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B48/용어

덤프버전 : r20210301 (♥ 0)

||
||
미디어
드라마
||
예능
||
OUT OF 48
방송 중
AKBINGO!
종영
48 SHOW!
종영
너, 누구?
종영
||
서브컬쳐
AKB0048
||
게임
리듬게임
종료
||
관련 인물
팬 커뮤니티


1. 개요
2. 팬덤 용어 모음
3. 선발 총선거 관련
4. 유닛 관련
4.1. 카미7
4.2. 정규 유닛 및 솔로
5. 극장 공연 관련


1. 개요[편집]


AKB48와 관련된 용어를 정리한 페이지입니다.


2. 팬덤 용어 모음[편집]














일반적으로 모든 노래에 믹스를 응원구호로 쓰지만 안 쓰는 곡도 있다. 조용한 발라드 곡에는 당연히 안 쓰고, 댄스 곡 중에서도 Beginner처럼 박자가 애매한 곡은 MIX를 안 외친다. HKT48의 싱글 最高かよ에서는 아예 이 믹스를 가사에 넣어버렸다!
믹스 조합은 다음과 같다.[7]
일반일본어아이누
아~ 욧샤이쿠조~
(あ~ よっしゃいくぞ~
/아~ 좋아 가보자~!)
아~ 모우잇쵸이쿠조~
(あ~ もういっちょいくぞ~
/ 아~ 한번더 가보자~!)
아~ 모우잇쵸이쿠조~
(あ~ もういっちょいくぞ~
/ 아~ 한번 더 가보자~!)
타이가 (タイガー / Tiger)토라 (虎 / とら)차페 (チャペ)
화이야 (ファイヤー / Fire)히 (火 / ひ)아페 (アペ)
사이바 (サイバー / Cyber)진조우 (人造 / じんぞう)카라 (カラ)
화이바 (ファイバー / Fiber)센이 (繊維 / せんい)키나 (キナ)
다이바 (ダイバー / Diver)아마 (海女 / あま)라라 (ララ)
바이바 (バイバー / Viber)신도우 (振動 / しんどう)투스케 (トゥスケ)
쟈쟈 (ジャージャー)카센 토비 죠쿄 (化繊 飛び 除去
/ かせん とび じょきょ)
묘오혼투스케 (ミョーホントゥスケ)




인기보다는 존재감이 없는 멤버를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인기가 없어도 독특한 캐릭터가 있거나 팬들로부터 기억될 만한 무언가가 있다면 병풍으로 불리지는 않는다. 이 라인에 속하는 멤버로 코바야시 카나, 나카타 치사토, 치카노 리나, 노나카 미사토, 나카무라 마리코, 코바야시 마리나, 모리카와 아야카 등이 있다.





이것은 AKB48 리퀘스트 아워가 사실상 48그룹 리퀘스트아워가 된 것에 대한 팬들의 불만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매그룹들은 자매그룹 단독으로 리퀘스트 아워를 따로 하기도 하고 AKB48 리퀘스트 아워에도 참여하는데, AKB는 사실상 그룹 전체의 리퀘스트 아워가 된 AKB48 리퀘스트 아워 하나 밖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AKB의 팬들은 AKB48 멤버들의 리퀘스트 아워 참여 기회가 적어지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3. 선발 총선거 관련[편집]


총선거의 결과에 대해서는 AKB48/총선거 문서 참고.

AKB소속 멤버들의 인기순위와 서열을 매기기 위해서 매년 진행되는 선거. 그야말로 데스매치. 포맷은 조금 조금씩 바뀌어왔다. 3회까지는 1위부터 21위의 멤버가 선발, 순위 22위~40위의 19명이 언더걸스였지만 4회 총선거에서는 1위 ~ 16위가 선발, 17 ~ 32위, 33 ~ 48위, 49 ~ 64위가 각각 언더걸즈, 넥스트걸즈, 퓨처걸즈로 나뉜다. 미디어 선발은 폐지. 6회 총선거에서는 65 ~ 80위 멤버들이 속하는 업커밍걸즈라는 등급이 생겼다.








비슷하게 비인기 멤버들을 모아놓은 곡으로 風は吹いている에 수록된 'Vamos', GIVE ME FIVE!에 수록된 '융과 프로이트의 경우', 前しか向かねえ에 수록된 '사랑같은 거' 등이 있다.


