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K: Survival Evolved/생물종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ARK: Survival Evolved



1. 개요
2. 상세
3. 목록
3.1. 전체 생물 목록
3.2. 폐기된 생물들
4. 관련 시스템
4.1.1. 기본 능력치 (베이스 스탯)
4.2. 조련 한도
4.3. 식성
4.4.1. 알파 생물 (Alpha Creatures)
4.4.2. 테크 생물 (Tek Creatures)
4.4.3. 변종 (Aberrant Creatures)
4.4.4. 감염된 생물 (Corrupted Creatures)
4.4.5. X-생물 (X-Creatures)
4.4.6. R-생물 (R-Creatures)
4.4.7. 괴상한 생물 (Eerie Creatures)
4.4.8. 기타 아종
4.5. 생물 관련 조작법
4.5.1. 상 전투
4.5.2. 플레이어가 운반 가능한 생물
5. 생물 관련 패치
5.1. TLC (Tender Loving Care)
5.1.1. Pass 1
5.1.2. Pass 2
5.1.3. Pass 3
5.2. 기타 패치
5.2.1. 2020년 11월 7일
5.2.2. 2021년 10월 15일
6. 생물 공모전
6.1. 역대 공모전 순위권 생물들
6.2. 로스트 아일랜드 생물 공모전
6.3. 피오르두르 생물 공모전
6.3.1.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업데이트
6.4. 3차 공모전
6.5. 스코치드 어스 생물 공모전
6.6. 라그나로크 생물 공모전
6.7. 에버레이션 생물 공모전
6.8. 더 센터 생물 공모전
6.9. 익스팅션 생물 공모전
7. 생물 자체 무게 (Drag Weight)[1]



파일:아크 8주년 일러스트.png

8주년 기념 일러스트 (#)


1. 개요[편집]


게임 ARK: Survival Evolved의 등장 생물들을 정리한 문서.


2. 상세[편집]


인간 생존자의 스탯은 주변 생물들에 비하면 도도나 리스트로사우루스와 같은 소형 생물 수준으로 허약해 인간의 능력으로는 생존 및 진행이 어렵다. 생존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자신보다 더 높은 스탯과 고유한 특수능력들을 가진 생물들을 필수적으로 길들여 이를 이용하여 생존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생존자는 아무리 스탯을 올리고 각종 도구나 무기들을 사용하더라도 생물들이 발휘할 수 있는 효율보다 낮다. 물론 퍼센티지(%) 수치가 높은 도구들이라면 생각 외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으나 이미 이런 아이템들을 가진 상태라면 '생존과 발전을 하는' 단계에서 벗어난 상태이고, 결국 이런 상태까지 오기 위해서도 생물들이 필요하니 게임 진행에 있어서는 적어도 수 종의 생물들을 길들이는 것은 필수다.

설정상으로도 아크 내에 등장하는 생물들은 일부 종[2]을 제외하면 생존자의 기술 발전 및 지구 역사의 보존을 위해 설계된 생물들로, 약 500종의 생물들 중 게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조련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교배까지 할 수 있다.

그러나 보스류를 제외한 맵에 나오는 모든 생물들을 길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리드시크티스, 데스웜, 알파 생물들과 같은 생물들이나 메가네우라, 티타노미르마와 같은 작은 벌레류, 일부 동굴에서 스폰되는 최대 레벨 한도를 넘는 특수한 생물들은 종을 불문하고 조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밸런스적인 조치(리드시크티스)거나 이탈 방지의 법칙(데스웜), 생존자의 수준을 시험하는 용도(동굴 생물, 알파 생물, 던전 보스) 등 각 용도에 맞는 이유가 적용되어 있다.


파일:800px-Dossier_Rex(new).png


파일:그리핀 도감.png

고생물 기반의 렉스(Rex)
환상종 기반의 그리핀(Griffin)

맵을 막론하고 게임에서 나오는 생물들은 실존하는 고생물[3]이나, 현존하는 동물들[4]을 기반으로 각색된 생물들이 주를 이룬다. 다만 미래 기술로 재창조되었다는 배경 설정과 게임의 재미와 진행의 용이함을 위해 고생물학계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사실적인 재현을 하기보다는 쥬라기 공원 시리즈킹콩과 같은 매체에서 등장하는 크고 강력한 괴수같은 모습들에 가까운 형태들이 많다. 물론 이도 게임 내 밸런스와 세부 디자인적인 요소에 따라 갈리기에 파라사우롤로푸스와 같이 현실의 것보다 작고 힘없는 모습이 된 경우도 있고, 파라케라테리움이나 앤드류사르쿠스처럼 학계의 복원도들과 큰 차이가 없는 생물들도 있다.

한편, 스코치드 어스를 기점으로 현실에 살았던 동물들이 아닌 신화전설에 기반을 둔 환상종 생물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사실 아일랜드의 3종 보스와 유니콘, 예티, 아예 분류를 알 수 없는 아라네오 등 스코치드 어스 이전에도 환상종은 존재하였으나, 아예 규격 외의 보스거나 이스터에그 급의 희귀 생물, 아라네오의 경우 '선사시대' 하면 무조건 현대보다 크기가 클 것이라는 인식과 아크의 정확한 배경 설정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었기 때문에 대충 고대 거미이겠거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었다. 그러나 스코치드 어스에서 추가된 와이번이나 데스웜, 불새는 유명한 신화전설, 여러 판타지 장르를 거쳐 등장해온 몬스터들이기에 인지도가 높고 아예 맵 자체에서 메인으로 밀어주는 생물들이라는 것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후 라그나로크에서도 그리핀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적어도 실제 역사상에서 오래 존재했던 신화들을 기반으로 한 위의 환상종들과는 달리 에버레이션익스팅션부터는 아예 락 드레이크와 같은 아크 세계관 고유의 생물들이 하나둘 추가되기 시작하였으며, 제네시스 DLC에서는 아예 신규 추가 생물 전체가 세계관만의 생물들로 이루어져있다. 적어도 익스팅션까지는 흰올빼미북유럽 신화, 영화 에이리언, 고질라와 같은 현실의 동물이나 전설, 작품과 같은 요소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 적게나마 존재하지만 제네시스부터는 그런 것도 없는지라 이러한 변화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반면 무료 DLC맵 추가 생물들은 라그나로크를 제외하면 신규 추가 생물들은 대부분이 고생물들이나 현존하는 동물들을 기반으로 한 생물들이 주로 추가되었다. 또한 위의 아크 세계관 고유 생물들이 범람하는 것에 불호 여론이 강해지는 것을 의식한 결과인지는 모르나, 리마스터판인 ARK: Survival Ascended에서 스코치드 어스에 신규 고생물을 추가시키는 공모전을 여는 등 다시 출시 초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특정 이벤트 한정으로 스폰되는 특수 생물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대개 기존 생물을 재활용한 생물들이다. 할로윈이나 추수감사절 등 몇몇 이벤트마다 특수한 조건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조련된 상태로 소환되는 도도렉스 정도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조련이 불가능한 생물들이다.

모바일 버전의 아크는 PC 버전의 바닐라 생물 구성과 거의 같으나, 아일랜드 고유 보스 대신 던전이라는 구조물과 기존 생물을 변형한 보스들이 존재한다. 메가피테쿠스와 브루드마더는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명칭이 변경되어서 나오며 라그나로크의 생물인 그리핀을 변형한 로얄 그리핀이 존재한다.

3. 목록[편집]




  • 각 틀의 글씨를 클릭하면 해당 종류나 DLC 생물종 문서로 이동됩니다.
  • 생물들을 서술할 때 해당 템플릿을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


3.1. 전체 생물 목록[편집]



  • 익룡
    • 디몰포돈
    • 프테라노돈
    • 케찰
    • 시노마크롭스 - 로스트 아일랜드 추가
    • 타페자라
    • 트로페오그나투스 - 크리스탈 아일 추가
  • 기타 석형류
    • 카르보네미스
    • 이크티오사우루스
    • 카프로수쿠스
    • 리오플레우로돈
    • 메갈라니아
    • 모사사우루스
    • 플레시오사우루스
    • 사르코
    • 가시 드래곤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티타노보아
  • 양서류
    • 벨제부포
    • 디플로카울루스
  • 어류
    • 앵글러 피쉬
    • 실러캔스
    • 둔클레오스테우스
    • 전기뱀장어
    • 칠성장어 - 에버레이션 추가
    • 리드시크티스
    • 만타
    • 메갈로돈
    • 피라냐
    • 검치 연어
  • 단궁류
    • 디메트로돈
    • 리스트로사우루스
    • 모스콥스
    • 펄로비아
    • 포유류
      • 앤드류사르쿠스 - 피오르두르 예정
      • 바실로사우루스
      • 칼리코테리움
      • 다에오돈
      • 데스모두스 - 피오르두르 예정
      • 디노피테쿠스 - 로스트 아일랜드 추가
      • 다이어 베어
      • 다이어울프
      • 도에디쿠루스
      • 에쿠스
      • 기간토피테쿠스
      • 인간
        • 록웰 - 에버레이션 추가
          • 오염된 마스터 컨트롤러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록웰 프라임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하이에노돈
      • 캥거루 쥐
      • 매머드
      • 메갈로케로스
      • 메가테리움
      • 메소피테쿠스
      • 오니크
      • 수달
      • 파라케라테리움
      • 피오미아
      • 프로콥토돈
      • 롤 랫
      • 검치호
      • 틸라콜레오
      • 울리 라이노
  • 무척추동물
    • 아카티나
    • 암모나이트
    • 아라네오
    • 아트로플레우라
    • 크니다리아
    • 쇠똥구리
    • 바다 전갈
    • 거대 벌
      • 거대 일벌 - 크리스탈 아일 추가
    • 빛벌레 - 에버레이션 추가
    • 주전자 벌레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거머리
    • 매미 나방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사마귀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메가네우라
    • 펄모노스콜피어스
    • 티타노미르마
    • 삼엽충
    • 투소테우티스
  • 환상종
    • 아스트로시터스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아스트로델피스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바실리스크 - 에버레이션 추가
    • 블러드스토커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벌브 독 - 에버레이션 추가
    • 데스웜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아이스웜 수컷 - 라그나로크 추가
      • 아이스웜 퀸 - 라그나로크 추가
    • 페더라이트 - 에버레이션 추가
    • 펜리르 - 피오르두르 예정
    • 페록스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가챠 - 익스팅션 추가
    • 가스백 - 익스팅션 추가
    • 글로우테일 - 에버레이션 추가
    • 그리핀 - 라그나로크 추가
    • 곤충 떼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카르키노스 - 에버레이션 추가
    • 마크로파지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메윙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마그마사우루스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마나가르마 - 익스팅션 추가
    • 메가셸론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모렐라톱스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네임리스 - 에버레이션 추가
    • 노글린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파라킷 물고기 떼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불새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레비저 - 에버레이션 추가
    • 리퍼 - 에버레이션 추가
      • 리퍼 킹
        • 알파 표면 리퍼 킹
      • 리퍼 퀸
      • 엘레멘탈 리퍼 킹
      • 리퍼 프린스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락 드레이크 - 에버레이션 추가
    • 바위 정령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자갈 정령
      • 용암 정령 - 라그나로크 추가
      • 백악 골렘 - 발게로 추가
      • 얼음 골렘 - 발게로 추가
      • X-바위 정령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씨커 - 에버레이션 추가
    • 섀도우메인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섀도우메인
    • 샤이니혼 - 에버레이션 추가
    • 눈올빼미 - 익스팅션 추가
    • 서머너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거대 서머너
    • 벨로나사우루스 - 익스팅션 추가
    • 와이번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화염 와이번
        • 알파 화염 와이번
        • 브루트 화염 와이번
      • 번개 와이번
      • 맹독 와이번
      • 냉기 와이번 - 라그나로크 추가
      • 크리스탈 와이번 - 크리스탈 아일 추가
        • 트로피컬 크리스탈 와이번
        • 엠버 크리스탈 와이번
        •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
          • 알파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
        • 크리스탈 와이번 후계자
        • 크리스탈 와이번 퀸
      • 보이드웜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도도렉스
    • 도도 와이번
    • 브루드마더 라이스릭스
    • 메가피테쿠스
    • 드래곤
      • X-드래곤 - 더미 데이터
    • 만티코어 - 스코치드 어스 추가
    • 모더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뱀장어 미니언 -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 타이탄 - 익스팅션 추가
    • 포레스트 타이탄
    • 아이스 타이탄
    • 데저트 타이탄
      • 데저트 타이탄 무리
    • 킹 타이탄
  • 기계 생명체
    • 스카웃 - 익스팅션 추가
    • 디펜스 유닛
      • 디펜더 - 익스팅션 추가
    • 엔포서 - 익스팅션 추가
    • 어택 드론
    • 테크 스트라이더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 MEK - 익스팅션 추가
      • MegaMEK
      • 멕 나이트 -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3.2. 폐기된 생물들[편집]




