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T

덤프버전 :

1. 살충제
1.1. 등장
1.2. 몰락
1.3. 위험성
1.4. 기타
2. 러시아의 락밴드 ДДТ
3. 프로레슬링 기술 DDT
4. 일본의 단체 DDT 프로레슬링


1. 살충제[편집]


다이클로로다이페닐트라이클로로에테인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파일:external/blog.joins.com/3.jpg
6.25 전쟁 당시 어린이들에게 DDT를 뿌려주고 있는 사진.

가장 유명한 살충제 중 하나로, 코르틴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부신의 일부분, 즉 부신피질이라는 외층 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특별한 생리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변종으로는 DDD, DDE 등이 있다.


1.1. 등장[편집]


처음에는 1874년 오스트리아의 오트마 자이들러 박사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 이후 1939년 스위스의 파울 헤르만 뮐러가 살충제로서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는 살충제의 원료였던 제충국의 대체재로 사용되었다. 파울 헤르만 뮐러는 이 공로로 1948년 노벨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DDT에 살충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질 당시에는 그야말로 획기적인 살충제였다. 본연의 역할인 살충 효과도 확실했으며, 지속성까지 매우 좋아서 한번 뿌리면 오랫동안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뛰어난 지속성은 나중에 유해성이 알려진 뒤에는 오히려 큰 문제점이 되었다. 마치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처럼 말이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최대 제충국 생산지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를 점령하여 미국이 제충국을 구할 방법이 없어지자, 티푸스말라리아, 뎅기열 같은 곤충 매개 질병으로부터 병사들을 지키기 위해 대량 생산해서 사용했다. 그 결과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되어 각지의 전염병 발생률을 크게 낮추는 등 인류사에서 크게 공헌하였다.

대한민국도 마찬가지여서 6.25 전쟁 때는 DDT를 이용해 빈대의 개체수를 크게 줄여 수많은 사람들을 살렸다. 이후 기적의 약이라 칭송받으며 세계 각지에서 드넓은 벌판에 비처럼 쏟아부어지는 전성기를 맞이했었다. 심지어 취기를 돋운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에 타서 먹는 미키 슬림이란 칵테일도 있었다는 말이 있으나 이는 정확한 정보가 아니다.

또한 '값싸고 오래가는' 살충제로 개발도상국에서도 각광을 받고 있었으며, 당시 세계적으로 이뤄지던 말라리아 퇴치 활동은 DDT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당시 개발도상국에서는 아예 가정집 벽면 전체에 DDT를 칠해버려서 모기가 집에 접근도 하지 못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극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었다.[1] 이는 DDT가 매우 경제적인 약품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가령 인도의 경우 정부수립 후 인도국민회의 정권은 DDT 살포에 지대한 노력을 들여 말라리아 발생 보고가 1951년 7천 5백만 건에서 1961년 5만 건까지 내려가면서 말라리아 박멸을 코 앞에 두고 있었다.


1.2. 몰락[편집]


그러나 DDT가 살충제로써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암탉의 산란율이 감소하는 등 가축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 동물실험 결과 DDT를 주입한 개는 에디슨 병(Addison's disease)에 걸린 사람과 매우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 이런 사례들이 보고된 후, DDT의 생물독성에 관한 논문이 수도 없이 쏟아져 나오게 된다.

1945년에 나온 한 논문( Case, R. A. M. (1945). Toxic effects of DDT in man. British medical journal, 2(4432), 842.)은 DDT가 인간에게 확실히 유해하다는 결과를 내었는데, 우연히도 같은 해 미국의 해양생물학자인 레이철 카슨리더스 다이제스트에 DDT의 유해성을 소개했다.

그러나 저렇게 위험성이 폭로되었음에도 요즘처럼 정보가 빠르게 퍼지는 시대도 아니고 장점이 워낙 강력해서 계속 쓰였지만, 1962년 레이철 카슨이 쓴 침묵의 봄이 대박을 치면서 대중에게 DDT의 위험성을 제대로 각인하였다. 침묵의 봄은 DDT가 발암물질이며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DDT에 대한 세간의 인식은 몹쓸 화학물질로 추락했으며 1970년대를 전후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금지 약품으로 규정되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량이 대폭 줄어들었다.

