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M.D./케이스 목록/시즌 1

덤프버전 :



1. 1화
2. 2화
2.1. 입원 환자
2.2. 클리닉 환자
3. 3화
3.1. 입원 환자
4. 4화
5. 5화
6. 6화
7. 7화
8. 8화
9. 9화
10. 10화
11. 11화
12. 12화
13. 13화
14. 14화
15. 15화
16. 16화
17. 17화
18. 18화
19. 19화
20. 20화
21. 21화
22. 22화


1. 1화[편집]


29세의 여성이 유치원 수업 도중 갑작스런 실어증발작으로 내원. 이로 인해 단백질 표지자(marker)에도 별다른 반응이 없었음에도 뇌종양으로 진단되었고,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나 효과를 보이지 못해 하우스에게 맡겨졌다.

실어증과 발작은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Landau-Kleffner syndrome)으로 설명 가능한데, 이것은 신경낭미충증이나 뇌종양으로 인해 발생한다. 집안을 수색하여 돼지고기[1]를 찾았고, 이로 기생충 감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2. 2화[편집]



2.1. 입원 환자[편집]


16세 소년이 라크로스 경기 도중 복시 증세를 호소하고, 머리를 부딛힌 후 야경증에 시달려 내원하였다. 하우스는 처음에 PTSD나 성폭력을 의심하지만, 근위축성 경련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입원시켰다.

그날 밤, EEG를 통해 환자가 자는 동안 야경증을 확인한다. 다만, 다른 테스트 결과는 정상으로 나타났고, MRI 검사를 실시한다. MRI 검사 결과, 하우스는 뇌의 두 반구 사이의 접합을 발견하고 방사성 동위원소 검사를 통해 막힘 여부를 확인한다. 뇌척수액을 배출하기 위해 션트(shunt)[2]를 삽입하는 수술 일정을 잡는다. 체액을 검사한 뒤,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라고 진단을 내린다.

이후 환자가 방에서 실종되고, 환자는 지붕에서 라크로스 필드에 있는 환각 현상을 겪고 옥상에서 뛰어내릴 찰나, 체이스가 환자를 덮쳐 구한다. 하우스는 이것을 보고 다발성 경화증을 가지고 있지 않고, 뇌염을 앓고 있다고 생각한다. 카메론은 매독이라고 생각하고, 하우스는 기존 수술로 만든 뇌의 션트를 이용하여 직접 뇌에 페니실린을 주입한다.

그러나, 환자는 계속해서 증상을 호소하고, 하우스는 DNA 검사를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가 친부모가 아닌 것을 깨닫고, 환자가 입양되었음을 알게된다.

환자는 어렸을 적 홍역에 노출되고 증상이 있지만, 아주 드문 케이스로, 홍역 바이러스가 뇌 속에 숨어 있어 아급성 경화성 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이 발생했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홍역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산모가 아이를 낳았을 때 발생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눈에 바늘을 넣어 망막 생검을 한다. 치료를 위해 뇌에 직접 인터페론을 주사하여 치료한다.


2.2. 클리닉 환자[편집]


얼굴이 부었지만 열은 없는 아기가 내원한다. 엄마는 아기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제약회사들의 음모라고 생각하고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 하우스는 아기에게 모유를 통해 전해지는 엄마의 면역[3]이 6개월밖에 지속되지 않으며, 백신을 접종하라고 한다. 사실 아기는 감기에 걸린 것이다.

다음 환자는 다리의 종기를 제거하기 위해 다리에 손톱 줄을 넣었고, 이로 인해 발생한 감염으로 내원한다. 하우스는 이 환자가 다른 병원을 지나치고 왜 이곳에 왔는지 궁금해하며, 이 환자가 그가 사는 곳 근처의 의사들을 고소했다는 것을 밝혀낸다. 환자는 하우스에게 보상금을 받으려고 소송을 걸지만, 하우스는 환자가 임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하우스는 자신이 보건 당국에 알려야 하고, 보건 당국은 아내에게 연락할것이라고 협박한다.


3. 3화[편집]



3.1. 입원 환자[편집]


젊은 남성이 성관계 도중 기침과 발진,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내원 이후 복통 증세를 호소한다. 하우스는 환자의 혈압이 체액과 반응하지 않아 케이스를 수락한다. 하우스는 혈압을 조절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두고, 패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심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항생제가 신부전을 일으켰고, 환자의 검사 결과가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항생제 투여를 중단한다.

