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스테이지/미사용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스테이지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상위 문서에서 문단 분리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1.1. Gotta go
1.2. Trickery
1.3. Perdition
1.4. Mania
1.5. Slaybells
1.6. Fate
1.7. Hellbent[아트워크16]
1.8. Hedge[아트워크17]
1.9. Manual Blast[아트워크18]
1.10. Substantial
1.11. B4cksl4sh
1.12. Malediction[아트워크19]
1.13. Universal Collapse
1.14. Endeavours
1.15. Forestall Desire
1.16. DECEPTION
1.17. Fakebaby
1.18. Sharpy Showdown
1.19. Uh-Oh!
1.20. Mourning Sun
1.21. Haze
1.22. Expulsion
1.23. Found You
1.24. Perdition
1.25. Cereal
1.26. Digitalized
1.26.1. Heroes and Villains
1.26.2. Gatekeepers[아트워크20]
1.26.3. Life and Death
1.26.4. Hollow
1.26.5. Miasma
1.26.6. Genesis
1.26.7. Endless (JP)
1.26.8. Endless (US)
1.26.9. Too Far
1.26.10. Hijacked Transmission
1.26.11. Divine Strike
1.26.12. Playtime
1.26.13. Running Wild
1.26.14. Blind-Love
1.26.15. Special Event
1.26.16. Unnamed Mono.BW Song
1.26.17. Joyous
1.26.18. Caustic
1.26.19. Unnamed Steve Song (Unfinished)
1.26.20. Your Old Pal
1.26.21. Personel (Serious Mix)
1.26.22. OVERTHRO Week
1.26.23. Unnamed Knuckles_Alt Song (Concept; Unfinished)
1.26.24. Unnamed Sonic_Alt Song (Unfinished)
1.26.25. 언급만 된곡
1.26.26. Delirium
1.26.27. Unnamed Cream_ALT Song
1.26.28. Unnamed Possessed Amy Song
1.26.29. Unnamed Leaker Song
1.26.30. Head On
1.26.31. Planestrider


1. 개요[편집]


소닉.exe 미사용된 스테이지

1.1. Gotta go[편집]


Gotta go
길이2분 57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유출당시 배트맨 소닉의 곡으로 알려졌지만 원작자에 의해 로드X의 곡임이 밝혀졌다.아니 목소리가 너무 차이 나잖아 참고로 GateKeepers가 로드X의 3번째곡이다.

1.2. Trickery[편집]


Trickery
[ V2 펼치기 • 접기 ]

길이1분54초 (V1)
2분 44초 (V2)
2분 27초 (V3)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사타노스의 첫번째곡
MarStarBro가 못까지 박았다.

1.3. Perdition[편집]


Perdition
길이4분28초 (V1)
4분 57초 (V3)
7분 12초 (V4)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사타노스의 두번째곡
MarStarBro가 못까지 박았다.

1.4. Mania[편집]


Mania
[ 취소된 V2곡 펼치기 • 접기 ]

[ 취소된 V3곡 펼치기 • 접기 ]

길이2분 55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시크릿 히스토리 테일즈의 곡이다.
참고로 V1~V3모두 공식이다.

1.5. Slaybells[편집]


Slaybells
길이4분 12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2.5 업데이트로 등장할 곡. 상대는 Black Sun의 EXE와 Cycles의 로드 X였으며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Sonic.exe다.

노래가 좋을 뿐만 아니라 곡도 분위기와 알맞아서 큰 인기를 끌었다.

허나 Revie의 페도필리아 논란 때문에 이 곡은 취소되었으나 EXE는 삭제하되 다른 캐릭터로 교체할 것이라 밝히며 삭제는 없을것으로 보인다. 허나 기존 노래에 Black sun의 멜로디가 일부 섞여있기에 노래 자체는 대체될 예정.

이 노래의 새로운 버전이 유출되었으며, 교체된 캐릭터는 마진 소닉이다. 유출본을 보면 마진이 끼어들어서인지 곡의 분위기가 상당히 유쾌하게 바뀌었다. 교체에 관해선 호의적인 편인데, 소닉.exe, 로드 x, 마진 소닉 이 3인방은 초기 시절부터 있어온 캐릭터인지라 뼈대가 있고, 마침 마진 소닉의 코드 네임도 12.25이기 때문에 더 없이 어울린다는 의견이다. 물론 본래 곡도 상당히 좋은 편이라 아쉬울 따름.

