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박꽃나무

덤프버전 :


파일:함박꽃나무.jpg
함박꽃나무
Siebold's magnolia
이명 : 산목련, 함박꽃 목란(북한)
Magnolia sieboldii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함박꽃나무

1. 개요
2. 상세 정보
2.1. 북한의 국화



1. 개요[편집]


목련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함박꽃나무의 학명은 Magnolia sieboldii.


2. 상세 정보[편집]


대한민국에서도 주로 깊은 산지 중턱에 많이 서식하는데, 청아한 향기도 많이 풍겨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편이다. 함박꽃나무를 검색해 보면 묘목도 많이 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잘 자라면 그 키가 3~7m 정도까지 자란다.

함박꽃이라는 이름 때문에 흔히 작약꽃의 뜻과 혼동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작의 한자가 함박꽃 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엄연히 학명이 다르며[1] 생물학적 분류에서의 과도 다르다![2] 목련과 비슷하게 보이나 엄연히 다르게 분류하고 있으므로 육안으로 그냥 보기에 혼동하기 쉽다.[3]

꽃은 흰색이고 붉은 꽃밥을 가진다. 주로 5월에서 6월 사이에 개화한다. 붉고 특징적인 생김새의 동그란 열매가 9월이나 10월에 작게 열린다.

큰 잎을 가진 꽃이라는 것에서 착안해 크게 웃는 모습을 '함박웃음'이라고 표현하는 비유적 표현이 있다.


2.1. 북한의 국화[편집]


북한국화다. '목란'이라고 부른다.

원래 북한에서도 남한과 마찬가지로 해방 이후 일정 기간 동안 무궁화가 북한의 국화였으나[4] 1991년 4월 10일 김일성이 "목란꽃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향기롭고 생활력이 있기 때문에 꽃 가운데서 왕"이라며 국화로 삼을 것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북한에서는 목란이라고 하기 때문에 모란과 혼동할 수 있지만, "목란(木蘭)=목련(木蓮)≠모란(牡丹)"이고 북한에서 국화로 삼은 것은 목련 중에서도 산목련, 즉 함박꽃나무다.

북한에서 함박꽃나무(산목련)를 목란이라 부르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다. 1964년 5월 경에 김일성이 황해도 정방산에 있는 성불사의 휴양소를 찾았을 때, 만개한 함박꽃을 보고 "이처럼 좋은 꽃을 그저 함박꽃이라고 불러서는 아쉬움이 남으니, 이제부터는 이 꽃을 아름다운 꽃에 붙이는 난초(蘭草)의 "란(蘭)"자를 붙여 "목란(木蘭)"이라 부르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이후 산목련을 목란으로 개칭하였다고 한다. 또는 무궁화와 더불어 옛부터 한국을 상징했던 꽃 중 하나였거나 남북한 모두 목란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청초하고 순박한 멋이 있고 향기도 청하하기 때문에 무궁화, 진달래와 함께 야생화 매니아들에게 사랑받는 꽃이다.

이와 별개로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상징하는 김일성화와 김정일을 상징하는 김정일화가 국화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다.

북한 백원 지폐 앞면의 도안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2:15:44에 나무위키 함박꽃나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작약꽃의 학명은 Paeonia lactiflora Pall[2] 함박꽃나무는 목련과, 작약꽃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다.[3] 하지만 과와 속이 목련과 목련속으로 같다.[4]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진달래가 국화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북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던 박정희-전두환 시절 엉뚱하게도 '진달래=북괴 상징' 취급을 받아 무궁화만 띄우던 때가 있었다. 북한에서 김정숙을 '조선의 진달래' 운운하며 치켜세우긴 하지만 원래 옛날부터 진달래는 남북을 불문하고 한국인이 사랑하던 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