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로동굴해면

덤프버전 :

해로동굴해면
Venus' Flower Basket

파일:Venus' Flower Basket.jpg
학명
Euplectella Aspergillum
Owen, 1841
이명
해로동혈, 비너스의 꽃바구니
분류

동물계

해면동물문(Porifera)

육방해면강(Hexactenellida)

느슨해면목(Lyssacinosida)

해로동굴해면과(Euplectellidae)

해로동굴해면속(Euplectella)
[[생물 분류 단계#s-2.8|{{{#000 }}}]]
해로동굴해면(E. aspergillum)
오언해로동굴해면(E. oweni)
야마토해로동굴해면(E. imperialis)
마셜해로동굴해면(E. marshalli)

1. 개요
2. 해로새우
3. 광섬유 기술
4. 기타



1. 개요[편집]


느슨해면목 해로동굴해면과에 속하는 해면동물의 일종. 크기는 약 10~80cm이며, 수심 100~3000m의 심해에 서식한다.

유리질의 그물 모양 골격으로 된 원통형 몸을 가지고 있으며, 몸통 내부에 있는 위강(胃腔)을 통해 플랑크톤이나 유기물을 먹고 산다.


2. 해로새우[편집]


파일:Spongicola venusta.jpg
이 해면의 위강에는 해로새우(Spongicola venusta)라고 하는 가재처럼 생긴[1] 작은 새우가 살고 있다. 이들은 해면 속에서 태어나 성장하다 해면 하나를 골라 정착하게 되는데, 이후 한 쌍의 암수가 평생을 해면 속에서 살게 된다.

종명의 해로[2]는 이러한 습성으로 인해 붙여졌다.

3. 광섬유 기술[편집]


공학계에서 해로동굴해면의 유리섬유 형성을 주목하고 있다. 광섬유에 필요한 유리섬유 제조에는 고온 조건이 필수적인데, 해로동굴해면은 이를 체내, 즉 저온에서 형성한다. 또한 이 유리섬유를 구성하는 이산화규소는 결정질이 아닌 비결정질이며, 광섬유와 마찬가지로 굴절률이 다른 코어와 클래드 구조를 갖는다. 이런 저온 조건에서의 섬유형성 제어기구를 규명하여 이른바 나노기술이나 광학 용도에 응용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중이다.

4. 기타[편집]


위와 같은 생태로 인해 일본에서는 결혼 예물로 해로동굴해면의 표본을 선물하기도 한다. 덕분에 일본에서 인지도가 굉장히 높고 추라우미 수족관 등에서도 자주 사육하는 생물.

일본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도 잠수로 잡을 수 있는 해산물 중 하나로 등장하는데, 심해 바닥에 고정되어서 사는 실제 생태와는 달리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해산물이다.[3] 덕분에 잡는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 도감에서의 모습이나 박물관에 전시된 걸 카메라로 확대해서 보면 상기한 해로새우가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영어권에서는 생김새에 주목하여 '비너스의 꽃바구니(Venus' Flower Basket)'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이 동물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건물이 바로 영국의 건축가 노먼 포스터가 설계한 30 세인트 메리 엑스 빌딩(거킨 빌딩).

[1] 실제론 가재가 아니라 이름처럼 새우(생이하목)와 더 가깝다.[2] 偕老. 중국 시경의 구절에서 나온 단어로, 주로 同穴(동혈)이라는 단어와 함께 해로동혈이라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뜻은 '함께 늙고, 같은 무덤에 안장된다'.[3] 거의 왕게와 비슷한 수준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0:37:28에 나무위키 해로동굴해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