여담으로, 아이스 캡 존의 BGM이 들린다.[1]

1.6. Fate[편집]


Fate
길이4분 35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로드 X의 미사용 음악이다.[2] 스토리 모드 음악에도 견줄만큼 상당한 퀄리티를 지니고 있는데, 후반부에서는 His World의 멜로디를 따온 파트가 있고 곳곳에서 사람들의 비명소리, FNF 효과음[3], FNF 메인로비 BGM, 컴퓨터 효과음[4]등이 포함돼있는 것이 특징이다.
중후반부에 능력자 배틀물 오프닝을 연상케 하는 음악과 BF가 먼저 노래를 부른 뒤에 로드 X가 뒤따라 부르는 등 BF가 주도권을 잡은 듯한 분위기와 후반부의 His World의 음악이 들리고 끝날때쯤 로드 X가 에러소리와 함께 고통스러워 하다가 끝내 절규하는것을 보아 로드 X의 최후를 암시하는 곡으로 보인다.

본래 미사용 곡으로 공개되었으나 인기가 많아 정식 곡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1.7. Hellbent[아트워크16][편집]


Hellbent
[ Teein Mix버전 펼치기 • 접기 ]

길이2분35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로드X의 두번째곡, 로드X의 원작자에 의하면 세가지 버전이 있다고 한다.

1.8. Hedge[아트워크17][편집]


Hedge
길이3분19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호그의 첫번째곡.

1.9. Manual Blast[아트워크18][편집]


Manual Blast
길이6분54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호그의 두번째곡, 1분 16초부터 호그의 모습이 바뀌며 분위기가 급변한다.
극후반부엔 스코치드에서 호그의 음성이 들린다.
그러다 마지막엔 괴성을 지르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 소리가 점점 작아지며 노이즈가 끼는 것을 보아 호그와 호그의 세계의 최후를 암시하는 듯 하다.

1.10. Substantial[편집]


Substantial
길이4분3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X-Terion의 곡

1.11. B4cksl4sh[편집]


B4cksl4sh
길이2분50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슬ㄹH쉬의 곡.

1.12. Malediction[아트워크19][편집]


Malediction
길이2분40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Curse의 곡.

1.13. Universal Collapse[편집]


Universal Collapse
길이5분 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OnMyWay.EXE의 2번째곡이다.

1.14. Endeavours[편집]


Endeavours
길이1분 2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마진소닉과 배트맨소닉의 미완성곡이다.

1.15. Forestall Desire[편집]


Forestall Desire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레퀴탈의 미완성첫번째곡이다.

1.16. DECEPTION[편집]


DECEPTION
길이3분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레퀴탈의 두번째곡이다.

1.17. Fakebaby[편집]


Fakebaby
길이3분 13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No More Innocence의 미완성곡이다. 플래이블캐릭터는 Daddy Dearest이다.

1.18. Sharpy Showdown[편집]


Sharpy Showdown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이그제티어의 미완성곡이다.

1.19. Uh-Oh![편집]


Uh-Oh!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데모그리와 그리아토스의 첫번째곡이자 미완성곡이다.
이곡의 상대는 데모그리이다.
Uh-Oh!가 공식 이름이다.

1.20. Mourning Sun[편집]


Mourning Sun
길이3분15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데모그리와 그리아토스의 두번째곡이다
플레이블 캐릭터는 테일즈 & 너클즈,BF이다.

1.21. Haze[편집]


Haze
길이3분24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데모그리와 그리아토스의 세번째곡이다.
이곡의 상대는 그리아토스다.

1.22. Expulsion[편집]


Expulsion
길이3분10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에듀케이터의 곡이다.

1.23. Found You[편집]


Found You
길이5분 55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노멀CD의 곡이다.

1.24. Perdition[편집]


Perdition
길이4분1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어폴리온이 커버한 사타노스의 곡이다.

1.25. Cereal[편집]


Cereal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미사용된 선키의 2번째곡이다.

1.26. Digitalized[편집]


Digitalized
길이3분6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X-Terion의 2번째곡




1.26.1. Heroes and Villains[편집]


Heroes and Villains
길이1분 45초
BPM1100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플리트웨이 소닉의 2페이즈곡

1.26.2. Gatekeepers[아트워크20][편집]


Gatekeepers
길이??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로드X와 로드X의 수호신 7명의 미완성곡


1.26.3. Life and Death[편집]


Life and Death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브렛워스트.exe의 미완성곡이다.


