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번 국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국도에 대한 내용은 일본 43번 국도 문서
일본 43번 국도번 문단을
일본 43번 국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Korea_National_Route_logo.png [[국도|{{{#000 대한민국의 국도
]]

[ 펼치기 · 접기 ]
종축
1 · 3 · 5 · 7 · 13 · 15 · 17 · 19 · 21 · 23 · 25 · 27 · 29 · 31 · 33 · 35 · 37 · 39 · 43 · 45 · 47 · 59 · 67 · 75 · 77 · 79 · 87
횡축
2 · 4 · 6 · 12 · 14 · 18 · 20 · 22 · 24 · 26 · 28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48 · 56 · 58 · 82 · 88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43번 국도
파일:external/cdn181.picsart.com/232113071086202.jpg
세종~고성
시점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은하수교차로
종점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실질적 종점)[1]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온정리
총 구간
294.4km
경유지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 천안시,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경기도 용인시, 광주시, 하남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광진구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시
경기도 의정부시, 포천시
강원도 철원군

1. 개요
2. 경로
3. 주요 경유지
3.1. 미개통 구간
3.2. 주요 정체 구간
4. 철도역




1. 개요[편집]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시작하여 군사분계선을 지나 이북 강원도 고성군[2]에서 끝나는 265.5km 길이의 대한민국 종축 국도이다.


2. 경로[편집]


세종평택로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구간만 도로가 개통된 상태이다. 화성시 양감면(신왕삼거리)~평택시 오성면(오성IC) 구간은 아직 국도 개설(지정) 계획이 없는데, 발안양감로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 양감IC~오성IC 구간이 이 구간을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도로 구조 상 국도 본선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닌 많은 고속도로와의 직결을 통해 핵심 교통축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2.1. 세종특별자치시 - 천안시 구간[편집]


정안세종로로 지정된 왕복 4차로 도로가 정안IC와 세종시의 은하수교차로를 잇고 있다. 왕복 4차로 구간이며, 세종시의 관문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서울 방향 최단 경로이다보니 정안IC에서의 진출입 차량이 매우 많고, 논산천안고속도로의 정체도 정안IC 전후로 흐름이 달라지는 편이다. 정안IC는 정안 방면으로 직진하면 국도로 북상하는 것이 아닌 논산천안고속도로 정안IC로 바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정안IC 교차로에서 유천교차로까지는 23번 국도와의 중첩 구간이며, 논산천안고속도로 차령터널 정체를 피해 우회하는 차량이 많이 이용한다. 유천교차로에서 1번 국도와 합류하며 이 곳도 정체가 생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양쪽 다 상습 정체 구간이다. 유천교차로에서 운당교차로까지는 1번 국도, 23번 국도와의 중첩 구간이며 운당교차로에서 분기되어 평택 방향으로 나가게 된다.


2.2. 천안시 - 평택시 구간[편집]


세종평택로로 지정된 왕복 4~6차로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아산시 탕정면 용두교차로부터 오성IC까지는 왕복 6차로이다. 오성IC에서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된다. 이 도로는 서울과 호남을 잇는 주요 경로로 기능하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의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구간의 자세한 내용은 세종평택로 문서도 참고.

운당교차로부터 오성IC까지는 국내에서도 꽤 드문 제한 속도 90km/h 구간이다. 제3경인고속화도로처럼 고속도로 규격으로 건설된 도로여서 고속도로처럼 달려도 문제가 없는 수준의 선형이나, 연약지반 구간에 건설되어 있어 교각 이음매 부분의 단차가 매우 심해 고속 주행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평택대교의 주변 부근에 있는 연약지반 구역에서 지반침하가 조금씩 일어났고 대형화물차의 잦은 운행으로 인해 도로의 요철상태가 더 심해졌다. 과속 차량이 많았던 탓에 구간단속도 실시하며, 아산-평택 거의 전 구간이 구간단속 구간이다. 아산-평택 시 경계 부근에서 구간단속 구간이 한 번 종료된 뒤 다시 시작하므로 중간에서 들어가도 구간단속 대상이 된다.