하우스는 환자에게 현재 7가지 증상이 있다고 지적하지만, 포어맨은 항생제가 일곱번째 증상인 신부전을 일으켰다고 생각한다. 하우스는 증상을 설명할만한 다른 질병을 고려하지만, 7가지 모두를 나타내는 질병은 없었다. 따라서, 포어맨을 제외한 팀은 두가지 질병이 복합적으로 일어났다고 생각한다. 하우스는 부비동 감염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라고 한다. 검사 결과 항생제가 신부전을 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밝혀진다. 이후, 환자는 호전되고 있지만 여전히 기침 증세가 있다. 포어맨은 몇 가지 검사를 실시하고, 환자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없다는 것을 밝힌다. 포어맨은 백혈구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 백혈구 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면역 체계가 무력화되었기 때문에 환자를 무균실로 옮긴다.

하우스는 환자의 초기 증상이 기침이었다는 것을 생각하고, 약국의 실수로 기침약 대신 콜히친[4]을 줬다고 추측한다. 그러나, 환자는 기침약을 받은 것이 맞았다. 윌슨은 탐색적 수술을 제안하지만, 수술 중 환자에게 심장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 심장 발작이 발생하여 수술을 취소해야 했고, 환자는 손가락에 통증까지 발생했다.

하우스는 환자가 탈모라는 새로운 증상이 발생했기 때문에 여전히 콜히친 중독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위한 치료를 명령하자 환자는 호전된다.

4. 4화[편집]


한 아기가 고열과 발작이 발생하고, NICU[5]로 옮겨진다. 하우스는 산부인과 휴게실에서 다른 의사가 두 아기가 동일한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듣고, 병원 내 감염이라고 생각한다.

이후, 아픈 아기는 4명으로 늘고, 열이 상승하고 혈압이 계속 떨어지는 등 증상이 악화된다. 하우스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박테리아[6]의 치료를 위해 반코마이신과 아즈트레오남을 투여하도록 한다. 그러나, 항생제가 아기들에게 신부전을 일으켰지만, 항생제로 인해 나타났는지 모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종류의 항생제 중 하나를 투여 중단한다. 그로 인해, 한 아기가 심장 마비로 사망하고, 반코마이신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체이스가 반코마이신도 효과가 없다고 보고한다. 이로 인해 VRSA[7]라고 생각하지만, 매우 드문 케이스이기에 배제한다.

하우스는 왜 아기가 사망하기 직전 승압제를 3종류나 썼음에도 혈압이 낮았는지 의문을 가지며, 부검을 통해 심장 손상임을 알게 되고, 심장에 감염된 바이러스가 원인임을 알게된다. 팀과 윌슨, 커디와의 토론을 통해 바이러스 종류를 8개로 좁히고 감염된 아기들의 혈액과 대조군으로 건강한 아이의 혈액 샘플을 얻는다.

감염된 모든 아기는 세 가지 바이러스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이고, 대조군 아기도 두가지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인다. 하우스는 건강한 아기가 어머니의 항체로부터 면역력을 얻었음을 알게 된다. 포어맨은 어머니에게서 혈액을 채취하고, 결국 에코바이러스 11 감염이라는 최종 진단을 내린다.

이후, 실험적인 에코바이러스 치료제를 투여하고, 아기들의 증세가 호전된다.

하우스는 바이러스의 출처가 어디인지 궁금해하지만, 아기들 중 공통된 의료진은 없었음을 알게 된다. 의문을 해결하지 못한 도중, 하우스는 아기들에게 곰인형을 건네주는 병원 자원봉사자가 콧물과 기침을 하고 있던 것을 보고, 바이러스의 원인을 알게 된다.

5. 5화[편집]




6. 6화[편집]




7. 7화[편집]




8. 8화[편집]




9. 9화[편집]




10. 10화[편집]




11. 11화[편집]




12. 12화[편집]




13. 13화[편집]




14. 14화[편집]




15. 15화[편집]




16. 16화[편집]




17. 17화[편집]




18. 18화[편집]




19. 19화[편집]




20. 20화[편집]




21. 21화[편집]




22. 22화[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17:23:57에 나무위키 House M.D./케이스 목록/시즌 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돼지고기는 낭미충증 감염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유구조충(Taenia solium)의 주요 감염 경로다.[2] 션트란 두개골에 구멍을 내고 CSF가 고여있는 뇌실 내로 카테터를 삽입하여 CSF를 흉강이나 복강으로 배출시켜주는 장치를 말한다.[3] IgA를 통해 전해진다.[4] 통풍 치료제이다.[5]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신생아 중환자실[6] 원내 감염이라면 MRSA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7] Vancomyc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반코마이신 내성 포도상구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