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4 스카이호크

덤프버전 :

파일:A-4AR.jpg
아르헨티나 공군의 A-4AR
Douglas A-4 Skyhawk

1. 개요
2. 제원
3. 개발사
4. 활약
5. 모델
5.1. 프로토타입
5.2. A-4A
5.3. A-4B
5.4. A-4C
5.5. A-4E
5.6. A-4F
5.7. A-4M
6. 기타
7. 매체에서의 등장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국 더글라스사가 미합중국 해군해병대를 위해 개발한 단발 터보제트 델타익 경공격기.

1956년부터 1979년까지 3,000대 가까이 생산되었으며, 10개 국가에 수출되어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베트남 전쟁, 중동전쟁, 포클랜드 전쟁 등 많은 전장에서 활약했다.

별명으로는 스쿠터(Scooter), 장난감 자동차[1](Kiddie car), 하이네만의 애마(Heinemann's Hot-Rod), 팅커토이[2] 폭격기(Tinkertoy Bomber), 당[3] 폭격기(Bantam Bomber) 등이 있다.


2. 제원[편집]


파일:A-4G.png
파일:TA-4SU.jpg
호주 왕립 공군의 A-4G
싱가포르 공군의 TA-4SU 슈퍼 스카이호크

제원
A-4 A/B/C
A-4 E/F/M
파일럿
1명
전장
m
12.22m (40피트 3인치)
전폭
m
8.38m (26피트 6인치)
전고
m
4.57m (15피트)
익면적
제곱미터
24.15제곱미터 (259제곱피트)
자체중량
kg
4,469 kg (9,853 lb)
최대이륙중량
kg
11,113 kg (24,500 lb)
최고속도
km/h
1,083km/h (585노트, 673mph)
실용상승한도
m
12,880m (42,250피트)
전투행동반경
km
1,158km (625nmi, 720마일)
항속거리
km
3,220km (1,700nmi, 2,000마일)
엔진
라이트 J65-W-16A 터보제트 엔진
프랫&휘트니 J52-P-6A
기동한계

+8/-3g
항전장비
레이더 없음
벤딕스 AN/APN-141 저공 레이더 고도계
스튜어트 워너 AN/APQ-145 레이더[4]
하드포인트
3개소
5개소
무장
20mm 콜트 Mk.12 기관포 ×2 정당 100발
AIM-9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자유낙하폭탄
지상공격용 로켓
20mm 콜트 Mk.12 기관포 ×2 정당 100발
AIM-9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자유낙하폭탄
지상공격용 로켓


3. 개발사[편집]


1947년 미 해군은 A-1 스카이레이더를 교체할 호위항공모함에서 운용이 가능한 쌍발 터보프로펠러기를 더글라스 사에 요구했다. 이를 위해 더글라스 사에서는 A2D 스카이샤크를 설계했는데, 동축반전 프로펠러를 이용한 A2D 스카이샤크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항공기였지만 엔진의 신뢰성 문제로 말썽이 많았다. A2D가 엔진 문제로 개발이 지연되는 동안 더글라스 사는 새로운 제트기의 개념 연구를 시작했다. 새로운 제트기를 설계하던 더글라스 사의 에드워드 하이네만[5]은 1952년 1월 워싱턴의 해군 관계자들 앞에서 항공기의 크기가 커지는 요인에 관한 프레젠테이션을 하던 도중 새로운 제트기를 그 기초로 사용하게 된다.

당시 항공기에게 요구되는 성능은 매우 높았던 반면에 제트 엔진의 추력은 충분하지 않았고, 진공관을 이용한 전자기기는 항공기에 탑재가 가능할 정도로 작고 가벼운 크기로 만들기에는 성능과 신뢰성, 효율성 모두가 떨어졌다. 이런 신뢰성이 떨어지는 전자장비로 인해 임무수행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항공기에 주 장비와 보조 장비, 그리고 예비 장비까지 탑재했는데, 이 때문에 항공기는 점점 커지고 무거워졌으며, 구조적으로도 복잡해졌다. 그러니 당연히 연비가 떨어졌고, 또 떨어지는 연비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탱크의 용량을 늘리는 과정에서 항공기는 더욱 크고 무거워졌다. 그러나 항공기가 크고 무거워질수록 공기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수록 연료효율은 급격히 떨어졌다. 이러다보니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도 하늘을 넘봤으며, 탑재된 주장비, 보조 장비, 그리고 예비 장비 모두가 정비소요였기 때문에 정비사들은 전장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같은 용도로 탑재된 두세 가지 장비를 모두 정비해야 했고, 그렇게 되니 덩치가 커져서, 유지보수 비용도 많이 들고, 정비하는데 드는 수고도 훨씬 많이 드는 3중크리 작렬! 당연히 가동률도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런 문제가 크게 드러난 기종 중 하나가 바로 F-105 썬더치프였다.

여기에서 하이네만이 제안한 설계안은 복잡한 장비들을 최대한 줄여서 신뢰성을 확보했는데, 이는 당시 제트기의 추세였던 복잡한 고성능 항공기에 정반대되는 개념이었다.[6] 이 새로운 설계안은 그 자리에 있던 해군 고위 관계자들의 이목을 끌었고, 하이네만은 즉석에서 새 제트기를 기반으로 하는 공격기의 설계를 요청받게 된다.

파일:external/a4skyhawk.info/gray-heinemann-record-17oct55-press-conf_douglas_john-gray-mod.jpg
앞쪽 좌측 끝이 에드워드 하이네만(Edward Henry Heinemann, 1908~1991)/관계자들과 A-4 스카이호크 모형 앞에서.

하이네만은 그 자리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했고, 약 한 달 뒤 새로운 공격기의 설계안을 가지고 워싱턴에 돌아가 공식적으로 해군에 제작을 제안했다. 제안된 공격기는 해군이 최초로 요구한 쌍발 터보프로펠러기 무게의 절반밖에 안 나갈 정도로 작고, 가볍고, 단순했는데, 함재기지만 날개를 접을 필요가 없을 정도로 크기가 작았다.

