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기술연구원

덤프버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韓國電子技術硏究院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파일:한국전자기술연구원 CI.svg파일:한국전자기술연구원 CI_다크모드.svg
설립일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1][2])
본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나리로 25 (야탑동)
대표전화
031-789-7000
웹사이트
홈페이지

1. 개요
2. 기능
3. 연혁
4. 중점연구분야
5. 연구성과
6. 연구ㆍ행정부서
7. 위치
8. 보유 기술
9. 국제협력현황
10. 교육훈련지원
11. 기업협력



1. 개요[편집]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ETI(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는 산업기술혁신 촉진법 제42조[3]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에 의거하여 전자·IT산업 분야의 선도기술 개발 및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사업화 견인을 통해 전자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의 성장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문생산기술연구기관이다.

  • 사업규모 약 3,006억 원[4]
    • 핵심기술개발(74%)
    • 상생협력 (17%)
    • 글로벌협력(3%)
    • 기타(6%)
  • 인력 현황 총 540명(연구직 451명, 사업행정직 89명)[5]
    • 박사(63%)
    • 석사 (34%)
    • 학사(3%)


2. 기능[편집]


  • 연구개발
    • 전자·IT산업의 차세대 신기술 선제적 개발

  • 사업화지원
    • 상용화기술개발, 기술이전, 애로기술컨설팅 등 사업화지원

  • 인프라제공
    • 신뢰성 시험·평가·분석 및 첨단연구장비 활용지원


3. 연혁[편집]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로 설립되었으며,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이 설립되었다. 이후 2020년 8월 3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국문명칭을 변경하나 영문약칭인 KETI는 그대로 유지한다.
[ 펼치기 · 접기 ]
  • 1991년 8월 27일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 설립. 초대 김정덕 소장 취임
  • 1994년 9월 30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자정보시스템센터" 조직 인수
  • 1995년 3월 6일 산업기술협동연구센터(I-TechCenter) 및 신뢰성시험센터 설치
  • 1995년 6월 26일 제2대 장세탁 소장 취임
  • 1997년 8월 6일 국가공인시험검사기관(KOLAS) 지정
  • 1998년 6월 26일 제3대 김춘호 소장 취임
  • 1998년 8월 26일 창업보육센터 지정(중소기업청)
  •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 설립
  • 1999년 2월 1일 초대 김춘호 원장 취임
  • 1999년 4월 26일 분당 분원 설립(경기도 성남시)
  • 2000년 6월 9일 전자종합정보지원센터 설치
  • 2002년 5월 15일 부천 분원 설립(경기도 부천시)
  • 2003년 8월 29일 유비쿼터스 프론티어사업단 유치
  • 2004년 4월 1일 전자부품종합정보센터 설치
  • 2004년 4월 9일 차세대전지 성장동력사업단 주관기관 선정
  • 2005년 2월 22일 연구원 이전(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68번지)
  • 2005년 4월 1일 광주지역본부 설치
  • 2006년 12월 1일 전북나노기술집적센터 주관기관 선정
  • 2006년 12월 21일 전북지역본부 설치
  • 2007년 5월 1일 제4대 서영주 원장 취임
  • 2008년 5월 20일 상암동 DIC 디지털융합본부 이전
  • 2009년 5월 4일 제5대 최평락 원장 취임
  • 2010년 4월 2일 중소기업청 창업보육센터 지정
  • 2010년 8월 1일 차세대 음향산업 지원센터 설치
  • 2011년 5월 19일 제46회 발명의 날, 대통령 표창
  • 2012년 6월 1일 제6대 김경원 원장 취임
  • 2012년 6월 18일 시스템반도체연구본부 판교글로벌R&D센터 입주
  • 2012년 12월 5일 2012년 세계 100대 혁신기관 선정(톰슨 로이터)
  • 2013년 5월 18일 2013 세계 표준의 날, 대통령 표창
  • 2013년 7월 6일 스마트뷰티기기 사업화지원센터 설치
  • 2014년 9월 1일 3D 가상기술산업지원센터 설치(경기도 하남시)
  • 2015년 6월 8일 제7대 박청원 원장 취임
  • 2015년 8월 18일 로봇융합부품지원센터 설치(부천)
  • 2015년 11월 26일 3D융합상용화지원센터 설립(광주)
  • 2016년 11월 23일 차세대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 설립(광주)
  • 2017년 4월 26일 IoT 가전 빅데이터 센터 설치
  • 2018년 3월 16일 에어가전혁신지원센터 설치(광주)
  • 2018년 11월 13일 제8대 김영삼 원장 취임
  • 2020년 8월 3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명칭 변경
  • 2022년 2월 25일 제9대 장영진 원장 취임
  • 2022년 7월 18일 제10대 신희동 원장 취임



4. 중점연구분야[편집]


