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덤프버전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황남대총
皇南大塚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추정 피장자
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북분 추정 피장자
보반부인 · 아류부인 · 차로부인 · 자비 마립간
북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남분 출토 유물
[ 펼치기 · 접기 ]





파일: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jpg
우측 상단의 유물. 왼쪽 아래 유물은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발걸이이다. 사진 속 두 유물 모두 진품이 아닌 복제품이다.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1973년부터 1975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이 황남대총을 발굴하던 중 출토된 말안장. 황금으로 도금한 동판에 비단벌레 날개로 장식한 것이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 중이지만, 아래에도 나와있는 보존 문제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공개하지 않는다.


2. 내용[편집]


황남대총 남분 부곽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황금 공예품으로, 황금빛의 금동판과 비단벌레 특유의 색이 화려하게 서로 어울리는 최상의 공예품으로 통한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발견된 비단벌레 장식 말안장으로는 유일하며, 이 정도로 비단벌레를 많이 사용한 유물은 21세기인 현재도 발견되지 않았다.

파일: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2.jpg

유물의 제작연대는 대략 4세기 후반~5세기 초반이라고 추정한다. 같은 시기에 제작되어 황남대총에 함께 묻힌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황남대총 북분 금팔찌 및 금반지,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은제 관식,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황남대총 북분 은잔, 황남대총 북분 금은제 그릇 일괄,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황남대총 남분 은관, 황남대총 남분 은제 팔뚝가리개 등 7만여 점에 이르는 유물들도 함께 나왔다.

파일: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3.jpg
<MBC에서 촬영한 복제품의 모습>

1600여 년 전 한반도에 자생하던 비단벌레 날개 2천여 장을 사용해 만들었다. 비단벌레의 날개가 빛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건조한 상태가 되면 색깔이 변하기 때문에 학계의 연구 등 특별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공개한다.

출토 당시에 이런 비단벌레 날개를 사용한 유물을 보존처리하는 방법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확립되지 않았다. 하물며 아직 고고학이나 다른 과학의 수준이 미약했던 1970년대 한국에서는 오히려 발굴되어서 곤란할 지경이었다. 아무리 뛰어난 유물이라도 제대로 보존을 못한다면 아니 발굴됨만 못한 법이다. 발굴팀은 비단벌레 장식 뒷가리개가 발견되자 큰 솜을 물에 적셔 덮고 계속 물을 뿌려주면서 시간을 벌었다. 이때 어느 화학자가 큰 공을 세웠다.

화학을 전공한, 한국원자력연구소의 김유선 박사[1]는 발굴팀의 전화를 받고 급히 경주로 내려갔다. 비단벌레 날개의 시료를 받고 다시 서울로 올라와 일주일간 시험해보다가, 완전한 보존방법은 아니나 응급처치 격으로 글리세린을 부어 보관하자는 생각을 떠올렸다. 김 박사의 연락을 받고 발굴팀은 뒷가리개를 나무상자에 넣고 글리세린을 부었는데, 아직까지도 비단벌레 장식 유물의 보존처리방법이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굴된 지 40년이 넘도록 빛과 차단된 채 순도 높은 글리세린 용액 속에 들어가 보관 중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이런 비단벌레 장식 유물이 나왔지만, 제대로 보존처리를 하지 못해 유물이 모두 훼손되었다. 그러므로 김유선 박사가 떠올린 '글리세린 용액에 담그자.'는 발상은 뛰어난 임시방편이었다. 글리세린 용액에 담그지 않은 다른 비단벌레 날개 장식 유물들은 모두 그 빛을 잃어 가치가 떨어져버렸다. 학계에서도 아직 완전한 방법이 나오지 않았고 글리세린 용액에 담그면 확실히 훼손을 막을 수 있으니 이대로 계속 하자는 판. 2017년에야 비로소 국립경주박물관은 제대로 된 보존처리기술을 확립하려는 연구를 시작했다. 경향신문 기사

파일: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5.jpg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는 황금으로 만든 맞새김판 아래에 비단벌레의 날개를 촘촘히 깔아 황금빛과 비단벌레 특유의 영롱한 초록빛이 화려하게 서로 조화를 이루는 1600년 전 최상의 공예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식법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것으로 신라시대 최상위의 계층만을 위해 사용한 기법이다.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 신라의 고도로 발달한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파일: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4.jpg
사진 출처 : 매일신문

해당 유물을 보관하고 있는 국립경주박물관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이 유물을 기념하여 경내에 비단벌레 전기차를 운영하고 있다.


3.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45:39에 나무위키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일 원자력연구소의 부소장을 역임하고 2005년 타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