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son Sphere Program/건물

덤프버전 :



1. 개요
2. 티어표
3. 티어별 설명
3.1. 1티어
3.2. 2티어
3.3. 3티어
3.4. 4티어


1. 개요[편집]


다이슨 스피어 프로그램에 나오는 시설을 설명하며, 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분류는 게임 화면 하단의 메카 동력 게이지 위에 있는 건물 분류를 따랐다.

2. 티어표[편집]


정렬 순서는 화물 정거장에서 아이템 선택 시 나타나는 목록을 기준으로 하였다.



3. 티어별 설명[편집]


표 양식이며, 내용의 통일성을 위해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시에 아래 내용을 복사하여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이콘
이름
분류
[이미지]

[이름]
[분류]
필요기술
[해당 자원/시설을 획득/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연구]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입수방법 상세]
[해당 입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비고]
[설명]



3.1. 1티어[편집]


아이콘
이름
분류
파일:DSP_Tesla_Tower.png

테슬라 타워
(Tesla Tower)

전력
필요기술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1초 =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1.33초 =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1초 =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0.67초 =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생산되는 전기를 건물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전신주. 크기가 작아서 생산시설 사이에 잘 들어간다. 특히, 일부 위도를 제외하고 붙어있는 조립기 사이에도 건설이 가능하다.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무선 동력 타워
(Wireless Power Tower)

전력
필요기술
고효율 플라즈마 제어
(High-Efficiency Plasma Control)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3 + 3초 =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3 + 4초 =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3 + 3초 =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esla_Tower.png x 1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3 + 2초 =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공급 범위가 좁은 대신 테슬라 타워보다 더 먼 거리까지 연결할 수 있는 장거리 송전 시설이다.
대개 장거리 송전에 사용되나 메카가 동력 공급 영역에 있으면 4.8 MW의 속도로 메카의 동력을 충전한다. 무선 동력 타워를 여러 개 배치한다면 개수에 비례해 충선 속도가 증가하나 그만큼 전력 부담이 가해진다.

파일:DSP_Satellite_Substation.png

위성 변전소
(Satellite Substation)

전력
필요기술
위성 송전 시스템
(Satellite Power Distribution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 + 5초 = 파일:DSP_Satellite_Sub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 + 6.67초 = 파일:DSP_Satellite_Sub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 + 5초 = 파일:DSP_Satellite_Sub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Wireless_Power_Tower.png x 1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 + 3.33초 = 파일:DSP_Satellite_Sub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매우 넓은 영역에 있는 건물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대규모 송전 시설. 동력이 공급되면 위성형 장치가 하늘로 올라 전개된다.
중후반 즈음 거대한 공장을 지으면 테슬라 타워로는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부분이 생기곤 하는데 위성 변전소는 넓은 범위를 통해 대부분의 틈도 채울 수 있다. 면적이 제련기와 동일하다.

파일:DSP_Wind_Turbine.png

풍력 발전기
(Wind Turbine)

전력
필요기술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Gear.png x 1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3 + 4초 = 파일:DSP_Wind_Turbine.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Gear.png x 1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3 + 5.33초 = 파일:DSP_Wind_Turb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Gear.png x 1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3 + 4초 = 파일:DSP_Wind_Turb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Gear.png x 1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3 + 2.67초 = 파일:DSP_Wind_Turb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가장 처음에 해금되는 발전 시설이다. 풍력 효율 100% 기준으로 발전량이 300kW밖에 되질 않아 화력 발전기가 해금되면 곧 자리만 차지하는 잉여 신세가 된다. 극초반용 혹은 새 행성을 개척할 때 채굴기나 화력 발전기 등을 가동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전력 공급을 위해 급하게 몇개 설치하는 경우 말곤 거의 안 쓰이게 된다.
건조 사막(Arid desert) 타입의 행성에선 풍력 효율이 150% 고정이므로 다른 곳에 비해선 효율이 그나마 괜찮게 나온다.

파일:DSP_Thermal_Power_Station.png

화력 발전기
(Thermal Power Station)

전력
필요기술
화력 발전
(Thermal Power)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ear.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5초 = 파일:DSP_Thermal_Power_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ear.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6.67초 = 파일:DSP_Thermal_Power_Station.png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ear.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5초 = 파일:DSP_Thermal_Power_Station.png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ear.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3.33초 = 파일:DSP_Thermal_Power_Station.png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소형 핵융합 발전소가 해금되기 전까지 주로 사용되는 초중반부의 주력 발전 시설이다. 출력은 2.16MW이며, 연료로 투입되는 아이템에 따라 태우는 속도가 달라지는데 기본적으로 에너지 효율 80%가 붙어있어서 투입될 아이템에 표시되어 있는 에너지에 0.8을 곱하고 그걸 화력 발전기의 출력량인 2.16MW로 나누면 아이템 1개당 발전 속도가 나온다. 예를 들어 파일:DSP_Coal_Ore.png 석탄의 경우 1개당 에너지가 2.7MJ인데 여기에 0.8을 곱하면 딱 2.16MJ이 되고 2.16MW로 다시 나누면 1초가 되므로 석탄 1개당 화력 발전기 1개를 1초간 가동시킬 수 있다는 말이 된다.
화력 발전소의 경우 풍력이나 태양열과 달리 연료를 발전기에 지속적으로 투입해줘야 하는데 전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게 될 경우 발전 속도 자체가 느려지는 건 아니지만 발전기에 연료를 공급하는 파일:DSP_Sorter_Mk.I.png 분류기의 움직임이 느려지기 시작해 석탄처럼 태우는 속도가 빠른 연료는 분류기의 레벨이 낮다면 태우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서 발전기의 연료가 바닥나 멈추기 시작한다. 이것이 연쇄적으로 이어져 최악의 경우 발전망 전체가 멈춰버리는 블랙아웃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선 생산 라인을 늘릴 때 항상 전력 공급이 충분한지 확인을 해주고 특히 성간 물류 시스템이 가동되고 핵융합 발전을 시작하기 직전의 과도기를 잘 넘겨야 한다.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성간 화물 정거장의 초기 요구 전력의 기본값이 60MW라서 잘못 설치했다가 전력 공급이 휘청일 수도 있다.
상술한 블랙아웃 문제도 있고 어차피 중후반으로 갈수록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어 화력 발전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어지는 관계로 핵융합 발전을 시작하고서부턴 서서히 도태되어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잉여 정제유 또는 그래핀을 태우는 용도로나 쓰이게 된다.[1] 그러나 외부 항성계로 진출하기 시작해서 석유가 나오는 행성에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스타팅 항성계와는 비교도 안되게 펑펑 쏟아져나오는 석유를 바탕으로 유사 무제한 발전망을 구축할 수 있다. 핵융합 발전소나 인공 태양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전력 관리에 실패해 블랙아웃이 오는 것만 조심하면 완전히 발전소쪽에 신경을 꺼도 된다는 점이 메리트.