2022년 10월 3일, 생물 디자인을 맡은 바 있는 Dave Melvin이 초기 생물 구상도들을 올린 바 있다. 컨셉아트 모음


카르키노스로 컨셉이 재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4. 관련 시스템[편집]



4.1. 생물 조련육아[편집]


대다수의 생물들은 마취약을 통해 기절시킨 후 혹은 평화적으로 먹이를 먹이는 방법으로 길들일 수 있으며, 이를 아크에서는 테이밍(조련)이라고 부른다.[5] 또한 이미 길들인 생물을 교배시켜서 얻은 새끼 공룡을 키우는 방식으로도 새롭게 길들인 생물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주로 브리딩(육아)라고 부른다. 테이밍 및 육아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고려해야 할 관련 사항들에 대한 정보는 본 문서 참고.

4.1.1. 기본 능력치 (베이스 스탯)[편집]


아크의 생물들의 강함 척도나 조련, 육아 등은 모두 생물의 기본 능력치를 바탕으로 판단되는 만큼 중요한 요소이다.

기본 능력치란 레벨 1의 기본으로 설정된 능력치를 말한다. 야생 개체의 레벨이 오를 수록 고정된 증가량으로 오르고 길들인 후에는 길들인 후의 능력치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증가한 수치는 해당 스탯의 배분량에 따라 다르다.

덕분에 고레벨의 생물체와 저레벨의 생물체의 스펙 차이가 꽤 심한 편이지만, 레벨의 차이가 별로 없다면 야생의 레벨에 대한 능력치 배분이 랜덤이기 때문에 오히려 낮은 레벨의 생물이 10~30 정도의 레벨차는 씹어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레벨 100의 티렉스의 체력이 7만이고 무게가 500일때 레벨 120의 티렉스의 체력이 5만에 무게 700. 전투효율이 극강인 티렉스의 기준에서는 체력이 7만인 레벨 100쪽이 훨씬 우월하다.

또한 야생에서는 이동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생에서 등장하는 육상 생물들의 레벨 중 일부 능력치가 이동속도로 투자되어 있어 능력치 총합이 저렙의 동생물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능력치 배분은 순전히 운이다.

길들인 이후의 생물은 능력치 계산법이 달라진다. 일단 기력, 산소, 배고픔 등을 제외한 체력, 공격력 등의 상승치가 크게 감소한다. 대신 길들인 직후의 능력치에 비례해서 증가하기 때문에[6], 생물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레벨이 높아 능력치들이 어느 수준을 넘어가면 길들인 후의 능력치 상승폭이 길들이기 전 보다 높아진다. 게임 내의 양극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소이기도 한 것이, 레벨이 높은 개체는 길들이는 난이도가 그만큼 올라가며 낮은 레벨의 부족보다는 높은 레벨의 부족이 길들이기 쉽다. 덕분에 높은 레벨의 개체를 독차지한 상위 부족들의 생물들이 아직 동급으로 올라오지 못한 부족들보다 터무니 없이 강력한 생물을 가지게 되는 것.

참고로, 큰 차이는 아니지만 조련이 끝난 직후 생물들의 스탯에는 보너스 능력치가 추가된다. 하지만 예외도 존재하는데, 기가노토사우루스바위정령이 대표적으로 무지막지한 기본 능력치을 의식해서 조련 직후 스탯에 보너스가 아니라 너프가 적용된다. 이와는 반대로 몇몇 생물은 한 스탯에 꽤나 큰 보너스 능력치가 주어지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앞서 언급한 미크로랍토르와 다이어울프, 프테라노돈이다. 다이어울프는 길들이면 +30%, 프테라노돈은 길들이면 이동속도가 +36.5%만큼 증가한다.[7]

생물별로 각종 보너스 스탯을 정확히 계산해서 최종 스탯을 산출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편인데, 계산법이 단순 덧셈 곱셈이 아니라 약간의 복잡한 수식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 나무위키의 생물종 문서에서 생물의 기본 능력치에 기입된 공격력과 이동속도 등의 스탯은 전부 100%일 때의 값을 기준으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4.2. 조련 한도[편집]


멀티플레이 환경의 경우 길들인 생물들을 무한정 길들여 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 부족과 서버 별로 보유할 수 있는 조련된 생물의 양이 정해져 있다. 대개 커뮤니티 내에서 조련 한도를 지칭할 때는 두 가지의 조련 한도 중 대개 부족별 조련 한도를 지칭한다.

공통적으로 조련 한도 초과 시 당연히 추가적인 생물 조련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알을 부화시키거나 새끼 등을 낳을 때 나와야 할 새끼들이 나오지 않는다.

각 생물은 마릿수를 1씩 차지하나, 브론토사우루스나 테크 스트라이더, 티타노사우루스 같이 플랫폼 안장을 가진 생물들은 생물 마릿수를 20씩 차지하게 되어 이들을 많이 늘이면 늘일 수록 조련 한도가 빠르게 찾아오게 되는 원인이 된다. 다행히 이 조련 한도의 측정 기준은 밖에 꺼내놓아진 생물들을 기준으로 하기에 쓰지 않는 플랫폼 생물들은 크라이오포드를 이용해 포딩 상태로 보관해 두는 것이 좋다.

서버 자체적인 한도의 경우 부족 단위로 걸린 한도보다는 월등히 높으나, 가끔 몇년동안 초기화를 하지 않고 리소스가 쌓이기만 한 공식 PvE 환경에서 한도에 걸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4.3. 식성[편집]


생물들은 생물별로 선호하는 먹이의 종류가 존재한다. 각 생물들의 식성은 도감에 여러 형태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조련 시 요구되는 먹이와 여물통 및 인벤토리에서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 구분일 뿐만 아니라 먹이 수급을 통한 조련 및 유지의 난이도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며, 특정 식성에 따른 저항력이나 추가 대미지 등이 존재해 무시할 수 없는 특징이다.[8] 그러나 도감에 표기된 식성 전부가 다 각자의 특징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데, 가령 생선살을 먹는 어식성(Piscivore) 생물의 경우 게임 내에서는 일반 육류를 섭취하는 육식성 생물과는 그렇게 다른 것은 없는 것이 그 예이며, 일부 생물들은 실제 식성과 전혀 다른 식성으로 표시된 경우도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르노타우루스 프레소르.png}}} ||
조련 시, 혹은 조련 후 여물통에서 육류(생고기류, 생선살류, 양고기)를 섭취하는 생물들이다.
대체로 흔히 생각하는 육식 동물의 이미지대로 초식동물에 비해 민첩하고 빠르며, 렉스기가노토, 알로사우루스 등의 아예 깡딜이나 출혈로 인한 대미지가 중시되는 생물이나, 미크로랍토르나 트로오돈처럼 상대를 괴롭히는 등 주로 '대상에게 공격하는' 것과 관련된 능력을 가진 생물이 대부분이다. 일부 생물을 제외하면 시체를 캐지 못하는 초식성 생물과는 달리 시체를 통해[9] 고기를 캘 수 있으며, 육류 채집의 효율이 좋다.
이들의 용도는 주로 보스전 레이드[10]나 먹이로 쓸 고기 채집, PvP나 OSD, 제네시스 미션 등에서의 주력 딜러로 활약하기도 한다.
육류를 먹여 조련할 수 있는데, 키블 급 효율을 내는 양고기와 양고기보단 못하지만 마찬가지로 효율이 좋은 고품질 생고기, 고품질 날 생선살 등이 존재하기에 강력한 성능에 비해 길들이기가 쉬운 편이다.
육류 뿐만 아니라 열매, 작물이나 벌꿀류도 섭취할 수 있는 생물들이다. 메가테리움이나 앤드류사쿠스, 디노피테쿠스 등이 있으며, 인간 역시 잡식성 분류에 속한다. 대체로 일부 소형생물들과 포유류들이 이 분류를 가지고 있다.
작물과 베리를 먹는 잡식이라고 해도 실질적으로는 육식성의 하위 분류에 더 가깝다. 길들일 땐 육식성 생물처럼 양고기[11]의 효율이 베리류나 작물류보다 높아 딱히 의미없으며, 초식성이 가진 저항력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 어식성(Piscivore)
어류의 살을 먹는 생물들이다. 바리오닉스나 카이루쿠, 이크티오르니스와 트로페오그나투스 등이 있다. 주로 조련할 때 선호하는 먹이로 생선살류나 물고기 시체(수달)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지만, 트로페오그나투스나 바실로사우루스와 같이 일반 육식성 생물들처럼 양고기류를 더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시체를 먹는 생물들이다. 아르젠타비스나 아트로플레우라, 독수리가 있다. 동물의 시체 그 자체가 육류이기에 실질적으로 식성보다는 설정상의 행동 방식을 분류해둔 것에 가깝다. 그나마 아트로플레우라나 독수리는 상한 고기를 먹긴 하지만 아르젠타비스는 다른 육식성 생물과 같이 일반 육류를 섭취하기에 애매한 구분 중 하나.
  • 흡혈성(Sanguinivore)
를 먹는 생물들이다. 블러드스토커와 데스모두스, 거머리류가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마르가사우루스 도감.png}}} ||
조련 시, 혹은 조련 후 여물통에서 베리류나 작물류(당근, 옥수수, 감자, 시트론), 혹은 이를 기반으로 한 음식을 섭취하는 생물들이다. 대체로 흔히 생각하는 초식 동물의 이미지대로 갈리미무스 같은 몇몇 생물을 제외하면 육식성 생물에 비해 둔하고 이동속도가 느리며, 머리 등 특정 부위에 대미지가 덜 들어가거나 하는 트리케라톱스, 스테고사우루스나, 맞은 대미지만큼 상대에게 돌려주는 켄트로사우루스, 특정 페로몬을 뿌려 어그로를 푸는 파키리노사우루스 등 공격보다는 주로 '상대에게서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적인 능력을 가진 생물이 많은 편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공격에 치중된 육식성 공룡에 비해서지, 돌진 공격과 높은 깡딜을 가지고 있는 트리케라톱스, 범위 내에 들어오면 적극적으로 어그로가 끌리는 테리지노사우루스 등 공격적으로 활용 가능한 생물은 많기에 딱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기나 가죽 등만 캐는 육식성과 달리 목재나 광물 등 다양한 자원을 채집하는 생물의 비율이 높다. 특히 자원 채집 생물들은 자원을 원활히 채집하기 위해 근접공격력을 올려놓는 경우가 많기에 의외로 높은 대미지을 가질 때가 많다.
공통적으로 33%의 화염 대미지 저항이 존재하며, 때문에 드래곤 보스전 등 화염 대미지를 많이 입을 상황에서는 육식 생물보다 더 많이 사용된다. 드래곤 보스전에 렉스 대신 테리지노사우루스가 사용되는 것이 그 예.
육식성에 비해 키블을 제외하면 그렇게 효율이 좋은 먹이가 없기 때문에 애매한 배율의 환경에서는 시간이나 효율 등이 난감한 편이다. 그나마 작물류가 베리류보다 낫긴 하나, 고품질 생고기나 양고기 급 효율을 내는 것도 아닌데다가 수급도 육류에 비하면 일반적으로 번거워 난감한 건 마찬가지다.

