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

덤프버전 :





훈몽자회
訓蒙字會


파일:훈몽자회.jpg

출간
1527년 (중종 22)
편저
최세진
권수
1권 1책
소장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관

1. 개요
2. 언문 자모
3. 원문
4.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훈몽자회()는 조선 중종 22년(1527)에 어문학자 최세진(崔世珍)이 지은 어린이용[1] 한자 학습서이다. 한자 3360자에 훈민정음으로 뜻과 음을 달았다.

이전까지 한자를 배우는데 교과서로 쓰던 천자문은 너무 오래 되어서 사용되는 한자가 자주 쓰이는 한자와는 거리가 멀어졌고,[2] 처음에 하늘, 우주, 해와 달 같은 게 나오듯 어린이에게는 난해한 구성인 데다가 문장도 일상생활과는 거리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런 점을 보완하려고 썼다고 한다.

그런데 현대에 이르러서는 한자 학습서로서보다, 오히려 중세 한국어 연구의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욱 높이 평가받는다. 훈민정음으로 쓰인 한자어 덕분에 중세 한국어 어휘를 다수 파악할 수 있어, 국어사 연구의 이정표가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어문회에서는 배정한자들의 대표훈음을 정할 때 이 책을 비롯한 많은 옛 문헌을 참고했다.


2. 언문 자모[편집]


파일:external/pbs.twimg.com/CgX_BHiVAAAJG9M.jpg
이 책은 현대 한글 자모 명칭의 기원이 되는 책이다. 훈몽자회의 범례에는 한글을 모르는 사람을 위해 한글 자모의 발음과 용법을 간략하게 해설했는데, 이 중 한글 자모의 발음을 설명한 부분이 바로 한글 자모 명칭의 기원이다.

위에 있는 사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3]
낱자
한자
읽기

낱자
한자
읽기

낱자
한자
읽기

其役








尼隱
니은








귿







梨乙
리을







眉音
미음







非邑
비읍


ᅀᅵ













異凝
ᅌᅵ으ᇰ









[4]


[5]


[6]
ᄋᆞ
  • 붉은 색으로 쓰여 있는 글자는 음이 아닌 훈으로 읽는다. 위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본은 해당 글자가 동그라미(○) 안에 표시되어 있다.
  • ㄱㄴㄷㄹㅁㅂㅅㆁ의 8자는 초성과 종성에 모두 온다.
    • 其尼池梨眉非時異의 경우는 초성에 쓰였고, 役隱乙音邑凝의 경우는 종성에 쓰였다.
  • ㅋㅌㅍㅈㅊㅿㅇㅎ의 8자는 초성에만 온다.
  •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ㆍ의 11자는 중성에만 온다.

이상의 내용은 전부 본문에 있는 내용이다. 즉 '기역'이니 '디귿'이니 '시옷'이니 하는 것들은 본래는 자모의 이름이 아니었다. 단지 해당 글자가 초성·종성으로 쓰인 사례를 듦으로써 발음을 설명한 것일 뿐이다. '디읃'이 아니라 '디귿'인 것도[7], '읃'이라는 발음을 가진 사례가 한자어에도 고유어에도 없었기 때문이다. '기윽'과 '시읏' 역시 마찬가지다.

한편 훗날 한글 자모의 명칭을 제작할 때, 자모의 발음을 알려주기 위한 훈몽자회의 사례를 그대로 자모의 명칭으로 활용하고, 현대 맞춤법에서 종성에도 올 수 있는 ㅋ, ㅌ, ㅍ, ㅈ, ㅊ, ㅎ는 초성 독용 8자의 패턴에서 유추하여 받침의 표기에 해당하는 이름을 만든 것이 현재의 체계이다. 남북 분단 이후 북한에서는 ㄱ, ㄷ, ㅅ의 이름을 통일성 있게 '기역', '디귿', '시옷'에서 '기윽', '디읃', '시읏'으로 바꾸었지만, 남한에서는 이름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기역', '디귿', '시옷'으로 쓰고 있다.

한편, 근대 초입에는 훈몽자회 언문 자모에는 초성 종성 통용 팔자를 수록하여 종성에 8글자만 쓸 수 있다는 규정을 만든 장본인처럼 여기기도 하는데, 이것도 최세진이 만든 규정이 아니라 당시 관습이었던 8종성법을 그대로 반영했을 뿐이다.

목록에는 ㆆ이 없는데, 훈몽자회를 제서(製書)하기 전에 ㆆ이 사라졌거나, 잘 쓰이지 않는 글자여서 굳이 가르칠 필요가 없었거나 둘 중 하나로 추정.

또한 초성에서 ㆁ과 ㅇ이 혼동됨을 알 수 있다. ㆁ이 초성에 들어간 한자로 나온 異는 ㅇ이 되어야 하며 원문에서 초성 ㆁ이 쓰이지 않는다.

또한 원문을 잘 살펴보면 學이 '학'이 아닌 'ᄒᆞᆨ'으로 써져있는 등 이 시기에 아래아의 혼동이 가끔씩 보인다.

3. 원문[편집]



4.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2:10:42에 나무위키 훈몽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蒙'자가 어린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2] 애초에 천자문은 교육용으로 만들어진 것도 아니었다.[3]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이 둘은 여기서 다운 가능), 함초롬체 LVT(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중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면 ㆁ과 ㅿ에 해당하는 읽기가 'ㆁㅣㅇㅡㆁ'과 'ㅿㅣ'로 쪼개지지 않고 제대로 보인다.[4] 종성을 읽지 않는다(不用終聲). 즉, '응'(으ᇰ)에서 '으'만 읽는다.[5] 중성만을 읽는다(只用中聲). 즉 '이'에서 'ㅣ'만 읽는다.[6] 초성을 읽지 않는다(不用初聲). 즉, 'ᄉᆞ'에서 ㅅ을 빼고 읽는다.[7] 池는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전에는 '디'로 읽었고, '끝'도 역시 중세국어에서는 '귿'이라고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