파일:DSP_Solar_Panel.png

태양 전지 패널
(Solar Panel)

전력
필요기술
태양광 집전
(Solar Collec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Copper_Ingot.png x 1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5 + 5초 = 파일:DSP_Solar_Panel.png x 1 (수작업)


파일:DSP_Copper_Ingot.png x 1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5 + 6.67초 = 파일:DSP_Solar_Panel.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Copper_Ingot.png x 1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5 + 5초 = 파일:DSP_Solar_Panel.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Copper_Ingot.png x 1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5 + 3.33초 = 파일:DSP_Solar_Panel.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기본 출력이 360kW라서 한두개 설치해선 효과를 보기 힘들지만 적도를 따라서 한바퀴 둘러버리면[2] 약 60MW 정도의 적지 않은 상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전력 과부하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출력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벨트를 두를 경우 블랙아웃 위기가 오더라도 모든 것이 멈춰버리는 사태까지는 막을 수 있다.
각 행성의 태양광 효율의 영향을 받으므로 항성 가까이에 붙어 있는 용암(Lava) 타입 등의 행성에선 태양광 벨트 1줄당 8~90MW까지 나오기도 한다. 반대로 항성에서 멀리 떨어진 영구 동토(Frozen gelisol) 타입 등의 행성에선 벨트를 3줄씩 둘러도 7~80MW밖에 안나오기도 하는 등 효율이 바닥을 긴다.

파일:DSP_Geothermal_Power_Station.png

지열 발전기
(Geothermal Power Plant)

전력
필요기술
지열 추출
(Geothermal Extrac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15 + 파일:DSP_Copper_Ingot.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4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6초 = 파일:DSP_Geothermal_Power_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15 + 파일:DSP_Copper_Ingot.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4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8초 = 파일:DSP_Geothermal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15 + 파일:DSP_Copper_Ingot.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4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6초 = 파일:DSP_Geothermal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15 + 파일:DSP_Copper_Ingot.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4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4초 = 파일:DSP_Geothermal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용암 위에 지을 수 있는 발전시설로 풍력이나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설처럼 유지비가 들지않는다. 기본 출력은 OOMW로 설치하는 지역의 용암의 양에 따라 발전량이 % 단위로 증감한다.

파일:DSP_Mini_Fusion_Power_Station.png

소형 핵융합 발전소
(Mini Fusion Power Station)

전력
필요기술
소형 핵융합 발전
(Mini Fusion Power Genera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12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Carbon_Nanotub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10초 = 파일:DSP_Mini_Fusion_Power_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12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Carbon_Nanotub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13.33초 = 파일:DSP_Mini_Fusion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12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Carbon_Nanotub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10초 = 파일:DSP_Mini_Fusion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12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Carbon_Nanotub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6.67초 = 파일:DSP_Mini_Fusion_Power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중후반부의 주력 발전 시설이다. 화력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연료인 파일:DSP_Deuteron_Fuel_Rod.png 중수소 연료봉을 투입해줘야 하지만 연료의 단위당 지속시간이 짧은 편인 화력 발전기와는 달리 중수소 연료봉 하나의 지속시간이 40초인지라 갑자기 전력 수요가 튀더라도 블랙아웃까지 이어지는 일은 사실상 없으며, 출력이 15 MW라 급격한 전력 수요 상승에 대응하기도 쉽다. 때문에 유지보수가 번거롭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화력 발전기를 빠르게 대체해나가게 된다.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에너지 교환기
(Energy Exchanger)

운송
필요기술
행성 간 송전
(Interstellar Power Transmiss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40 +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8 + 15초 =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40 +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8 + 20초 =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40 +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8 + 15초 =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40 +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8 + 10초 =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연결된 전력망으로부터 45MW의 속도로 빈 축전지를 충전하거나 충전된 축전지를 방전시키는 건물이다. 기본 상태는 대기이며, 충전 상태에서는 전력망으로부터 최대 45MW의 속도로 최대 270 MW의 에너지를 저장하며, 방전 상태에서는 충전되어 있는 에너지를 최대 45MW의 속도로 방전시킨다. 안에는 빈 축전지와 충전된 축전지 칸이 있는데, 충전 상태에서 빈 축전지를 넣으면 270 MJ가 주입되어 즉시 충전된 축전지로 나오며 다시 스스로를 충전시킨다. 반대로 방전 상태에서 충전된 축전지를 넣으면 즉시 축전지 안에 담겨진 에너지 270 MJ을 스스로에게 가져와 빈 축전지로 돌려놓는다. 입력 벨트에서는 축전지를 받으며, 출력 벨트에서는 방전 상태에서는 빈 축전지를, 충전 상태에서는 충전된 축전지를 내놓는다. 총 저장량이 270 MJ이고 충방전 속도는 45 MW이므로 축전지 하나로 완전 충전하거나 방전하는데 6초가 소요된다.
축전지의 주 역할이 에너지를 미리 받아두었다가 수요량이 높아질 때 충전된 에너지를 방전시키므로 이 에너지 교환기의 역할도 그러하리라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 목적은 필요 기술의 이름처럼 행성 간 송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물이다.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전기가 주 생산되는 행성에서 축전지를 충전, 그것을 성간 화물 정거장에 싣고 그것을 전기를 필요로 하는 행성으로 운반해 방전시키는 것이다. 충전과 방전에 축전지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므로 충전 행성은 충전된 축전지를 공급하고 방전된 축전지를 요구, 방전 행성은 충전된 축전지를 요구하고 방전된 축전지를 공급해야 한다.
매우 특이한 점은, 에너지 교환기가 방전할 때 연결된 전력망에 다른 발전 시설이 이미 있다면 그 모든 발전 시설보다 가장 먼저 전력망에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는 에너지 교환기가 방전하여 공급하는 동안 그 외 다른 발전 시설은 에너지 교환기 개수 * 45MW만큼 덜 발전하며, 만약 모든 에너지 교환기의 최대 방전량이 발전 시설의 총 발전량보다 높다면 발전 시설은 전혀 작동하지 않으며 그 모든 에너지를 에너지 교환기가 충당시킨다. 때문에 에너지 교환기를 단지 전력을 보충하기 위한 완충 목적으로 사용하려 한다면 에너지 교환기에 축전지가 없을 때 주 발전 시설이 작동하게 되는 주객전도가 일어나게 된다.