2.3. 평택시 - 수원시 구간[편집]


오성IC에서 양감면사무소까지 구간은 미개통 상태이며 도로 개설 계획도 없는 상태이다. 양감IC발안양감로를 통해 간접 연결이 되며, 평택파주고속도로를 그냥 타고 올라가도 안녕IC에서 다시 43번 국도에 합류한다. 실질적인 간선도로 역할은 고속도로 쪽이 수행하고 있다. 43번 국도 양감-향남 구간은 신도시 한복판으로 우회하거나 도로폭이 좁은 편이라 간선축 기능은 애매하다.

봉영로의 개통으로 43번 국도 수원 시내 구간이 크게 바뀌었다. 봉담, 고색을 지나 수원역을 지나던 기존 국도 구간이 모두 폐지되고, 봉영로 경유로 바뀌면서 영통구를 경유한다. 봉영로는 종점에서 흥덕IC를 통해 용인서울고속도로와 직결되지만, 43번 국도는 42번 국도를 따라 동수원사거리, 창룡문까지 우회한 후 창룡대로를 경유해 수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어 수원 시내를 크게 돌아 올라가는 모양새가 되었다. 수지 방향은 신수로를 이용해서 올라가는 것이 더 빠르다.

양감면에서 향남읍까지 왕복 2차로, 향남읍 구간은 대부분 4~6차로, 향남-수원 구간은 왕복 4차로, 봉영로는 4~6차로이며 수원 시내 구간은 왕복 6차로~14차로 이루어져 있다.


2.4. 수원시 - 광주시 구간[편집]


창룡대로, 포은대로를 통해 용인을 지나 광주 방면으로 이어진다. 수지구의 동서축 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광주시 방향의 유일한 도로여서 교통량이 매우 많다. 풍덕천사거리, 죽전사거리 인근 정체가 심하다.

수원 - 용인 간은 왕복 6차로, 용인 - 광주는 왕복 4차로이다. 주요 교차로는 입체교차되어 있지만 정체가 심해 평균 통행 속도가 높은 편은 아니다.

고산IC부터 상번천삼거리까지 45번 국도와 중첩된다. 그 외 자세한 내용은 창룡대로, 포은대로, 회안대로 문서를 참고.


2.5. 광주시 - 서울특별시 구간[편집]


중부고속도로의 옆을 따라 하남을 거쳐 서울로 향한다. 남한산성면 구간은 왕복 2차로 시절의 선형 그대로 도로만 확장해놔서 중부고속도로에 비해 선형이 매우 불량한 편이다.[3]

하남 시가지에 접어들면 천호대로와 직결되는 하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1978년 이전까지는 광주에서 서울로 이어지는 구간이 3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었다. 송파대로와 갈마터널이 개통하면서 3번 국도의 구간을 현재와 같은 송파대로~성남대로~갈마터널 구간으로 바꾸고, 기존 3번 국도 구간을 43번 국도의 일부로 편입시킨 것.

천호대교를 통해 한강을 넘어 광진구 방향으로 간다. 천호대교를 건넌 직후 아차산로를 통해 구리시 방향으로 올라가는 선형이다.


2.6. 서울특별시 - 의정부시 구간[편집]


구리시를 경유해 북상하는 형태이다. 서울 - 구리 - 의정부 구간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시가지화가 되어 고속주행이 가능한 구조는 아니며, 시내 교통량을 처리하는 도로가 된 상태이다. 퇴계원읍 일대는 우회 도로 개통으로 46번 국도, 47번 국도와 공유하는 구간이 있다. 세종포천고속도로가 43번 국도와 거의 평행하게 지나며, 43번 국도의 장거리 이동을 담당하고 있다.

전 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 일부 구간은 왕복 6차로 이상이다.