  • METAVERSE(Immersive Media)
    • XR
현실과 가상을 연결·융합하고 물리적 제약을 벗어난 몰입감 있는 활동 공간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가상현실 (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VR+AR)을 포괄
  • 홀로그램
광선들이 만날 때 발생하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사물의 입체정보를 기록하고 360도 3D 영상으로 재현하는 기술로서, 기존의 3D 영상 시청 시 양안의 각도(수렴 위치)와 초점이 달라 생기는 눈의 피로감을 근본적으로 해소
  • 디지털휴먼
사람의 신체와 행동을 데이터화하고 분석하여 마치 실재하는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재현한 가상인간으로, 비언어적 요소(표정, 제스처)를 포함한 정서 표현, 공감대 형성 등 생동적이고 감성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기술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해시함수(입력데이터 → 고정 길이 ‘해시값’ 출력) 기반으로 거래내역이 기록된 장부 (원장)를 보관하고 공동으로 검증하여, 제3의 공인기관 없이 데이터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
  • AI LIFECARE(Digital BioHealth)
    • 메디컬 빅데이터
유전체, 임상, 공공의료, 개인 생활습관 등의 정보를 포함한 국가 차원의 의료·바이오 통합 빅데이터로,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 정밀의료, 전염병 대상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
  •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체신호 및 행동패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전달하기 위해 신체에 장착(부착)하는 의료 디바이스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장치
  • 바이오칩
DNA, 단백질, 항체, 세포와 같은 생체물질을 기판 위에 집적한 마이크로칩으로, 시료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생물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질병 진단, 신약 개발 등에 사용되며 DNA칩, 단백질칩, 랩온어칩을 포함
  • 전자약
전기, 빛, 초음파로 신경회로를 자극해 대사 기능을 조절 함으로써 면역, 대사 관련 질환을 치료(완화)하는 기술 (‘전자약(Electroceuticals)’은 ‘전자(electronic)’와 ‘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
  • FULL AUTOMATION(Intelligent Mobility)
    • 자율주행솔루션
자동차, PAV 등 이동체가 운전자나 승객의 개입 없이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기능을 제어 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시스템
  • EV전장시스템
전기차에 탑재되는 전자부품 및 시스템으로 파워 트레인 (구동 모터, 배터리, 감속기 등), 공조장치(냉각펌프, 난방 장치, 열관리장치 등), 센서(Radar, LiDAR, 카메라 등), 차량 제어기(ECU),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
  • UAM
도심 지역에서 드론, PAV 등 첨단 비행체를 활용해 이동· 수송 등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고도 항공 시스템
  • 인포테인먼트UX
이동수단 내에서 운전자나 승객에게 다양한 정보, 콘텐츠, 편의 서비스 등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시스템
  • INDUSTRY 5.0(Smart Manufacturing)
    • IIoT
제조 현장의 기계, 설비, 인력 등 생산 자원을 고신뢰성· 초고속 통신으로 연결해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하고, 공장 자산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반 기술
  • 디지털 트윈
설비, 공정 등 공장 자원과 환경을 가상공간에 모사해 실제와 가상 객체를 실시간 연결하고 제품설계, 생산, 유지보수에 대한 시뮬레이션·분석을 통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예측, 제조 과정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 로보틱스
제품생산에서 출하까지 공정 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제조용 로봇 및 이와 관련된 HW/SW 기술 (제조용 로봇 : 자동제어 및 재프로그램이 가능하며 3축 이상의 다목적 축을 가진 자동조정장치)
  • 3D프린팅
디지털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소재를 적층해 3차원의 물체를 제조하는 기술로, 다품종 맞춤생산 가능
  • NET-ZERO (Sustainable Energy Environment)
    • 그린에너지솔루션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그린수소, 연료전지 등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혹은 스마트 윈도우처럼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기술 및 제품
  • 스마트그리드
전력망에 ICT를 접목해 전력생산 및 소비정보를 양방향 으로 실시간 교환함으로써 에너지효율 등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
  • 전력변환시스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필요에 따라 전달(계통연계), 저장,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적 특성(전압, 전류 등)을 변환하는 시스템으로서, AC-DC 컨버터, DC-AC 인버터, DC-DC 컨버터 등을 포함
  • VPP
디지털 트윈, IoT 등 에너지·ICT 융합기술로 다양한 분산 에너지를 가상공간에 구현해 효율적으로 운용하거나, 클라우드 기반으로 연결·제어하여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

5. 연구성과[편집]


  • 1991~2011
    • 전자부품기반기술개발
      • 전자부품 전문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
  • 1993~1998
    • 유럽형 이동통신기기 개발
      • GSM 휴대폰 수출주력 산업화
  • 1994~1998
    • 대화형 CATV시스템 개발
      • 한국형 CATV시스템 국산화
  • 1995~2000
    • 주문형 반도체 개발
      • 국내 HDTV산업 육성의 견인차
  • 1995~2002
    •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개발
      • 융합신산업 기반기술 확보
  • 1997~2000
    • 가전·멀티미디어용 소형 정밀모터 기술개발
      • 디지털 가전 멀티미디어용 핵심 구동부품 기술력 확보
  • 1999~2009
    • 차세대 대용량 정보저장장치 개발
      • 대용량 정보저장장치 상용화 기반 확보
  • 2001~2007
    • 유망전자부품 기술개발
      • 극소형모터, 플렉서블 등 핵심부품 개발
  • 2003~2008
    • 차세대 DAB·DRM 방송수신 기술개발
      • 차세대 디지털 모바일 TV/Radio 핵심기술 확보
  • 2004~2009
    • 차세대전지 성장동력 기술개발
      • 전지 기술경쟁력 제고
  • 2009~2020
    • Connected Vehicle을 위한 차량안전서비스용 무선통신 기술개발
      • 차세대 ITS 및 자율협력주행용 V2X 무선통신 기술 확보
  • 2011~2018
    • 글로벌 IoT 생태계 구축 및 IoT 서비스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 개방형 IoT 플랫폼(모비우스) 핵심기술 및 글로벌 연동 기술 확보
  • 2013~2018
    • 나노탄소 고온 필름히터 개발
      • 전기차, 생활가전용 유연 필름히터 기술 확보
  • 2016~2020
    • 스캐닝 라이다 광학엔진 원천 기술개발
      • ADAS 및 자율주행용 다채널 스캐닝 기술 확보
  • 2018~2020
    • AI 컴패니언 기술개발
      • AI기반 수어인식 핵심기술 확보
  • 2017~2021
    •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 대기안정성이 우수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소재 개발
  • 2017~2022
    • 융합센싱 및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기술 개발
      • 센서융합·AI를 활용한 자율주행 인지·판단·제어 및 가상검증 기술 확보
  • 2018~2022
    •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 기술 개발 및 국내 지자체 확산
  • 2019~2021
    • 5G FR2 대역 무선통신용 초고주파칩 개발
      • 초고속 전송에 적합한 5G 통신부품 국산화
  • 2020~2022
    • XR 기반 원격협업 솔루션 개발
      • 디지털트윈 기반 제조설비 최적화 운영 및 실-가상 연동 기술 확보
  • 2020~2023
    • 3nm급 반도체 노광공정용 EUV 펠리클 제조법 개발
      • 고투과 펠리클 제조 및 소재 관련 포트폴리오 구축