파일:DSP_Ray_Receiver.png

광선 수신기
(Ray Receiver)

스피어
필요기술
광선 수신기
(Ray Receiver)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0 + 8초 = 파일:DSP_Ray_Receiv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0 + 10.67초 = 파일:DSP_Ray_Receiv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0 + 8초 = 파일:DSP_Ray_Receiv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High-Purity_Silicon.png x 20 + 파일:DSP_Photon_Combiner.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0 + 5.33초 = 파일:DSP_Ray_Receiv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광선 수신기는 다이슨 스피어에서 흡수된 태양 에너지를 전송받는 시설이다. 기본적으로 행성 내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후에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전송받아 임계 상태의 광자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행성 전리층 활용 기술을 연구하면 파일:DSP_Graviton_Lens.png 중력 렌즈를 투입해 전송 효율을 두배로 늘리고 다이슨 스피어의 가시성에 관계없이 항상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광선 수신기는 최소 6 MW의 에너지를 받으며 연속성이 최대에 이르면 15 MW까지 공급한다. 광자 생성 시에는 필요 에너지량이 8배 늘어나며 연속성이 최대에 이를 시 분당 6개의 파일:DSP_Critical_Photon.png 임계 광자를 생산한다. 연속성 버프 덕분에 일반적으로 낮밤의 길이가 매우 긴 극지방에 설치하며, 조석고정 행성이라면 다이슨 스피어가 잘 보이는 아무 곳에나 설치하면 된다.

파일:DSP_Artificial_Star.png

인공 태양
(Artificial Star)

스피어
필요기술
인공 태양
(Artificial Star)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Annihilation_Constraint_Sphere.png x 1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30초 = 파일:DSP_Artificial_Star.png x 1 (수작업)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Annihilation_Constraint_Sphere.png x 1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40초 = 파일:DSP_Artificial_Sta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Annihilation_Constraint_Sphere.png x 1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30초 = 파일:DSP_Artificial_Sta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Annihilation_Constraint_Sphere.png x 1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20초 = 파일:DSP_Artificial_Sta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인공 태양은 임계 상태의 광자를 분해한 반물질과 수소에 소멸 통제 구체와 티타늄 합금을 조합해 만든 반물질 연료봉을 연료로 사용하여 72 MW라는 막대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좁은 면적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기에 다이슨 스피어를 어느정도 구축한 뒤에 외부 항성계를 개척하기 위한 주요 발전원으로 사용된다. 특히 반물질 연료봉에 가속제가 분포되어 있을 경우 속도 증가가 적용되어 최대 2배인 144 MW가 되기에 면적을 두배나 더 줄일 수가 있다.



3.2. 2티어[편집]


아이콘
이름
분류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컨베이어 벨트 Mk.I
(Conveyor Belt Mk.I)

물류
필요기술
기초 운송 시스템
(Basic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Gear.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Gear.png x 1 + 1.33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Gear.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2 + 파일:DSP_Gear.png x 1 + 0.67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기초 운송 시스템을 연구하면 해금되는, 가장 기초적인 컨베이어 벨트. 초당 6개 (분당 360개)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어 일반적인 철, 구리 제련기를 6개, 자석은 9개를 처리할 수 있다. 우주 항해를 해금하고 티타늄과 규소를 다룰 시기가 오면 초당 6개만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Mk.I으로는 금방 한계에 다다르므로 벨트 Mk.II를 사용할 수 있으면 바로바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다.느려터져보여서라도 벨트 Mk.II가 양산되는대로 바로바로 업그레이드되곤 한다.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컨베이어 벨트 Mk.II
(Conveyor Belt Mk.II)

물류
필요기술
고효율 운송 시스템
(High-Efficiency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수작업)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33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Conveyor_Belt_Mk.I.png x 3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0.67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컨베이어 벨트 Mk.I 3개와 전자기 터빈을 합쳐 만들 수 있는, 초당 12개 (분당 720개)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벨트이다. 기존 Mk.I 벨트보다 두 배나 빠르지만 초자기 고리와 그래핀만 투자하면 바로 초당 30개 (분당 1,800개)를 처리할 수 있는 벨트 Mk.III를 만들 수 있어 플레이어의 역량에 따라 벨트 Mk.II 자체를 생략하기도 한다.

파일:DSP_Conveyor_Belt_Mk.III.png

컨베이어 벨트 Mk.III
(Conveyor Belt Mk.III)

물류
필요기술
행성 운송 시스템
(Planetary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I.png x 3 (수작업)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1 + 1.33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1 + 1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Conveyor_Belt_Mk.II.png x 3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1 + 0.67초 = 파일:DSP_Conveyor_Belt_Mk.III.png x 3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고효율 운송 시스템을 연구하면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행성 화물 정거장과 함께 해금되는 최종 단계의 컨베이어 벨트이다. 초당 30개 (분당 1800개)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어 철, 구리같은 제련기는 30개까지, 자석은 45개까지 처리할 수 있다. 굉장히 빠르고 많은 양을 운송하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선 벨트 Mk.III 한줄씩만 있어도 충분하지만 파일:DSP_Casimir_Crystal.png 카시미르 결정에 들어가는 파일:DSP_Hydrogen.png 수소처럼 벨트 Mk.III조차 한줄로 감당 못하는 물건들이 있어 양산을 빠르게 하는 것이 좋다.

