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킹덤)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킹덤(만화)/등장인물

1. 작중 행적
2. 여담


1. 작중 행적[편집]


757화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그의 글을 보고 법가로서의 능력에 감탄한 영정이 그를 맞이하기 위해 이신과 등을 외교 사절로 한나라에 보내 만나게 된다. 말을 더듬는 버릇이 있으며 병사로 분장하고 이신에게 접근해 대화를 시도한다. 하지만, 대화가 안된다고 그냥 가버리고 나중에 관복 차림을 입고 정체를 밝힌 채로 한왕 앞에 대령한다.

한비자가 그 자리에서 진나라가 빌어먹을 나라라고 말하자 외교사절로 같이 온 개억이 진나라를 지금 빌어먹을 나라라고 욕했냐고 따진다. 그러자, 그렇다고 인정하면서 진나라는 그 이하다. 똥 이하 오물 이하 나라라고 덧붙여 욕한다. 개억이 '지금 한나라가 진나라에게 전쟁하자고 하는 거냐'고 분통하며 따지지만 그런 말로 흥분하지 말라며 진나라는 중화통일 타령하면서 결국 전쟁을 벌이려고 한다고 깐다. 이신은 정이 그럴 놈이 아니라고 하지만 한나라 대신들은 당연히 영정이 누군지 몰라 아리송한 반응을 보여 진왕이라고 수정하며 반론하지만 한비자는 진왕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반응한다. 법이라는 건 기본적으로 사람을 믿지 못하기에 생긴, '성악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지금 진왕은 '성선설'을 믿는 정이 두터운 자로 보이기 때문에 언젠가는 둘 사이에서 반드시 파탄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이후 이신과 사람의 본성에 대한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문답을 계속하다 이신으로부터 '사람의 본질은 불'이라는 이야기와 법을 통해 사람을 바꿀 수 있다고 한비자야말로 '성선설'이 아니냐고 이신으로부터 이야기를 듣는다. 자신을 성선설로 취급하는 이신을에 어이 없어하면서도 그 대답이 마음에 들었는지 이신의 친구인 진왕에게도 흥미가 생겼다고 말하며 진으로 건너 가게 된다. 진으로 초빙되어 진왕과 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나 한비자는 근본을 잘못 보고 있으면 반드시 썩게 된다며 '성악설'을 주장하고 진왕은 사람을 믿는 걸 본질로 하는 것을 바꿀 생각 없다는 태도를 견지하여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 이후 이야기는 진과 조, 한이 얽힌 간자와 첩보전의 이야기로 흘러가게 된다.

아무튼, 이렇게 하여 진나라로 오지만, 이중간자로 활동하는 요가에 대하여 알게되고 이를 이사에게 말한다. 하지만, 요가에 의하여 허무하게 독살을 당하고 만다. 이사는 요가가 이중간자로 환기를 죽게 한 걸 알고도 아무런 정보도 보내지 않았다는 한비의 말을 생각하며 분노해 요가를 끔살로 처벌할 생각으로 그와 말을 나누지만, 요가는 자신에 대하여 눈치빠르게 알아차린 한비를 제거한 것뿐이고 자신은 조나라 정계로 깊숙히 뿌리내며 조나라를 흔드는 중이라 아직 죽으면 안된다, 진나라의 대륙통일을 위해선 내가 필요하다고 하여 이사는 한비가 생전에 경고한 요가라는 인물에 대한 무서움을 느끼며 그를 용서한다.


2. 여담[편집]


이 만화에서는 이름 자체가 '한비자'인 것처럼 계속 불리는데 이는 고증의 오류. '자(子)'는 후대의 사람들이 '선생'과 같은 존칭의 의미로 붙인 것으로 이 당시로는 '한비'로 불리는 것이 고증에 맞다. 살아 생전에 '자'라는 존칭이 붙였다는 만화 속 세계관 내의 독자 설정이 존재할 수도 있겠지만[1], 동문인 이사나 적국이라 할 수 있는 진의 사람들이나 왕후귀족들이 전부 이름인 것마냥 '한비자(한비 선생)'라고 불러대는 것은 그냥 고증 오류가 맞다. 한비자라는 명칭이 공자나 노자처럼 고유명사처럼 굳어진 감이 있어서 작가가 독자에게 친숙한 명칭을 그냥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역사 만화로서는 아쉬운 지점.

작품 외적인 관점에서 한비와 이신의 성선, 성악 문답을 보면 묘하게 작가가 본작의 영정 캐릭터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것처럼 보인다. 법과 형벌로서 가혹하게 백성들을 다스린 인간불신자에 가까운 역사 속의 진시황을, '사람은 빛이다'라는 좋든 나쁘든 유명한 대사로 집약될 수 있을 정도로 인간 예찬론자에 이상주의자에 가까운 영정이란 캐릭터로 미화하고 있다는 것은 예전부터 이 만화에 대해 꾸준히 지적되고 있었던 부분이다. 만화 속 캐릭터 한비자는 어디까지나 역시 같은 만화 세계관의 영정이라는 캐릭터의 어긋난 점이나 모순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작품 밖의 독자의 눈으로 보면 묘하게 실제 역사 속의 진시황과 만화 킹덤의 영정 사이의 괴리에 대해 떠올리게 된다. 작중에서 한비자는 '성악설'을 영정에게 강변하고 반면 영정은 '사람은 빛이다'를 바꿀 생각은 없다고 딱 잘라서 이야기하는데, '실제 진시황은 이랬다.'고 작품을 비판하는 사람들과 '내 만화 속의 영정 캐릭터는 이런 캐릭터다.'라고 말하는 작가의 입장 표명에 대한 은유로도 보이기도 한다.

한비자가 사실은 '성선론자'가 아니냐는 이신의 지적 또한, 실제 역사 상의 한비의 사상이 얼핏 보면 사람을 믿지 않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역사의 발전과 진보를 믿는' 측면이 있다고 평가 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작가가 그려낸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패턴 상 궁극적으로 주인공측인 진나라의 편을 들어주는 전개로 갈 수밖에 없지만, 한비자 파트는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비평과 역사 해석에 대한 비판을 의식하여 나름의 킹덤식 재해석을 그려내는 측면이 있다. 그 재해석이 독자에게 납득이 될지는 다른 문제지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49:16에 나무위키 한비자(킹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사의 회상을 보면 어린 시절에는 한비자가 아닌 한비로 불려졌음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