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제2외국어과/고등학교/독일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제2외국어과/고등학교





1. 개요
2. 목표
3. 내용 체계
4. 교수⋅학습
4.1. 교수⋅학습의 방향
4.2. 교수⋅학습 방법
5. 평가
5.1. 평가의 방향
5.2. 평가 방법



1. 개요[편집]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법률적으로 고시하는 제2022-33호 [별책16]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독일어 교육은 독일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독일어로 의사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독일어권 문화와 삶의 양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독일어권 문화의 다양한 가치를 공유하며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동체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될 미래 세대에게 세계로 열린 마음과 포용적 세계관을 키워 줄 수 있다. 요컨대 우리는 독일어를 통해 삶의 지평을 확장하고 삶에 대한 시각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다. ‘독일어’ 는 독일어를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 표현을 학습하여 기초적인 독일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독일어권 각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시민 역량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2. 목표[편집]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독일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고,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독일어권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른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간단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맥락과 목적에 맞게 표현하고 상대방과 소통한다.
(2) 독일어권 문화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포용적 소통 자세를 갖춘다.
(3) 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에 관한 정보를 매체나 자료를 통하여 탐색하고 활용한다.


3. 내용 체계[편집]


독일어
※ 내용 체계는 아래 제시된 ‘언어 재료’를 기반으로 한다.
발음 및 철자: 현대 독일어 표준 발음과 정서법을 따른다.
어휘: [별표 Ⅰ]에 제시된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450개 내외의 낱말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문법: [별표 Ⅱ]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의 문법 내용을 참고하되, 다음 사항은 문법 학습 요소로 다루지 않는다.
-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과거완료 시제, 미래완료 시제, 수동태의 현재완료・과거・미래 시제, 분사 구문, 접속법 Ⅰ식, 접속법 Ⅱ식(sein, haben, werden, 화법조동사는 허용)
의사소통 표현: [별표 Ⅱ]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중심으로 다룬다.

(1) 듣기
[12독어01-01]낱말이나 간단한 구를 듣고 소리와 낱말을 식별한다.
[12독어01-02]낱말이나 간단한 구, 간단한 문장을 듣고 의미를 이해한다.
[12독어01-03]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의 대화나 자료를 듣고 정보와 맥락을 파악한다.
[12독어01-04]듣기 자료나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며 적극적으로 호응한다.

■ 성취기준 해설
• [12독어01-03] 이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친숙한 주제에 대한 대화나 자료의 내용을 들어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어와 세부 내용, 대화의 흐름, 화자 간의 관계 등을 파악하게 하고자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는 [별표 Ⅱ]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기반으로 구성된 대화나 자료에 초점을 맞추어 인사와 소개, 묘사 및 견해, 감정 및 의사, 정보 요구 및 제공, 일상생활 등과 관련된 의사소통 기능 및 상황을 고루 다룬다.
• [12독어01-04] 이 성취기준은 듣기 자료나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경청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말을 듣고 몸짓이나 표정, 감탄사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고자 설정하였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 듣기 태도 평가 시 해당 성취기준을 독립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다른 성취기준과 조합 및 재구성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 학생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례를 활용하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 영상 자료, 창작물 등을 자료로 삼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때 개인 정보가 노출되거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말하기
[12독어02-01]낱말이나 간단한 구, 간단한 문장을 발음 규칙에 유의하여 말한다.
[12독어02-02]간단한 의사소통 표현을 사용하여 상황과 맥락에 맞게 대화한다.
[12독어02-03]일상적이고 친숙한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한다.
[12독어02-04]상대방을 존중하며 말하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성취기준 해설
• [12독어02-02] 이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의 간단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의 의도 및 화자 간의 관계, 상황과 목적에 맞게 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는 [별표 Ⅱ]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기반으로 한 일상생활의 간단한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의 질문이나 학습자의 상호 활동에서 자기소개, 생각 및 입장, 선호 및 호감 표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 표현을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 등의 적절한 대화 활동을 통해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 독일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역할 놀이, 게임, 영상 등 다양한 매체와 학습 방법을 통해 관련 표현을 자연스럽게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말하기 능력에 대한 평가는 가급적 수행평가를 통해 실시하며 역할극, 묻고 답하기, 퀴즈 등의 과제를 활용하여 (학습)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로 진행한다.