6. 연구ㆍ행정부서[편집]


출처
  • 연구본부
    • 선임연구본부 (본부장 이규복, TEL: 031-789-7100, FAX: 031-789-7109)
[ 펼치기 · 접기 ]
  • 기술정책실 (실장 이영진, TEL: 031-789-7120, FAX: 031-789-7129)
- 산업·기술 정책 기획, 연구 및 지원
- 연구원 중장기 R&D 전략 수립
- 전사 차원의 신규 사업 기획
- 기술, 산업, 정책동향 분석
  • 사업총괄실 (실장 정광철, TEL: 031-789-7130, FAX: 031-789-7129)
- 연구관리 대내외 업무 총괄
- 연구부서간 업무조정 및 협력업무
- 연구관리 시스템 개선
- 기본연구사업 관리 및 연구업무심의회 운영
- 연구관리 제도 개선
- 연구관리 규정·교육
  • 사업지원실 (실장 김남현, TEL: 031-789-7150, FAX: 031-789-7129)
- 연구과제 협약 관련 업무
- 연구과제 수행·평가 관련 업무
- 연구비 관리
- 연구과제 정산 관련 업무

  • IT소재부품연구본부 (본부장 조진우, TEL: 031-789-7200, FAX: 031-789-7209)
[ 펼치기 · 접기 ]
  • ICT디바이스·패키징연구센터 (센터장 안광호, TEL: 031-789-7225, FAX: 031-789-7209)
- 무선통신 및 광통신 부품(안테나, RF필터, FEM, RFIC, RF모듈 등)
- 5G/B5G RF부품 및 무선 플랫폼
- RF Radar 기술
- 융합시스템을 위한 차세대 패키징
- 2.5D/3D 이종소자 집적화
- 의료·건설·물류용 IT융합부품
  • 융복합전자소재연구센터 (센터장 유찬세, TEL: 031-789-7243, FAX: 031-789-7249)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3D프린팅 유무기 복합소재
- 세라믹·고분자 복합소재 및 필름공정
- 박막 성장, 후막 성형 및 적층 공정
- 고기능 압전 세라믹 및 응용모듈
- 고속/대면적 ALD 공정 및 응용
- 고성능 배리어 필름 기술
- 대면적 CVD 그래핀 합성·응용
- 스마트 윈도우용 소재 및 공정
- 친환경 복합소재 및 본딩 기술
- 고온동작반도체용 고내열접합소재 및 공정기술
- 고방열 접착제 및 EMC 소재기술
  • 나노융합기술연구센터 (센터장 이경일, TEL: 031-789-7455, FAX: 031-789-7469)
- 나노탄소 및 기능성 복합소재
- 유연인쇄전자
- 그래핀 기반 소재, 공정 및 응용 기술
- 고기능성 유리코팅 및 필름 기술
- 방열/ 발열 소재 및 응용 부품
- 미세먼지 저감소재 및 공정기술
- 환경/안전/재난 관련 기술
- 조선해양부품 응용기술
- 테라헤르츠 소자 및 응용기술
- 3D프린팅(소재-공정-제어-모니터링, 바인더제팅-광중합-회로 3D프린팅)
- LED, 마이크로 LED, 광소자 기술 및 광응용
  • 신뢰성연구센터 (센터장 마병진, TEL: 031-789-7051)
- 열신뢰성 해석 및 평가
- RF/EMC 해석 및 대책
- 전력반도체 수명평가
- 응력해석
- 신뢰성예측(MIL 217+)
- 신뢰성시험(KS, MIL, AEC-Q)
- 가속수명시험(ALT, HALT)
- 고장원인분석(2D, 3D X-ray, SAT)
- 전자현미경분석(SEM, FIB)