헌데 DDT가 국제적인 지탄을 받아 사라졌지만, DDT를 대체할 살충제는 전혀 없는 상황이었다. 유사한 효과를 내는 대표적인 살충제인 말라티온(Malathion)은 DDT에 비해 5배나 비싼데 지속성은 더 떨어졌으므로 가정집 하나하나마다 벽에 칠해버리는 등의 광범위한 사용이 어려워졌고, 그 결과 중남미와 아시아,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다시 말라리아가 창궐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이 DDT를 금지약품으로 지정한 1972년 이후, 불과 4년 만에 말라리아 발생 보고는 전 세계적으로 231% 증가했다.

위에서 예시로 들은 인도에서는 1963년 미국의 DDT 대외원조가 중단되는 등 DDT의 공급이 부족해지자 이에 화답하듯 말라리아가 급속도로 재확산하여 1971년 발생 보고수가 130만 건에 달했다. 10년 만에 발생 건수가 25배가 넘게 증가한 것이다. 다만 여기에는 DDT 사용이 중단된 것 말고도 다른 이유도 있는데, 오랫동안 농업용과 방역용으로 DDT가 사용된 끝에 DDT 내성을 가진 모기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1974년 보고에서는 인도 전역의 289개 방역조 중에서 105개 방역조에서 내성 모기가 발견되고 있었다.


1.3. 위험성[편집]


파일:GHS 보건재해 표지.svg

[ 펼치기 · 접기 ]
1군: 확실한 발암 물질 120개
X선 · 감마선 · 가공육 · 가죽 먼지 · 간흡충 · 설퍼 머스터드 · 고엽제 · 광둥성식 염장 생선 · 그을음 · 니켈화합물 · 흡연간접흡연 · 비소 및 유기 비소 화합물 · 디젤 엔진배기 가스 · 라듐 · 톱밥(목재 먼지) · 미세먼지 및 기타 대기오염 · B, C형 간염 · 방사성 핵종 · 베릴륨 · 벤젠 · 벤조피렌 · 빈랑 · 사염화탄소 · 산화에틸렌(에틸렌 옥사이드) · 석면 · 석탄 · 셰일 오일 · 스모그(화학성 안개) · 방사성 스트론튬 · 방사성 요오드 · 아플라톡신 · 알루미늄 공정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에탄올() · 역청 · 위나선균 · 규소 먼지 · · 인유두종 바이러스[1] · 자외선과 자외선 태닝 기계 · 제철 공정 · 카드뮴 · 크로뮴 · 토륨 · 포름알데하이드 · 염화비닐, 염화 폐비닐 · 플루토늄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토젠 경구 피임약 · 에이즈
2A군: 발암 가능성 있는 물질 75개
DDT · 교대근무 · 야간 근로 · 화합물 · 뜨거운 음료(65°C 이상) · 말라리아 · 미용 업무 · 바이오매스 연료 · 적색육[2] · 튀김 및 튀김 조리 업무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 우레탄 · 인유두종 바이러스 · 질산염 및 아질산염 · 아크릴아마이드
2B군: 발암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물질 313개
4-메틸이미다졸 · 가솔린 엔진배기 가스 · 경유 · 고사리[3] · 나프탈렌 · · 니켈 · 도로 포장 중의 역청 노출 ·드라이클리닝 · 목공 업무 · 아세트알데하이드 · 아스파탐#발암물질 · 알로에 베라 잎 추출물 · 이산화 타이타늄 · 인쇄 업무 · 자기장 · 초저주파 자기장 · 클로로포름 · 페놀프탈레인 · 피클 및 아시아의 절임 채소류 · 휘발유
3군: 발암여부가 정해지지 않은 물질 499개
4군: 암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1개[4]
[1] 암의 종류에 따라 1군/2A군으로 나뉜다.
[2] GMO, 항생제 등 고기 잔류 물질이 문제가 아니다. IARC에서는 확실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고기의 성분 자체가 조리되면서 발암 물질을 필연적으로 함유하기 때문이라고 논평하였다. 청정우 같은 프리미엄육을 사 먹어도 발암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전세계의 육류업자들이 고기를 발암물질로 만들 셈이냐며 정식으로 항의하기도 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3] 단, 올바른 조리 과정을 거치면 먹어도 문제는 없다. 문서 참조.
[4] 카프로락탐. 2019년 1월 18일 IARC 서문 개정에 따라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삭제되었다.#






