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대학

최근 편집일시 :






파일:유성구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청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유성구의회 | 파일:보건소 CI.svg 유성구보건소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파일:attachment/medcmd.jpg 국군의무학교*
파일:attachment/medcmd.jpg 국군의학연구소*
파일:attachment/medcmd.jpg 국군대전병원*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대전지원본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지리공간정보여단*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png 제2정보통신단 제56정보통신대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png 제5정보통신단 위성관제대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자운대 근무지원단*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부*
파일:ROKA_Logistics_School_Insignia.svg 육군종합군수학교*
파일:ROKA_Signal_School_Insignia.svg 육군정보통신학교*
파일:external/www.pkgolf.co.kr/b20130824115214_pkgolf_8.jpg 전투지휘훈련단*
파일:육군대학 부대마크.svg 육군대학*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15공병단*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제53군수지원단*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대학*
파일:공군대학_마크.png 공군대학*
파일:육군군수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군수사령부
파일:제3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5보병여단 제3대대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중앙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파일:정부상징.svg 대전과학수사연구소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문화재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국제지식재산연수원
파일:정부상징.svg 관세평가분류원
파일:관세청 아이덴티티 마크.svg 대전세관
파일:정부상징.svg 금강유역환경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지방중소벤처기업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지방기상청
파일:정부상징.svg 북대전세무서
파일:정부상징.svg 원자력안전위원회 대전지역사무소
파일:정부상징.svg 범죄예방정책국 대전솔로몬로파크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대전유성우체국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대전지방법원 등기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유성경찰서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광역시경찰청 경찰특공대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경찰인재개발원 경찰견종합훈련센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인재개발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농업기술센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북부여성가족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시립박물관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동물보호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과학연수원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정보원
파일:소방청 마크.svg 대전광역시 119특수대응단
파일:소방청 마크.svg 유성소방서
* 자운대 입주기관



해군대학
海軍大學
Naval War College
파일:해군대학.jpg
창설일
1955년 7월 1일(해군대학)
약칭
해대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본부
역할
대한민국 해군의 고급지휘관 및 참모 교육기관
총장
준장 김학연(해사 46기)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자운대





1. 개요
2. 역사
3. 총장
4. 교육 과정
4.1. 과거 교육 과정
5. 해외의 유사 조직
6. 근무 환경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군해군대학은 해군장교에게 장차 고급지휘관과 참모직책을 담당함에 필요한 고등군사지식을 습득시킬 목적으로 설치된 해군의 최고학부로, 대위 이상 해군 장교군무원, 국방부 소속의 공무원 또는 파입된 교육 대상자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을 한다.[1]

미국·일본 등 30여 개국의 250여 명 학생 장교들도 해군대학을 졸업했다.#


2. 역사[편집]


해군의 고급지휘관과 참모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1955년 3월 25일 국방부 일반 명령에 의거, 진해 해군통제부 내에 해군대학이 설치되고, 그 해 7월 1일 제1기생이 입교했다.

1973년 10월 10일 해병대가 해군에 통폐합됨에 따라 상륙병과(구 해병대) 장교에 대한 교육을 위하여 1975년 8월 4일 해군대학 지휘참모 정규과정에 상륙반이 신설됐다. 1977년 7월 18일에 경상남도 진해시 충무동(지금의 창원시 진해구 충무동)으로 이전했다.

1995년 12월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자운대로 이전하였으며,[2] 2011년 12월 1일 합동군사대학교에 통합됐다.출처 이후 각 군의 대학을 다시 돌려주기로 결정되면서 2020년 12월 1일 해군본부 예하 해군대학으로 재창설됐다.


3. 총장[편집]


총장은 해군 준장이다.
역대 해군대학 총장[3]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
조부근
준장
해사 26기
~
前 총장
-
정동조
준장
해사 28기
~
前 총장
-
고병무
준장
해사 29기
2005. ~
前 총장
-
이창우
준장
해사 30기
2006. ~
前 총장
-
김영섭
준장
해2사 2기

前 총장
-
김용환
준장
해사 34기

前 총장
-
박천억
준장
해사 42기

前 총장
-
박영식
준장
해사 43기
2020.12.01 ~ 2021.06.07
前 총장
-
이승주
준장
해사 44기
2021.06.07 ~ 2022.01.30
前 총장
-
이상곤
준장
해사 45기
2022.01.30 ~ ?
前 총장
-
김학연
준장
해사 46기
2022.01.30 ~ ?
前 총장

4. 교육 과정[편집]


