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H. 로런스

덤프버전 :

D. H. 로렌스
D. H. Lawrence


파일:13FOOTSTEPS1-articleLarge.jpg

본명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David Herbert Lawrence
출생
1885년 9월 11일
영국 노팅엄셔 주 이스트우드
사망
1930년 3월 2일 (향년 44세)
프랑스 제3공화국 방스
국적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직업
소설가, 시인
활동
1907년 ~ 1930년
학력
노팅엄 대학교
배우자
프리다 위클리
종교
있음[1]

1. 개요
2. 생애
3. 작품 목록
3.1. 소설



1. 개요[편집]


"오늘날 세상에는 오직 하나의 계급만 존재하는 것이니, 그것은 바로 ‘돈에 사로집힌 돈돌이 계급’이었다. 돈돌이 사내와 돈돌이 계집. 차이가 있다면 오직, 돈이 얼마나 많이 있느냐와 돈을 얼마나 많이 바라느냐일 뿐이다."

소설 채털리 부인의 연인


영국작가이다.


2. 생애 [편집]


1885년 영국 이스트우드 출생. 광부인 아버지와 교사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2남 3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교사였던 어머니는 남편의 폭음과 성격차로 인해 불화가 심했고 그 보상심리를 아들인 로렌스에게 쏟아부었는데 이때의 기억은 작가의 소설 『아들과 연인』에 나타나 있다. 가난한 형편 속에서 어렵게 공부하여 교사가 되었다. 1912년 어머니를 여읜 뒤 대학 시절의 은사의 아내이자 6살 연상이었던 독일 여인 프리다 위클리를 만나 사랑에 빠져 1914년 결혼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배우자인 프리다가 독일 스파이가 아니냔 의혹을 받았다. 그 때문인지 종전 후 로렌스는 프리다와 함께 이탈리아, 뉴멕시코 등을 떠돌면서 작품 활동을 하였다.

자전적 소설로써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과도한 집착을 쓴 『아들과 연인』(1913)은 표현이 노골적이라는 이유로 상당 분량이 삭제된 채 출판되었다가 1992년 무삭제판이 출간되었다. 1915년에 발표한 『무지개』 역시 성(性) 묘사가 문제되어 곧 발매 금지를 당하였다. 만년에 피렌체에서 자비로 출간한 『채털리 부인의 연인』(1928) 은 외설적인 언어와 성적묘사로 논란이 되었고 미국에서는 1959년에, 영국에서는 1960년에야 비로소 무삭제판의 출판이 허용되었다.[2] 출판 자체도 어려워서 원고를 정리하고 타이핑해야 할 때도 타자수들이 작업을 거부해서 로렌스의 후배이자 친한 사이였던 올더스 헉슬리 부부가 대신 해주었다고.

1930년 결핵으로 프랑스의 방스에서 사망했다. 향년 44세. 그의 무덤은 부인 프리다와 함께 뉴멕시코 타오스의 카이오와 목장에 위치해 있다. 1935년 프리다가 로렌스의 유골을 뉴멕시코 지역으로 이장했다. 뉴멕시코인 이유는 로렌스가 떠돌이 생활을 하다가 머물면서 가장 좋아한 곳이 뉴멕시코였기 때문이다.


3. 작품 목록[편집]



3.1. 소설[편집]


The White Peacock (1911)
The Trespasser (1912)
Sons and Lovers (1913)
The Rainbow (1915)
Women in Love (1920)
The Lost Girl (1920)
Aaron's Rod (1922)
Kangaroo (1923)
The Boy in the Bush (1924)
The Plumed Serpent (1926)
Lady Chatterley's Lover (1928)
The Escaped Cock (1929), later re-published as The Man Who Died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9:02:59에 나무위키 D. H. 로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기독교 같은 특정 종교가 아닌 개인만의 견해가 있었다. / Luke Ferretter, "Book Cover The Glyph and the Gramophone D. H. Lawrence’s Religion" (2013 · Bloomsbury), bloomsburycollections.com[2] 그렇다고 해서 사람들이 무삭제판을 못 본 것은 아니고, 해적판으로 볼 사람은 다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