파일:DSP_Splitter.png

분배기
(Splitter)

물류
필요기술
발전된 운송 시스템
(Improved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3 + 파일:DSP_Gea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2초 = 파일:DSP_Splitt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3 + 파일:DSP_Gea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2.67초 = 파일:DSP_Split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3 + 파일:DSP_Gea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2초 = 파일:DSP_Split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3 + 파일:DSP_Gea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1.33초 = 파일:DSP_Split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분배기는 자유로운 입출력이 가능한 네 개의 출구를 가진 벨트 병합 및 분배 시설이다. 대개 T자 병합의 경우는 간단히 벨트 자체를 그러한 모양으로 합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이 경우에는 직선 부분부터 아이템이 운송되고 옆에서 들어오는 벨트는 가장 늦게 들어가게 되므로 자연스레 병목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분배기는 입력이 두 줄 이상일 경우 서로 들어오는 곳을 1:1의 비율로 나눠서 입력시켜준다. 두 벨트를 가를 때에도 두 줄을 분배기에서 꺼내 배치함으로써 두 줄이 균등하게 1:1의 비율로 나오게 할 수 있다. 분배기는 총 세 가지의 모양이 있으며 TAB 키를 눌러 바꿀 수 있다. 모양은 일반적인 사방 모양, 상하는 아래에 좌우는 위에 있는 복층 사방 모양, 그리고 두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나 있는 직선 모양이 있다.
분배기를 클릭하면 분배기 창이 뜬다. 여기서 각 투입과 배출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고 출력의 경우 추가로 특정한 아이템만 내보내는 필터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가장 먼저 들어가게 하거나 나오게 하는 것을 설정해 병목 현상을 줄이는 데 운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파일:DSP_X-Ray_Cracking.png X-레이 분리와 파일:DSP_Deuterium_Fractionation.png 중수소 분리에 사용된다. X-레이 분리는 수소가 2개를 소비하고 3개가 다시 생산되는데 나온 수소를 다시 되먹이면서 동시에 추가로 늘어나는 수소를 외부로 방출시켜야 하며, 중수소 분리는 파일:DSP_Fractionator.png 분별기의 그 구조상 수소를 계속 순환시키면서 일부분의 수소가 중수소로 변환되는 과정인데 당연히 중간에 수소가 중수소로 바뀌면서 수소의 수량이 줄어드므로 그 사이에 수소를 투입하면서 내부 수소가 계속 순환되어야 하기에 이 과정에서 분배기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분배기는 생각보다 충돌 판정이 큰 편이므로 어느정도 공간을 미리 확보해두는 것이 좋다.

파일:DSP_Automatic_Piler.png

자동 중첩기
??
필요기술
통합 운송 시스템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3 + 파일:DSP_Gear.png x 4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Processor.png x 2 + 4초 = 파일:DSP_Automatic_Piler.png x 1


자동 중첩기는 아이템이 꽉 찬 컨베이어 벨트 위의 아이템을 쌓는다. 자동 중첩기를 지나가는 연속된 아이템은 서로 위에 쌓이게 되어 한 공간에 두 개가 쌓이게 되므로 운송량이 두 배가 되며 적층은 네 배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적층하려면 아이템의 운송량이 최소 절반 이상이여야 하며, 운송량이 컨베이어 벨트의 최대 운송량의 절반 이하일 경우 적재를 하지 않는다. 아이템이 지나가는 동안 적층의 성공 유무에 관계 없이 작동한다.
자동 중첩기는 방향성이 있다. 방향을 반대로 배치한다면 적재한 아이템을 절반으로 다시 푼다. 적층 해제는 운송량이 절반 이하여야 한다.
자동 중첩기를 통해 적층된 아이템은 적층된 채로 화물 정거장은 물론 분류기가 적층된 개수 그대로 가져갈 수 있다. 가공 건물도 적층된 분량을 고스란히 받아 생산에 적용할 수 있어서 생산 라인을 더 길게 만들 수 있게 되었고 파일:DSP_Casimir_Crystal.png 카시미르 결정 생산공정 같은 라인이 많이 필요한 문제를 적층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분포를 받게 되면 적층된 수량만큼 분포 횟수가 차감되는것은 주의.

파일:DSP_Storage_Mk.I.png

저장고 Mk.I
(Storage Mk.I)

저장
필요기술
기초 운송 시스템
(Basic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2초 = 파일:DSP_Storage_Mk.I.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2.67초 = 파일:DSP_Storag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2초 = 파일:DSP_Storag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1.33초 = 파일:DSP_Storag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초반에 주로 사용될 기본적인 저장고이다. 슬롯은 30칸이다. 후술할 저장고 Mk.II가 해금되고 나면 잘 쓰이진 않게 된다. 저장고 Mk.II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모드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고 저장고 Mk.I을 철거한 다음 Mk.II를 다시 설치해야 한다. 때문에 주변 여유공간을 미리 확보해둘 필요가 있다.
패치로 인해 분배기 위에 쌓을 수 있게 되면서 버퍼로써의 활용가치가 생겼다. 공간을 알차게 쓰고 싶었다면 활용해보자.

파일:DSP_Storage_Mk.II.png

저장고 Mk.II
(Storage Mk.II)

저장
필요기술
고효율 운송 시스템
(High-Efficiency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4초 = 파일:DSP_Storage_Mk.II.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5.33초 = 파일:DSP_Storag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4초 = 파일:DSP_Storag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2.67초 = 파일:DSP_Storag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해금된 이후로 줄곧 쓰게 될 저장고이다. 슬롯은 60칸이다. 다만 파일:DSP_Steel.png 강철을 소모하기 때문에 가끔 인벤토리에 저장고 Mk.II가 없을 때 급하게 만들기가 번거롭다. 항상 넉넉하게 들고다니자.

파일:DSP_Storage_Tank.png

저장 탱크
(Storage Tank)

저장
필요기술
유체 저장 및 캡슐화
(Fluid Storage Encapsula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2초 = 파일:DSP_Storage_Tank.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2.67초 = 파일:DSP_Storage_Tank.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2초 = 파일:DSP_Storage_Tank.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1.33초 = 파일:DSP_Storage_Tank.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Water.png 물, 파일:DSP_Refined_Oil.png 정제유, 파일:DSP_Hydrogen.png 수소 등의 유체 아이템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탱크 하나 당 10000개까지 들어가며, 하나의 탱크에는 한 종류의 유체만 들어갈 수 있다. 유체 아이템의 경우 저장고에 보관 시 1슬롯이 20개밖에 안되어 저장고 Mk.II 하나를 가득 채워도 고작 1200개밖에 들어가질 못하기 때문에 저장 탱크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저장 탱크는 파일:DSP_Sorter_Mk.I.png 분류기를 통하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를 직접 탱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을 손으로 직접 집어넣을 때에는 손에 아이템을 준 상태에서 저장 탱크를 눌러서 뜨는 상태창을 꾹 누르고 있으면 된다. 반대로 빈 손인 상태에서 저장 탱크의 상태창을 꾹 누르면 아이템을 뽑아낼 수 있다. 다만 한꺼번에 통째로 빼내는 거나 넣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불편 요소이다.