  • 정보통신미디어연구본부 (본부장 임승옥, TEL: 02-6388-6600, FAX: 02-6388-6609)
[ 펼치기 · 접기 ]
  • 정보미디어연구센터 (센터장 박성주, TEL: 02-6388-6647, FAX: 02-6388-6659)
- 정형·비정형 빅데이터 분석
- 클라우드·엣지컴퓨팅
- 지능형 보안플랫폼
- 미디어융합 데이터 서비스
- 상황인지·개인화 미디어 플랫폼
- 오디오 데이터 분석·성능평가
  • VR/AR연구센터 (센터장 박영충, TEL: 02-6388-6693, FAX: 02-6388-6707)
- 산업교육/가상훈련 SW·시스템
- VR 디바이스 및 SW·시스템
- AR 디바이스 및 SW·시스템
- 오감/감성 기기·시스템 및 서비스
- 초실감 인터랙션 기술
- 5G기반 클라우드 VR/AR 서비스
- 지식기반 VR/AR 응용 서비스
  • 스마트네트워크 연구센터 (센터장 권기원, TEL: 02-6388-6614, FAX: 02-6388-6679)
- 무선전력전송(전기차 무선충전, RF무선충전)
-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B-CDMA, SWIPT,무전원 통신)
- 지능형 실시간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
- 산업환경 네트워킹 기술
-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 지능형 NPU(Neural Processing Unit) 및 고속 인터페이스 PHY 기술
- 다중공간(육상/해상/우주) 데이터 송수신 기술
- 해양수산 디지털 모델링&시뮬레이션 기술
  • 콘텐츠응용연구센터 (센터장 이경택, TEL: 02-6388-6610, FAX: 02-6388-6629)
- 융·복합 콘텐츠 기술(문화, 교육, 공공안전·복지, 스포츠, 게임)
- 실감콘텐츠 기술
- 지능형 콘텐츠 기술
- 사용자 중심 인터랙션 기술
- 콘텐츠 유통·단말 기술
- 블록체인 응용 기술(콘텐츠 보호, 콘텐츠 선별/분류/접근 제어, 유통경로 추적)
  • 홀로그램 연구센터 (센터장 홍성희, TEL: 02-6388-6677, FAX: 02-6388-6689)
- 홀로그램 획득 및 생성 기술
- 홀로그램 콘텐츠 기술 개발
- 홀로그램 HOE/HMD/HUD 기술개발
- 볼류메트릭/포토매트릭 기술개발
- 메타버스용 캐릭터 및 동작 AI 생성 기술개발
- 음원 메타정보 활용 기술 개발
- 버츄얼 프로덕션용 인카메라 VFX 기술개발
- XR 스트리밍 기술개발

  • 융합시스템연구본부 (본부장 원광호, TEL: 031-789-7300, FAX: 031-789-7589)
[ 펼치기 · 접기 ]
  • 자율지능IoT연구센터 (센터장 이상신, TEL: 031-789-7570, FAX: 031-789-7589)
- IoT 플랫폼 및 데이터 허브
- IoT 통신 및 네트워크
- 자율 IoT 기술
- 디지털 트윈
- 시공간 데이터 분석 기술
- 분산 IoT 협업지능 기술
- 무인이동체 기술 (자율주행/비행, 공간인식, 관제)
- 인공지능기반 IoT 인프라 관리 기술
- 스마트 시티, 디지털 방역, 산림재난, 조선해양, 항만 등 IoT 융합 기술
  • 휴먼IT융합연구센터 (센터장 조영창, TEL: 031-789-7544, FAX: 031-789-7559)
-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 클라우드 네이티브
- 지능형 엣지 컴퓨팅
- 휴먼-AI 인터렉션 및 이해
- 디지털치료제
- 메디컬 디지털 트윈
- 에너지기반 치료기기
- 전자약 및 생체전자기기
-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 생산장비
- 스마트 뷰티기기 및 개인맞춤형 케어 시스템
- 마이크로서비스용 클라우드 기술
  • 데이터융합플랫폼연구센터 (센터장 문연국, TEL: 031-789-7320, FAX: 031-789-7338)
- 데이터 신호처리 및 머신러닝
- 3D 공간데이터 정밀 스캔 기술
- 공간데이터 획득 및 상황인지 기술
- 온·오프라인 데이터 연계 기술
- 사용자 인터렉션 기술
- 실·가상 XR 제작 플랫폼
- 산업 데이터 융합 플랫폼
- 빅데이터 분석 기술
- 데이터 처리/분석 장비
- 데이터 시멘틱 정보 구성·표현
- 산업용 데이터 가상화 기술
- IoT, 머신러닝 융합 데이터 서비스
- 데이터 유통(가치산정, 품질측정, 비 식별화 등)