2.7. 의정부시 - 포천시 구간[편집]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 전까지는 포천시의 주요 교통로를 담당했다.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종점인 신북IC에서 43번 국도와 합류한다. 그 중에서도 의정부와 포천의 경계인 축석고개는 악명높은 상습 정체구간이었으나,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의정부 시내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져 43번 국도 교통량이 감소했다. 43번 국도는 포천까지 가는 동안 입체교차가 전혀 없어 소통이 답답하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 차량은 대부분 고속도로로 분산된 상황이다.

의정부 - 포천 간 호국로 전 구간은 왕복 4차로 이상, 그 중 의정부 금신교차로에서 포천 하송우사거리까지는 왕복 6차로이다.


2.8. 포천시 - 철원군 구간[편집]


세종포천고속도로신북IC 에서 끝나기 때문에 그 이후 구간은 43번 국도가 모든 교통량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 - 철원 간은 47번 국도와 거의 평행하게 올라가는데, 47번 국도쪽이 신호가 훨씬 적고 거리가 짧다. 실제 소요 시간은 정체 영향이 적은 43번 국도+세종포천고속도로 조합이 빠른 편.

43번 국도는 허가받지 않은 차량은 김화읍 생창리 읍내삼거리까지 갈 수 있다. 읍내삼거리의 남쪽에 초소가 있고, 읍내삼거리 - 용양삼거리 구간은 민통선 내 구간이기 때문에 사실상 막다른 길이다. 5번 국도와 교차하지만 일반 차량은 5번 국도 쪽으로 넘어갈 수 없다.

현대아산에서 금강산 관광을 했을 적 내금강 관광을 할 때 이용하던 길 중 온정각에서 금강군내까지 가는 길이 사실은 43번 국도 북한 구간의 일부이다.[4]고성읍 부분을 남한이 안가져간게 다행[5]


3. 주요 경유지[편집]


소재지
교차로명
도로명
접속
노선

중복
노선

비고
세종
은하수교차로
정안세종로
[[1번 국도|
1
]]

[[36번 국도|
36
]]



(세종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공사중




충남
공주시



덕학교차로
[[691번 지방도|
691
]]



창말교차로
(정안IC)
파일:Expressway_kor_25.svg


정안IC교차로
[[23번 국도|
23
]]



차령로
[[23번 국도|
23
]]


(차령터널)


천안시
동남구





세종


유천교차로
[[1번 국도|
1
]]


세종로
[[1번 국도|
1
]]

[[23번 국도|
23
]]





충남
천안시
동남구


행정삼거리
[[623번 지방도|
623
]]


세종


운당교차로
[[1번 국도|
1
]]

[[23번 국도|
23
]]


세종평택로


남풍세IC
파일:Expressway_kor_25.svg


충남
천안시
동남구



풍세교차로
[[629번 지방도|
629
]]



삼태교차로



아산시



북수교차로
[[21번 국도|
21
]]



현충교차로
[[624번 지방도|
624
]]



용두교차로
[[39번 국도|
39
]]



송촌교차로
[[628번 지방도|
628
]]



음봉산단교차로
[[70번 지방도|
70
]]