파일:DSP_Logistics_Distributor.png

Logistics Distributor
메카 및 저장고 간 소규모 물류 운송
필요기술
Distribution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4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8초 = 파일:DSP_Logistics_Distributor.png x 1


파일:DSP_Storage_Mk.I.png 저장고 Mk.I 이나 파일:DSP_Storage_Mk.II.png저장고 Mk.II 에 붙여서 쓰는 개인 운송 시스템이라 이해하면 된다. 이를 이용해서 메카 이카루스에 필요한 물품을 항상 일정 수준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없는 물품을 다시 되돌려 저장할 수도 있다. 창고 당 한 물품만 취급하므로 다양한 물건을 조절하려면 창고를 여러개 지어야 할 수도 있다. 지어진 행성에만 유효하므로 행성 허브나 보급기지 (소위 다이소 혹은 몰 (Mall)이라 부르는 형태)쪽에 몰아주는게 좋다. 운송하려는 목표와의 이동 거리가 멀수록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화물 정거장
(Planetary Logistics Station)

운송
필요기술
행성 물류 시스템
(Planetary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Titanium_Ingot.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20초 =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Titanium_Ingot.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26.67초 =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Titanium_Ingot.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20초 =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40 + 파일:DSP_Titanium_Ingot.png x 40 + 파일:DSP_Processor.png x 4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13.33초 =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최대 세 종류의 아이템을 각각 5천개씩 채울 수 있는, 50기의 화물 드론이 머무를 수 있는 거대 물류 정거장.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성간 화물 정거장
(Interstellar Logistics Station)

운송
필요기술
성간 물류 시스템
(Interstellar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5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30초 =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1 (수작업)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5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40초 =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5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30초 =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Planetary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50 + 파일:DSP_Particle_Container.png x 20 + 20초 =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최대 다섯 종류의 아이템을 각각 1만개씩 채울 수 있는, 50기의 화물 드론과 10기의 화물선이 머무를 수 있는 우주 엘리베이터.

파일:DSP_Orbital_Collector.png

궤도 수집기
(Orbital Collector)

운송
필요기술
거대 가스 행성 채취
(Gas Giants Exploita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50 + 파일:DSP_Reinforced_Thruster.png x 20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20 + 30초 = 파일:DSP_Orbital_Collector.png x 1 (수작업)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50 + 파일:DSP_Reinforced_Thruster.png x 20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20 + 40초 = 파일:DSP_Orbital_Coll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50 + 파일:DSP_Reinforced_Thruster.png x 20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20 + 30초 = 파일:DSP_Orbital_Coll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nterstellar_Logistics_Station.png x 4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50 + 파일:DSP_Reinforced_Thruster.png x 20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20 + 20초 = 파일:DSP_Orbital_Coll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목성형 거대 행성의 적도에 배치하여 그 행성의 자원을 자동으로 수집하는 성간 화물 정거장. 거대 가스 행성에는 수소와 중수소를, 거대 얼음 행성에는 고체 메탄과 수소를 최대 5000개까지 수집한다.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수집한 아이템을 연료로서 소비한다. 화물 드론과 화물선을 배치할 수 없고 오로지 공급만 할 수 있다. 처음 시작 행성은 늘 항상 거대 행성의 위성으로 돌고 있다. 궤도 수집기는 오직 적도 0도에만 배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행성에는 적도를 따라 최대 40개의 궤도 수집기를 배치할 수 있다.
화물 드론이나 화물선 그 무엇도 배치할 수 없지만 대신 거대 행성의 자원을 수집할 수가 있다. 얼음이든 가스든 고정적으로 수소가 나오며 특히 중후반부터는 수소의 수요가 매우 높아지므로 보라색 정보 매트릭스를 만들 시기가 되면 가능한 궤도 수집기를 만들어 배치해두는 것이 좋다. 얼음 거대 행성이라면 고체 메탄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래핀을 무한히 생산할 수가 있다. 화물선이 이 궤도 수집기로부터 자원을 가져오려면 해당 성간 화물 정거장에 '궤도 수집기' 설정이 표시되어야 한다.



3.3. 3티어[편집]


아이콘
이름
분류
파일:DSP_Sorter_Mk.I.png

분류기 Mk.I
(Sorter Mk.I)

물류
필요기술
기초 운송 시스템
(Basic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1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1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1.33초 = 파일:DSP_Sorter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1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1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1 + 0.67초 = 파일:DSP_Sorter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분류기는 짧은 거리에서 아이템을 운송하기 위한 시설로 대개 벨트에서 건물로 혹은 건물에서 벨트로 이동하며 그 외 직접 시설 사이를 오갈 수도 있다. 분류기는 최대 세 칸까지의 거리를 운송할 수 있으며 거리가 늘어날수록 운송량도 달라진다. 가장 가까운 1칸에서는 최대 속도인 초당 1.5개, 2칸에서는 절반인 초당 0.75개, 3칸에서는 1/3인 초당 0.5개이다.
분류기에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대개 하나의 시설에 두 가지 이상의 생산품이 나올 때를 위한 것으로 둘 이상의 생산품이 있는 제조법을 다루는 시설에서는 자동으로 지정된 아이템을 바로 필터링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정제유와 수소가 함께 나오는 원유 정제소가 있다.

파일:DSP_Sorter_Mk.II.png

분류기 Mk.II
(Sorter Mk.II)

물류
필요기술
발전된 운송 시스템
(Improved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orter_Mk.I.png x 2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수작업)


파일:DSP_Sorter_Mk.I.png x 2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1 + 1.33초 =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orter_Mk.I.png x 2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orter_Mk.I.png x 2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1 + 0.67초 =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분류기 Mk.I보다 두 배 더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는 분류기이다. 가장 가까운 1칸에서는 최대 속도인 초당 3개, 2칸에서는 절반인 초당 1.5개, 3칸에서는 1/3인 초당 1개이다. 속도가 상당하기에 분류기 Mk.II만으로도 충분하나 분류기 화물 중첩량 보너스에 영향을 안받으며 또한 분류기 Mk.III의 재료인 전자기 터빈은 어느정도 숙련되면 금방 만들기에 그 좋은 성능에도 불구하고 금방 교체되곤 한다.