  • 지능정보연구본부 (본부장 최병호, TEL: 031-739-7470, FAX: 031-739-7409)
[ 펼치기 · 접기 ]
  • 지능형영상처리연구센터 (센터장 김제우, TEL: 031-739-7472, FAX: 031-739-7499)
- 영상기반 인식 기술(객체, 표정, 제스처, 감정, 보행자, 장면, 등)
- 다중 객체 추적 기술
- 깊이정보추정 및 영상 세그먼테이션 기술
- 4D 복원 기술(실사 기반 객체 생성 및 변형 기술)
- 영상기반 모션 캡쳐 및 움직임 전이
- 영상기반 내용 이해 기술
- UHD/3D 영상 코덱 기술
- 영상 화질 개선 기술(SR, HFR, 가로세로변환, 수중영상 등)
- 모바일/엣지 디바이스용 AI 최적 경량화 기술
- 영상처리 IP 및 칩설계 기술
- NPU IP 설계 기술
  • 모빌리티플랫폼연구센터 (센터장 임기택, TEL: 031-739-7410, FAX: 031-739-7439)
- 무인이동체 센싱 신호처리 기술
- 무인이동체 인증/보안 기술
- 무인이동체 제어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
- 무인이동체 실시간 정보전송 시스템 기술
- 무인이동체 자율지능 플랫폼 기술
- 자율주행차용 고속, 고신뢰 센싱플랫폼 기술
- 드론용 고신뢰 센싱 플랫폼 기술
- V2X 플랫폼 기술
  • 지능융합SW연구센터 (센터장 강정훈, TEL: 031-739-7503, FAX: 031-739-7529)
- 산업 데이터 플랫폼 및 AI 응용 시스템
- 주력 산업용 AI 엣지 임베디드 시스템(S/W 가상화 및 컨테이너 관리)
-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제어 시스템
· 센서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측정 및 제어 펌웨어
· 센서 데이터 분석 및 구동기 제어 지능형 알고리즘 S/W

- 고신뢰 실시간지원 산업 임베디드 시스템
- 3D 그래픽스 기반 적층 전략, 적층 프로세스, 적층 해석·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 컴포넌트 기반 그래픽스 및 렌더링 프레임워크 솔루션

  • 인공지능연구센터 (센터장 신사임, TEL: 031-739-7456, FAX: 031-739-7547)
- 사람의 행동 및 의도 이해 기술
- 상황 이해, 맥락 이해 및 복합 추론 기술
- 자연어 이해 및 표현 기술
- 시각 및 언어 데이터 인공지능 생성 기술
- 콘텐츠의 내용 이해, 설명 및 분석 기술
- 고속 인공지능 추론 기술
- 지속적 이해 기반의 인터랙션, 판단, 모델링 기술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구축 및 활용 기술
-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 원천기술 연구
- 고성능 컴퓨팅 기술

  • 반도체·디스플레이연구본부 (본부장 황태호, TEL: 031-789-7313, FAX: 031-789-7339)
[ 펼치기 · 접기 ]
  • SoC플랫폼연구센터 (센터장 김병수, TEL: 031-789-7318, FAX: 031-789-7339)
- 지능형 SoC 아키텍쳐 기술
- 인공지능 SW-SoC
- 고속 인터페이스용 PHY IP기술
- 메모리 중심의 컴퓨팅 (Processor In Memory) 기술
- 자동차용 고장진단·센서 SoC 기술
- 광전-SoC 기술
- (운영조직) 반도체 및 시제품 검증지원·인증 센터
  • 융합신호SoC연구센터 (센터장 이성호, TEL: 031-789-7316, FAX: 031-789-7369)
- RF/아날로그/혼성모드 신호처리 설계 기술
- 무선통신용 RF 송수신기 기술
- 유무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회로 기술
- 지능형 레이다 센서 및 신호처리 SoC 기술
- 차세대 데이타/메모리 직렬 인터페이스 기술
- 고효율 PMIC (Power Management IC) 기술
- 인공지능 아날로그 컴퓨팅 기술
  • 디스플레이연구센터 (센터장 한철종, TEL: 031-789-7415, FAX: 031-789-7439)
- 유무기 자발광 디스플레이(OLED, QD EL, 무기 EL, micro & nano LED)
- 반사형 디스플레이 (전자종이)
- 구동 회로 및 소자 : Oxide TFTactive matrix, Passive matrix
- 자유형상 디스플레이(Flexible, Stretchable,Rollable)
-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소자(Laser holographic LCoS)
- 나노광결정, 양자점, 나노임프린트 광학 소재 및 필름
- 2D 디지털 센서 어레이 및 영상 진단 소자
- 방열, 차폐, 발열 등 대면적 기능성 소재 및 소자
- 스마트 윈도우를 위한 투명 태양 전지, 센서 및 모듈
  •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센터장 차철웅, TEL: 031-789-7270, FAX: 031-789-7279)
- 나노/MEMS기반 스마트센서(온습도, 압력, 가속도, 자기, 유량, 적외선, 초음파, 음향, THz 등)
-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터치, 촉각, 가상감각, 웨어러블 등)
- 집적광학센서(소산파 기반 센서, 레이저응용 센서 등)
- 환경/바이오센서(가스, 랩온어칩, 도파로 기반 센서 등)
- 전원 자립형 IoT 및 웨어러블 센서 기술(에너지하베스팅 및 무선전력전달)
- 스마트센서 응용 시스템