  • 기타 식성
    • 식분성(Coprophagics)
조련 시 대변을 섭취하는 생물이다. 게임 내에서는 쇠똥구리 한 종 뿐이다.
  • Bottom Feeders
해저 밑바닥에서 사는 생물이다. 게임 내에서는 암모나이트 한 종 뿐이며, 길들일 수 없는 생물이기에 해당 식성이 설정상 정확히 무엇을 먹는 것을 뜻하는지는 불명확하다.
  • Flame Eaters
조련 시 화염을 섭취하는 생물이다. 게임 내에서는 불새 한 종 뿐이다.
  • Sweet Tooths
조련 시 벌꿀을 섭취하는 생물이다. 게임 내에서는 리오플레우로돈 한 종 뿐이다.
  • Minerals
조련 시 돌이나 유황과 같은 광물을 섭취하는 생물이다. 게임 내에서 도감 내용을 기반으로 했을 때는 바위 정령 한 종 뿐이다.

4.4. 아종[편집]


아크 내에는 기본적으로 여러 종류의 생물들이 있지만, 그 중 맵 컨셉이나 그 환경에 따른 아종이나 최상위 포식자 위치에 있는 생물들 중 특별히 강한 변종 등 여러 종류의 아종이 존재한다. 각 아종마다 컨셉과 능력, 용도가 다양하다.

물론 일괄적으로 편의상 "아종(Subspecies)" 내지는 "베리에이션(Variation)"이나 아예 "변형(Variant)"[12] 이라고(주로 아종으로 서술) 쓰이나, 이는 단순히 편의상으로 부르는 것일 뿐 정말 해당 종들이 전부 생물학적으로 아종이라는 설정은 아니다.[13] 공식적으로는 이러한 변형을 Variant 쪽으로 서술하기는 하나, 커뮤니티 크런치 등 게임 외부에서나 지칭되지 인게임에서는 지칭하는 대사는 한 마디도 없기에 한국어로 번역을 어떻게 할 지 난감한 분류이기 때문인 것도 있다.

물론 아크가 생물학을 철저히 따르는 게임도 아니고, 근본적으로는 SF 판타지 배경의 게임이니 아종이든 변형이든 색놀이든 의미만 통한다면 편의상 아종으로 통칭해도 상관없는 셈이다. 위키 내에서는 단어가 짧으며 부르기 쉬운 아종 쪽으로 서술.

또한 꼭 아종 형식이 한 생물당 하나만 되는 것은 아니고, 테크 렉스의 알파종이나 모바일판 아크의 섬뜩한 알파종 같은 2가지 변형이 겹칠 수도 있다. 물론 아종 자체가 해당되는 생물이 한정적이다보니 해당되는 케이스는 얼마 되지 않는다.


4.4.1. 알파 생물 (Alpha Creatures)[편집]



파일:alpha rex.png

대표적인 알파 생물 중 하나인 알파 티렉스(Alpha T-Rex)
필드를 돌아다니다 보면 종종 일반 생물보다 덩치가 훨씬 크면서 몸에서는 붉은색 오라가 풍기는 생물들을 목격할 수 있는데, 이는 원종의 강화 생물인 알파 생물(Alpha Crearutes)[14]이다. 일종의 필드 정예몹이며, 원본 생물의 수 배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고 자체적으로 주위 야생 생물들에게 받는 대미지 감소와 공격력을 50% 상승시켜주는 '알파 버프' 가 걸려있다.

낮은 확률로 원본 생물을 대체하여 스폰되며, AI 역시 원본 생물들과 행동 양상은 유사하나 서로 다른 종류의 원본 생물들이 자기들끼리를 공격대상으로 삼아도 알파 생물들은 서로를 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15]. 또한 제네시스: 파트 1의 미션 한정으로 스폰되는 알파 트리케라톱스와 라그나로크의 던전 보스인 아이스웜 퀸을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객체 ID에 Mega(메가)가 붙어있다.[16]

팔레트상으로 원본 생물과 다르게 백색과 강렬한 적색 계통 색상, 흑색 계통 색상만 배정되어 있는 것은 물론, 자체적으로도 붉은색 이펙트를 두르고 있기 때문에 한밤중에는 원종보다 눈에 훨씬 잘 띄고, 낮에는 특유의 강렬한 색과 희미하게 일렁이는 이펙트로 구별된다.

모든 알파 생물은 플레이어를 선공하는 만큼 아직 발전이 되지 않은 부족이라면 집 주변에 등장할 때 매우 긴장해야 한다. 이 선공 기준은 원본 생물의 AI를 따르기 때문에 렉스나 와이번 등의 최상위 포식자급 생물에 탑승한 상태라면 알파 랩터나 카르노는 원본 생물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에게 먼저 덤벼들지 않는다.

기본 생물과 비교했을 때 체력이 일반 생물에 비해 약 15배가 높고, 근접공격력 역시 저레벨 알파 생물이 고레벨의 원본 생물의 근접공격력을 상회할 정도로 높아 초반에 막 길들인 중저레벨의 생물로는 상대가 되지 않거나, 물량과 안장을 통한 방어력의 우위(그것도 알파생물의 공격은 방어상수가 1(일반공룡은 4)라서 일반생물이 공격하는것 보다 안장올린 생물에 대한 데미지가 더 들어온다. 일반적 원시안장 기준으로 일반생물의 데미지는 50%감소해서 받지만 알파생물에게 맞으면 20%감소해서 받는다.)로 피해를 많이 받은 채로 겨우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동속도 역시 원본에 비해 훨씬 빠르기 때문에 어그로 거리는 짧지만 한번 끌리면 떼어내기도 쉽지 않다. 거기에 알파 생물들은 기본적으로 석재 구조물에 대미지를 줄 수 있고, 한번 어그로가 끌리면 대부분 부서질 때까지 때려 집 안으로 들어가 있는 방법도 그리 좋은 선택은 아니다.

다만 어디까지나 생물 자체의 큰 특징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아예 날아다니는 알파 화염 와이번이나 알파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이 아닌 이상 경사가 높은 지형의 영향을 받으며, 플레이어에게 다가오더라도 더 가까이 있는 생물에게 어그로가 끌리는 것은 물론, 시체를 캐지 못하기 때문에[17] 가시벽이나 시체로 유인해 그 가시벽/시체를 공격하게끔 한 뒤 플레이어는 멀리서 공격을 하는 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원종과 다르게 길들일 수 없다. 게임을 갓 입문한 초보자들이 간혹 저지르는 실수가 알파 생물들에게 조련을 시도하는 것으로, 이들은 단순히 길들일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아예 마비 수치가 차는 것에 면역이라 치트를 쓰지 않는 이상 조련할 수 없으며, 치트를 통해 길들인 암수 한쌍을 서로 교배시키더라도 색상만 알파종의 색상을 가진 원종이 나온다.

참고로 성별이 존재해 일반 생물들처럼 메이트부스트의 적용을 받기에 등장 확률이 낮다고 해도 같은 지역에서도 여러 개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한 곳에 알파 생물들이 둘 이상 나타난 것을 본다면 한마리가 등장한 것 이상으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알파 생물들이 많이 스폰되는 제네시스 파트 2의 경우 이런 일이 흔하다.

알파 생물을 격퇴할 시 원본 생물에 비해 엄청난 양의 경험치와 고품질 생고기(수중 생물의 경우 고품질 날 생선살)를 주며,[18] 몇몇 생물을 제외한 모든 알파 생물은 막타를 친 생물이나 플레이어의 인벤토리에 원본 생물과 다른 공물(Tribute)를 전리품으로 준다. 고유한 공물이 없는 알파 생물들은 대신 트로피나 스킨 등의 다른 보상을 준다.[19][20] 이 중 공물의 경우 각 맵의 보스전[21] 입장 재료인 것은 물론, 여타 공물과 마찬가지로 서버 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버리지 말고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또한 피오르두르 맵에 한해서 알파 생물 처치 시 고유 공물과 함께 룬스톤이라는 공물 역시 드랍된다. 피오르두르 문서 참고.

다른 보상으로는 공통적으로 쇠뇌나 가죽 장비와 같은 고등급의 초기 장비를 주며, 치비 아이템을 장착한 채로 죽였을 시 쌓인 경험치만큼 만렙인 105렙과 별개로 최대 5레벨의 레벨 상승을 할 수 있다.