파일:DSP_Sorter_Mk.III.png

분류기 Mk.III
(Sorter Mk.III)

물류
필요기술
고효율 운송 시스템
(High-Efficiency Logistics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II.png x 2 (수작업)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33초 = 파일:DSP_Sorter_Mk.I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1초 = 파일:DSP_Sorter_Mk.I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orter_Mk.II.png x 2 + 파일:DSP_Electromagnetic_Turbine.png x 1 + 0.67초 = 파일:DSP_Sorter_Mk.III.png x 2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최종 수준의 분류기이다. 가장 가까운 1칸에서는 최대 속도인 초당 6개, 2칸에서는 절반인 초당 3개, 3칸에서는 1/3인 초당 2개이다. 유일하게 분류기 화물 중첩량 보너스에 영향을 받으며 레벨 당 화물 중첩량이 1개씩 늘어나 최대 레벨 5까지 올리면 최대 6개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산 상 운송량은 초당 36개이다 그러나 한번에 아이템을 전부 집는게 아닌 하나씩 빠르게 집고 내리며 또한 분류기가 왔다갔다하는 시간도 있기에 운송량이 벨트 Mk.III보다 많다 해도 결국 중간에 구멍이 생기게 되므로 실질적인 운송량은 초당 30개도 채 되지 않는다.

파일:DSP_Mining_Machine.png

채굴기
(Mining Machine)

수집
필요기술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파일:DSP_Gear.png x 2 + 3초 = 파일:DSP_Mining_Machine.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파일:DSP_Gear.png x 2 + 4초 = 파일:DSP_Mining_Mach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파일:DSP_Gear.png x 2 + 3초 = 파일:DSP_Mining_Mach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파일:DSP_Gear.png x 2 + 2초 = 파일:DSP_Mining_Machine.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채굴기는 행성 표면에 존재하는 광맥을 채취하는 시설이다. 채굴 속도는 기본적으로 광맥 노드 하나당 분당 30개이며 광맥 활용 업그레이드를 통해 레벨 당 10%씩 합연산으로 빨라지며, 채굴 시 고갈되지 않을 확률이 6%씩 곱연산으로 늘어난다.

파일:DSP_Advanced_Mining_Machine.png

고급 채굴기
수집
필요기술
광자 스포트라이트 채굴 기술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1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4 + 파일:DSP_Optical_Grating_Crystal.png x 20 + 20초 = 파일:DSP_Advanced_Mining_Machine.png x 1


고급 채굴기는 행성 표면에 존재하는 광맥을 채취하는 시설이다. 매우 넓은 영역을 한번에 채취하며 광맥 당 채취율도 기존 채굴기보다도 2배나 더 높은 분당 60개이다.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최소 100%에서 최대 300%까지 늘릴 수 있지만 대신 전력 소비량도 이에 비례해 기본 2.94 MW에서 최대 9배 가까운 26.4 MW로 늘어난다. 화물 정거장처럼 화물 드론이 접근할 수 있고 대량 운송을 위해 9개의 컨베이어 벨트 연결부가 있다.
고급 채굴기는 넓은 채굴 범위가 있으나 실제 채굴 지대에 대한 충돌 판정은 허공에 있다. 이를 활용해 고급 채굴기 하나에서 두 대를 놓고 광맥 주변을 기본 채굴기로 둘러 채취량을 극도로 향상시킬 수 있다. 채굴기지만 물류 정거장으로 간주하므로 동일 채굴기와 정거장간 인접해서 지을 수는 없다. 또한 성간 화물 정거장 판정이 아니므로 다른 행성에서 고급 채굴기로 채굴한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벨트로 이어주든 드론으로 수집하든 성간 화물 정거장으로 옮겨줄 필요가 있다.

파일:DSP_Water_Pump.png

액체 펌프
(Water Pump)

수집
필요기술
유체 저장 및 캡슐화
(Fluid Storage Encapsula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4초 = 파일:DSP_Water_Pump.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5.33초 = 파일:DSP_Water_Pump.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4초 = 파일:DSP_Water_Pump.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Electric_Motor.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2.67초 = 파일:DSP_Water_Pump.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액체 펌프는 유체인 파일:DSP_Water.png 물과 파일:DSP_Sulfuric_Acid.png 황산을 퍼올릴 수 있는 시설이다. 물가 가장자리에 설치 가능하다. 기본 분당 50개의 추출 속도를 지녔으며 광맥 활용 업그레이드에 영향을 받는다. 물은 대부분의 행성에서 찾을 수 있고, 황산은 외항성계에 존재하는 화산재 유형의 행성에서 찾을 수 있다. 액체는 무한하므로 물과 황산 역시 무한 자원이다.

파일:DSP_Oil_Extractor.png

원유 추출기
(Oil Extractor)

수집
필요기술
플라즈마 추출 정제
(Plasma Extract Refining)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12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4 + 8초 = 파일:DSP_Oil_Extractor.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12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4 + 10.67초 = 파일:DSP_Oil_Extra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12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4 + 8초 = 파일:DSP_Oil_Extra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12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4 + 5.33초 = 파일:DSP_Oil_Extra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원유 추출기는 원유 누출구에 설치해 파일:DSP_Crude_Oil.png 원유를 추출하는 시설이다. 원유 추출구마다 고유한 예상되는 초당 생산량이 있으며 이 초당 생산량 그대로 추출한다. 원유 누출구는 특정 시간 뒤에 추출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며 자원 1배율 기준 12시간이 지날 때 절반으로 줄어든다. 자원 배율이 무한일 경우 절대 줄어들지 않는다. 광맥 활용 업그레이드에 영향을 받는다.