  • 스마트에너지·제조연구본부 (본부장 정인성, TEL: 031-789-7500-1, FAX: 031-789-7529)
[ 펼치기 · 접기 ]
  • 에너지IT융합연구센터 (센터장 함경선, TEL: 031-789-7510, FAX: 031-789-7529)
-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
- IoT 기반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
- 수요반응(Demand Response) 시스템
- 가상발전소(VPP)·분산자원 관리 플랫폼
- 신재생(태양광, 풍력) 제어 및 발전량 예측 기술
- 스마트그리드 및 AMI/ESS 상호운용성
- 에너지 빅데이터 플랫폼·데이터 사이언스
- 스마트 센서 태그 등 미래물류기술
  •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센터장 유지상, TEL: 031-789-7390, FAX: 031-789-7499)
- EV용 고용량/고출력 리튬이온이차전지 양음극 소재
- 고체전해질 소재 및 전고체전지
- 리튬 금속 적용 고에너지밀도 차세대전지
- 전력저장용 Redox Flow Battery
- SO2 무기전해질 기반 이차전지
- 리튬이온커패시터용 소재
- 이차전지 소재부품의 고도분석기술
- 사용 후 이차전지의 재사용, 재이용, 재활용 기술
  • 스마트제조연구센터 (센터장 송병훈, TEL: 031-759-8121, FAX: 031-759-8135)
- 스마트공장 관련 설비·SW 기술
- 5G 인더스트리 기술
- 스마트공장 기기 간 상호호환성, 확장성 지원 기술
- 개방형 IIoT 스마트공장 플랫폼, 엣지 컴퓨팅 기술
- 제조 빅데이터/AI/CPS 기술
- 공정·설비 개선 제품 및 서비스 지원 기술
- 스마트공장 기술고도화 기반구축 및 교육지원
  • 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 (센터장 박노창, TEL: 031-789-7342, FAX: 031-789-7349)
- 결정질 태양전지용 전극소재 저가화
- 고출력 기능성 태양광 모듈
- 유무기 태양전지 제조(실내광 이용)
- 플렉서블 반투명 태양전지 모듈
- 태양광 모듈 신뢰성/리사이클링
- 태양광발전시스템 실시간 진단
- 태양광발전 응용 수처리 시스템
- 스마트 팜용 ICT·IoT 디바이스

  • 스마트머신·로봇 연구단 (단장 유세현, TEL: 032-621-2848, FAX: 032-621-2855)
[ 펼치기 · 접기 ]
  • 지능로보틱스연구센터 (센터장 황정훈, TEL: 032-621-2861, FAX: 032-621-2866)
- 로보틱스 기반 서비스 기술
- 제조 및 서비스 로봇 시스템 기술
- 로봇 응용 시스템 평가 및 기술 지원
- 이동·조작·원격 등 로봇 작업 기술
- 인식·판단·행동 및 HRI 등 로봇 지능 기술
- 클라우드 기반 로봇 및 RIoT 기술
- 로봇 모션 및 공정 제어 기술
- 로봇 구동·센서·제어 모듈 기술
- 로봇용 감속기 등 정밀 기계부품 기술
- 로봇 융합부품 평가 및 기술 지원
  • 지능메카트로닉스연구센터 (센터장 서정무, TEL: 032-621-2852, FAX: 032-621-2855)
- 미래형 모빌리티용 전기추진모듈 고출력화 기술
- 고효율, 고정밀 산업용 전기기기 설계 기술
- 전동화 기반 동력전달 고도화 설계기술
- 전자계·구조·열 연성 해석 및 설계기술
- 스마트 유체기기 설계기술
- 에너지/환경/안전 연계 유동시스템 제어기술
- 다중물리 기반 능동방열구조 설계기술
  • 전력제어시스템연구센터 (센터장 김진홍, TEL: 032-621-2853, FAX: 032-621-2855)
- WBG 응용 초고밀도·고효율 전력변환 (인버터/컨버터) 솔루션
- 미래 모빌리티 전기추진용 전력변환 기술
- 신재생에너지 및 ESS용 전력변환 기술
- 실시간 다중연산 기반 고성능 모터제어 기술
- 스마트 전력제어 기반 계통 안정화 기술


  • 사업행정본부
    • 경영전략본부 (본부장 김병선, TEL: 031-789-7700, FAX: 031-789-7729)
[ 펼치기 · 접기 ]
  • 경영기획실 (실장 윤재빈, TEL: 031-789-7711, FAX: 031-789-7729)
- 비전·경영전략·사업계획 수립
- 제도개선
- 예산·자금·조직관리
- 전사·부서 목표수립과 성과평가
- 이사회·경영평가위원회 운영
  • 인재경영실 (실장 문형옥, TEL: 031-789-7720, FAX: 031-789-7729)
- 인력계획 수립·승진·승급 등 인사제도 기획/인사관리
- 복무/출장/노무관리/제증명
- 복리후생, 직무교육, 학연과정 운영
  • 총무구매관리실 (실장 차명수, TEL: 031-789-7730, FAX: 031-789-7739)
- 구매/계약
- 자산/보안관리
- 복리후생 및 총무
- 문서 및 인장관리
- 원내 행사 총괄
  • 연구안전실 (실장 최진섭, TEL: 031-789-7750, FAX: 031-789-7750)
- 연구실 안전보건관리
- 시설 안전 관리
- 보건관리/건강검진
- 소방관리
- 안전보건교육
  • 회계관리실 (실장 정성민, TEL: 031-789-7740, FAX: 031-789-7739)
- 회계결산, 지출/수입관리
- 유가증권/가지급금 관리, 세무/카드 업무
- 현금흐름/회계관리/물품검수 등
  • 정보전산실 (실장 이태엽, TEL: 031-789-7650, FAX: 031-789-7659)
- MIS, KETIS 등 전산시스템 개발/운영
- 내외부 네트워크 관리
- 정보보안 및 공용SW 관리
- 서버, 스토리지 및 장비관리