1.26.4. Hollow[편집]


Hollow
길이3분00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디보이드의 곡

1.26.5. Miasma[편집]


Miasma
길이1분29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DSK의 곡

1.26.6. Genesis[편집]


Genesis
길이??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아폴리온의 미완성곡
3막4막

1.26.7. Endless (JP)[편집]


Endless JP
길이2분 50초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Endless의 일본판 리믹스버전,us믹스가 따로 있는 것으로 보아 마진소닉의 원작인 소닉CD와 같이 jp믹스와 us믹스를 따로 만드려고 했던 모양이다.

1.26.8. Endless (US)[편집]


Endless US
길이?
BPM?
조성?
노트수○○○
속도○.○
최고점○○,○○○
Endless의 미완성미국판 리믹스버전

1.26.9. Too Far[편집]


Too Far
길이3분 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G8ME 0V3R의 미완성곡이다

1.26.10. Hijacked Transmission[편집]


Hijacked Transmission [5]
길이3분 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RE-RUN의 곡

1.26.11. Divine Strike[편집]


Divine Strike
길이3분 2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써X의 미완성곡

1.26.12. Playtime[편집]


Playtime
길이1분 47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노 네임의 곡

1.26.13. Running Wild[편집]


Running Wild
길이2분 4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플리트웨이 슈퍼소닉의 두번째곡
트레일러을 미완성버전에 입히고 확장한 팬매이드버전이다.

1.26.14. Blind-Love[편집]


Blind-Love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걸의 미완성곡

1.26.15. Special Event[편집]


Special Event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반다도의 미완성곡
이곡에 후반부에 로드모터스가 와서 BF를 돕는 플레이블캐릭터로 나올예정이였다.

1.26.16. Unnamed Mono.BW Song[편집]


이름없는 Mono.BW의 곡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Mono.BW의 미완성곡

1.26.17. Joyous[편집]


Joyous
길이6분4초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로드X의 곡드럽게 많네


1.26.18. Caustic[편집]


Caustic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익스컨의 미완성곡이다.

1.26.19. Unnamed Steve Song (Unfinished)[편집]


이름없는 스티브의 곡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스티브의 이름없는 미완성곡

1.26.20. Your Old Pal[편집]


Your Old Pal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어글리소닉의 미완성곡

1.26.21. Personel (Serious Mix)[편집]


Personel (Serious Mix)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Personel의 진지한버전이다.

1.26.22. OVERTHRO Week[편집]


BF의 목소리는 테일즈_ALT 목소리 표시라고 한다.

1.26.23. Unnamed Knuckles_Alt Song (Concept; Unfinished)[편집]


Unnamed Knuckles_Alt Song (CUnfinished))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OVERTHRO주의 3번째곡이자 미완성곡이다. 상대는 Knuckles_ALT이다.
원래는 이곡에 중반부에 GF가 와서 플레이블캐릭터로 사용될 예정였다.

1.26.24. Unnamed Sonic_Alt Song (Unfinished)[편집]


Unnamed Sonic_Alt Song (Unfinished)
길이??
BPM?
노트수?
조성?
최고점?
OVERTHRO주의 보니스곡이자 미완성곡이다. 상대는 Sonic_ALT이다.

1.26.25. 언급만 된곡[편집]


말그대로 3.0에 나올예정이였으나 곡이 나오지 않은 곡이다.

1.26.26. Delirium[편집]


시크릿 히스토리 테일즈의 2번째곡이다.
원작 시크릿 히스토리 테일즈의 마지막 장면에 테일즈와 대결한다.

1.26.27. Unnamed Cream_ALT Song[편집]


크림_ALT의 곡이다.

1.26.28. Unnamed Possessed Amy Song[편집]


Possessed Amy의 곡이다.

1.26.29. Unnamed Leaker Song[편집]


Leaker과 크세노파네스가 싸우는 곡이다.

1.26.30. Head On[편집]


걸의 2번째곡이다.

1.26.31. Planestrider[편집]


소닉.OMW의 1번째곡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3 14:44:29에 나무위키 Friday Night Funkin'/모드/Friday Night Funkin': Vs. Sonic.Exe/스테이지/미사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아트워크16] A B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아트워크17] A B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아트워크18] A B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아트워크19] A B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아트워크20] A B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1] 3분 15초에서 상세히 들을 수 있다.[2] 3.0에서는 로드X주의 마지막곡이 될예정이였다.[3] 소리가 점점 커지는 방식으로 프나펑 메인화면에 들리는 보프의 목소리가 들린다.[4] Sonic.exe에서 EXE가 컴퓨터 용어라는 점과 로드 X의 원작인 Sonic.exe(Pc port)에 PC가 컴퓨터의 뜻을 가지고 있는걸을 이용한 듯.[5] 직역하면 하이재킹 변속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