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r20190312

분류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한글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옛한글 자모
기본 자모
· · ·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자모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초성
각자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
ㅲ · ᄠ · ㅄ · ㅶ · ᄩ · ㅺ · ㅼ · ㅽ · ㅾ ·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 자모 문서 참고.
※ 일부 기기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한글 자모


1. 개요
2. 발음
3. 쓰인 예



1. 개요[편집]


ힽ는 옛한글 모음 중 하나다. 이 모음은 ㅣ(단모음) + ㅑ(이중 모음) + ㅗ(단모음)이므로 ힽ는 4중 모음이나 된다. 이 글자는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글자는 아니며, 중국어를 한글로 음차하기 위한 글자이다. 신자전계열의 옛날 자전을 보면 한글로 중국어 발음을 음차해 놓은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1]. 이렇게 중국어의 -iao를 비슷하게 음차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즉 발음은 이야오를 빠르게 읽는다. 비슷한 예로 -ao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ᅟᅶ가 있다. 또 다른 4중 모음은 가 있다.

나눔명조 옛한글에서는 ㅣㅑㅗ라고 입력해도 ㅣㅑ로 뜨는 폰트 에러가 있다. 2018년 시점에서 ㅣㅑㅜ는 유니코드에 중성 낱자로 실려있지 않다. 한편 반대로 ㅣㅑㅜ로 입력하면 ㅣㅑㅜ 모양의 자형이 입력되지 않는다.

2. 발음[편집]


생긴 대로 '이야오'를 빠르게 말했을 것이다. 이야오~~! '오이야'가 아니니 주의. 중국어의 要(yào) 발음과 상당히 같다.

3. 쓰인 예[편집]


유니코드 5.2에 새로 반영된 옛한글 자모 문서의 44~45쪽에 ힽ가 나온다. '한청문감'이라는 만주어·중국어 사전인 듯하다.

[1] 신라면의 봉지에 있는 씬 같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