 있다.[4] KBS 코미디 대상(現 KBS 연예대상)과 KBS 연기대상도 2TV로 옮겼다.[5] 서울 제1라디오 표준FM은 1988년 5월 정식으로 개국했는데 시험방송 시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6] KBS 홀에서 전체 다 진행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앞뒤 광고와 오프닝 및 클로징 VCR은 다른 스튜디오 부조정실에서, 프로그램 내 VCR과 KBS 홀 전경이 나오는 카메라는 중계차에서 진행한다.[7] 현재 가요무대,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녹화 장소로 쓰이고 있으며 예전 80년대에는 상당수 음악프로가 이곳에서 녹화되었다. 뮤직뱅크도 아주 가끔 여기서 생방송한다.[8] 12월 마지막 주 월요일 가요무대 시간대에 방송하며 녹화방송이다.[9] 유이한 예외가 1984년의 왕영은, 1991년의 고현정, 서정민이었다.[10] 성시경, 윤아, 씨엔블루의 정용화가 진행했고 2013년에는 이휘재, 수지, 배우 윤시윤이 진행했다.[11] 1990년대 중후반 가요대상 시절에는 열린음악회 특집 분위기가 훨씬 강했다. 열린음악회에서 연주하는 KBS 관현악단 들여놓고 (당시 지휘자는 정성조.) KBS 홀에서 연주를 했으니... 열린음악회에서 선정된 올해의 가수 무대에는 그 해 발표된 노래가 아니면 과거 히트곡을 불러야 했었다.[12] 배우 조승우의 아버지.[13] HD 시험 방송.[14] 본격적으로 HD 방송이 시작되었다.[15] 최초의 非아나운서 진행자.[16] KBS홀 준공 후 처음 개최된 가요대상.[17] 김동건이 홀로 메인 무대에서 진행을 하고, 고현정과 서정민이 상단 특설 스튜디오에서 수상자 가족과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고현정과 서정민은 당시 토요일 저녁에 방송되었던 토요대행진의 공동 MC였다.[18] 가요대상-가요대축제 사상 유일한 부부 MC 사례.[19] 역대 최고 시청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3:27:01에 나무위키 KBS 가요대축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