게임 내에 등장하는 알파 생물은 다음과 같으며, 주로 맵 내에서 상징적이거나, 해당 생물군계 내에서 최상위 생물종의 역할을 하는 육식성 생물들이 알파 생물이 추가된다.
알파 생물 목록
명칭
원본 생물
특이사항
드랍 공물 / 트로피
알파 랩터
Alpha Raptor
랩터

파일:아크알파랩터손톱.png 알파 랩터의 발톱
알파 카르노
Alpha Carno
카르노타우루스

파일:Alpha_Carnotaurus_Arm.png 알파 카르노타우루스의 팔
알파 티렉스
Alpha T-Rex
렉스

파일:아크알파티라노공물.png 알파 티라노사우루스의 이빨
알파 메갈로돈
Alpha Megalodon
메갈로돈

파일:Alpha_Megalodon_Fin.png 알파 메갈로돈의 지느러미
알파 모사사우루스
Alpha Mosasaur
모사사우루스

파일:Alpha_Mosasaur_Tooth.png 알파 모사사우루스의 이빨
알파 투소테우티스
Alpha Tusoteuthis
투소테우티스

파일:Alpha_Tusoteuthis_Eye.png 알파 투소테우티스의 눈
알파 리드시크티스
Alpha Leedsichthys
리드시크티스

파일:Alpha_Leedsichthys_Blubber.png 알파 리드시크티스의 지방
알파 화염 와이번
Alpha Fire Wyvern
화염 와이번

파일:Alpha_Wyvern_Trophy_(Scorched_Earth).png 알파 와이번 트로피 [[ARK: Scorched Earth|

SE
]]
알파 데스웜
Alpha Deathworm
데스웜

파일:알파데스웜트로피.png 알파 데스웜 트로피 [[ARK: Scorched Earth|

SE
]]
아이스웜 퀸
Iceworm Queen
아이스웜 수컷
알파 데스웜[22]
라그나로크 얼어붙은 던전 보스
파일:알파데스웜트로피.png 알파 데스웜 트로피 [[ARK: Scorched Earth|

SE
]]
3개의 붉은 동굴 보급 및 유물방 입장 권한[23]
알파 바실리스크
Alpha Basilisk
바실리스크

파일:Alpha_Basilisk_Fang_(Aberration).png 알파 바실리스크의 송곳니 [[ARK: Aberration|

A
]]
알파 카르키노스
Alpha Karkinos
카르키노스

파일:Alpha_Karkinos_Claw_(Aberration).png 알파 카르키노스의 집게발 [[ARK: Aberration|

A
]]
알파 표면 리퍼 킹
Alpha Surface Reaper King
리퍼

파일:Alpha_Reaper_King_Barb_(Aberration).png 알파 리퍼킹의 비늘 [[ARK: Aberration|

A
]]
알파 X-트리케라톱스
Alpha X-Triceratops
X-트리케라톱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파일:Alpha_X-Triceratops_Skull_(Genesis_Part_1).png 알파 X-트리케라톱스의 두개골 [[ARK: Genesis: Part 1|

G1
]][24]
알파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
Alpha Blood Crystal Wyvern
크리스탈 와이번

파일:Alpha_Crystal_Talon_(Crystal_Isles).png 알파 크리스탈 발톱 [[ARK: Crystal Isles|

CI
]]
유사한 아종으로는 할로윈 이벤트 한정으로 나타나는 뼈 생물(Skeletal[25] / Bone[26] Creatures)이 존재하는데, 자체적으로 설정된 능력치가 알파 생물의 능력치 배수와 동일하며, 알파종이 존재하는 생물들에 한해 알파 대신 뼈 생물들이 대신 스폰된다. 물론 알파종을 가진 모든 생물들이 뼈 버전의 생물이 있는 것도 아니며, 뼈 생물들 중에서는 기가노토사우루스나 케찰, 브론토사우루스 등 알파종이 없는 생물들도 존재한다. 알파종이 없는 생물의 경우에도 낮은 확률로 원종을 대체하여 스폰되며, 이들의 스탯 강화 비율 역시 알파종과 같아 '이 생물에게 알파종이 존재했다면' 에 대한 느낌을 구체적으로 느껴볼 수 있다.

그 외 게임 내외적으로 알파 접두사가 붙은 생물이거나, 혹은 그와 유사하여 알파 생물로 오인되는 것은 각 맵의 알파 난이도 보스와, 기간토피테쿠스의 변종인 예티, 바위 정령의 알파종으로 여겨졌었던 라그나로크의 던전 보스인 용암 정령, 타이탄을 길들였을 때 붙는 접두사인 알파 타이탄이 있다. 이들은 모두 알파 접두사를 가지고 있거나, 알파 생물과 유사한 분위기를 풍기지만 알파 생물로 취급되지 않는다.

알파 난이도의 보스는 단순히 해당 보스전의 난이도를 표기하는 것이며, 알파 타이탄의 경우에도 단순히 길들이는 과정에서 누적된 피해량에 따라 붙여지는 접두사, 예티와 용암 정령은 원종에 비해 강력한 스펙과 알파 생물 특유의 이펙트가 일렁이고는 있으나 동굴이나 던전 상에서 등장하는 특수한 아종에 가까운데다 사실상 별개의 생물로 취급된다.

게임 내에서 대표적인 아종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익스팅션부터는 완전히 새로운 종의 알파종이 추가되지 않았다. 제네시스 파트 1에 X-트리케라톱스의 알파종이 있으나 미션 한정이라 무의미한데다, 트리케라톱스 역시 기존에 있던 생물이므로 새로운 종의 알파종이라고 보기엔 애매하다. 마찬가지로 크리스탈 와이번 역시 기존 와이번의 변형일 뿐이기에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4.4.2. 테크 생물 (Tek Creatures)[편집]



파일:ark-tek-parasaur[1].jpg

테크 파라사우롤로푸스
익스팅션 크로니클 이벤트부터 추가된 기계 공룡으로, 원본 생물을 테크 기술로 따라 만든 듯한 형태를 하고 있다. 게임 외적으로는 콘솔 및 일부 도전과제 한정 스킨이었던 '바이오닉 생물 스킨(Bionic Skin)' 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특정 도전과제 클리어 시 바이오닉 렉스 / 기가노토 스킨을 받을 수 있다. 테크 생물 자체는 바이오닉 스킨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대체로 '바이오닉(Bionic)' 이라는 명칭은 테크 생물보다는 해당 스킨만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제네시스 파트 1의 달 바이옴을 제외한 모든 맵에서는 원본이 되는 생물이 맵 상에 스폰될 때 5%의 확률로 원본 생물을 대체하여 나타난다. 일정 비율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스폰되기 때문에 기존에도 흔히 나타나는 파라사우롤로푸스나 스테고사우루스는 대체된 테크 생물들을 쉽게 볼 수 있지만, 케찰과 같은 희귀 생물들은 유독 많이 스폰되는 맵이 아닌 이상 보기가 매우 힘들다.

원본과는 달리 기계로 이루어진 것이 반영되어 죽일 경우 고철, 원소 가루, 전자 부품, 오일을 드롭한다. 네 자원 전부 중후반에 들어선 플레이어 기준으로는 버릴 것이 없는 자원이기 때문에 고배율 환경에서는 테크 생물 그 자체가 해당 자원들을 주기적으로 파밍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테크 생물들은 길들일 수 있으며, 길들이는 방법은 원본 생물과 동일하다. 기본 능력치는 원본이 되는 생물과 동일하지만 레벨 상한이 원본 생물보다 20% 높기 때문에, 150 야생 만렙 제한이 있는 서버의 경우 최대 180레벨로 스폰된 테크 공룡을 길들여 단번에 270레벨의 길들인 생물을 손에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 특이사항이라면 테크 공룡은 원본이 되는 일반 공룡과 교배할 수 없으며 테크 공룡은 테크 공룡끼리, 일반 공룡은 일반 공룡끼리만 교배 및 메이트부스트를 받을 수 있다.

현재 게임상에 존재하는 테크 공룡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위의 알파종 문단에도 나와있듯이 격노한 생물과, 미션 한정으로 스폰되는 오작동(Malfunctioned)이 붙은 테크 공룡은 길들일 수 없으니 이에 주의.
테크 생물 목록
명칭
원본 생물
특이사항
테크 파라사우롤로푸스
Tek Parasaur
파라사우롤로푸스

테크 스테고사우루스
Tek Stegosaurus
스테고사우루스

테크 트리케라톱스
Tek Triceratops
트리케라톱스
제네시스: 파트 1 달 생물군계 한정 스폰
격노한 오염된 트리케라톱스
Enraged Triceratops
트리케라톱스
OSD 노란색 / 빨간색 난이도 한정 스폰
조련 불가
오작동하는 테크 트리케라톱스
Malfunctioned Tek Triceratops
트리케라톱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테크 랩터
Tek Raptor
랩터

오작동하는 테크 랩터
Malfunctioned Tek Raptor
랩터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테크 렉스
Tek Rex
렉스

분노한 감염된 렉스
Enraged Corrupted Rex
렉스
OSD 보라색 난이도 한정 스폰
조련 불가
오작동하는 테크 렉스
Malfunctioned Tek Rex
렉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브루트 오작동하는 테크 렉스
Brute Malfunctioned Tek Rex
렉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테크 케찰
Tek Quetzal
케찰

오작동하는 테크 케찰
Malfunctioned Tek Quetzal
케찰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테크 기가노토사우루스
Tek Giganotosaurus
기가노토사우루스
더미 데이터
스폰되지 않음
오작동하는 테크 기가노토사우루스
Malfunctioned Tek Giganotosaurus
기가노토사우루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브루트 오작동하는 테크 기가노토사우루스
Brute Malfunctioned Tek Giganotosaurus
기가노토사우루스
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스폰
조련 불가
그 외 게임 내외적으로 테크 접두사가 붙은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테크 생물[27]로 취급되지 않는 생물로는 테크 스트라이더보이드웜(코드명 '테크 와이번')이 존재한다. 이 중 보이드웜의 경우에는 모델명도 테크 와이번이고, 심지어 알의 이름도 테크 와이번 알로 표시되나, 기존 와이번과 스폰장소가 전혀 달라 와이번을 대체하지 않으며, 브레스 고유의 기능도 달라 실질적으로는 별개의 생물로 취급된다.[28] 그 외에도 테크 안장을 씌운 생물들 역시 멀리서 보면 해당 종의 테크 생물로 오인할 수 있다.

바이오닉 스킨으로는 모사사우루스의 바이오닉 스킨이 존재한다. 테크 생물이 존재하는 여타 생물과 다르게 모사사우루스의 경우 유일하게 실제 테크 생물로 나오지 않아[29] 모드를 제외하면 PC버전 아크 내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4.4.3. 변종 (Aberrant Creature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Aberration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토리 DLC인 에버레이션과 에버레이션 컨셉을 따온 발게로 지하세계, 크리스탈 아일의 일부 지역에만 등장하는 종류로, 원종 대비 4%의 적은 체력과 6%의 더 높은 공격력을 가진다. 자세한 것은 해당 DLC 생물종 문서 참고.

원래 단어인 에버런트(Aberrant)의 의미로는 "이상한" 정도의 뜻을 가지고 있다.


4.4.4. 감염된 생물 (Corrupted Creature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Extinction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토리 DLC인 익스팅션에서만 나오는 감염된 생물들로, 원소에 감염되어 피부 일부가 원소에 침식된 징그러운 느낌을 주는 생물들이다. 조련이 불가능하며, 원소 때문에 선공을 한다. 설정이 설정이다보니 익스팅션 이외의 다른 아크를 배경으로 하는 맵에는 등장하지 않고, 이후 스토리에서도 나오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해당 DLC 생물종 문서 참고.


4.4.5. X-생물 (X-Creature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Genesis: Part 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토리 DLC인 제네시스 파트 1에서만 나오는 특수한 생물들로,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색채나 무늬 등이 바뀌어서 나온다. 원종에 비해 야생 상태에서는 250%의 데미지 증가율과 60%의 저항력을 가지며, 2.5배 더 빨리 경험치를 얻는 특수한 생물들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DLC 생물종 문서 참고.


4.4.6. R-생물 (R-Creature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Genesis: Part 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토리 DLC인 제네시스 파트 2에서만 나오는 특수한 생물들로,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색채나 무늬 등이 바뀌어서 나온다. 원종에 비해 조련 시 5%의 근접공격력 증가와 3%의 체력 감소가 존재한다. 자세한 것은 해당 DLC 생물종 문서 참고.