하이네만의 설계안을 검토한 해군은 1954년 6월에 시제기를 발주했다. 이 신형 공격기는 이미 설계가 완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해 가을에 목업(mock up) 모델이 나오고 2년만인 1954년에 시제기가 첫 비행을 할 정도로 빠른 진척을 보였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XA4D-1+Skyhawk+137812+3.jpg
XA4D-1

시제기인 XA4D-1(명명법 통합 이전이라 해군식 명명법을 사용했다.)는 델타익과 전륜식 랜딩 기어(2차대전 당시의 항공기처럼 짧은 뒷바퀴가 달리지 않고 길이가 동일한 앞바퀴가 달린), 그리고 동체 측면의 흡입구 2개에서 흡입한 공기를 이용하는 터보제트 엔진 하나가 동체 뒤쪽에 달린 저익기로, 일반적인 항공기들과는 다르게 수직미익만 동체에 직접 닿는 십자형 꼬리날개를 탑재했다. 기본 무장으로 각각 100발씩의 탄환을 적재할 수 있는 2정의 콜트 Mk 12 기관포가 각 날개에 하나씩 탑재되었고, 다양한 폭탄과 로켓, 그리고 미사일을 동체 중앙 아래쪽과 양 날개(초기에는 1개씩이었지만, 나중엔 2개씩으로 늘어난다.)의 하드포인트에 탑재할 수 있었다.

A-4 스카이호크는 델타익을 선택한 덕분에 날개를 접지 않아도 되는 작은 크기임에도 많은 연료를 탑재할 수 있었고, 속도와 기동성도 뛰어났지만 순항효율은 떨어지는 편이었다. A-4 스카이호크의 리딩 에지 슬랫은 중력과 기압에 의해 적당한 속도에서 전개되도록 설계되었는데, 그 덕분에 작동 모터와 스위치를 폐지해 무게를 줄이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주익의 날개보(날개를 지지하며 날개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견디는 부분.) 무게를 줄이기 위해 주 착륙장치의 바퀴 부분만이 날개 안에 수납되고 나머지 부분은 날개 밑의 구조물에 수납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더불어 날개를 접지 않아도 되는 점 덕분에 주익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었는데, 이는 다른 항공기들이 한 지점의 무게가 늘어나면 다른 지점을 보강하기 위해 무게가 더욱 증가하고, 증가한 무게로 인해 더 강력하고 무거운 엔진을 사용하게 되면서 계속 무게가 증가하는 악순환을 반복하는 것과는 달랐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4Cs_VMA-533_refueling.jpg
A-4 스카이호크 버디 투 버디 급유사진

A-4는 버디 투 버디 공중급유란 개념을 가장 먼저 채용한 항공기였다. A-4 스카이호크 덕분에 전문적인 공중급유기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는데, 이 점은 외딴 지역에서 작전하거나 소규모 편대로 작전할 때 이득이었다. 또한 작전의 유연성과 공중급유기를 손실하거나 공중급유기가 고장났을 때를 대비할 수 있었지만, 항공모함의 전투기 수를 줄이는 요인이 되었다. 지정된 보급용 A-4는 동체 중앙의 파일런에 급유장비가 달린 대형 연료 탱크를 탑재했다. 출격할 상황이 생기면 이 A-4 스카이호크 급유기가 무장 없이 연료를 가득 채운 다음 가장 먼저 출격하고 곧이어 공격기들이 출격했다. 공격기들은 최대한 무장하고 최대이륙중량까지 연료를 탑재했는데, 이는 연료 탱크 크기에 비하면 적은 양이었기 때문에 이함에 성공하면 일단 급유기에서 연료부터 받았다. 그러면 연료와 무장을 만재한 항공기가 전투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 당시 A-4는 외부 연료 탱크를 보통 쌍으로 달고 다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덕분에 불시착할 상황이 생겨도 동체 전체를 파손시키지 않고 기수만 긁는 정도로 끝내는 게 가능했다. 즉, 연료 탱크 두 개를 스키대처럼 이용해서 불시착을 하게 되면 기수만 땅에 닿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연료 탱크를 장비하지 않고 작전에 투입되면 그런 거 없다. 또한 후기형의 경우는 날개 양쪽에 쌍으로 달기보다 동체 중앙에 달기도 했다.

4. 활약[편집]



4.1. 미국[편집]


1956년, AIM-9 사이드와인더[7]의 탑재가 가능한 스카이호크의 배치가 시작되었는데, 스카이호크가 항공모함에 배치되기 시작하면서 최초로 미국 영토 밖에 사이드와인더 운용능력이 있는 항공기가 전개되었다고 한다.

1960년대 중반까지 A-4B는 에식스급 대잠 항공모함에서 주간에 대잠 항공기를 호위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8] 다만, A-4B에는 레이더가 없었기 때문에 조기경보기군함의 지시에 따라 목표물에 접근한 뒤, 육안으로 표적을 획득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에식스급 같이 대형기가 이착함할 수 없는 2차대전형 항공모함의 좁은 갑판에도 착륙이 가능한 A-4 스카이호크는 나중에 비슷한 크기의 항공모함을 보유한 호주, 아르헨티나, 브라질 해군에서도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초반에 공군의 F-105와 더불어 주력 공격기로 사용되었고, 베트남전 후반에도 후속작 A-7과 함께 해군의 주력 공격기로 사용되었다.[9] A-4 스카이호크는 베트남에 최초로 공습을 가한 항공기 중 하나였고, 베트남에서 미군이 사용한 마지막 폭탄이 해병대 소속의 A-4 스카이호크에서 투하되었다고 한다. 1967년 5월 1일, A-4C 한 대가 주니로 북베트남군의 MiG-17 1대를 격추했는데, A-4 스카이호크가 베트남전에서 유일하게 적기를 격추하는데 성공한 경우였다.[10]

1964년 8월 5일, 베트남전 첫 미군 포로인 알바레즈 중위[11]가 조종하던 A-4C 스카이호크가 북베트남 해군 어뢰정을 공격하다가 대공포에 격추된 이래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알바레즈 중위의 기체를 포함해 362대의 A-4가 손실되었다. 이들 중, 271대가 해군기였고 81대가 해병대 기체였는데, 32대가 지대공 미사일에, 1대가 적기에 의해 격추되었다. 존 매케인도 A-4 스카이호크 조종사였는데, 1967년 10월 하노이 상공에서 SA-2 지대공 미사일에 격추당하여 탈출하였으나 포로가 되었다.