신항교차로



신남교차로







경기
평택시



(안중IC)
파일:Expressway_kor_17.svg

공사중
오성IC
파일:Expressway_kor_17.svg



미개통
경기
화성시
신왕삼거리
은행나무로



화리현교차로



발안양감로



향남2교차로



향남교차로



-



향남로



-



행정남로



-



행정서남로



양감입구삼거리



삼천병마로



발안사거리



가재교차로




팔탄입구삼거리




왕림교차로



봉영로



남봉담IC
파일:Expressway_kor_400.svg


안녕IC
파일:Expressway_kor_171.svg


진안교차로







수원시
영통구



-



-



영통고가사거리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삼성삼거리


수원시
영통구





수원시
팔달구


동수원사거리


경수대로


창룡문사거리


수원시
팔달구
수원시
장안구
창룡대로



경기도남부경찰청사거리



수원시
영통구



동수원IC
파일:Expressway_kor_50.svg


광교상현IC
파일:Expressway_kor_171.svg


용인시
수지구
포은대로


풍덕천사거리



죽전사거리





광주시



능원교차로



(오포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공사중
고산IC



회안대로


태전JC


벌원교차로


광주IC입구삼거리
(광주IC)
파일:Expressway_kor_35.svg

상번천리삼거리
(광주IC)
파일:Expressway_kor_35.svg


남한산성입구삼거리







하남시
하남대로



하남IC사거리
(하남IC)
파일:Expressway_kor_35.svg


황산사거리



조정대로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상일IC
파일:Expressway_kor_100.svg


강동구
송파구
천호사거리



천호대교남단
파일:Cityroad_kor_88m.svg


(천호대교)



광진구



천호대교북단

파일:Cityroad_kor_70m.svg


광장사거리


아차산로





경기
구리시


교문사거리


동구릉로

구리IC
파일:Expressway_kor_100.svg
북부간선로

사노IC
(퇴계원IC)
파일:Expressway_kor_100.svg


금강로






남양주시


진관IC




구진관IC


임송IC


내곡IC



전도치로



광전IC



송산로







의정부시



동의정부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만가대교차로



시민로



신곡고가교차로



금신로



금신교차로



호국로



자금사거리







포천시



축석교차로



소흘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부인터사거리





이가팔리입구교차로


하송우사거리





장승거리교차로
(선단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선단교차로


군내사거리


한내사거리



신북IC
파일:Expressway_kor_29.svg


신북교차로



만세교삼거리



양문교차로

신장삼거리



성동삼거리

운천제2교차로



송정검문소교차로



자일1리교차로





강원
철원군



문혜교차로



지경교차로



김화교차로




학사교차로


생창길


읍내삼거리





3.1. 미개통 구간[편집]


화성시 양감면(신왕삼거리)~평택시 오성면(오성IC) 구간은 아직 국도 개설(지정) 계획이 없는데(참고), 발안양감로를 통해 평택파주고속도로 양감IC~오성IC 구간이 이 구간을 기능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3.2. 주요 정체 구간[편집]


일단 세종시부터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구가 늘어나면서 점점 밀리는 추세이다. 그래도 정안세종로는 여전히 과속이 난무 그리고 북으로 올라가다, 죽전역 헬게이트와 광주에서 좀 밀린다. 하남시~강동역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지정되어 있다. 이후 구리에서 동창교 부근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간선도로 덕에 차가 좀 많아지다, 퇴계원도 사노IC [6] 부근에 차가 항상 많고, 별내동 구간은 그냥저냥 지나간다. 의정부시로 들어가면 의정부버스터미널 구간이 차가 많으며, 포천시로 넘어가는 길목 축석고개가 경기 북부의 헬게이트로 악명을 떨치고 있으며, 그 이후로 포천 시내까지 차가 많다. 다만, 이 부분은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으로 정체가 완화되었다. 포천 시내 이북은 한산하다.


4. 철도역[편집]


수인분당선의 영통지구 구간과 직접 접하며, 신분당선의정부 경전철이 이 도로와 인접해 있다.




[1] 비무장지대 구간을 합하면 남한구간 종점은 근동면 방통리이다.[2] 광복 당시에는 고성군 외금강면[3] 그래서 이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들의 공약이 43번 국도 남한산성면 일대 직선화이다.[4]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 전도내금강 관광 관련 기사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5] 사실상 강원도 고성군은 남한에도 있기 때문에, 휴전협정때 고성군 전 지역을 남한이 가져갔다면 43번 국도는 비무장지대 때문에 끊길 뻔했다... 다만 고성군은 38도선에서 39도선 사이에 있어서 그럴 일은 없을듯하다.[6] 47번 국도와 만남. 그 이후 내곡IC까지 중첩된다.[7] 이미 개통되어 있으나, 이북 땅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