(3) 읽기
[12독어03-01]낱말이나 간단한 구, 간단한 문장을 발음 규칙에 유의하여 소리 내어 읽는다.
[12독어03-02]낱말이나 간단한 구, 간단한 문장을 읽고 의미와 내용을 이해한다.
[12독어03-03]간단한 대화문이나 텍스트를 읽고 정보와 맥락을 파악한다.

■ 성취기준 해설
없음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 소리 내어 읽을 때에는, 혼자 읽기, 반 전체 함께 읽기, 짝과 번갈아 가며 읽기, 모둠원들에게 읽어 주기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낱말이나 구,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으며 몸짓이나 표정, 행동으로 이해한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 구나 문장을 학습할 때 개별 낱말의 의미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문장 전체의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읽기 자료는 시각 자료 및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자료, 인공지능 기반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흥미 있어 하는 주제의 읽기 자료를 스스로 찾아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수업이나 과제에 활용할 수 있다.
• 텍스트에 나타난 상황과 맥락 파악과 더불어 화자나 필자의 의도나 목적, 심정이나 태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4) 쓰기
[12독어04-01]낱말이나 간단한 구, 간단한 문장을 어법에 맞게 쓴다.
[12독어04-02]간단한 대화문이나 텍스트를 상황과 목적에 맞게 작성한다.
[12독어04-03]글쓰기에 흥미를 갖고 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성취기준 해설
없음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 개별 학생들의 어학 수준과 학습 속도를 고려하여 낱말을 쓰는 단순한 활동부터 어법에 맞는 쉬운 수준의 문장을 완성하는 활동까지 수준별 과제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간단하고 쉬운 텍스트 형태에서 어휘와 문법을 자연스럽게 학습하도록 한다.
• 낱말과 구, 문장 베껴 쓰기, 지시에 따라 문장 바꿔 쓰기 등 통제된 글쓰기를 단계별로 적용하되 점차 통제 정도를 줄여가면서 쓰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간단한 대화문, 간단한 텍스트(문자 메시지, 이메일,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초대장, 메모, 일기, 안내문, 광고문, 서식 등) 등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글을 쓸 수 있도록 한다.
• 다양한 텍스트의 종류를 제시하여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글의 형식이나 자주 사용되는 어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 글을 완성하는 활동을 할 때 협력적 글쓰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쓰기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 내용과 표현상의 오류를 수정할 때는 교사가 일방적으로 수정하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수정하도록 하여 배움과 성장의 과정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 자신의 감정이나 견해를 글로 표현하여 다양한 독일어 학습자 또는 원어민과 직접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5) 문화
[12독어05-01]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이해한다.
[12독어05-02]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조사하고 설명한다.
[12독어05-03]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이해하여 독일어 의사소통 상황에 활용한다.
[12독어05-04]독일어권 문화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탐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성취기준 해설
• [12독어05-03] 이 성취기준은 학습을 통해 습득한 간단한 독일어 표현을 대화 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는 [별표 Ⅱ]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의 ‘인사와 소개’ 범주의 표현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 [12독어05-03]의 성취기준을 제외한 그 외 성취기준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우리말로 수행할 것을 권장한다. 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조사할 때 학습자의 학업 경험과 독일어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우리말로 된 자료를 활용하고 우리말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독일어권 사람들의 생활 문화(의식주, 여가 활동 등), 사회 문화(인물, 예술, 지리, 환경 등)를 다룬 그림, 사진, 실물 자료, 영상 등을 활용하여 독일어권의 문화를 설명해 주고 관련 내용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한다.
• 독일어권의 문화 내용을 조사할 때 우리 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 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때는 학생의 비교, 분석, 비판 능력을 함께 평가할 수 있다.
• 학생들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독일어권 문화 내용을 조사하여 설명할 때는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정보에 대한 출처를 바르게 표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4. 교수⋅학습[편집]



4.1. 교수⋅학습의 방향[편집]


(가) 듣기-말하기, 듣기-쓰기, 읽기-말하기, 읽기-쓰기, 말하기-쓰기 등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의사소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수립한다.
(나)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독일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고,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독일어권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한다.
(다) 다양한 매체를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흥미도를 제고하고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다양한 디지털 자료 검색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한다.
(라) 학습자의 사전 학습 내용 및 경험과 연계하여 점진적으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마) 학생들의 독일어 사용 능력, 학습 유형 및 전략 등을 고려하여 과제 및 체험 활동 등 자기주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한다.