A-4 스카이호크는 우수한 공격기였지만 훈련기로도 많이 쓰였다. 특히 복좌형인 TA-4J는 TF-9J 쿠거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어서, T-45 고스호크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 TA-4J는 A-1 스카이레이더 같은 프로펠러기를 조종하던 해군 조종사들이 제트기로 기종을 전환하기 위해 전환비행대대에서 훈련을 받을 때 훈련기로 쓰였으며, 점검비행과 정기적인 계기훈련 용도로 쓰이기도 했다. 계기훈련용 TA-4J에는 접었다 펼 수 있는 덮개가 있어서 훈련 중인 조종사는 외부를 보지 않고 계기비행을 할 수 있었다. 또 일부 단좌형 기체는 혼성비행대대에 배치되어 해외에 전개된 부대의 훈련을 지원하기도 했다.

또한 베트남전에서 미사일 만능주의의 영향인지 F-4 팬텀 II을 몰던 미군 조종사들이 북베트남군의 MiG-21, MiG-17과의 교전에서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성과를 보여주자[12] 1969년 미해군은 공중전 기동 훈련 학교인 TOP GUN을 설립하고 기동성이 뛰어난 A-4E를 MiG-17 대용의 가상적기로 운용했다. DACT 훈련(이기종간 근접전 훈련)에서 뛰어난 실력을 가진 교관들은 A-4의 작은 크기와 우수한 저속 기동성을 십분 활용해서 수많은 조종사들에게 도그파이트의 진수를 일깨워주었다. 가상적기로 동원된 A-4는 아예 도장까지 소련 미그기와 유사하게 하였다.

곧이어 F-5, F-21 IAI 크피르, F-16 Aggressor, F/A-18 등도 가상적기 역할을 맡았지만 A-4 스카이호크는 1999년까지 운용되었다. 그리고 가상적기 역할에서만 퇴역했을 뿐 표적예인기로 좀 더 사용되다가 2003년에 완전히 퇴역했다. 무려 40여년 동안 장수한 셈이다. 심지어 영화 탑건에서도 교관 조종사들이 탑승하고 F-14를 발라버리는 위엄을 보여주는데, 실제로 A-4의 비행성능을 어떻게 최대한 살리는지 알고있는 베테랑 조종사가 상황을 잘 구성하면 F-14를 신나게 관광시킬 수 있었다고.


4.2. 이스라엘[편집]


이스라엘은 미국 다음으로 A-4 스카이호크를 많이 운용했는데, A-4 스카이호크는 미국이 이스라엘에 제안한 최초의 미국제 전투기였고,[13] 이스라엘이 주요 무기 공급선을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전환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스라엘은 6일 전쟁 직후부터 A-4 스카이호크를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A-4 스카이호크는 F-4의 4분의 1밖에 안 하는 가격에 더 많은 폭탄을 장착할 수 있어서 지상공격 임무의 중핵이었다.[14]

1966년부터 217대의 A-4 스카이호크를 도입한 이스라엘은 '소모전'(War of Attrition)과 욤 키푸르 전쟁에서 A-4 스카이호크를 잘 써먹었는데, 욤 키푸르 전쟁에서는 SA-6와 대공포에 상당수를 손실하기도 했다.[15] 또, 1970년 5월 이스라엘군의 A-4 스카이호크 1대가 2대의 MiG-17을 격추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는데,(1대는 로켓으로, 다른 1대는 기관포로) 이 A-4 스카이호크의 광학 조준기에는 공대공 모드가 없었다.[16]

1973년 초에는 미 해병대의 A-4M 스카이호크 II를 기초로 한 A-4N이 이스라엘군에 도입되었는데, A-4N도 욤 키푸르 전쟁에서 공격기로 활약하면서 시리아군 MiG-17을 격추했다.

이스라엘군 전용으로 개발된 A-4 스카이호크는 A-4H(Ahit)였다. 이 버전은 A-4E형의 파생형이었는데, E형보다 추력이 향상된 엔진을 탑재하고 콜트 Mk.12 20mm 기관포가 아닌 DEFA 30mm 기관포를 탑재했다. H형은 나중에 IAI에서 개수를 받으며 전자장비가 추가되었는데, 이 전자장비를 탑재하기 위해 F형처럼 동체 윗부분에 애비오닉스 험프(avionics hump)를 장착했다. 또한 배기구를 연장했는데, 배기구를 연장한 덕에 열 추적 지대공 미사일에 대한 회피가 쉬워졌다고 한다.[17]

이스라엘군은 1967년 A-4 스카이호크를 처음 도입하면서 복좌형도 도입해 운용했는데, 복좌형 A-4 스카이호크의 주요 임무는 고등훈련이었지만, 전시에는 전투임무에도 참가했기 때문에 욤 키푸르 전쟁에도 참전했다고 한다.

2003년, 마개조에 능한 이스라엘답게 복좌형 A-4 스카이호크에 무장 운용, 항법장비, 그리고 훈련장비에 관한 개수가 가해졌고, 이 개수 덕분에 다기능 HUD를 채용해 더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A-4 스카이호크를 오래 사용할수록 부품 수급이 힘들어졌고, 결국 2008년 교체가 결정되었다.[18]

여담으로 유명한 일화로 F-15가 공중충돌로 날개 한쪽을 잃어버리고도 무사귀환한 사례가 있는데, 이때 이 F-15와 충돌했던 것도 A-4N이였다(...)[19]


4.3. 아르헨티나[편집]