DDT는 지속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 POP)로, 토양이나 퇴적물에 매우 쉽게 흡착된다. 분해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매우 오랫동안 자연계에 잔류하는데, 반감기가 최소 22일, 최대로는 30년에 달한다. 또한 미 국립 살충제 정보센터에 따르면 수중 환경에서는 반감기가 무려 150년에 달한다고 한다.[2]

또한 반감기가 몇번 지난다고 바로 안전해지는것도 아니다. DDT의 1차 분해 산물인 DDE, 생물 대사 산물인 DDD도 DDT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한번 분해된다고 독성이 사라지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심지어 DDE는 DDT보다 새의 알 껍데기를 얇게 만드는 효과가 더 강력하다.[3]

DDT는 지방과 몹시 잘 결합한다. 이 특성 덕분에 몹시 효과적인 살충 능력을 발휘하지만, 문제는 곤충 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 체내에도 널리고 널린게 지방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어류, 조류(bird), 수생 조류(algae) 등 온갖 생물에 축적되어 먹이 사슬을 타고 맹금류와 인간 등 각종 최상위 포식자에게 전달된다.

이렇게 축적된 DDT의 가장 대표적이고 대중적인 해악은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에서 언급된 '새의 알 껍데기를 얇게 만드는 것'이다. 특히 이 효과는 맹금류와 참새류에게 강력하게 나타나는데, 미국에서 대머리 독수리, 물수리, 송골매 등의 개체수를 급감시키고 일부 종을 멸종위기로까지 몰아넣은 원인이 DDT로 지목될 정도이다.[4]

인간에게는 발암물질이며[5],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or)로 작용한다. 체내에 DDT 농도가 높다면 남성 정액의 질 저하, 산모의 자연유산률 증가, 자폐아 출생률 증가, 갑상선 기능 저해 등의 해악을 끼친다.


1.4. 기타[편집]


단, 이렇게 유독하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살충제로서 효과적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경제력으로 열악한 제3세계 국가 등지에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 급하기 때문에 DDT는 단기간 내에 가장 싸면서도 강력하고 모기 구제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기적의 살충제로써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아이들이 홀린듯이 뛰어다니던 소독차에서 자주 쓰였다. 허나 DDT 성분의 살충제는 대한민국에서 1979년 이후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7년 살충제 계란 파동의 후속 조치인 전수조사 과정에서 DDT가 검출된 계란이 발견되었다. 비록 기준치 이하라고는 하나, 그 독성이 유명한 물질인 만큼 충격을 주었다. 이미 수십몇년 전에 사용이 금지된 게 어떻게 나왔나 싶겠지만, 예전에 사용했던 DDT가 남아있던 땅에 양계장이 들어섰고 닭을 풀어놓고 키웠다가 오염된 것. 즉 자연 분해에 지독하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쉽게 볼 일이 없지만, 행여나 우연히 어딘가에서 DDT 성분의 살충제를 굳이 사용해야 한다면, 인체에 매우 유해하기 때문에 모기장에 살포한다든지 주로 손이 잘 가지 않는 벽이나 천장에만 분무해 뿌린다든지 계사나 축사나 창고의 벽 화장실 등 사람과의 접촉이 적은 곳에서만 분별있게 사용해야 한다. 식품창고나 부엌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또 비로 씻겨나가거나 물이 있어 환경에 퍼질 위험이 있는 데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즉 유해하다고 무조건 금지라 아니라 DDT로 인한 위험 및 환경오염과 모기 등 전염병으로 인한 건강위험과 경제성의 균형을 잡아서 사용하는 것.

유해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량을 줄여서 쓰는 것은 항생제처럼 오히려 해충의 DDT(혹은 이외 살충제) 내성만 기를 수 있다. 스리랑카에서는 1946년 280만 건의 DDT 살포 보고가 있었고, 이후 1953년 9만 2천건, 1963년 17건으로 줄어들었고 그나마도 11건은 해외 유입이었으나, 1964년 DDT 사용을 제한하기 시작하자 5년도 지나지 않은 1968년 250만 건의 말라리아 발생이 보고되는 등 급격히 재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DDT 내성모기가 출현하는 바람에 결국 DDT에 비해 5배나 가격이 비쌌던 말라티온을 도입하게 된 안타까운 결과도 있었다.

