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9년에 발생한 지진에 대한 내용은 2019년 홋카이도 지진 문서
2019년 홋카이도 지진번 문단을
2019년 홋카이도 지진# 부분을
, 2016년에 발생한 지진에 대한 내용은 2016년 홋카이도 지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표제어를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으로 고정하는 것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본 대지진
(최대진도 7)

{{{#ffffff

[ 펼치기 · 접기 ]
발생연월일
명칭
진앙
규모(M)
진도7 관측지역
최대 계측 진도
1995년 1월 17일
효고현 남부 지진
(고베 대지진)
일본 효고현 아와지 섬 북부
M 7.3
효고현
6.6
2004년 10월 23일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일본 니가타현 오지야시 부근
M 6.8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6.5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
일본 산리쿠 해역
M 9.1
미야기현 쿠리하라시
6.6
2016년 4월 14일
2016년 구마모토 지진
일본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M 6.5
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6.64
2016년 4월 16일
M 7.3
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구마모토현 니시하라무라
6.78
2018년 9월 6일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지방 중동부
M 6.7
홋카이도 아츠마초
6.5
일본진도(JMA)7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움직일 수 없고, 건물의 30% 이상이 파괴되는 진동이다.
자세한 내용은 진도문서 참조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平成30(2018)年北海道胆振東部地震
파일:20180906 이부리중동부 진도7.png
긴급지진속보
발령 지역

홋카이도, 아오모리현[1]
발생일시
(UTC+9)

2018년 9월 6일 03시 07분 59.3초
진앙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중동부
진원의 깊이
37km
규모
ML 6.7 / Mw 6.6
최대진도
7[2][3]
홋카이도 아쓰마정
해일여부
해일예보[4]
홋카이도 남부 해역 20cm[5]
여진 횟수
최대 여진: M 5.8, 진도 6약
진도 1 이상 286회[6][7]
피해상황
사망자 41명[8][9]
실종자 0명
부상자 약 650명
피해총액 집계 중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7
홋카이도
4
아오모리
3
이와테, 미야기
2
아키타, 야마가타, 후쿠시마
1
이바라키, 사이타마, 니가타


NHK 긴급지진속보 발령 당시 영상[10]
1. 개요
2. 피해
3. 대응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8년 9월 6일 새벽 3시 7분경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중동부에서 일어난 지진이다.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M 8.0) 이후로 홋카이도에 큰 충격과 피해를 주었으며, 관측 사상 여섯 번째로 진도 7을 관측한 지진이다.[11]

5개월 후인 2019년 2월 21일 오후 9시 22분경, 이 지진의 여진으로 보이는 M5.8의 강한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 기준 최대진도 6약이 관측되었다.


2. 피해[편집]


지진 발생 당시 최대 진도인 6강이 아비라초(安平町), 6약이 치토세시[12]삿포로시 히가시구[13]에서 관측되었다. 이후 오후 3시 30분의 기상청 기자회견에서 지금까지 진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던 아쓰마초(厚真町)의 진도가 7로 밝혀졌다. 홋카이도에서 진도 7이 기록된 건 사상 최초이다.

  • 이 지진으로 인해 홋카이도의 모든 화력발전소가 가동을 정지해, 도 내 전체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하코다테가 정전되는 장면 이후 일부 지역의 정전이 복구되었다. 2012년부터 가동을 정지한 토마리 원자력 발전소는 이상이 없지만, 수력발전소의 전력을 화력발전소 복구에 쓰고 있음에도 토마코마이시(苫小牧市) 근처에 있는 토마토아츠마 화력발전소(苫東厚真発電所)[14] 완전복구엔 1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그동안은 수력발전소와 다른 화력발전소 및 혼슈의 도호쿠전력(東北電力)에서 끌어온 전력으로 버텨야 한다고 한다. 전력 복구 자체는 7일까진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공급이 불충분해 일부는 정전이 길어질 전망이다. 6일, 경제산업성이 도내 전체 가구에 해당하는 295만 가구에서 일어난 정전에 대해 7일 아침까지 약 100만 가구 분에 해당하는 120만 킬로와트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전망을 밝혔다. # 홋카이도 전력이 발전소의 재가동을 추진해 6일 16시 삿포로시아사히카와시 등 28개 시정촌에서 약 33만 가구의 정전이 해소되었다고 밝혔다.

  • 6일 오후 2시 기준 사망자는 3명이다. 그러나 진원지인 아비라초의 바로 옆 동네인 아쓰마초(厚真町)에선 산사태로 인해 여러 가옥이 매몰되거나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고, 아쓰마초 전체가 매몰되었으며 38명의 생사가 확인되지 않았다. 부상자는 홋카이도 전체에서 최소 209명으로 집계됐다.