아르헨티나미국 외에 가장 먼저 A-4 스카이호크를 도입한 국가였는데, 1965년 도입을 결정한 이래 모두 합쳐 130대에 가까운 A-4 스카이호크를 도입했다. 아르헨티나 공군은 1966년 A-4B형 25대를 도입하고 1970년에 25대를 더 도입했다. 이 기체들은 일단 원형 그대로 도입된 다음 록히드 사에 의해 개수되어 P형으로 분류되었다. 아르헨티나 공군은 1976년에 C형 25대를 도입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해군항공대도 항공모함에서 운용하던 F9F 팬서와 F9F 쿠거를 대체하기 위해 A-4 18대(운용할 16대와 예비부품을 위한 2대)를 주문했다. 아르헨티나 해군의 스카이호크는 A-4Q로 분류되었는데 이 A-4 스카이호크들은, B형이 기반이지만 파일런이 5개에 사이드와인더 4발을 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77년 미국지미 카터 행정부는 군부독재정권의 '더러운 전쟁'을 이유로 아르헨티나에 예비부품 판매와 군사 훈련을 중단했고, 아르헨티나군은 A-4 스카이호크 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20]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포클랜드 전쟁에 A-4 스카이호크를 사용했다.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는 48대의 A-4 스카이호크를 참전시켰다.(A-4P 26대, A-4C 12대, A-4Q 10대) 이 A-4 스카이호크들은 비유도 폭탄으로 무장하고 어떠한 자기방어수단도 없는 상황에서 임무를 수행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 공군 A-4 스카이호크가 42형 구축함 HMS 코벤트리(Coventry)와 21형 호위함 HMS 앤틸로우프(Antelope)를 격침시키고, RFA Sir Galahad(손상이 너무 심해 영국군이 잠수함으로 침몰시켰다.), 42형 구축함 HMS 글래스고(Glasgow), 린더급 호위함 HMS 아고너트(Argonaut), 22형 호위함 HMS 브로드소드(Broadsword), RFA 서 트리스트람(Sir Tristram)을 대파시키고, 아르헨티나 해군의 A-4 스카이호크[21]21형 호위함 HMS 아덴트(Ardent)를 격침시켰다.

그 대가로 아르헨티나군은 시해리어에 8대, 함대공 미사일에 7대, 지대공 미사일과 대공포에 4대, 추락으로 인해 3대의 A-4 스카이호크를 손실해 모두 22대의 A-4 스카이호크(A-4B 10대, A-4C 9대, A-4Q 3대)를 손실했다.

전쟁이 끝난 다음 생존한 A-4P와 A-4C에는 20mm 기관포를 30mm 기관포로 교체하고 공대공 미사일을 업그레이드 하는 등의 개수가 가해졌고, 아르헨티나 군은 A-4 스카이호크를 잘 사용하다 1999년 퇴역시키고 그 대신 36대의 훨씬 업그레이드된 OA/A-4AR 파이팅호크를 도입했다. 이 때 몇 대의 TA-4J나 A-4E를 예비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 같이 도입했다고 한다.

1983년, 아르헨티나 해군도 A-4Q를 이스라엘이 사용하던 중고 A-4H 24대로 대체하려고 했다. 그러나 미국의 반대로 인해 이 거래는 성사되지 못했고 A-4Q는 결국 1988년에 대체기 없이 퇴역했다.


4.4. 기타 국가[편집]


  • 쿠웨이트에서 1970년대에 36대의 A-4KU 스카이호크를 구매했는데 걸프 전쟁 당시 29대의 A-4 스카이호크가 현역으로 남아 있었다고 한다. 이 기체들 중 24대가 사우디아라비아로 도망치는데 성공해 자유 쿠웨이트 공군 소속으로 활동했는데, 쿠웨이트 해방 작전 중에 1361회의 소티를 출격하면서 1대를 손실했다. 생존한 기체들은 나중에 브라질로 팔렸고 지금도 브라질 해군의 함재기로 활동하고 있다.

  • 브라질 해군은 위의 기체들을 최근까지 항공모함 함재기운용했다. F-5EM 수준의 마개조개량을 받아 레이더를 달고 중거리 공대공미사일 운용 능력을 갖추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항공모함이 퇴역하면서 함재기로 운용하진 않는다.

  • 인도네시아 공군의 A-4가 파푸아 지역[22]반군 소탕에 이용되기도 했다.

  • 싱가포르 공군에서는 A-4를 도입하여 잘 사용하다가 1980년대에 A-4를 앞으로도 좀 더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 이스라엘 공군이 그랬듯이 마개조대규모 개수 사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엔진기관포를 바꾸고 전자장비도 업그레이드하며 하드포인트도 늘리는 등의 개수를 실시해 계속 잘 사용했고, 이후 21세기가 되자 A-4가 맡던 임무는 F-15SG가 인계받아서 대신하게 되었다(…).

  • 미국에선 모 민간군사기업이 예산문제로 점점 축소되는 미공군 어그레서 부대를 대신해 가상적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회사는 A-4뿐만 아니라 MiG-21을 마개조하여 도입해[23] 사용중이다.



5. 모델[편집]



5.1. 프로토타입[편집]


  • XA4D-1: 프로토타입. 명명법 통합 전이라 A-4가 아니라 A4D라는 이름이 붙었다.
  • YA4D-1 (YA-4A, A-4A): 선행생산기. 비행 테스트 용도로 쓰였다.


5.2. A-4A[편집]


파일:external/1.bp.blogspot.com/A4D-1_VA-34+%2528CVA-60%2529+1958+web.jpg

  • A4D-1 (A-4A): 최초로 생산된 형식. 166대 생산.