보르네오 고양이 공수 작전은 DDT 때문에 생겨난 도시전설이다. 사소한 몇 개의 사건들을 짜집기해 매우 크게 부풀리고 왜곡하여 퍼진 찌라시라 실제 사건들과는 사실 무근이다.

무한도전 특집 중 하나인 '명수는 12살'에서 선생님이 이와 빈대가 너무 많다고 질책하며 명수의 새 옷에 뿌리는 하얀 가루역시 과거 DDT의 사용 방법을 연출한 것이다. 실제 DDT는 연무형, 로션형, 유화 농축액, 분말, 과립, 에어로졸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1940년대가 배경인 영화 시네마 천국에 아이들에게 DDT를 살포하는 장면이 나온다.


2. 러시아의 락밴드 ДДТ[편집]


러시아의 록 밴드. DDT(밴드) 참조.


3. 프로레슬링 기술 DDT[편집]


파일:/pds/200909/10/13/c0081013_4aa8b0537d4bc.gif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gif

1980년대 WWF(현 WWE) 소속의 프로레슬러였던 제이크 로버츠가 사용하던 피니쉬 기술로 상대방의 목을 옆구리에 낀 채로 뒤로 넘어져 머리와 목 부분에 충격을 주는 기술이다.

기술명의 뜻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했었는데, 가장 잘 알려진 Demian's Dinner Time은 DDT의 어원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 중 하나다. 제이크 로버츠가 경기중 대동하던 비단구렁이의 이름이 데미안이었다. 아울러 Don't Do That이라거나 1번 항목의 DDT에서 유래했다던가 여러 가지 루머가 있다. 결국 제이크 로버츠가 신문에서 1번 항목에 관한 기사를 보고 지었다고 말했다.

동시대 일본의 프로레슬러인 텐류 겐이치로는 Dangerous Driver Tenryu라는 이름(역시 약어는 DDT)으로 개발, 사용했다. 풀네임보단 약어인 DDT로 대부분 통용되며 1번의 화학물질의 파괴적 이미지와 아주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닌 듯 하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피니쉬 무브급 기술이었지만 기술이 워낙 쓰기 쉽고 나름대로 멋있었다. 접수자가 몸을 날려 물구나무를 서면서 기술을 받아주거나 앞으로 굴러서 넘어가면 시각적으로도 굉장히 위력적으로 보인다. 때문에 현재는 개나 소나 쓸 정도로 대중화된 기술.

일본 레슬러들의 디폴트 장착 기술이 브레인버스터라면, 미국 레슬러들의 디폴트 장착 기술이 바로 이 DDT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머리를 노리는 드라이버 기술이고, 상대를 굳이 들지 않고 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성 레슬러들이나 경량급 선수들에겐 아직도 피니쉬 무브로 통한다.

DDT의 위상 약화의 계기로 추정되는 경기는 1992년 WWF 레슬매니아 8 두 번째 경기인데, 언더테이커툼스톤 파일 드라이버를 피한 제이크 로버츠의 DDT를 맞고 싯업→제이크 로버츠의 셋업무브래리어트를 맞고 싯업, DDT를 또 맞고 싯업, 첫 DDT에서는 지친 로버츠가 일어나느라 핀을 못 했고, 다음 DDT는 폴 베어러가 시간을 벌어서 또 핀을 못 했다. 싯업에 걸린 시간을 생각하면, 한 번이라도 핀을 했더라면 이길 수도……? DDT를 세 번 맞고도 일어났다고 쓴 곳이 많은데, 세 번 쓰러지긴 했지만 DDT는 두 번 나왔다. 그리고 언더테이커가 경기 승리.

이때부터 제이크 로버츠의 위상이 점점 떨어지면서(사실 이 경기 뒤 제이크 로버츠는 WWF에서 나갔다) DDT 역시 필살기로의 이미지가 떨어지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다만 상기한 이야기는 2000~2010년도쯤에 통용되는 이야기로, 2010~2020년도에는 다시금 준피니쉬급의 위상은 되찾았으며, 최소 경기중 분위기를 바꿀때 기술로 사용된다, 특이하게도 정석적으로 들어가는 DDT는 위상을 살려줬고 오히려 변형식으로 들어가는 DDT들은 잡기술같은 분위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파일:external/i167.photobucket.com/thedesecrator-1.gif
북미의 여성 레슬러 미즈치프의 오리지널 피니쉬 Desecrator. 시저스 DDT로 구분된다.