4. 유닛 관련[편집]


AKB48 내 멤버의 일부가 그룹을 만들어 활동하는 것. 대부분 같은 사무소에 소속된 멤버들로 구성되며, 사무소에서 유닛 구성을 제안하면 아키P의 승인을 통해 만들어진다. 2015년 이후에 정식 유닛의 구성은 적은 편.

4.1. 카미7[편집]


본래의 뜻은 두번째 인디즈 싱글인 スカート、ひらり(스카토 히라리)의 자켓사진에 실린 7명을 일컫는 말이나, 이후 무대에서 멤버의 변동으로 빈 자리를 제 1회 총선거의 상위 7명이 채우게 되면서 '스카히라를 부르는 인기 상위의 7명'을 지칭하는 말로 바뀌었다.

제2회 총선거 이후 미디어에서 '카미'라는 말을 많이 썼기 때문에 스카히라라는 말보다는 '카미'라는 표현이 더 많이 쓰인다. 2011년 제 3회 총선거에서 이타노 토모미가 8위로 밀려났을 땐 神8로 함께 밀어준 적이 있다. ???: 작년엔 이렇게 안해줬잖아[10]

비슷한 시스템으로 노기자카46/복신이 있다.


4.2. 정규 유닛 및 솔로[편집]


AKB48/파생 유닛을 참조.


5. 극장 공연 관련[편집]










[1] 음독하면 신(しん)이다.[2] 푸쉬 분쇄기라고도 한다.[3] 본 항목에선 원어 그대로 げい게이라고 썼지만, 귀에 들리는 발음은 게~ 에 가깝다. 일본어에서 ○ei 발음은 마지막 i 발음을 하지 않고 e가 장음이 된다.[4] 사실 각 기술마다 기술명이 붙어있을 정도고, 기술 수도 다양하지만 워낙 과격한 동작이 많다보니 인기 아이돌 그룹들이 공연하는 공연장처럼 사람 꽉 찬 곳에서 했다가 여러사람 다쳐나갈 수 있기 때문에 금지하고 있는 거라고 한다. 인기 아이돌들이라도 공연장에 여유가 있는 경우 오타게이를 하는 경우가 흔치는 않지만 있는 편이고 덕분에 기술명은 몰라도 몇몇 기술들에 대해서는 아이돌들도 대부분 알고 있는 상황. 그에비해 지하 아이돌들의 경우 조그마한 소극장등이 주 무대인데다 손님 수도 많지 않기 때문에 공간에 여유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오타게이를 펼치기 쉬워 주로 지하 아이돌들의 무대에서 볼 수 있다고.[5] 덤으로, 흔히 생각하는 오타쿠와는 다르게 워낙 과격한 동작의 댄스를 각 노래바다 춰 대다 보니 상당수가 근육질에 식스팩을 보여주는 육체파들이 상당수고 체력도 장난 아닌 수준. 아이돌 오타쿠들의 특성상 남성들이 많다보니 자연스레 동작이 커졌는데, 방송에서 오타게이를 체험해 본 아이돌링이란 그룹 멤버들은 한곡 추고 땀을 뻘벌 흘렸다. 여성들이라곤 하지만 안무연습과 레슨으로 나름 체력이 다져진 멤버들이 이러니..[6] 사실 32마디지만 마츠이 사키코의 피아노 인트로에는 믹스를 하지 않는다.[7] MIX의 기원에 대해서는 2019년 11월 10일 AKB48 네모우스테레비에서 다루었다.[8] 파일:akb_hidden_center.png
사시하라 리노의 포지션이 완벽한 히든 센터 포지션이다.
[9] 일본에선 밤 9시 이후 만 18세 이하 연예인은 근무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어쨌든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이 시간 이후 닥치고 귀가라, FNS가요제 등 이벤트에선 미성년자 멤버가 있는 그룹에 시간을 먼저 할당한다. 외국인 입장에서는 '주니어 아이돌'이란 미명하에 초등학생들의 비키니 사진집을 찍어내는 나라가 이런 규정이 있다는 게 웃기기만 하는 게 사실. 일본은 '로리콘들이 필독해야 하는 사진집'이라는 제목의 주니어 아이돌 사진집이 발매되기도 한 나라다. 정말이다![10] 2010년에는 카시와기가 8위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