5.3. A-4B[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4D-2_Skyhawk_of_VA-76_on_USS_Intrepid_(CVA-11)_c1961.jpg

  • A4D-2 (A-4B): 동체를 강화하고 공중급유 능력을 추가한 형식. 비행제어 시스템과 항법장비가 개선되었고, AGM-12 불펍 운용능력이 추가되었다. 542대 생산.
  • A-4P: 아르헨티나 공군을 위해 개수된 B형.
  • A-4Q: 아르헨티나 해군을 위해 개수된 B형.
  • A-4S: 싱가포르 공군을 위해 개수된 B형. B형과는 100가지 이상의 차이점이 있었는데, 새로운 전자장비를 탑재하기 위해 기수가 길어졌고, 후기형과 유사하게 5개의 하드포인트를 쓸 수 있었다. 또, 무선방향탐지기를 탑재하기 위해 윗부분에 안장처럼 생긴 애비오닉스 험프를 달았고, 조종실 방탄판, 스포일러, B형의 일자형 급유장치가 아닌 두 번 굽은 급유장치, 사이드와인더 운용능력, 감속낙하산 등이 추가되었다. 기관포도 변경되어 이스라엘군 A-4H와 유사하게 30mm 기관포를 탑재했는데, 싱가포르군의 기관포는 ADEN사의 것이었다. 50대 개수. 싱가포르 공군의 곡예 비행대인 Black Knights에서[24] F-16과 함께 활약하고 있다.
  • TA-4S: 위 모델의 훈련형. 일반적인 TA-4보다 71cm가 연장되었고, 뒷좌석에 앉은 교관의 시야 확보를 위해 일반적인 일체형 캐노피가 아니라 훈련생과 교관이 각자 캐노피를 달았다. 7대 B형 개조.
  • TA-4S-1: A-S의 훈련용 모델 2차분. 먼저 제작된 TA-4S와 구별하기 위해 이런 이름이 붙었다. 8대 B형 개조.
  • A4D-3: 항공전자장비를 향상시킨 모델. 그러나 생산이 시작되기 전에 취소되었다.


5.4. A-4C[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4C_Skyhawk_from_VSF-1_in_flight_over_the_Med_c1968.jpg

  • A4D-2N (A-4C): B형의 야간/전천후 공격기형. AN/APG-53A 레이더, 자동비행장비, LABS 저고도 폭탄 투하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추력이 향상된 라이트[25] J65-W-20 엔진을 탑재했다. 638대 생산.
  • A-4L: 해군 예비군과 해병대 예비군 비행대대를 위해 개수된 A-4C. 애비오닉스 험프를 포함해서 A-4F형의 전자장비를 탑재했지만 하드포인트는 그대로 3개였고, 엔진도 J65 그대로였다. 100대 개수.
  • A-4S-1: 싱가포르 공군을 위해 개수된 C형. S와는 다르게 20mm 기관포를 그대로 유지했다. 50대 개수.
  • A-4SU: A-4S를 업그레이드한 버전. 엔진을 후연기가 없는 제너럴 일렉트릭 F404로 바꾸고, 기수에 레이저 탐지 장비를 추가하고, 관성항법장치, TACAN, 전후방 레이더 경보 수신기와 채프/플레어 발사기를 탑재했다.
  • TA-4SU: TA-4S와 TA-4S-1을 A-4SU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한 버전.
  • A-4PTM: 말레이시아 공군을 위해 개수된 A-4C. 파일런 2개가 추가되고, 항공전자장비가 개선되고, 감속낙하산과 A-4M의 캐노피가 탑재되는 등 A-4M과 많이 유사해졌다. 40대 개수.
  • TA-4PTM: 소수 생산된 윗 모델의 훈련기.
  • A4D-4: 날개를 신형으로 교체한 장거리 공격기였지만 취소되었다. A-4D라는 형식번호는 A4D와 혼동될 수 있었기 때문에 쓰이지 않았다.


5.5. A-4E[편집]


파일:external/5b2e517eef1ab925b926d261b985e89e3792653b77ad0737cf0f77d5aed06b99.jpg

  • A4D-5 (A-4E): 신형 프랫&휘트니 J52-P-6A(8,400 lbf) 엔진을 장착하고, 강도가 강화된 동체에 파일런 2개를 추가하고, 진보된 항공전자장비와 TACAN, 도플러 항법 레이더, 레이더 고도계, 저고도 폭탄 투하 시스템. 척상폭격[26] 컴퓨터를 탑재한 모델. 나중에 많은 수가 추력이 더 강한 J52-P-8(9,300 lbf) 엔진을 탑재하는 업그레이드를 받았다.[27] 499대 생산.
  • TA-4E: 훈련기 형식의 프로토타입. 2대 개조.
  • A4D-6: 신형 공격기 사업을 위해 제안된 A-4. A-7에 밀려 떨어졌다.
  • A-4E Ahit: 이스라엘군에 팔린 모델로, 1971년에 이스라엘로 넘어갔다. 이 시점에서도 ECM과 채프 투하 장치가 없는 A-4E를 구매한 이유는 A-4H를 유지하기 위한 부품 수급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욤 키푸르 전쟁 당시에 근접지원용으로 사용되는데 이 때 A-4H같이 테일 파이프를 늘리는 개량을 받았다.