탑로프에서 시전하는 다이빙 DDT.[6]


더 락의 float over DDT.

레이븐타미 드리머는 정통 DDT의 전수자로 알려져 있으며, 레이븐의 경우 레이븐 이펙트(이븐플로우 DDT)라는 이름의 DDT를 피니시로 사용한다.

정통 DDT 말고도 러닝 DDT, 수직낙하식 DDT, 토네이도 DDT, 설붕식 DDT, 리버스 DDT[7], 720도 DDT, 아사이 DDT, 임플런트 DDT(에지큐션), 더블 암 DDT, 새틀라이트 DDT 등 셀 수 없을 정도의 변형 파생기들이 존재하는, 프로레슬링 역사에 한 획을 그을 만한 기술이다. 전문가들 중엔 레슬링 역사를 DDT가 생기기 전과 DDT가 생긴 후로 나누는 사람도 있다. DDT의 바리에이션은 당 페이지 참조 바람

실생활 프로레슬링에서도 각광받는 인기 무브. 다만 요즘 방송에서 보여주는 기본기적인 위상이나 간편한 사용법과는 달리 아주 위험한 기술이다. 아무리 저각도 페이스버스터처럼 들어가도 맨바닥에 상대의 머리를 처박는 순간 상대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급하게 기술이 들어가는 경우가 아니면 이 기술의 시전 직전 피폭자의 등을 딱!하고 쳐 줘서 피폭자에게 대비할 시간을 주는 것이 암묵의 룰로 자리잡아 있다.

한국계 프로레슬러 제임스 윤(A.K.A 지미 왕 양)의 DDT 맞는 법

예전 Pride의 선수였던 야마모토 요시히사가 마크 커와의 경기도중 마크 커가 테이크 다운을 시도하다가 바닥에 머리를 부딪쳐서 실신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야마모토 요시히사가 이건 우연이 아니라 본인이 프로레슬러의 본능을 살려서 DDT를 건 것이다! 라는 소리개드립을 한 적이 있었다. 물론 이 이후로 깝치다가 미르코 크로캅에게 관광당했다. 프로레슬링계에선 빌 골드버그스피어가 워낙 깊고 무식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제대로 맞는 장면에도 거의 자해 DDT처럼 착각하는 걸로 유명하다.

버추어 파이터 시리즈에선 프로레슬러 캐릭터가 아닌 파이 첸이 '천지두락'(天地頭落)이란 이름의 커맨드 잡기로 DDT를 쓴다. 의외로 버파 1편부터 유래된 유서깊은 기술 중 하나.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 킹, 아머킹의 일반 태그 잡기[8]로 나온다.

WWE존 시나는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경기력과 접수 실력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에도 DDT 접수 하나는 다들 인정하는 편이었다. 수직으로 그대로 물구나무 서듯이 쓰러져서 호쾌한 느낌을 준다.

근육조선에서는 "면직락"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얼굴로 바닥에 박아버린다는 것이다.


4. 일본의 단체 DDT 프로레슬링[편집]


해당 문서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12:46:24에 나무위키 DD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DT나 살충제 내성 모기라도 DDT가 칠해진 집을 기피하기 때문에 효과가 있다.[2] 다만 소수성이기 때문에 물에 들어간 DDT 입자는 거의 대부분 수생 생물이나 부유 입자에 흡착되며, 물 자체에 용해된 DDT는 거의 남지 않는다.[3] Toxicological Profile: for DDT, DDE, and DDE Archived November 25, 2021, at the Wayback Machin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September 2002.[4] 알껍데기의 두께가 얇아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알을 품으려는 행위만으로도 알이 깨졌다.[5] 다만 확실한 발암물질이 아닌, '암을 일으킬 수도 있는' 물질이라는 의미의 2A군 발암물질에 속한다.[6] 시전자는 카네마루 요시노부로 딥 임팩트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7] 또는 인버티드 DDT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쓰러지지 않은채 목을 붙잡고 계속 허리에 압박을 주면 서브미션 기술인 드래곤 슬리퍼가 된다.[8] RP+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