  • 홋카이도의 관문이나 다를 바 없는 신치토세 공항에서도 제법 큰 6약이 관측돼 천장이 일부 붕괴되는 등의 피해가 있었으며, 결국 안전 점검 및 복구를 위해 이 날 비행기 전체가 결항이 됐다. 간사이 국제공항에 이어 신치토세 공항까지 폐쇄되는 유례없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특히 이스타항공 621편은 승객들이 인천공항에서 탑승 도중에 결항이 돼 다시 내려서 돌아가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홋카이도 전체에 정전이 발생해 하코다테 공항을 포함한 홋카이도 내 모든 공항 역시 지진 당일 전 노선이 결항되었다.[15] 사실상 이 날은 홋카이도가 고립된 셈.
신치토세 공항은 다음날인 7일 오전 국내선 운항이 재개되었다.


  • 정전으로 인해 신호체계가 동작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삿포로 내 버스 3사인 JR버스, 조테츠 버스, 주오 버스 모두 운행을 중지했다. JR버스는 오전엔 운행을 시도했으나, 정오 이후 운행을 중지해버렸다.

  • 물류 시스템에도 영향을 끼쳐 편의점과 백화점 대다수도 영업을 중지했다. 편의점 등에선 사재기로 인해 식료품이 떨어졌는데 추가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6일 오전 9시 기준 세븐일레븐은 홋카이도 내 1000여 개 점포 중 970개 점포에서 정전이 일어나 음료수 등의 판매만 지속했고, 로손은 300여 개 점포의 운영을 중지했다. 도 내의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의 상당수도 휴업했고, 휴업하지 않은 곳은 들어가는 것만 해도 2시간 정도 줄을 서야 했다고 한다.




  • 9월 7일 오전 7시 진행 예정이던 닌텐도 다이렉트도 지진으로 연기돼 일주일 뒤에 진행됐다. 본사가 바로 전날 태풍 제비로 피해를 입었던 만큼 자연재해를 신경쓰는 모양.



요약된 피해 사진들 및 상황

3. 대응[편집]



4. 기타[편집]




5.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18년 지진
[[틀:지진/2017년|

2017
]]
>
2018
[[틀:지진/2019년|
>
2019
]]
발생일
규모
지진명
최대진도
01. 05.
M4.5
이바라키 지진

3

01. 23.
M8.0
1월 알래스카 지진

X

02. 04.
M6.2
2월 대만 화롄 지진


02. 06.
M6.4


02. 11.
M4.7
포항 지진


02. 26.
M7.7
파푸아뉴기니 지진


04. 09.
M6.1
시마네 지진

5+

05. 04.
M6.9
하와이 지진


06. 18.
M6.1
오사카 지진

6-

07. 07.
M6.0
치바 지진

5-

08. 05.
M6.5
인도네시아 롬복 지진


M7.0
09. 06.
M6.7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7

09. 28.
M7.5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X

10. 23.
M6.0
10월 대만 화롄 지진

4

M5.7

6

11. 30.
M7.1
11월 알래스카 지진


12. 29.
M7.0
필리핀 민다나오섬 지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35:10에 나무위키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일:hkd.png[2] 당초 6강으로 관측했으나 지진 후 아쓰마정 지진계에서 진도 7이 기록된 것이 확인되어 격상하였다.[3] 계측진도 6.5[4] NHK에서 지진해일 여부가 확인되었을 경우 총 네 차례의 멘트로 해일 여부를 알려 준다. 1. 해일 가능성 없음(예: 2022년 휴가나다 지진), 2. 해일예보 수준(예: 2021년 후쿠시마 지진), 3. 해일주의보 발령(예: 2022년 3월 후쿠시마 지진), 4. 대해일경보 및 해일경보 발령(예: 2016년 후쿠시마 지진)로 나뉜다. 이 지진의 경우 두 번째에 속했다.[5] 발생 위치가 내륙이기에 해일은 관측되지 않았다.[6] 진도 5약(弱): 1회 | 진도 4: 17회 | 진도 3: 33회 | 진도 2: 75회 | 진도 1: 159회[7] 2018년 10월 4일 0시 기준 (출처: 10월 4일 일본기상청 지진화산부)[8] 아쓰마초: 남성 20명, 여성 16명 | 삿포로시: 남성 1명 | 도마코마이시: 남성 2명 | 무카와초: 남성 1명 | 신히다카초: 남성 1명[9] 출처1: (2018년 9월 10일 20시 56분 NHK 기사), 출처3: (동월 10일 23시 57분 아사히신문 기사)[10] 공교롭게도 2016년 구마모토 지진에 대한 다큐멘터리 방송 도중 속보가 왔다. 구마모토 지진과 홋카이도 지진의 최대진도는 7로 같았다.[11] 첫 번째 ~ 여섯 번째는 각각 1995년 효고현 아와지섬 지진, 2004년 니가타 지진, 2011년 도호쿠 대지진, 2016년 4월 14일 구마모토 대지진 전진, 2016년 4월 16일 구마모토 대지진 본진.[12] 신치토세 공항이 있는 지역이다.[13] 그동안 진도정보가 계속 들어오지 않다가 9월 7일 진도가 발표되었다.[14] 홋카이도 최대의 화력발전소로, 출력량은 165만 킬로와트. 홋카이도 전체에서 쓰는 전력의 반 정도를 담당한다.[15] 홋카이도 도동지방 일부 공항의 국내선 도착편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