5.6. A-4F[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733216.jpg

  • A-4F: 동체 윗부분에 애비오닉스 험프(avionics hump)[28]를 탑재하고(나중엔 일부 C형과 E형 기체도 개수를 통해 이것을 탑재하게 되었다.) 추력이 향상된 J52-P-8A 엔진을 처음부터 탑재한 모델. 나중엔 추력이 더욱 향상된 J52-P-408(11,200 lbf) 엔진을 달았다. 147대 생산. 일부 기체는 블루 엔젤스 곡예비행팀에서 1974년부터 1986년까지 활동했다.[29]
  • TA-4F: 전환훈련기. 일반적인 A-4와 똑같지만 교관을 위해 좌석 하나가 추가되었다. 241대 생산.
  • OA-4M: 해병대의 전방항공통제 임무를 위해 개수된 TA-4F. 23대 개수.
  • EA-4F: ECM 훈련을 위해 개수된 TA-4F. 4대 개수.
  • TA-4J: A-4F형의 훈련기 전용 버전. 무장 시스템이 없고, 저가의 엔진을 달았다. 281대가 새로 생산되었고, 많은 TA-4F가 TA-4J로 개수되었다.
  • A-4G: 호주 해군을 위해 새로 제작된 A-4F의 파생형. 애비오닉스 험프가 없고, 함대 방공을 위해 사이드와인더 4발을 달 수 있었다. 8대가 새로 제작되었고 8대가 F형으로부터 개조되었다. 1982년에 퇴역했으나, 퇴역과 동시에 뉴질랜드로 배속되어 A-4K가 되었다.
  • TA-4G: A-4G의 훈련기. 2대가 새로 제작되었고, 2대가 TA-4F에서 개조되었다.
  • A-4H: 이스라엘군으로 정식 수출하기 위해 제작된 모델. 본디 미국 정부는 표면적으로 중립적인 자세를 보였기에 이스라엘에서 전투기 구매 의사를 보여도 시큰둥한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중동전쟁과 월남전의 시간대가 겹치니 더더욱 그랬다. 그러나 아랍국들이 소련의 지원을 받아 MiG기 및 수호이기들을 운용하게 되자 지원을 시작했다. 1967년부터 최초로 미 해군의 A-4F를 개수한 H를 도입하기 시작하여 Ahit(그리스어로 Vulture라는 의미)이라 명명했다. 기본적으로 같은 모델이었지만 엔진과 항공전자장비가 다운그레이드된 상태였다. (물론, 욤 키푸르 전쟁 때 보내준 것들은 A-4F 그대로였다) 이후 마개조개량이 시작되어 1970년에 기총을 30mm DEFA로 교체하고 1972년에 엔진 업그레이드와 AIM-9, Walleye, AGM-45 등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욤 키푸르 전쟁 시기에 열추적 SAM의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후미 테일파이프를 늘려 열추적 미사일에 대한 대응력을 높혔다. 90대 제작.
  • TA-4H: 위 모델의 훈련기. 항공전자장비와 시스템을 개수해 아직도 현역으로 운용되고 있다. 25대 제작.
  • A-4K: 뉴질랜드 공군을 위해 제작된 10대의 A-4. '90년대에 F-16 A/B용 레이더인 AN/APG-66을 포함한 항공전자 장비를 업그레이드하고 AGM-65 매버릭, AIM-9 사이드와인더, GBU-16 페이브웨이 II 레이저 유도 폭탄을 운용할 수 있도록 개수를 받았다. 뉴질랜드 공군은 A-4C 1대와 A-4G 10대도 도입해 동일한 개수를 했다. 그러나 항전장비는 비용 문제로 다운그레이드되어 ECM을 제거했다.
  • TA-4K: 위 모델의 훈련기. 4대가 생산되었고 5번째 기체는 나중에 예비부품 용도로 뉴질랜드에서 조립되었다.


5.7. A-4M[편집]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779932.jpg

  • A-4M: 해병대 전용의 스카이호크로 J52-P-408 엔진과 IFF를 탑재하고, 조종실 캐노피 크기가 커졌다. 나중엔 TV와 레이저 조사위치 추적 장비가 달린 AN/ASB-19 ARBS(Angle Rate Bombing System)를 탑재했다, 158대 생산.
  • A-4N: 이스라엘군을 위해 개수된 A-4M. 117대 개수.
  • A-4KU: 쿠웨이트 공군을 위해 개수된 30대의 A-4M. 나중에 브라질이 이들 중 20대를 구매해서 항공전자장비와 레이더 등을 교체하고, AF-1이라는 제식명으로 항공모함에서 잘 써먹고 있다.
  • TA-4KU: 위 모델의 훈련기 6대. 브라질이 일부 기체를 구입해서 AF-1A라고 부른다.
  • A-4AR: 아르헨티나 공군을 위해 개수된 A-4M. 신형 사출좌석, 산소발생 시스템, 신형 헬멧, 글래스 콕핏, 신형 레이더, 관성항법장치, 데이터버스, 미션 컴퓨터, 레이더 경보 수신기, IFF, 레이더 교란 장비와 채프/플래어 발사기를 탑재해 완전히 새로운 기종이 되었다고 한다.
  • OA-4AR: A-4AR의 훈련기형.
  • A-4Y: ARBS를 장착한 A-4M을 임시로 부르던 명칭. 정식으로 채택된 명칭은 아니다.


6. 기타[편집]


핵무기 분실 사고를 낸 기종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필리핀해 핵폭탄 분실사고 참고.

가끔가다 Flightradar24앱을 보면 독일 북부[30]네덜란드 북부[31]를 비행하는걸 볼 수 있다. 모 PMC 회사 소속기로 추정된다.

이름이 같은 비행기가 하나 더 있다. 다만 얘는 프로펠러 경비행기다.

7.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톰 클랜시의 소설/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에서는 중동전쟁기 이스라엘 기체로 등장한다. 이스라엘군이 확 밀리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핵폭탄을 싣고 출격한 후 실종.

  • 탑건에서는 탑건에서 가상적기 역할을 맡은 제스터, 바이퍼 등의 교관들이 사용한다.
프로파일럿의 A-4 스카이호크 해설




  • 미국 드라마 The A-Team 시즌 5에서 '소련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역으로 등장한다.#

  • 게임 워 썬더에서 미국 6랭크 공격기로 나온다. 정규트리 BR 8.7로 B형이 먼저 나왔고 추가 패치로 E형이 등장한다.
파일:A-4B_G.jpg
파일:A-4E_G.jpg
A-4B
A-4E

  • 모바일 게임 프롬 더 씨에서 튜토리얼 4단계에 지급된다. 기체 자체의 성능이 그리 좋지도 않거니와 AGM-65 매버릭과 MK82, MK83만 달 수 있어 F-8과 똑같은 초반용 기체 취급을 받는다. 초반 노가다나 미션 클리어에 좀 쓰인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경헬기
S-52, H-19
다목적헬기
UH-1E/N
수송헬기
CH-46, CH-53
공격헬기
AH-1G/J/W
대잠헬기
SH-2, SH-3, SH-60
제공 전투기
1세대
FJ-1, FJ-2, FJ-4, F2H(F-2), F9F-2, F7U, F9F-6
2세대
F3H-1/2(F-3), F-11, F8U, F4D(F-6)
3세대
F-4A/B/J/N/S, F-111B
4세대
F-18A/B/C, F-14A/B/D
해병전투기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
F3D-2Q(F-10), EA-6B, EP-3
수송기
C-1, C-2
공중급유기
KC-130
해상초계기
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
E-1, E-2C/D, E-6
훈련기
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스라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스라엘 공군 (1948~현재)
זְרוֹעַ הָאֲוִיר וְהֶחָלָל