4.4.7. 괴상한 생물 (Eerie Creature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모바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모바일판 아크에서만 나오는 생물들로, 알파 생물처럼 일반적으로 조련이 불가능하나, 생물 임플란트를 통해서 부활시키는 방식으로 조련되는 특수한 생물이다. 원종과 다르게 몸 일부가 에버런트처럼 빛이 나며, 빛이 나는 부위의 색상은 원색 계통으로 되어있다.

또한 "괴상한" 접두사를 가졌음에도 알파와도 겹쳐지기에 괴상한 알파종이 존재한다.


4.4.8. 기타 아종[편집]


위의 아종들처럼 다수의 생물들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고 일부 생물에 한한 변종들. 아종들과 각 특징은 아래와 같다.

  • 폴라(Polar): '극권의-' 라는 의미. 디 아일랜드의 설원 동굴이나 익스팅션 설원 돔 동굴 등 설원 계열 지형에서 한정적으로 나오는 아종. 다이어 베어의 폴라 변형인 폴라 베어(Polar Bear)다이어 폴라 베어(Dire Polar Bear), 펄로비아의 폴라 변형인 폴라 펄로비아(Polar Purlovia)가 해당된다. 모드 태생인 다이어 폴라 베어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알파나 브루트종과 유사하게 동굴 한정 잡몹으로만 쓰이기에 조련이 되지 않는다. 폴라 베어의 경우에는 북극곰 자체의 인지도도 존재하고, 길들일 수 있는 형태로 다이어 폴라 베어가 존재해서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지만 폴라 펄로비아는 그런 것도 없어서 존재감이 없다.

  • 스피릿(Spirit): '영혼' 내지는 '정령' 이라는 이름 뜻처럼 반투명한 형상을 한 생물로, 라그나로크 사막 던전에 한해 나오는 생물들이다. 스피릿 생물 문단 참고.

  • 접두사가 붙지 않은 변종들: 에쿠스의 변형인 유니콘(Unicorn)과, 기간토피테쿠스의 변형인 예티(Yeti)가 존재한다. 유니콘은 뿔이 달리고 스폰 지역과 확률이 다른 것만 빼면 에쿠스와 차이가 없고, 예티는 동굴 한정으로만 나오는 흰색의 거대한 기간토피테쿠스다. 알파종으로 혼동되기도 했었다.

  • 크리스탈(Crystal): 크리스탈 아일 한정 아종. 수정이 있고 원색의 화려한 색감을 가졌으나, 크리스탈 와이번을 제외한 모든 아종들이 DLC화가 되면서 잘렸다. 실질적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것은 크리스탈 와이번 뿐이기에 '독립적인 아종 종류' 보다는 그냥 '크리스탈 와이번' 이라는 하나의 종으로 여겨진다.

4.5. 생물 관련 조작법[편집]


각 생물마다 세부적인 조작은 다르나, 대체로 아래의 조작법을 벗어나지는 않으며 변형이라고 하더라도 생물이 가진 특수능력에 따라서 아래의 키가 하나둘씩 없거나 배정되어있는 식일 뿐이다.

  • E: 생물과 근접한 상태에서 탑승 / 탑승한 상태에서 하차
  • 이동
    • W: 전진
    • S: 후진
    • A: (전진과 조합 시) 좌회전 / 수상 전투 시 좌회전
    • D: (전진과 조합 시) 우회전 / 수상 전투 시 우회전
    • 스페이스바: 도약(일부 생물) / 이륙 및 착륙(비행 생물 공통)
    • X: 공중 브레이크(타페자라를 제외한 모든 비행생물)
  • 특수 능력
    • 좌클릭: 일반 공격
    • 우클릭 / Ctrl / C: 특수 능력 발동. 각 생물이 가진 특수능력에 갯수에 따라 사용하는 키가 다르며, 많을 경우 세 개 전부 특수능력이 배정되어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 F 2회 / R: 생물 내려놓기. 어깨나 양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는 생물을 내려놓으며, 생물에 탑승한 상태일 경우 F키 2회에서 R키로 변경된다.

4.5.1. 상 전투[편집]


248 업데이트 기준으로 추가된 새로운 기능으로, 생물 탑승 시 도구 사용 여부로, 모든 생물이 가능한 건 아니고, 대부분 중소형의 생물을 기준으로만 가능하다.

수상 전투가 가능한 생물들은 탑승한 상태로 무기를 핫바에서 장착하는 것으로 가능하며, 즉시 1인칭 시점으로 바뀌고 컨트롤이 조금 바뀌어서, 마우스로 조준, A와 D를 사용해서 방향전환을 해야한다.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긴 할 수 있지만 크게 어려운 건 아니고, 무엇보다 덕분에 여러 다른 생물들을 길들이는 것이 매우 쉬워진다.[30]

기절 수치가 많이 차올라 도망치는 생물을 쫒아가면 사격하거나 타고 있는 생물, 특히 카르보네미스나 모렐라톱스처럼 초반에 구할 수 있는 체력이 높고 덩치가 큰 탱킹을 하면서 동시에 마취탄을 쏠 수도 있다. 단, 도망갈 때 쫓아가는게 사람에 따라 어렵다.

  • 생물별 구체적인 수상전투 가능 여부는 생물종 문서의 각 생물별 스탯표 및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장에 탑승하지 않더라도 플랫폼 안장 위나 등이 넓은 생물들의 위에 서있는 상태로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 트리케라톱스가 가장 좋은 예로, 움직임이 안정적이고 속도도 너무 빠르지 않아 부사수가 등 위에 서 있어도 최고 속력으로 돌아다닐 수 있다. 이 외에 렉스, 기가노토사우루스, 와이번 등 대부분의 대형 생물들도 가능하니 참고할 것. 물론 정석으로 탑승되어 고정된 것이 아니기에 바위나 나무 등에 걸려서 떨어지거나 자세가 낮은 생물일 경우 탑승했을 때와 달리 플레이어 본인이 공격받을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탑승 상태에서 도구를 들 경우 1인칭에 시야가 어느정도 고정된다는 특징 때문에 펫 아이템인 치비를 꼈다면 시야 방해가 상당하다. 특히 티타노 치비같이 치비 중에서도 커다란 부피를 차지하는 경우 사실상 앞을 볼 수 없으니 탑승 상태에서 뭔가를 쓸 일이 있다면 치비는 빼두는 것이 좋다.


4.5.2. 플레이어가 운반 가능한 생물[편집]


충분히 작은 일부 생물들[31]은 길들일 경우 어깨에 올리거나 양손에 들어서 옮길 수 있다. 어깨에 올릴 수 있는 생물들은 그 상태로 공격을 할 수 있다. 양손에 들 수 있는 생물은 컨트롤 키, 마우스 좌클릭으로 던질 수 있고, 옮길 수 있는 모든 생물은 F키를 2연타해서 던질 수 있다.[32]


5. 생물 관련 패치[편집]



5.1. TLC (Tender Loving Care)[편집]


상냥하게 보살핀다는 의미를 가진 일종의 생물 리메이크 패치이다. 줄여서 TLC라고 칭해진다. 생물 패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면서도 대규모의 패치이다.

주로 쓸모가 없다고 판단되거나 유저들이 사용을 하지 않는 등의 기능 추가가 필요한 생물들이 해당되며, 주로 특수능력 추가와 모델링 변경,[33] 능력치 수정 등이 있다. 현재까지 2018년에 두 번, 2020년에 한 번으로 총 3번의 TLC 패치가 있었다.

5.1.1. Pass 1[편집]


1차 TLC
공식 사이트
첫 번째 TLC 패치이며, 2018년 2월 10일에 이루어졌다.

  • 프로콥토돈
    • 점프 키를 눌러서 에임으로 점프 지점을 조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낙하 데미지가 감소한다.
    • 대형 동물들을 상대로도 넉백을 주는 발차기를 할 수 있다.
    • 소형 동물이나 유아기 생물들을 배주머니에 넣을 수 있다. 배주머니에 넣어진 유아기 생물들은 각인 효율이 증가한다.
    • 메이트 부스트를 받는 암컷의 배주머니 속 플레이어의 허기 수치 감소 속도가 줄어든다.

  • 기간토피테쿠스 (a.k.a 빅풋)
    • 공격에 아머 분해 기능이 추가되어 기간토피테쿠스와 전투 시 방어구의 내구도에 더 큰 피해를 입힌다.[34]
    • 짚라인을 타고 다닐 수 있다.(짚라인 사이로 점프는 불가능)
    • 점프를 할 수 있게 된다.
    • 플레이어가 옮길 수 있는 소형 생물들을 어깨에 올리고 던질 수 있게 된다.

  • 다이어 베어
    • 탑승 시 벌들의 공격으로부터 면역 상태가 된다.
    • 보조 공격으로 야생 벌집에서 벌들의 어그로를 끌지 않고 벌꿀을 3배로 채취할 수 있다.
    • 수영 속도가 증가한다.

  • 다이어울프
    • 무리의 우두머리는 하울링을 통해 90초간 무리 버프를 준다. 쿨 다운 또한 90초.
    • 체력이 절반 이하인 플레이어나 생물을 탐지하는 패시브 능력이 추가된다.
    • 냄새 맡기를 통해 근처의 탐험 노트나 부상당한 생물, 은신한 생물을 감지할 수 있다.

  • 렉스
    • 포효를 할 수 있다.
      • 포효를 통해 특정 사이즈 이하의 적대적 생물들에게는 똥을 지리는 동시에 약간의 스턴/슬로우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다만 같은 대상에게는 연속으로 통하지 않고 쿨타임이 존재한다.
      • 플레어어 또한 똥을 지리지만 스턴에 걸리지는 않는다.
      • 렉스 본인보다 높은 레벨의 생물은 효과를 받지 않는다.
    • 작은 바위나 가파른 경사면을 오르는 능력이 개선된다.

5.1.2. Pass 2[편집]


2차 TLC
공식 사이트
두 번째 TLC 패치이며, 2018년 3월 21일에 이루어졌다.

  • 아르젠타비스
    • 발톱뿐만 아니라 부리로도 소형 생물들을 옮길 수 있게 되어 한 번에 2마리의 생물을 옮길 수 있다.
    • 시체를 섭취할 시 체력 회복 효과를 받는다.
    • 안장을 이동식 대장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35]
    • 돌, 흑요석, 철[36], 크리스탈, 폴리머의 무게를 50%만 받는다.

  • 스피노
    • '수분 흡수' 버프를 받는다.
      • 물과 접촉하면 이동 속도, 체력 회복 속도, 공격력이 증가하고 회전 반경이 줄어든다.
      • 버프를 받으면 물에서 나와도 버프가 잠시 유지된다.
    • 이족 보행과 사족 보행을 병행한다.
      • 사족 보행 시에는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 이족 보행 시에는 물기보다 강한 앞발 후려치기를 하고 제자리 회전이 가능해진다.
    • 조련 시 고품질 날 생선살을 선호하게 된다.

  • 사르코
    • 가만히 있는 상태에선 입을 약간 벌리고 있는다.
    • 데스롤을 사용할 수 있다. 데스롤을 하는 동안 대상은 데미지를 받는 동시에 행동불능 상태가 된다.
    • 앞의 대상을 향해 달려들기 공격을 할 수 있다.
    • 사르코의 뒤쪽으로 즉시 회전해서 공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등 위에 서 있거나 돌아다닐 수 있다.[37]
    • 수영 시 플레이어가 내려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수면 바로 아래에 잠복이 가능해진다.
    • 피라냐가 사르코로부터 도망쳐 피라냐의 공격을 받지 않게 된다.

