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종(레 20대)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27대 레 현종에 대한 내용은 현종(레 27대) 문서
현종(레 27대)번 문단을
현종(레 27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태조 태종인종전폐제성종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헌종숙종위목제양익제중폐제
제11대제12대제13대임시복위
소종공제장종대왕장종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중종영종세종경종신종
제19대복위제20대제21대제22대
진종신종현종玄宗가종희종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유종후폐제순종의종현종顯宗
제28대감국복위
민제숭양공민제
추존
고상조 · 현조 · 선조 · 덕종 · 효종 · 우종
비정통
레방 · 레조 · 레주이멋



묘호현종(玄宗)
시호활달예총강의중정온유화락흠명문사윤공각양목황제
(闊達睿聰剛毅中正溫儒和樂欽明文思允恭恪讓穆皇帝)
레(Lê, 黎/여)
주이 부(Duy Vũ, 維禑/유우)
생몰기간1654년 ~ 1672년
재위기간1663년 ~ 1672년

1. 개요
2. 생애
3. 가계도



1. 개요[편집]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19대 황제. 묘호는 검을 현(玄) 자를 쓰는 현종(玄宗)이며 시호는 활달예총강의중정온유화락흠명문사윤공각양목황제(闊達睿聰剛毅中正溫儒和樂欽明文思允恭恪讓穆皇帝)이다. 이름은 레 주이 부(Lê Duy Vũ/黎維禑/여유우). 신종 레 주이 끼(神宗, Lê Duy Kỳ, 黎維祺/여유기)의 차남.


2. 생애[편집]


1663년, 아버지 신종이 사망하자, 차남 여유우는 황제로 즉위하였다. 현종이 재위 기간에 사용했던 연호는 깐찌(Cảnh Trị, 景治/경치, 1663년 ~ 1672년). 기독교를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으며 당시 찐씨 정권의 왕 정작(鄭柞)은 막 왕조를 평정시켰고, 청나라와 사이좋게 지냈다.

1672년, 현종이 17세의 나이로 요절하였고, 현종이 후사가 없기에 동생 레 주이 꼬이(嘉宗/가종, Lê Duy Cối, 黎維禬/여유회)가 뒤를 이었다.


3. 가계도[편집]


  • 부친: 신종(神宗) 여유기
  • 모친: 범씨(范氏)
    • 현종(玄宗) 여유우
    • 동생: 가종(嘉宗) 여유회
    • 동생: 희종(熙宗) 여유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5:23:23에 나무위키 현종(레 20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