회전익기
경헬기
SA 313B 알루에트 IIR | MD 500-TOW LahatutR
다목적 헬기
UH-1DR | AS565 팬서
수송헬기
CH-53 Yas'ur, UH-60A Yanshuf, {CH-53K}
공격헬기
AH-1G Tzefa A, AH-1Q Tzefa B, AH-1F Tzefa (C/D), AH-64A Peten | AH-64D-I Saraph
전투기
프롭
F-51(D, J26) 머스탱R | 스핏파이어 Mk IXcR | S-199 SakeenR | 브리스톨 보파이터R
1세대
미티어(NF.13, F.8)R | M.D.450B 우라강R | 미스테르 IIR | 미스테르 IVAR | F-84FL/R
2세대
SMB2 (삼바드R, 사'르)
3세대
F-4-2000 | F-4E KurnassR | 미라주 III(BJ, CJ) 샤하크R | 미라주 V, |IAI 내셔 | IAI 크피르 (C2R, C7R, NG)
4세대 / 4.5세대
IAI 라비 | IAI 나메르 | F-16(A 네츠/B) Block 1/5/10, F-16C 바락 Block 30, 40, F-16D 바락 II Block 30/40, F-16I Block 52(개량) | F-15(A 바즈, B, C, D) | F-15I 라'암 | {F-15EX}
5세대
F-35I 아디르
공격기
A-4(E, F, M, N) AyitR
폭격기
B-17GR | S.O.4050 보투르 (IIA, IIB, IIN)R
수송기
IAI 아라바R | C-130J
지원기
조기경보기
G550 CAEW
정찰기
DH.98 (FB.IV, NF.30, T.3, PR.16) MosquitoR | DH.98 TR.33 Sea Mosquito | RF-4E Orev
공중급유기
KC-707 Saknai | KC-130H Qarnaf | {KC-46}
무인기
UAV
IAI 헤론 | 헤르메스 450 | 헤르메스 900 | 헤르메스 1500
UCAV
IAI 하피 | IAI 에이탄
훈련기
프롭
T-6R | G 120A | T-6A
제트
M-346 Lavi | F-15 B/D, F-16D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말레이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AW109H LUH | MD 530G 카유스 워리어 | AS555 SN 페넥 | SE.3160 · SA.319 알루에트 IIIR
'''

다목적 헬기
'''
{UH-60A+ 블랙 호크}/L | S-61A-4 "누리" | AW139 | EC725AP 카라칼
대잠헬기
슈퍼 링스 300 | 와스프 HAS.1/R
'''[[전투기|

전투기
]]'''
'''[[1세대 전투기|

1세대
]]'''
CA-27 Mk.32 세이버R
'''[[3세대 전투기|

3세대
]]'''
F-5(E/F) 타이거 II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Su-30MKM | F/A-18D 호넷 | {FA-50M Block 20} | MiG-29(N/NUB)R
공격기
호크 208 | A-4(C/PTM) 스카이호크R | CL-41G "테부안"
'''[[정찰기|

정찰기
]]'''
전술
리어젯 35A/Avcon R/X | RF-5E 타이거아이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M-220 | DHC-4A 카리부R | DH.114 헤론 2DR | DH.104 도브 Srs.8R
전술
A400M 아틀라스 | C-130H(-30) 허큘리스 | HPR.7 다트 헤럴드 Srs.400R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R
다목적기
EA-300T | 세스나 402B · 310FR | 트윈 파이오니어 Srs.3R | 파이오니어R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ATR 72 MP 서베이어} | CN-235 MPA | 슈퍼 킹 에어 200T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130T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DJI 매빅
클래스 1 - 초소형
스카이레인저 R60 | DJI 매트리스 (210/300RTK)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CW-25DE
'''

UAV
'''
클래스 2 -전술형
CTRM 알루드라 Mk.1 | 캠콥터 S-100 | 이글 ARV
'''