  • 랩터
    • 덮치기 공격이 추가된다.
      • 보조 공격으로 사용하며, 소형 생물들[38]을 땅바닥에 제압시킨 채 연속적으로 공격이 가능하다.
    • 무리 보너스를 받는다.
      • 최소 두 마리에서 최대 여섯 마리의 랩터까지 있을 때 우두머리가 C키를 통해 버프를 줄 수 있다.
      • 버프를 받는 동안 데미지 저항과 이동, 공격 속도가 증가한다.[39]
      • 15초간 유지된다.

  • 트리케라톱스
    • 돌진을 할 수 있다.
      • 우클릭으로 잠시 동안 충전하면 사용할 수 있다. 충전하는 시간이 길수록 더 빠르게 돌진한다.
      • 돌진에 맞은 생물은 잠시 동안 무력화 상태가 된다.
      • 소형 생물들은 돌진에 맞으면 밀려난다.
    • '경쟁자 버프'를 받을 수 있다.
      • 적대적인 대형 육식동물이 근처에 있으면 버프를 받는다.
      • 버프를 받으면 받는 데미지가 약간 감소하고 공격력이 약간 증가하며 체력이 10% 늘어난다.

  • 파라사우롤로푸스
    • 터렛 모드로 설정하거나 탑승한 상태에서 적대적 생물 등을 탐지해낼 수 있다.
    • C키로 울음소리를 내 랩터 정도까지의 소형 생물들을 쫒아낼 수 있다. 쿨타임이 존재하고 터렛 모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5.1.3. Pass 3[편집]


3차 TLC
공식 사이트
세 번째 TLC 패치이며, 2020년 11월 7일 10시부터 적용되었다.

  • 매머드
    • 안장이 2인승에 전투북이 장착된 안장으로 바뀌었다. 이 전투북을 연주하면 기력 회복 속도를 높이며 공포 디버프에 면역이 된다.
    • 공격 방식이 변경되었다. 상아로 휩쓰는 공격은 짚을 채집할 수 있으며, 발로 내려찍는 공격은 넉백을 가하고 목재를 채집할 수 있다.
    • 일정 범위 안의 적들에게 공격력 감소 디버프를 주는 포효를 한다.
    • 코를 이용해 작은 생물을 운반하거나 집어던질 수 있게 된다.

  • 스테고사우루스
    • 등에 있는 골판을 이용한 능력 모드들이 추가되며, 해당 모드에 따라서 골판의 문양들이 바뀌어 시각적으로 표현이 된다.
      • 단단한 골판은 골판이 주황색을 띄며 받는 피해량이 감소하는 버프를 받는다. 이 상태에선 기수가 적에게 탑승이 해제되는 것을 막아[40]주며 목재를 채집하는 비율이 크다.
      • 묵직한 골판은 골판이 파란색을 띄며 공격이 적중한 적에게는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슬로우 효과를 부여한다. 이 상태에서는 짚을 채집하는 비율이 크다.
      • 날카로운 골판은 골판이 노란색을 띄며 공격을 할 때 방어 무시 효과를 가진다. 이 상태에서는 베리를 채집하는 비율이 크다.
    • 우클릭으로 플레이어나 작은 생물들을 조준점에 맞추면 꼬리에 있는 가시로 찔러 고정시킨다.

여담으로 3차 TLC와 같이 업데이트 된 생물 변경점(벌레류 브리딩, 와이번 능력치 변경) 역시 TLC로 오해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해당 업데이트는 단순히 생물 개선 업데이트이며 TLC에 포함되지 않는다.

5.2. 기타 패치[편집]



5.2.1. 2020년 11월 7일[편집]


아라네오, 펄모노스콜피어스, 매미 나방, 사마귀와 같은 절지동물과, 벌레들과 엮여서 잡몹으로 등장하는 오니크, 잡몹 수준은 아니지만 밸런스상 문제로 교배가 불가능했던 와이번의 교배가 가능해진 패치이다. 주로 위의 3차 TLC랑 많이 엮이며 영상에서도 짤막하게 나오나, 실질적으로 포함은 되지 않는 패치다.

절지류의 경우 제네시스 파트 1의 블러드스토커와 같은 형식의 알을 낳는다. 때문에 모드 같은 게 없는 이상 알이 땅에 붙어 쉽게 회수가 되지 않으며, 무정란이 존재했던 사마귀와 매미 나방의 경우 무정란이 해당 알들로 대체되었다.

와이번은 교배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체력과 기력, 음식 수치가 크리스탈 와이번 수준으로 조정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예상했던 근접공격력 및 브레스 공격력은 조정되지 않았으나, 기력 수치가 버프되었기에 실질적으로 더 오래 브레스를 쏠 수 있게 된 셈이다. 다만 음식 수치의 경우 배율이 낮은 서버 내에서 와이번 젖이 없다면 음식 수치가 낮아 빨리 죽을 확률이 더 커졌다.


5.2.2. 2021년 10월 15일[편집]


공식 사이트
PvP 중심의 밸런스 조정 및 2종의 생물이 교배가 가능해진다고 한다.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QoL(Quality of Life) 패치
    • 공업용 분쇄기 인벤토리 칸 확장
60칸에서 120칸으로 증가되었다.
  • 안킬로사우루스 자동 수확 추가
도에디쿠루스와 똑같이 자동 채광이 가능해졌다.
100%가 증가되었다.
  • 테크 감시 콘솔의 중첩량 조정
100개 중첩에서 5개로 조정되었다.
  • 채광용 드릴 수중 작동 가능
채광용 드릴이 이제 물 안에 있는 대상에게 범위가 닿는다면 캐진다.
  • 테크 건틀릿 HUD 추가
  • 테크 복제실 인식 범위 증가
3배 증가.
  • 교배 가능 생물 추가 (락 드레이크, 아카티나)
    • 락 드레이크와 아카티나의 교배가 가능해졌다. 락 드레이크의 경우 유저들이 많이 예상하던 생물이었으나 아카티나의 경우는 의외라는 평. 따라서 이전까지 벽타기 정도를 제외하면 애매했던 성능이 교배를 통해 상승할 수 있을 여지가 생긴 것은 물론, 아카티나의 교배 가능으로 기존에도 얻기 어렵지 않았던 시멘트풀의 수급 난이도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 밸런스 패치
    • 생물
      • 블러드스토커
        • 관통 대미지가 85%에서 65%로 하향되었다.
        • 한번 잡힌 플레이어는 20초간 웹에 걸리는 것에 면역을 가지게 된다.
        • 웹에 걸린 대상은 더 이상 근접무기를 못 들게 되지 않는다.
      • 와이번류
        • 레벨당 체력 증가량이 20% 줄어들었다.
        • 번개 와이번 브레스의 방어도 관통력이 20% 줄어들었다.[41]
        • 화염 와이번 브레스 공격력이 30% 상향되었다.
        • 기수가 탑승하지 않은 보이드웜은 스스로 브레스를 쏘지 않게 되었다.
        • 와이번의 자체 무게가 크리스탈 와이번과 동일한 수준으로 조정되었다. (555 → 416)
또한 그물 탄환의 구속 기준에 들어가기에 이제 일반 와이번을 그물에 묶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판정 자체가 크리스탈 와이번으로 바뀌었는지, 원래 와이번은 유티라누스의 공포 포효를 듣지 않았지만, 패치 이후 유티라누스의 공포 포효 면역이 사라졌다. [42]
이로 인해, PvP 메타는 물론, 기존에는 얻기 까다로웠던 와이번 젖의 수급 난이도가 어느정도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43]
  • 노글린
    • 식물 X종이 노글린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 플레이어에게 붙어있을 시 X종으로부터 얻는 피해가 감소된다.
  • 매머드
    • 매머드에게 버프를 받을 시 탑승 해제되는 현상이 수정되어 더 이상 해제되지 않는다.
    • 안장 뒤쪽에 있는 고수(War drummer)는 북을 치는 동안 40%의 대미지를 감소해서 받는다.
  • 섀도우메인
사실상 이번 패치의 메인이다시피 할 정도로 변경 요소가 많다. 또한 이전까지 섀도우메인의 절륜한 성능 때문에 올라운더로 많이 기용했던 탓인지 다른 개선 패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섀도우메인 너프 패치로 인해서 국내 커뮤니티 내에서 해당 패치에 대한 의견은 별로 좋지 않아던 편이다. 다만 출시 직후에 너무 사기적인 능력을 가져서 그렇지, 2022년 기준으로도 잘 사용되고 있다.
  • 스턴 공격의 수평 범위가 20% 감소했다.
  • 슈퍼 점프의 거리가 20% 증가했다.
  • 연쇄 스턴을 걸 수 있는 최대 생물의 수가 15마리에서 7마리로 감소했다.
  • 연쇄 스턴의 쿨타임이 4.5초에서 15초로 증가했으며, 스턴 대상이 추가될 때마다 추가 쿨타임이 1초에서 2초로 증가했다.
    • 스턴당한 플레이어의 면역 버프시간이 30초에서 50초로 증가했다.
  • 기본 아머의 방어력이 최대 124에서 80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레벨당 증가되는 자체 방어력[44]35% 감소했다.
  • 도구
  • 그물 탄환
  • 그물 탄환 사용 시 작살총의 내구도 감소율이 250% 증가되었다.
  • 단일 탄약의 무게가 0.2에서 2.0으로 증가되었다.
  • 광역 스턴 면역 버프(Global Stun Immunity Buff)
  • 기타 밸런스 조정
  • 엑소-맥을 이용한 터렛 탄약 채우기가 불가능해졌다.
  • 밤 상태의 메갈로사우루스의 대미지가 25% 증가했다.[45]
  • 테크 터렛의 내구도가 100% 증가했다.

그 밖에도 MEK 포딩 시 모듈 내구도 감소 등 자잘한 버그들이 수정되었으며, 무엇보다 제네시스 파트 2가 한글화가 되었다.


6. 생물 공모전[편집]


유저들에게서 의견을 받아 가장 많은 수의 표를 얻은 생물이 추가되는 공모전이다. 처음에 추가될 생물의 의견들을 받는 1차 투표와, 모인 의견들 중 10순위 내의 생물들을 모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최종 투표로 이루어진다.

사전 투표 - 최종 투표 순으로 총 두 차례에 걸쳐서 공모전이 진행되기에 1차 투표에서 많은 표를 받았다 해서 2차 투표에서도 최종으로 걸릴 보장은 없으며, 오히려 사전 투표에서 많은 호응을 받았던 생물이 최종에서 떨어지고 어중간한 인기를 받았던 생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로스트 아일랜드 공모전에서는 2종의 생물을 선정했으나, 피오르두르부터는 1종만을 선정한다.

공통적으로 가이드라인은 아래와 같다.
  • 생물당 하나의 스레드: 중복으로 해당 생물에 관한 다른 글을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특정 생물을 넣고 싶다면 해당 생물의 글에 보충해야 하며, 신규 스레드를 세우기 위해서는 기존 글이 없어야 한다.

  • 실제로 존재했던 고생물이어야 함: 그리핀 등의 환상종은 참여 불가능하다.