  • 고급지휘관 참모과정(CSC): 48주짜리 교육으로 소령을 대상으로 한다. 중간관리자인 소령을 교육하는 과정으로 회사로 치면 차장급 교육과 비슷하다. 보통 대위 때 석사 과정을 민간에서 위탁교육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과정에 입과한 사람들은 석사 이상인 경우가 많다.
  • 고급지휘관 참모특별과정: CSC에 입과하지 못한 바쁜 장교들을 위한 교육으로 실제 소집은 3주만 하고 나머지 21주는 원격으로 한다.
  • 초급지휘관 참모과정: 대위들을 대상으로 하며 16주 과정이다.
  • 지휘관보임 전 과정: 중령 이상의 함장, 전대장, 전단장 보임 전의 지휘관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다.
  • 기타과정
    • 대외부서보임 전 과정
    • 핵심리더 역량강화 과정
    • 군무원 고급관리자 과정


4.1. 과거 교육 과정[편집]


  • 정규과정
- 해군 및 해병대 소령 대상이며 교육기간은 1년이다. 육군 및 공군 소령 일부도 해군대학 정규과정에 편성되어 1년간 공부했다. 밤낮으로 공부하는 모습그리고 매일 야식 사먹는모습을 볼 수 있었다. 담임 교관은 해군 중령(해군반), 해병대 소령(해병대반)이 맡았다.
  • 단기과정
- 해군 소령 대상이며 정규과정을 짧게 압축시킨 과정이다. 해군사관학교 출신 소령의 비율이 높은 정규과정 대비 해군사관후보생학군사관후보생 출신 소령들의 비율이 높다.
  • 해상전 고등군사반
- 해군 항해, 기관, 정보, 항공 병과 대위 대상 과정이었으며 소위 임관 후 헤어진 동기들이 모처럼 모여 다시 공부한다. 가끔 1기수 또는 2기수 밑의 후배 대위들이 편성되기도 하며 선후배끼리 선의의 경쟁을 펼친다. 지금은 해군교육사령부로 이관되어 교육사 예하 전투병과학교에서 교육한다. 담임 교관은 해군 함정병과 소령이다.
  • 군수관리 고등군사반
- 해군 경리, 의정, 시설, 정훈 등 비전투병과 대위 대상 과정이며, 해고반의 교육기간과 겹치는 경우 해고반 vs 군고반의 축구 시합이 펼쳐지기도 했다.해고반은 군고반을 군고구마로 놀린다 담임 교관은 해군 소령이다.


5. 해외의 유사 조직[편집]


  • 미 해군의 경우 해군전쟁대학(Naval War College)과 캘리포니아 몬터레이에 해군대학원이 있다.
  • 해상자위대에는 해상자위대간부학교가 비슷한 역할을 한다.
파일:external/www.mod.go.jp/photo-gakkou3.jpg


6. 근무 환경[편집]


  • 해군 수병들 사이에서 내무생활이 빡신 해군 육상부대 중의 한 곳으로 소문났다.[4] 일반적으로 훈련이나 업무 강도가 덜 빡신 부대들은 똥군기를 부려 후임들을 잡는 악폐습들이 있었다.
  • 육군대학, 해군대학, 공군대학 장병들은 모두 같은 내무대를 사용했고 층수를 달리했다. 2005년 각군대학의 운전병, 조리병, 시설병 등을 먼저 모아 계룡대 근무지원단 3군대학근무지원대대 본부중대를 창설했고 얼마 후에 각군대학 사무실(행정부, 교수부 등)에서 근무하는 3군 병사들까지 모아 1중대는 육군대학 근무병, 2중대는 해군대학 근무병, 3중대는 공군대학 근무병으로 편성하였다. 그 후에 1-2-3중대 인원도 모두 섞었다. 대대장은 해병대 중령이 맡았으며 대대장 당번병과 운전병도 모두 해병대원이었다.
  • 해군대학 내에서도 일반병들과 헌병은 서로 경례를 하지 않는 아저씨 취급을 했다.
  • PX가 있었다가 없어졌다가를 반복했다. 바로 옆 건물인 공군대학의 BX를 많이 이용했다.
  • 수병들 중 전산병의 비율이 높은 부대였다. 2차 발령을 통해 부대로 전입하는 갑판병, 조리병, 병기병, 의무병 등과 달리 전산병, 전공병, 운전병, 시설병은 해군정보통신학교해군기술병과학교에서 후반기교육 수료 후 이 곳으로 바로 배치됐다.
  • 해병들도 일부 근무했다. 기수는 해군 기수를 적용했다.


7. 기타[편집]


자운대 근무지원단의 지원을 받는다.[5]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8:19:47에 나무위키 해군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수교육기관으로 대학이란 이름은 붙었지만 일반 수험생은 들어갈 수 없다. 사관학교랑 헷갈리면 곤란하다.[2] 육군대학공군대학과 같이 붙어 있다.[3]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4] 해군사관학교 근무지원단, 목포해역방어사령부 경비중대, 해군군수사령부 예하 병기탄약창 등[5] 2005~6년경 계룡대 근무지원단 산하 3군대학근무지원대대를 창설하고 해병대 중령을 대대장으로 임명하여 운영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