파일:DSP_Oil_Refinery.png

원유 정제소
(Oil Refinery)

생산
필요기술
플라즈마 추출 정제
(Plasma Extract Refining)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6 + 6초 = 파일:DSP_Oil_Refinery.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6 + 8초 = 파일:DSP_Oil_Refinery.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6 + 6초 = 파일:DSP_Oil_Refinery.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10 + 파일:DSP_Stone_Brick.png x 10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6 + 파일:DSP_Plasma_Exciter.png x 6 + 4초 = 파일:DSP_Oil_Refinery.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 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Miniature_Particle_Collider.png

소형 입자 충돌기
(Miniature Particle Collider)

생산
필요기술
소형 입자 충돌기
(Miniature Particle Collider)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5 + 파일:DSP_Graphene.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8 + 15초 = 파일:DSP_Miniature_Particle_Collid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5 + 파일:DSP_Graphene.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8 + 20초 = 파일:DSP_Miniature_Particle_Collid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5 + 파일:DSP_Graphene.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8 + 15초 = 파일:DSP_Miniature_Particle_Collid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2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20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25 + 파일:DSP_Graphene.png x 10 + 파일:DSP_Processor.png x 8 + 10초 = 파일:DSP_Miniature_Particle_Collid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Deuterium.png 중수소, 파일:DSP_Strange_Matter.png 기묘체, 파일:DSP_Antimatter.png 반물질 등의 고테크 아이템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후반 시설 답게 12MW라는 만만치 않은 전력 소모량을 자랑한다. 중소소 생산의 경우 파일:DSP_Fractionator.png 분별기라는 대체 시설이 존재하기 때문에 플레이어의 취향껏 선택하면 된다. 분별기쪽이 전력 소모량이 확실히 적지만 라인 구축이 귀찮은 편이다. 다만 중수소 발전을 시작하기 이전에는 대체로 전력에 여유가 없기 때문에 되도록 분별기로 중수소를 생산하다가 나중에 전력 여유가 생겼을 때 소형 입자 충돌기로 갈아타는 것이 좋다.

파일:DSP_EM-Rail_Ejector.png

전자기 레일 발사기
(EM-Rail Ejector)

스피어
필요기술
솔라세일 궤도 시스템
(Solar Sail Orbit System)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20 + 파일:DSP_Gear.png x 2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6초 = 파일:DSP_EM-Rail_Ejector.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20 + 파일:DSP_Gear.png x 2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8초 = 파일:DSP_EM-Rail_Ej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20 + 파일:DSP_Gear.png x 2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6초 = 파일:DSP_EM-Rail_Ej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20 + 파일:DSP_Gear.png x 20 + 파일:DSP_Processor.png x 5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0 + 4초 = 파일:DSP_EM-Rail_Ejec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지정된 항성 주변 궤도에 솔라 세일을 빠르게 분당 20개씩 쏘아올려 다이슨 스웜을 형성할 수 있는 레일건. 작동 시 1.8 MW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다이슨 스피어 창 (단축키 기본 값 Y)에서 기본 1번 궤도를 포함해 총 20개의 스웜 궤도를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궤도를 선택하면 그 궤도 허용 각도가 나올 때 그리고 솔라 세일이 충전되어 있을 때 자동으로 솔라 세일을 발사한다. 발사된 솔라 세일은 최소 5400초 (1시간 30분), 솔라 세일 수명 연구에 따라 최대 9000초 (2시간 30분)까지 유지된다.

파일:DSP_Vertical_Launching_Silo.png

수직 발사대
(Vertical Launching Silo)

스피어
필요기술
수직 발사대
(Vertical Launching Silo)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8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30 + 파일:DSP_Graviton_Lens.png x 2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30초 = 파일:DSP_Vertical_Launching_Silo.png x 1 (수작업)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8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30 + 파일:DSP_Graviton_Lens.png x 2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40초 = 파일:DSP_Vertical_Launching_Silo.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8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30 + 파일:DSP_Graviton_Lens.png x 2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30초 = 파일:DSP_Vertical_Launching_Silo.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Titanium_Alloy.png x 80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30 + 파일:DSP_Graviton_Lens.png x 20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10 + 20초 = 파일:DSP_Vertical_Launching_Silo.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수직 발사대는 다이슨 스피어 부품이 포함되어 있는 소형 운반 로켓을 분당 5개씩 발사한다. 발사된 소형 운반 로켓은 자동으로 플레이어가 미리 배치한 다이슨 스피어 노드를 향해 날아간다.



3.4. 4티어[편집]


아이콘
이름
분류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Assembling Machine Mk.I)

생산
필요기술
기초 조립 공정
(Basic Assembling Processes)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Gear.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2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Gear.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2.66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Gear.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2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Gear.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1.33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가장 처음에 해금되는 조립기로, 작업속도는 0.75배이다.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Assembling Machine Mk.II)

생산
필요기술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3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1 (수작업)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4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3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x 1 + 파일:DSP_Graphene.png x 8 + 파일:DSP_Processor.png x 4 + 2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Energy_Matrix.png 에너지 매트릭스 연구로 해금할 수 있는 조립기로, 작업속도는 1배이다. 재료로 들어가는 파일:DSP_Processor.png 프로세서와 파일:DSP_Graphene.png 그래핀이 의외로 더 빠른 시기에 해금이 가능하지만 정작 에너지 매트릭스 연구를 진행할 무렵엔 그 두가지를 양산하기 힘든 관계로 보통은 성간 항해를 뚫고 주변 행성들을 어느 정도 개척한 이후에 양산하게 될 것이다.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Assembling Machine Mk.III)

생산
필요기술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4 + 파일:DSP_Particle_Broadband.png x 8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2 + 4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x 1 (수작업)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4 + 파일:DSP_Particle_Broadband.png x 8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2 + 5.33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4 + 파일:DSP_Particle_Broadband.png x 8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2 + 4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x 4 + 파일:DSP_Particle_Broadband.png x 8 + 파일:DSP_Quantum_Chip.png x 2 + 2.67초 =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Information_Matrix.png 정보 매트릭스 연구로 해금할 수 있는 조립기로, 작업속도는 1.5배이다. 파일:DSP_Particle_Broadband.png 입자 광대역은 애초에 정보 매트릭스의 재료로 진작 양산하고 있었을테니 문제가 없지만 또 다른 재료이자 파일:DSP_Gravity_Matrix.png 중력 매트릭스의 재료이기도 한 파일:DSP_Quantum_Chip.png 양자칩이 환장하는 제작 난이도를 자랑하니만큼 상당히 늦은 시기에 양산이 가능해진다.