  • 개발자는 참여 불가

  • 위키피디아 문서, 사진 등의 참고자료가 있으면 좋음

단, 유저 참가형 공모전이 그렇듯이 진행이 잘 되면서도 여러가지 말이 존재한다. 특정 생물에 대한 취향이 명확히 갈리는 유저층이 존재하기에 어떤 생물이 되든 해당 생물이 왜 된건지 의문을 표하는 부류나, 심하면 아예 투고 및 공모 시점부터 다른 생물들을 비하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취향 쪽에서는 대체로 멋있는 외형의 공룡이나 파충류와 같은 대중적인 취향을 선호하는 유저와 절지류, 유인원과 같은 마이너한 취향의 유저로 갈리며, 두 종류의 유저가 같이 있는 공식 사이트 내에서는 "나는 멋있는 공룡을 보고싶다 vs 아크는 공룡만 나오는 게임이 아니며 마이너 팬을 챙길 필요가 있다" 는 식으로 두 유저층 간의 분쟁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국내에서는 후자보다는 전자가 통일되다시피 할 정도로 많아 이러한 논쟁보다는 후자 쪽에 불만을 가진 의견이 올라온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도 PvE 타겟인 예능 및 컨셉용 생물을 선호하는 유저와, PvP와 PvE 가리지 않고 실용적인 생물을 원하는 유저들이 있으나 대체로 즐겜을 지향하는 PvE 컨셉 유저들의 수가 많아 후자는 금방 묻힌다.

그 외에도 소소한 문제점으로 ARK Additions와 같은 유명 모드의 컨셉이나 이미지를 그대로 도용한 글이 올라오고는 하며, 이런 글들은 대체로 유저들에 의해 글이 내려가거나 표를 거의 받지 못한다. 그리고 떨어진 생물 중 컨셉이 좋은 몇몇 생물들은 글 작성자에게 모드 개발자들이 접촉하여 모드 생물로 만들기도 한다.

6.1. 역대 공모전 순위권 생물들[편집]


역대 공모전 생물들 (1 ~ 10위 순)
공모전 시기

유형
추가 확정 DLC 및 버전
로스트 아일랜드
시노마크롭스
소형 비행생물, 익룡
[[로스트 아일랜드|

로스트 아일랜드
]]
디노피테쿠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로스트 아일랜드|

로스트 아일랜드
]]
케라토사우루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고르고놉스
중형 육상생물, 단궁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

v352.6
]]
리비아탄
대형 수중생물, 포유류

자이언트 들소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타니스트로페우스
대형 수륙양용생물, 파충류


소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ARK: Survival Ascended|

ASA
]] [[에버레이션|

에버레이션
]][A]
수코미무스
중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피오르두르
자이언트 들소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리니오그나타
대형 비행생물, 무척추동물
[[리니오그나타(ARK: Survival Evolved)|

v358.3
]]
티타노케라톱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각룡류)
[B]
데스모두스
중형 비행생물, 포유류
[[에버레이션|

피오르두르
]]
아르마딜로수쿠스
대형 육상생물, 파충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

v352.6
]]
미오트라구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안타륵토트레쿠스
대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시바테리움
대형 육상생물, 포유류

피로랍토르
중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2023 무료 업데이트
안타륵토트레쿠스
대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고르고놉스
중형 육상생물, 단궁류

노토사우루스
대형 수중생물, 파충류

자이언트 들소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리니오그나타
대형 비행생물, 무척추동물
[[리니오그나타(ARK: Survival Evolved)|

v358.3
]]
미오트라구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하체곱테릭스
대형 비행생물, 익룡

아메리카사자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아키노닉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라자나
대형 육상생물, 파충류


스코치드 어스
(리마스터)

기간토피스
중형 육상생물, 파충류

자이언트 모아
대형 육상생물, 조류

안타륵토트레쿠스
대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기간토랍토르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ARK: Survival Ascended|

ASA
]] [[ARK: Ragnarok|

라그나로크
]]
마이비아 에우레카
중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고르고놉스
중형 육상생물, 단궁류

파솔라수쿠스
대형 육상생물, 파충류
[[ARK: Survival Ascended|

ASA
]] [[ARK: Scorched Earth|

스코치드 어스
]]
레두마하디
대형 육상생물, 공룡(용각류)

아르마딜로수쿠스
대형 육상생물, 파충류

마입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라그나로크
(리마스터)

노토사우루스
대형 수중생물, 파충류

시바테리움
대형 육상생물, 포유류

드레드노투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용각류)

고르고놉스
중형 육상생물, 단궁류

미라키노닉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기간토랍토르
대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ARK: Survival Ascended|

ASA
]] [[ARK: Ragnarok|

라그나로크
]]
바르스볼디아
대형 육상생물, 공룡(조각류)

자이언트 들소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엔히드리오돈
중형 수륙양용생물, 포유류

마준가사우루스
중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에버레이션
(리마스터)

쿨라수쿠스
대형 수륙양용생물, 양서류


소형 육상생물, 공룡(수각류)
[[ARK: Survival Ascended|

ASA
]] [[에버레이션|

에버레이션
]][A]
팔라이옥토푸스
중형 수중생물, 무척추동물

오르니메갈로닉스
중형 육상생물, 조류

마이비아 에우레카
중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슈노사우루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용각류)

테라테르페톤
중형 육상생물, 파충류

카스모사우루스
대형 육상생물, 공룡(각룡류)

모토바이트
중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키메라라크네
대형 육상생물, 무척추동물



(리마스터)

메소파라필로켈레스
무척추동물

샤스타사우루스
대형 수중생물, 파충류
[[더 센터|

더 센터
]]
노토사우루스
대형 수중생물, 파충류

펨픽스
무척추동물

미라키노닉스
중형 육상생물, 포유류

바야다사우루스
대형 수륙양용생물, 공룡(용각류)

토라콥테루스
중형 수중생물, 어류

오르키누스 키토니엔시스
중형 수중생물, 포유류

하체곱테릭스
대형 비행생물, 익룡

사이보두스
대형 수중생물, 어류


대체로 이전 공모전에서 떨어진 생물들은 그 다음에도 계속 도전하는 경우가 많다.

6.2. 로스트 아일랜드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Lost Island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디노피테쿠스 도감(교체).png


파일:시노마크롭스 도감.png

디노피테쿠스
시노마크롭스

디노피테쿠스시노마크롭스가 추가되었다.


6.3. 피오르두르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Fjordu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데스모두스 도감.png

데스모두스

데스모두스가 추가되었다.


6.3.1.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업데이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메디쿠페스티스.png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1위는 아니었으나, 두 차례나 2등을 하였기에 2022년 말에 추가되었다.


6.4. 3차 공모전[편집]


고생물 아이디어 제시 및 투표 게시판
고생물 추가 아이디어 순위
순위
종명
유형
포스트 링크
투표 수
1
안타륵토트레쿠스

안타륵토트레쿠스 발리, 공성 딱정벌레
1871
2
고르고놉시드[46]
중형 생물
아크의 블러드하운드(Bloodhound)[47]
1542
3
노토사우루스

여행 동료 노토사우루스
1108
4
자이언트 들소
중형 생물
자이언트 들소 - 빙하기 소
976
5
리니오그나타

하늘의 기가노토/투소테우티스
789
6
미오트라구스
육상 생물
미오트라구스 - 거대한 산양
788
7
하체곱테릭스
날탈것
하체곱테릭스 - 하늘의 제왕
683
8
아메리카사자
육상 생물
아메리카사자 - 가장 큰 고양이과 생물
662
9
치타

치타(Acinonyx): 거대 치타
628
10
라자나

라자나 - 렉스의 이빨을 가진 악어
471

2023년 1월 23일까지 진행된다.

2023.01.14: 투표 초반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이전의 공모전에 비해 현생 생물을 기반으로 한 생물의 비중이 늘어났다. 1위는 이전의 피오르두르 공모전에서 떨어진 들소가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미오트라구스, 고르고놉스와 같은 이전에 신청했다 떨어진 생물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48] 그 외에도 살아있는 갑옷 컨셉의 점균류 생물[49] 등 특이한 컨셉들이 많이 나왔다.

2023.01.15 ~ 01.16: 팬덤을 이용해서 압도적인 표를 얻던 들소를 제치고 고르고놉스가 1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도 이전 공모전에 있었던 안타륵토트레쿠스와, 새롭게 데이노케이루스가 순위권에 올라왔다.

2023.01.19: 안타륵토트레쿠스가 들소를 제치고 2위로 올라왔으며, 새로운 생물인 노토사우루스와, 이전 공모전에 있었던 리니오그나타가 순위권에 올라왔다.

2023.01.21: 안타륵토트레쿠스가 고르고놉스를 제치고 1위가 되었다.

~01.23: 아메리카사자가 막바지에 순위권으로 올라왔으며, 노토사우루스가 3위를 차지해 들소는 결국 3위권에서 떨어졌다. 안타륵토트레쿠스가 끝내 1위를 차지했다.

최종 투표 링크
최종 투표는 피오르두르 공모전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파일:리니오그나타 안티쿠아게니토르.png

리니오그나타
최종 결과
리니오그나타가 2023년 여름에 추가되었다.

6.5. 스코치드 어스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Scorched Earth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파솔라수쿠스 도감.png

파솔라수쿠스

파솔라수쿠스가 추가 확정되었다.


6.6. 라그나로크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Ragnaro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기간토랍토르 누트리토르.png

기간토랍토르

기간토랍토르가 추가 확정되었다.

6.7. 에버레이션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Aberration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이 링.png



이(이 치)가 추가 확정되었다.

6.8. 더 센터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The Cent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샤스타사우루스 도감.png

샤스타사우루스

샤스타사우루스가 추가 확정되었다.


6.9. 익스팅션 생물 공모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Extinction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레드노투스가 추가 확정되었다.