UCAV
'''
클래스 3 - MALE급
{앙카-S}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C-7 Mk.II | 슈퍼 킹에어 350i | MD3-160 에어로 타이가R | 불도그 Model 102R | 프로보스트 T.51R | 칩멍크 T.20R
제트
호크 108 | MB-339(AM/CM) | TA-4PTMR
헬기
EC120 콜리브리 | 벨 47G-2R
가상적기
ALBA | 스크랩 2 | BTT-3 밴시
VIP 탑승기
ACJ320-214 프레스티지 | ACJ319-115X | B737-7H6 BBJ | 다쏘 팰컨 900B | BD-700-1A10 글로벌 익스프레스 | S-70A-34 | 포커 F28-1000C 펠로우십R | BAe 125R | AS332 L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브라질라운델.png 현대 브라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AS550, H-36, AS565
수송헬기
H-36, AS532
공격헬기
AH-2 세이버R
대잠헬기
Mk.21A 씨 링스, S-70B, H-36
전투기
1세대
글로스터 미티어R, P-80 슈팅스타R
2세대
F-5R
3세대
미라주 IIIR, F-5E/FM
4세대 / 4.5세대
F-39 그리펜
공격기
AF-1B, AMX 인터내셔널 AMX, A-29A 슈퍼 투카노
수송기
C-130M, KC-390
지원기
조기경보기
E-99M
대잠초계기
S-2E 트래커해/R, P-3CAM, P-95
정찰기
R-99
공중급유기
KC-130H, {KC-30}
무인기
UAV
IAI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훈련기
프롭
EMB 312 투카노, A-29B 슈퍼 투카노
제트
AMX 인터내셔널 AMX, F-5F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맥도넬 더글라스 로고.sv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bgcolor=#315288> 민항기 ||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DC-9MD-80MD-90MD-95(B717) ||
|| 3발기 ||DC-10MD-11 ||
|| 4발기 ||DC-8MD-12 ||
||<-2><bgcolor=#006400> 군용기 ||
|| 전투기 ||FH 팬텀F2H 밴시F3H 데몬F3D 스카이나이트F-6(F4D)F5D 스카이랜서F-4 팬텀 II
F-101F-15F/A-18F/A-18E/F ||
|| 공격기 ||BTD 디스트로이어A-1A-3A-4AV-8B ||
|| 폭격기 ||B-18A-20A-26 ||
|| 급강하폭격기 ||SBD 돈틀리스 ||
||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
|| 수송기 ||C-17C-47C-54 ||
|| 공중급유기 ||KC-10 ||
|| 훈련기 ||T-45 ||
||<-2><bgcolor=#151b54> 헬리콥터 ||
|| 군용 ||MD 500AH-64 ||
||<-2><bgcolor=#999999,#666666>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DC-1DC-2DC-3 ‧ DC-5 ||
||<bgcolor=#cccccc,#323232> 4발기 ||DC-4DC-6DC-7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어린이가 타고 노는 큼지막한 차[2] 미국의 조립 장난감 상표명. 구멍이 여럿 있는 구슬에 가느다란 막대기들을 꽂아 뭔가를 만든다.[3] 닭의 품종 중 하나로 덩치가 다른 닭에 비해 작고 가볍다. 권투나 종합격투기 체급중 하나인 밴텀급(bantamweight)이 이 닭 이름에서 딴 것이며 페더급보다 적다. 옛날 국내에 항공,군사 전문 잡지가 갓 생기던 시절에 이 별명에 쓰인 단어를 권투 체급용어 그대로 써서 '밴텀급 폭격기'라고 소개하기도 했다.[4] 공대지 기능만 탑재.[5] SBD 돈틀리스BTD 디스트로이어, A-26 인베이더, A-1 스카이레이더, A-3 스카이워리어 등을 설계한 더글라스 사의 설계 책임자로, 미군제2차 세계 대전 무렵과 냉전 무렵에 운용했던 수많은 걸작 항공기들의 설계를 책임진 인물이었다. 록히드 마틴스컹크 웍스의 리더였던 켈리 존슨과 더불어 당대의 미국을 대표하는 항공기 기술자로 명성이 높았던 인물.[6] 이런 발상으로 대성공을 거둔 전투기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무지막지한 엔진으로 떡장갑을 두른 항공대전차자주포P-47였다.[7] 통상적인 폭격 임무를 수행할 때에는 주로 자위용으로 이용되었다.[8] 공대지 능력은 제거되지 않아 무장만 교체하면 공격임무에 나설 수 있었다.[9] 이 당시 공군은 F-105와일드 위즐 기체만 제외하고 전부 퇴역시키고 F-4로 대체했다. 물론, 라오스 등지에서는 아직도 A-1이 쓰이고 있었다.[10] 미그 17은 아음속 전투기라 A-4에 비해 그리 빠른 편은 아니다.[11] 알바레즈 중위는 기체에서 탈출해 살아남지만, 포로로 잡혀 1973년 2월 12일까지 포로생활을 하게 된다.[12] 6.25 전쟁 당시 10:1이 넘어가던 교환비가 베트남전 초반 3:1 수준까지 떨어졌다. 물론 우세는 여전했지만, 미군 수뇌부에선 스펙상으로 보면 F-4 팬텀이 미그기를 완전히 압살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3:1이라는 수치는 대단히 저조한 결과라고 판단했다.[13] 그 전에 P-51 머스탱을 운용하기는 했지만 이 P-51은 미국에서 구매한 것이 아니라 스웨덴에서 구매했다.[14] 이는 사실 이스라엘 전장의 협소함이 한 몫 했다. 일단 미 해군과 달리 항공모함에서 이착함할 일이 없으니 넉넉하게 페이로드를 구성할 수 있었고, 전장 자체도 협소해서 항속 거리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별로 없었다. A-4 스카이호크같은 아음속 기종들은 보통 만적재하면 항공모함 이륙이 어려워진다.[15] 이 손실은 미국이 메웠는데, 욤 키푸르 전쟁 중에 이스라엘을 지원하면서 미 해군과 해병대가 운용하던 A-4 스카이호크 46대를 넘겼다. 욤 키푸르 전쟁이 1973년 10월이니 라인베커II 작전 이후 A-7으로 교체하면서 중고를 넘겨버린 것이다. 또한, 욤 키푸르 전쟁 초기의 손실이 심해 미 해군에서 A-4F를 제공받기도 했다.[16] 무슨 말이냐하면 2차대전 전투기들과 조준방법이 동일하다는 의미다. 이스라엘군이 6일 전쟁때 잘 써먹었던 미라주 III미스테르 IV도 탄도 계산 기능이 있었다.[17] 실제로 이런 저속 공격기의 주적은 적기가 아니라(이미 적기가 나타난 상황이면 작전이 불가능하다) MANPADS 및 AAA(대공화기)다.[18] 바로 이 사업에 T-50이 후보로 올라갔다가 이탈리아의 M-346에 밀려 떨어졌다.[19] 해당 A-4 기체는 공중충돌 직후 공중분해되었다.[20] 예를 들어 사출좌석이 고장나서 작동하지 않았다고 한다.[21] 아르헨티나 해군 함대가 철수하는 바람에 육상기지에서 발진했다.[22] 뉴기니 섬의 서쪽 절반. 나머지 절반은 파푸아뉴기니다.[23] F-16급으로 업그레이드 했다고 한다.[24] 기체의 도색은 흰색과 붉은 색이다.[25] 라이트 형제의 회사.[26] 목표물 근처에서 급상승하면서 폭탄을 투하하는 방식. 이때 폭탄은 관성에 의해 상승하다가 떨어진다. 주로 핵폭탄을 이 방식으로 투하해 도망갈 시간을 번다고 한다.[27] 다만 업그레이드 와중에 기총 장탄량이 기존에 기총 하나당 100발이었던게 80발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후 RWR을 장착하는 재개량을 통해 다시 100발로 복구되었다.[28] 전투기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장비와 센서들을 통합해 놓은 것.[29] A-4 스카이호크가 블루 엔젤스에서 활동하게 된 배경이 재밌는데, 1974년까지 블루 엔젤스에서는 F-4 팬텀을 사용했다. 그러나 1974년에 석유 파동이 오면서 연비가 나쁜 F-4 팬텀을 어쩔 수 없이 연비가 좋은 기종으로 교체하게 된다. 이 때 도입된 것이 A-4 스카이호크였다. 그러나 기동성이 좋은 A-4 스카이호크는 곡예비행 용도로 쓰기에 딱 좋았고, F/A-18 호넷으로 대체될 때까지 10년 넘게 사용되었다.[30] 브레멘, 함부르크, 플렌스부르크 인근.[31] 흐로닝언 인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18:24:00에 나무위키 A-4 스카이호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