  • 기업협력본부 (본부장 강병모, TEL: 031-789-7600, FAX: 031-789-7639)
[ 펼치기 · 접기 ]
  • 기업협력총괄실 (실장 박순응, TEL: 031-789-7610, FAX: 031-789-7639)
- 기업친화형 협력 플랫폼 구축, 운영
- 기술 코디네이터 운영 및 기업협력 네트워킹
- 사업화 유망기술 기업대상 마케팅
  • 기술사업화실 (실장 김동화, TEL: 031-789-7660, FAX: 031-789-7639)
- 기술이전 계약체결 및 사후관리, 추가 R&D 연계 지원
- 민간수탁활성화 업무 총괄(협상/계약)
- 지식재산권 창출, 관리 및 활용
- 논문관리 및 표준화 활동 총괄
  • 기업성장지원실 (실장 조남영, TEL: 031-789-7630, FAX: 031-789-7639)
- 중소·중견기업 상용화 기술개발 협력사업 운영
- 연구장비 공동활용 및 신뢰성 시험·분석 지원
- 창업지원 및 창업보육센터 운영
- 대·중·소 기업재직자 맞춤형 교육 훈련
· 전략분야 : ittc.keti.re.kr
· 기업수요맞춤형 : ittb.keti.re.kr

  • 글로벌협력실 (실장 남대경, TEL: 031-789-7620, FAX: 031-789-7668)
- 연간 연구원 국제협력(R&D, 기술이전 등) 수요발굴 및 계획 수립
- 중장기 국제협력 확대 전략 기획, 운영, 지원
- 국제산업기술협력(정보, 인력교류, 공동연구 등) 기획 및 수행, 기반(네트워크, 협력거점 등) 구축
- 국제산업기술협력 협약(MOU 등)체결 등

  • 지역본부
    • 광주지역본부 (본부장 이상법, TEL: 062-975-7001, FAX: 062-975-7009)
[ 펼치기 · 접기 ]
  • 에너지변환연구센터 (센터장 박병철, TEL: 062-975-7020, FAX: 062-975-7069)
- 직류송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핵심기술
-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저장장치용 전력변환 기술
- 지능형 에너지관리 시스템
- 계통 연계 분석 및 시스템 평가
  • IT융합부품연구센터 (센터장 이승주, TEL: 062-975-7035, FAX: 062-975-7039)
- 고속 다채널 LiDAR
- 센서융합 및 다차원 공간인지 신호처리
- 인공지능 기반 3차원 다중 객체인식 기술
- 지능형 실감 인터랙션 기술
- XR 휴먼컴퓨팅
  • 스마트전장연구센터 (센터장 이상택, TEL: 062-975-7040, FAX: 062-975-7008)
- 모빌리티 시스템 지속 운영 가능한 고안전 전장 기술
- 모빌리티 기능 안전성, 보안성이 고려된 AI 운영 시스템 기술
- AIoT 연계 전력변환기 및 전장부품 핵심 기술
- 모터, 액츄에이터, 수동소자 등 전기구동 고안전 Redundancy 기술
- 전자기 센서, 전기기기 EMC, 가스 분야 방폭/본질안전 제어 및 공정기술
  • 스마트가전혁신지원센터 (센터장 이정기, TEL: 062-975-7010, FAX: 062-975-7019)
- IoMT 활용 라이프 트래킹 기술
- 비접촉 생체신호 측정기술
- 공기정화 기술(필터/타워)
- 에어가전 시험인증/기업 지원
- 장비활용 및 KOLAS 인증지원
- 스마트가전 기술고도화 및 사업화 지원
- 중소기업 재직자 역량 강화

  • 전북지역본부 (본부장 임태법, TEL: 063-219-0001, FAX: 063-219-0019)
[ 펼치기 · 접기 ]
  • 스마트전자부품연구센터 (센터장 홍영규, TEL: 063-219-0002, FAX: 063-219-0049)
- 스마트 전자부품 분야 기술 서비스 지원
- 차세대 디스플레이·반도체 소자
- 센서융합 스마트 전자부품
- 전자회로 3D프린팅
  • IT응용연구센터 (센터장 최주환, TEL: 063-219-0003, FAX: 063-219-0099)
- 차세대 자동차 전장 및 전자파 적합성 관련 부품/시스템 기술
- 데이터 기반 SW융합 농생명 기술
- 에너지 변환저장 IT융복합 부품소재
- 3D프린팅 IT융복합 부품소재
  • 기업혁신지원센터 (센터장 이은희, TEL: 063-219-0005, FAX: 063-219-0049)
- 창업·중소·벤처기업 지원(창업보육센터 운영)
- 장비지원서비스 및 전문인력 양성

  • 동남권지역본부 (본부장 이상학, TEL: 055-716-0370, FAX: 055-294-8364)
[ 펼치기 · 접기 ]
  • ICT 융합연구센터 (센터장 송병훈, TEL: 031-759-8121, FAX: 055-294-8364)
- 방산/항공 분야 정밀가공 지원 ICT 기술
- 디지털팩토리 ICT 융합 기술
- 산업로봇기반 자동화 공정 개선 기술
- 초정밀 산업 공정·설비 개선 및 ICT 융합 기술
- 스마트공장 고도화 컨설팅 및 교육
  • 기업협력센터 (센터장 오승훈, TEL: 055-716-0371, FAX: 055-294-8364)
- 데모공장 활용 현장중심 전문 인재양성 및 지역기업 사업화 지원
- 수소에너지 인프라 운영과 안전관리기술 지원
- 방위산업 기술고도화 지원
- 3D 프린팅 기술 및 인력양성 지원