4.2. 교수⋅학습 방법[편집]


(가) 주제 및 상황별 학습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한다.
(나) 수업 도입 단계에서는 이전 학습 활동에서의 학업 성취 결과를 퀴즈 등을 통해 확인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여 보완 및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업 전개 단계에서는 학습 단계별 이해 정도를 점검하고 지도하여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점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다) 학습 활동 및 결과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자기 진단을 토대로, 학습 과제를 재구성하여 학습자 스스로 계획, 활동, 성찰을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한다.
(라)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상황과 목적에 맞게 인터넷,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휴대폰, 멀티미디어 등 ICT(정보 통신 기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 내용 및 감정과 견해 등을 공유하거나 학습자 간 쌍방향으로 소통하도록 한다.
(마)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디지털 자료를 토대로 학습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모둠별로 발표・토론하여 비판적으로 해석 및 수용하는 정보 해독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바)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와 시간을 제공하여 프로젝트 학습, 문제 기반 학습 등을 통해 협동 학습 능력을 키우도록 한다.
(사)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역할극이나 노래, 그림 그리기, 게임, 퀴즈 등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하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명료한 질문을 하여 내용 이해 여부를 확인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나 학습 자료의 도움을 통해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자)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소외되지 않도록 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문제 기반 학습 및 과제 중심 활동 등을 적절히 활용한다. 또한 개별 학습자가 자신이 성취 가능한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 평가[편집]



5.1. 평가의 방향[편집]


(가) 학습자의 통합적인 독일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개별 언어 기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통합 언어 기능에 대한 평가도 시행한다.
(나)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독일어 의사소통 능력 및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독일어권 문화를 이해하는지 평가한다. 문화적 지식뿐만 아니라 문화의 상호 비교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포함하여 평가한다.
(다) 다양한 ICT(정보 통신 기술)를 목적에 맞게 활용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학습자의 삶과 연관된 실제적인 평가 맥락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평가를 실시하여 이를 토대로 다각적인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라) 학습 성과에 대한 평가는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과 맥락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다. 학습한 내용에 대한 단순 이해 확인 차원을 넘어서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한다. 이를 위하여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학습 내용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새로운 맥락과 상황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독일어 수행 능력을 평가해야 한다.
(마) 학습자의 학업 능력, 학습 성향 및 독일어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평가 방식을 마련하여 맞춤형 평가를 시행한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습 성장을 돕는다.
(바) (학습)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통해 단계별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평가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교수・학습에 환류한다.

5.2. 평가 방법[편집]


(가) 기본 어휘와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중심으로 일상생활과 관련된 독일어 표현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언어 활동 능력을 평가한다.
(나) 원격 회의 시스템, 메타버스 등 실시간 쌍방향 플랫폼을 활용하여 인터뷰, 면접 형태의 평가 유형을 적용할 수 있다.
(다) 언어 기능에 대한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통합적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면서 교사 관찰 평가, 자기 평가, 학생 상호 평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협동 학습 과정과 학생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포함하여 평가한다.
(라) 매체를 활용한 제작 활동은 수행평가를 활용하되,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번역기를 사용하거나 우리말로 발표・토의 활동을 하는 등 수준에 따라 실시한다.
(마) 다양한 형태의 형성평가 및 수행평가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나 영상 및 오디오 자료, 이미지,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바)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둠 학습, 멘토 활동 등에 대한 형성평가를 수시로 실시하고 협동 학습 과정과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평가하여 평가가 교수・학습의 일환이 되도록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1:19:23에 나무위키 2022 개정 교육과정/제2외국어과/고등학교/독일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