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20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투기에 대한 내용은 F-20 문서
F-20번 문단을
F-20# 부분을
, 국제질병분류기호에 대한 내용은 조현병 문서
조현병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조현병#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20 (2021)

파일:F20(영화).jpg

장르
스릴러
감독
홍은미
각본
채우
제작
문보현, 김해정, 이정미
출연
장영남, 김정영, 김강민, 이지하, 유서진
제작사
KBS
배급사
와이드 릴리즈
개봉일
2021년 10월 6일
상영 시간
117분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용가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 인물
4. 예고편
5. 평가
6. 논란
7. 여담



1. 개요[편집]


2021년 10월 6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스릴러 영화.

KBS 드라마 스페셜 2021-TV시네마 작품으로, KBS에서 최초로 시도하는 영화 프로젝트다. 개봉 이후 지상파에 방송될 예정이었다. 하단에 후술된 논란으로 인하여 지상파를 제외한 OTT 및 극장에서 개봉되었다.


2. 줄거리[편집]


어디에 내놔도 자랑스러운 아들을 둔 애란은 군대로 떠난 아들 도훈에게 조현병이 생겼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된다. 완벽했던 자신의 일상이 빼앗길까 두려웠던 애란은 아들의 병을 숨긴 채 살아가기로 결심하지만, 애란의 비밀을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인 경화가 나타나자 애란의 불안은 점점 광기로 변해 간다.

2021년, 가장 날카롭고 충격적인 영화가 온다!



3. 등장 인물[편집]



단역 [ 펼치기ㆍ접기 ]
  • 김서연 - 보험고객 역
  • 정민교 - 의사 역
  • 신선희 - 강연자 역
  • 구선민 - 옷가게 직원 역
  • 김선재 - 경비원 역
  • 서현규, 고철순 - 순경 역
  • 진미사, 최병준, 김용호, 김광섭 - 주민 역
  • 김한상 - 정육점 직원 역
  • 지남혁, 김서원 - 형사 역
  • 문보람 - 여교도관 역



4. 예고편[편집]



▲ 예고편


5. 평가[편집]



6. 논란[편집]


제목인 F20은 작품에 등장하는 질환의 질병코드이기도 하다. 이러한 네이밍은 환자에 대한 혐오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정신장애인연합회와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가 비판하고 있다.#

신경다양성을 옹호하는 단체인 세바다(3Oceans)에서는 영화의 내용이 조현병 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조장한다며 한국방송공사콘텐츠웨이브에 공개 중단을 요청했다.# 그 외에 여러 장애인 단체들이 영화의 내용이 조현병에 대한 편견을 그대로 반영, 유지, 강화한다며 인권위에 제소했다.#

2021년 10월 20일,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가 10여 명이 스스로 KBS를 찾아 기자회견에 나서고 손팻말을 들어 “조현병 혐오를 조장하는 영화의 상영을 중단하라”고 외쳤다.

사실, 조현병 당사자들과 가족, 관계자들은 우려 속에서도 한 줌의 기대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정신장애에 대한 미디어의 이해가 조금씩 높아지던 시기에 공영방송사가 투자하고 제작한 콘텐츠여서다. 장애 당사자들이 만드는 언론 <마인드포스트>도 8월 작성한 예고기사에서 '이번엔 정신장애 제대로 조명할까?'는 제목으로 그런 옅은 기대를 드러냈다. 하지만 기대는 빗나갔다. 이 영화는 상영시간 내내 정신장애를 향한 편견의 말이 쏟아질 뿐, 이를 주워 담는 반전조차 없다. 선정적이고 폭력적으로 그릴 뿐이다.[스포일러] 현실의 정신장애 환자와 가족들은 치료로 불완전하지만 일상을 유지해나가거나, 더 나은 치료를 위해 몇 시간이고 서울을 오가며 눈물겨운 투쟁을 이어가는데 이런 면은 이 영화 어디에도 드러나지 않았다.

“(영화) 보고 나서 이야기하자고 했어요. 그래도 피디고 작가인데 아주 반인권적인 이야기를 만들까 하고. 보고 나선 너무 화가 났죠. 가족을 살인자로 몰다니요. 당사자는 물론이고 100만 명 넘는 정신장애인의 가족을 간접살인한 거나 마찬가지예요.”

“조현병 환우의 가족인데 저희 모습이 이런가요? 전혀 아닌데” “저희 가족은 다시 일상생활을 하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우리 병을 흥행에 이용하게 둘 순 없다” #


이로 인해 10월 27일, 지상파 방송 보류가 결정됐다. 극장과 OTT 개봉만 하는 것으로 결정. #


7. 여담[편집]


  • 2010년대 중반 이후로 주로 드라마 위주로 출연해오던 유서진은 이 작품을 통해 2014년 영화 백프로 이후 7년만에 영화에 복귀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5:07:53에 나무위키 F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스포일러] 조현병이 발병한 아들을 둔 엄마는 아들의 병을 숨기려 다른 정신장애인의 가족을 살해하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