파일:DSP_Smelter.png

제련기
(Arc Smelter)

생산
필요기술
자동 야금술
(Automatic Metallurgy)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3초 = 파일:DSP_Smelt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4초 = 파일:DSP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3초 = 파일:DSP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4 + 파일:DSP_Stone_Brick.png x 2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2 + 2초 = 파일:DSP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Plane_Smelter.png

평면 제련기
(Plane Smelter)

생산
필요기술
평면 필터 제련 기술
(Plane-Filter Smelting Technology)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melter.png x 1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5 + 파일:DSP_Plane_Filter.png x 4 + 파일:DSP_Unipolar_Magnet.png x 15 + 5초 = 파일:DSP_Plane_Smelter.png x 1 (수작업)


파일:DSP_Smelter.png x 1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5 + 파일:DSP_Plane_Filter.png x 4 + 파일:DSP_Unipolar_Magnet.png x 15 + 6.77초 = 파일:DSP_Plane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melter.png x 1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5 + 파일:DSP_Plane_Filter.png x 4 + 파일:DSP_Unipolar_Magnet.png x 15 + 5초 = 파일:DSP_Plane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melter.png x 1 + 파일:DSP_Frame_Material.png x 5 + 파일:DSP_Plane_Filter.png x 4 + 파일:DSP_Unipolar_Magnet.png x 15 + 3.33초 = 파일:DSP_Plane_Smelte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Fractionator.png

분별기
(Fractionator)

생산
필요기술
중수소 분리
(Deuterium Fractionation)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Processor.png x 1 + 3초 = 파일:DSP_Fractionator.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Processor.png x 1 + 4초 = 파일:DSP_Fraction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Processor.png x 1 + 3초 = 파일:DSP_Fraction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4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Processor.png x 1 + 2초 = 파일:DSP_Fraction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수소를 넣으면 99% 확률로 수소를, 1% 확률로 중수소를 배출하는 시설. 수소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나오기 때문에 되먹이는 과정이 필요하다. 초반에는 소형 입자 가속기보다 생산량이 떨어지지만, 자체적으로 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없고 벨트의 속도가 생산시간에 관여하기 때문에 자동 중첩기와 3티어 컨베이어 벨트가 갖추어지는 후반에는 생산량, 효율, 전력 모두 소형 입자 가속기를 상회한다. 가속제를 넣으면 확률이 상승하지만 수소가 더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취향의 영역.

파일:DSP_Chemical_Plant.png

화학 정제소
(Chemical Plant)

생산
필요기술
기초 화학 공학
(Basic Chemical Engineering)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5초 = 파일:DSP_Chemical_Plant.png x 1 (수작업)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6.67초 = 파일:DSP_Chemical_Plant.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5초 = 파일:DSP_Chemical_Plant.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Steel.png x 8 + 파일:DSP_Stone_Brick.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8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2 + 3.33초 = 파일:DSP_Chemical_Plant.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Matrix_Lab.png

매트릭스 연구소
(Matrix Lab)

연구
필요기술
전자기 매트릭스
(Electromagnetic Matrix)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3초 = 파일:DSP_Matrix_Lab.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4초 = 파일:DSP_Matrix_Lab.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3초 = 파일:DSP_Matrix_Lab.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8 + 파일:DSP_Glass.png x 4 + 파일:DSP_Circuit_Board.png x 4 + 파일:DSP_Magnetic_Coil.png x 4 + 2초 = 파일:DSP_Matrix_Lab.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연구를 위한 매트릭스를 생산하고 생산된 매트릭스를 소비하여 연구를 할 수 있는 시설이다. 매트릭스 연구소는 적층 가능 개수가 훨씬 더 크다.

파일:DSP_Accumulator.png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축전지
(Accumulator)

전력
필요기술
에너지 저장
(Energy Storage)

입수방법
선행기술
비고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Crystal_Silicon.png x 6 + 5초 =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수작업)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Crystal_Silicon.png x 6 + 6.67초 =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png 조립기 Mk I 기준)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Crystal_Silicon.png x 6 + 5초 =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png 조립기 Mk II 기준)
고속 조립 공정
(High-Speed Assembling Processes)

파일:DSP_Iron_Ingot.png x 6 + 파일:DSP_Super-Magnetic_Ring.png x 1 + 파일:DSP_Crystal_Silicon.png x 6 + 3.33초 =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파일:DSP_Assembling_Machine_Mk.III.png 조립기 Mk III 기준)
양자 프린팅 기술
(Quantum Printing Technology)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 150초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1 (필드에 설치 시)


파일:DSP_Accumulator.png x 1 + 2초 = 파일:DSP_Full_Accumulator.png x 1 (파일:DSP_Energy_Exchanger.png 에너지 교환기)
행성 간 송전
(Interstellar Power Transmission)

축전지는 에너지를 임시로 저장한 뒤 필요할 때 방출하는 시설이다. 전력망 안에 있어야 하며 평소에는 잉여 전력을 최대 900 kW의 속도로 저장하고, 모든 발전 시설의 공급보다 수요 전력량이 더 높을 경우 최대 900 kW의 속도로 방출한다. 축전지 하나는 최대 270 MJ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축전지를 저장하기 위해 300초 (5분)이 소요된다.
전력의 개념이 있는 다양한 게임에 존재하는 축전지나 전력 저장고같이 작동하는 전력 저장 시설로, 배치한 뒤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전력을 방출하는 시설이지만 다이슨 스피어 프로그램에는 추가로 에너지 교환기라는 축전지 충전 및 방출 시설이 존재한다. 충전 모드의 에너지 교환기에 빈 축전지를 넣으면 270 MJ의 에너지가 빈 축전지에 즉시 충전한 뒤 출력 컨베이어 벨트로 나온다. 방출 모드의 에너지 교환기에 충전된 축전지를 넣으면 에너지 교환기에 270 MJ의 에너지가 충전되고, 축전지는 빈 축전지가 되어 출력 컨베이어 벨트로 나온다. 이렇게 에너지 교환기를 이용해 에너지를 교환할 수 있으며 화물 정거장에 넣고 화물선을 통해 여러 행성간을 오가며 에너지를 교환할 수가 있다. 그리고 충전된 축전지는 목성형 행성에서 자원을 채취하기 위한 궤도 수집기의 재료로 사용된다.
아이템인 빈 축전지와 충전된 축전지의 차이는 정확히 에너지가 충전되지 않았느냐와 270 MJ만큼 정확히 충전되었느냐로 구분된다. 표면에 배치해서 충전 중일 때 회수하면 그것은 270 MJ이 충전된 축전지가 아니므로 빈 축전지로 회수된다.
충전된 축전지는 메카 이카루스의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된 축전지를 사용 시 빈 축전지로 돌아오지 않고 그대로 소비되므로 진짜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1] 그래핀의 연료 에너지가 96.0kJ에 불과해 화력 발전기에 투입하면 거의 보이지도 않는 속도로 삭제된다.[2] 적도의 그리드가 1000칸이고 태양 전지 패널의 크기가 3x3칸이므로 적도에 총 333개를 설치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6:46:17에 나무위키 Dyson Sphere Program/건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