7. 생물 자체 무게 (Drag Weight)[50][편집]


아크의 모든 생물들에게는 자체적인 "무게"[51]가 존재하는데, 이 무게에 따라 보스전 참전 여부[52]와 생물의 생물 운반 여부, 플랫폼이나 보트, 엘레베이터 등에서의 탑승 여부, 플레이어의 시체 운반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설정상 해당 생물의 무게가 저 수치라는 것이 아니다. 해당 수치는 임의로 게임에서 정한 수치이며, 설정상 해당 공룡이 저 정도의 무게라는 것은 아니며, 꼭 부피를 따르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티타노사우루스가 무게 수치가 1000인데 티타노보다 훨씬 작은 바실로사우루스의 무게 수치는 12000으로, 12배나 더 높은 수치이나 양 쪽의 부피나 밀도 등을 생각했을 때 말이 안되는 수치이다.[53]

각 생물의 무게는 다음과 같으며, 붉은 배경은 조련 불가 생물이다. 브루트와 알파 같은 특수한 생물들을 제외하면 원종과 아종의 무게는 같다.
생물
무게 수치
인간(플레이어)
35
디 아일랜드
공룡
알로사우루스
285
안킬로사우루스
160
바리오닉스
210
브론토사우루스
1000
카르노타우루스
250
알파 카르노타우루스
250
콤피
20
딜로포사우루스
35
디플로도쿠스
575
갈리미무스
410
기가노토사우루스
950
이구아노돈
125
켄트로사우루스
250
메갈로사우루스
410
미크로랍토르
35
오비랍토르
40
파키
85
파키리노사우루스
200
파라사우롤로푸스
125
페고매스탁스
20
랩터
85
알파 랩터
400
렉스
550
알파 렉스
550
스피노
550
스테고사우루스
250
테리지노사우루스
250
티타노사우루스
1000
트리케라톱스
300
트로오돈
35
유티라누스
500
조류
시조새
50
아르젠타비스
150
도도
25
헤스페로르니스
120
이크티오르니스
120
카이루쿠
35
펠라고르니스
120
테러버드
85
스코치드 어스
추가 생물
라그나로크
그리핀
200
냉기 와이번
555
정령 다이어베어
295
정령 다이어울프
120
에버레이션
추가 생물
익스팅션
추가 생물
발게로
데이노니쿠스
85
제네시스: 파트 1
추가 생물
아스트로시터스
4800
블러드스토커
300
페록스
25
곤충 떼
70
마그마사우루스
550
메가셸론
3000
모더
7500
뱀장어 미니언
800
날치 떼
70
브루트 / 고장난 테크 생물
브루트 아라네오
90
브루트 아스트로시터스
4800
브루트 바실로사우루스
12000
브루트 블러드스토커
600
브루트 페록스
85
브루트 화염 와이번
555
브루트 리드시크티스
1300
브루트 마그마사우루스
940
브루트 고장난 테크 기가노토사우루스
1095
브루트 고장난 테크 렉스
550
브루트 매머드
800
브루트 메갈로케로스
174
브루트 플레시오사우루스
500
브루트 리퍼 킹
788
브루트 사르코
400
브루트 시커
35
브루트 투소테우티스
1500
브루트 X-알로사우루스
485
브루트 X-메갈로돈
500
브루트 X-모사사우루스
899
브루트 X-랩터
85
브루트 X-렉스
935
브루트 X-바위 정령
1500
브루트 X-스피노
850
브루트 X-유티라누스
850
금색 줄무늬 메갈로돈
250
금색 줄무늬 브루트 메갈로돈
500
알파 X-트리케라톱스
450

트로페오그나투스
149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
416
엠버 크리스탈 와이번
트로피컬 크리스탈 와이번
알파 블러드 크리스탈 와이번
416
크리스탈 와이번 여왕
1110
제네시스: 파트 2
추가 생물
아스트로델피스
220
노글린
20
섀도메인
350
테크 스트라이더
1000
보이드웜
555
연말 출시 신규 맵
추가 생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03:33:19에 나무위키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rag Weight에서 Drag는 동사로 "끌고 가다" 정도의 의미이다. 의미와 게임 자체 기능을 생각해보면 운반 가능한 생물 무게라고 볼 수 있다.[2] 타이탄과 같은 인류에 적대적인 괴수들이나 록웰과 같은 사심을 위해 타락한 생존자와 같은 부류. 대체로 익스팅션부터의 최종보스들이다.[3] 렉스, 랩터, 아르젠타비스[4] 독수리, 칠성장어, 실러캔스[5]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등에서 쓰이는 말로는 영어 Taming을 음차한 테이밍, 공식 게임 번역이나 일부 한정으로 "조련" 이라 부른다. ex) 조련 효율 등으로.[6] 가장 알기 쉬운 예는 이동속도. 야생에서는 이동속도가 증가하지 않지만 조련 추가 이속으로 길들인 직후의 이동속도가 높아진 상태라면 똑같이 이동속도 증가폭이 2.5%라도 조련 직후의 %가 더 높은 생물이 훨신 높은 레벨 당 이동속도 상승폭을 보여준다. 가장 큰 예로 미크로랍토르가 있는데, 기본 증가폭은 2.5%지만 조련 추가이속으로 200%가 증가, 총 300%가 되고 증가폭은 300%의 2.5%인 7.5%씩 증가하게 된다.[7] 다만 프테라노돈의 경우 야생에서보다 이동속도 자체가 매우 느려지기에 주는 보너스로 보인다.[8] 그러나 제네시스와 같은 후기 DLC 추가 생물로 갈수록 식성과 선호 먹이가 별로 관계없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아스트로델피스의 경우 여물통에서 육류를 먹는 육식성이지만 조련할 때는 원소를 먹는다.[9] 예외로 알파 생물은 그 원종이 육식성이라도 시체를 캘 수 없다.[10] 단, 화염 대미지 저항이 없어 드래곤전에 한해서는 초식성인 테리지노사우루스가 선호된다.[11] 때에 따라선 벌꿀[12] 주로 영문 위키에서 해당 표현이 쓰인다.[13] 아종이라는 정의에 제일 부합한 케이스는 와이번 - 크리스탈 와이번 같은 관계나 에버레이션의 에버런트종, 제네시스의 X종이 아종에 맞으며, 그 외인 알파(Alpha) 생물이나 브루트(Brute) 생물의 경우 해당 생물의 강화판, 즉 유달리 강한 개체나 우두머리 개체이며, 감염된 생물의 경우 단순히 해당 생물이 원소에 감염되어 군체로 편입되어버린 개체. 쉽게 얘기해서 병에 걸린 개체에 불과하다.[14] 모바일에서는 엘리트 생물로 표기된다. 모바일 번역 수준 [15] 알파 생물종은 최상위 생물종 취급이라 다른 생물들이 공격하지 않으며, 대부분이 공물을 드롭한다.[16] 이러한 점 때문에 게임 내 최종병기인 메가맥(MegaMEK) 역시 생물 명칭 앞에 Mega가 붙어서 MEK의 알파종으로 보는 의견도 존재하나, 객체 ID에서 생물 명칭 앞에 Mega가 들어가지 않는 생물도 상당수 있는 것은 물론, 메가맥 자체가 제한적으로만 소환할 수 있는 생물이기에 알파종으로 취급하지 않는 의견이 더 많은 편이다.[17] 일반적인 알파 생물들은 전부 육식 생물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육식 생물 특성상 시체를 캐면 체력을 회복하기 때문에 알파 생물의 그 원본의 몇배는 되는 체력이 회복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8]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일반 육류 없이 무조건 고품질 육류 준다.[19] 물론 알파 티렉스의 경우 알파 티렉스 고유 공물과, 렉스의 뼈가 걸린 고유 트로피, 고유의 헬멧 스킨 세 가지 전부 보상으로 존재한다.[20] 공물과는 달리 스킨은 막타를 친 생물/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근처에 있는 플레이어들에게도 자동으로 지급된다.[21] 아일랜드 맵에서는 최종 보스[22] 실질적으로 기반이 된 생물이다.[23] 직접적으로 주는 것은 아니나, 아이스웜 퀸을 죽여야만 작동되는 기믹이다.[24] 미션 한정 수집 아이템으로, 미션이 끝나면 자동으로 사라져서 치트가 아니라면 소유 불가.[25] 화염 와이번 제외[26] 화염 와이번만[27] 20% 더 높은 만렙 상한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되는 원본격의 생물이 존재함[28] 또한 객체 ID 표기상으로는 '테크' 와이번이기는 하나, 보이드웜을 제외한 모든 테크 생물들의 객체 ID는 '테크' 가 아닌 '바이오닉(Bionic)'이 붙어 다른 것은 물론, '함선 보호용 드론' 이라는 자체적인 설정도 붙어있어 다른 테크 생물들과 동일하게 취급하기에는 무리가 있다.[29] 테크 기가노토의 경우 내부적으로 구현은 되어 있으니 제외.[30] 특히 그리핀과 데스모두스의 경우 유이한 수상 전투가 가능한 비행 생물들이라 날아서 지상 생물은 물론, 날아다니기만 하는 케찰 역시도 수월하게 조련이 가능하다.[31] 도도, 아카티나, 디모르포돈, 아르케옵테릭스, 캥거루쥐, 독수리 등.[32] 생물위에 탑승한 상태에서는 R키로 바뀐다.[33] 도감 사진 역시 변경된 모델에 맞춰서 변경된다. 생물 아이콘의 경우 미묘한데, 2차 TLC까지는 아이콘까지는 변하지 않았으나 3차부터는 도감 사진과 같이 변경되었다.[34] 알파격 개체인 예티는 적용되지 않는다.[35] 패치 당시에는 제작은 가능하지만 수리는 불가능했으나, 이후 패치되어 장비를 수리할 수 있게 되었다.[36] 원석과 주괴 모두 해당[37] 패치노트에선 수면에서 뗏목처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38] 랩터 문서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피오미아 사이즈 정도까지 가능하다.[39] 참고로 이 패치때문에 랩터가 초반에서 가장 악명높은 공룡으로 등록되었다.스톰핑 공격에 잡힐 시 반격이 불가능하다 싶으며,무리보너스로 버프가 생겨 트리케나 스테고등 중소형 초식공룡들만 대리고 있는 경우에는 잘못할시 부족전멸할수도 있기 때문이다.[40] 강제 하차 '만' 막아준다. 기수로 오는 대미지는 막아주지 못한다.[41] 기존의 번개 와이번 브레스의 방어 상수 값은 0.1로, 거의 무시하던 수준이었다.[42] 하지만 어그로 판정은 그대로 대형생물 취급이다.[43] 알파 와이번을 잡는 게 아닌 이상 암컷 와이번을 기절시켜야 얻을 수 있는데 그물 탄환에 묶이는 이상 암컷 와이번을 유인해서 묶은 다음 기절시키기만 하면 와이번 젖을 얻을 수 있게 된다.[44] 조련 후 레벨에 따라 결정되는 아머의 방어력[45] 에버레이션에 있는 메갈로사우루스는 상시 일어남 상태이기에, 항상 25% 추가 데미지를 가진것과 마찬가지이다.[A] A B 단, 두 공모전 내 세부 사양은 아예 별개의 생물에 가깝다.[B] 탈락하면서 유명 모드 ARK Additions의 예정 목록으로 빠졌다.[46] 게시글 설명을 보면 이노스트란케비아(Species: Inostrancevia __)라고 표기되어 있다.[47] 유럽의 사냥개 견종 중 하나다. 블러드 하운드 참고.[48] 다만 들소의 경우 피오르두르에 이어서 본 공모전에서도 내부 선동 등을 통해서 표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49] 메타몽과 유사한 컨셉을 가지고 있다. 다만 게임 특성상 구현이 어려운 컨셉.[50] Drag Weight에서 Drag는 동사로 "끌고 가다" 정도의 의미이다. 의미와 게임 자체 기능을 생각해보면 운반 가능한 생물 무게라고 볼 수 있다.[51] 스탯상 무게 스탯과는 별개이며, 플랫폼 생물에게 올려보면 이 자체 무게가 영향을 끼친다. 플레이어는 35이다.[52] 물론 단순히 무게로만 결정되지는 않는다.[53] 사실 티타노의 부피 대부분은 지방이나, 아니면 하다 못해 공기만 차 있는 공기 풍선이며 바실로가 근육돼지 생물이라 체중이 더 높다고 생각될 수는 있으나, 그렇다고 해도 12배 차이가 나는 것은 말이 안되며, 더군다나 티타노의 뼈는 물론 등 쪽에 암석(내지는 암석 같은 각질 정도)이 존재해 티타노 쪽이 체중이 높았으면 높았지 낮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