7. 위치[편집]


  • 본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나리로 25 (야탑동)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판교(지능정보연구본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글로벌R&D센터 6층
  • 판교(스마트에너지제조연구본부/스마트제조연구센터)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42, 401호 (시흥동, 경기기업성장센터)
  • 상암(정보통신미디어연구본부)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1 전자회관 8~10층
  • 부천(스마트머신·로봇연구단)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송내대로 388 (약대동) 부천테크노파크 2단지 203동 101호
  • 광주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226 (오룡동)
  • 전북지역본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반룡로 111
  • 동남권지역본부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이대로 71 스마트제조공정혁신센터
  • 차세대음향산업지원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법곳길 182 (411-420)


8. 보유 기술[편집]


각 기술명 옆의 단계는 현재 기술성숙도(TRL: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의미한다.

  • IoT
[ 펼치기 · 접기 ]
  • 임베디드 인공지능 기술 (6단계)
    • 단순병렬 비교연산을 수행하는 단일 레이어 기반의 뉴로모픽 메모리를 기반으로 성능향상을 위해 제안된 기술로서, 가변형 구조를 만드는 하드웨어 기술과 가변형 구조 내에서 비교연산 처리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로 구성
  • 클라우드-엣지 연동 AI 서비스 지원 기술 (4단계)
    •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로부터 학습된 Deep learning model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혹은 엣지에 서비스를 구성하기 용이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
- 기존 학습된 모델 기반의 AI 서비스 구성 기술
- Docker Container 기반의 AI 서비스 컨테이너 구성
- Kubernetes 등 resource orchestration 도구를 통한 서비스 배포 지원
- 클라우드 VM 혹은 edge device baremetal에 적용 가능
  • 실내 미세먼지 및 환경 정보 분석 및 시각화 기술 (5단계)
    • IoT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실내의 공기 센서 데이터 값을 실외 및 다양한 요소와 비교하고 각 공간별, 시간별로 실내의 공기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 하는 플랫폼
    • 인공 지능 향후 공기 상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 생성 모듈을 호출하여 상황을 예측하고, 새로운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데이터 를 수집 가공하는 모듈을 포함
  • 산업용 IoT 데이터의 연계 및 활용 기술 (7단계)
    • 제조 산업의 근간인 여러 가지 공정 디바이스들에 IoT 기술을 접목하여 Factory-Thing의 형태로 발전시켜 상호간 연동과 매쉬업 서비스가 가능한 산업용 IoT인 IIoT 플랫폼 기술
  • nanoFET 이온 발란스 센서 (7단계)
    • 이온발란스를 관리하기 위해 nanoFET 소자를 사용하며 n형과 p형 채널 소자를 동시에 사용하여 음이온과 양 이온의 발란스뿐만 아니라 불균형 정도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음. 간단한 센싱 원리로 동작하며 저소비전 력이므로 IoT 센서에 적합하여 제조라인 전체의 이온발란스 정도를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이온발 란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현하기에 적합한 센서 기술
  • 스캐닝 LiDAR 기술 (8단계)
    • 라이다는 펄스레이저를 활용하여 전방 물체를 향해 조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얻어내는 ToF(Time of Flight) 기반 센싱 기술
  • 전기자동차용 IoT Connected 기술 (6단계)
    • 전기구동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 및 IoT Connected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전기자동차의 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임. 전기구동 시스템 및 IoT 모듈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측면의 서비스 및 기능구현이 가능한 기술
  • 휴대 단말기용 WPAN 무선 네트워크 기술 (6단계)
    • 다기능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 복합모듈로서, 휴대용 단말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체 모듈의 크기, 전력 소모 등을 최적화한 휴대 단말용 다기능 대용량 전송 근거리 무선통신 복합모듈
  • 환경 감지 IoT 응용 기술 (6단계)
    • 모바일과 연동 가능한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환경 계측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기반시설에서 사용자 주위에 발생되는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무선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주위의 센서 정보를 공유하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 기술
  • 홈 네트워크에서의 UPnP 자원 접근 권한 제어 기술 (4단계)
    • UPnP 표준에 의거한 홈 네트워크 내 접근 제어 기술을 제안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표준과 호환되는 자원 접근 제어 기술을 등록하고, 이와 함께 SOAP 기반의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HTTP RESTful API로 제공
  • 항만장비 위치 추척 기술 (6단계)
    • 항만장비 통합 모니터링 및 실시간 스케줄링을 통한 고성능 지능형 컨테이너 터미널 운용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컨테이너 터미널 최적 운용을 위한 항만장비 모니터링 기술과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술, 및 항만 가용성 극대화를 위한 실시간 계획 및 스케줄링 기술을 개발
  • 플랜트 산업안전을 위한 IoT 기술 (6단계)
    • 플랜트 설비의 구조, 공정 이상을 센싱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모듈 및 국제산업무선통신표준 규격을 준수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실시간으로 플랜트 설비 및 기기의 상태 모니터링, 사고 시뮬레이션, 이상 진단 예측, 검사자 동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관제시스템 및 응용솔루션 기술
  • 클라우드 기반 구매 관리 기술 (6단계)
    • 중소기업들이 구매관리와 납품/공급 등의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자사에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공급망 통합관리 기능과 시스템을 개발
  • 초광대역 통신 기술 (6단계)
    •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신호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을 통해 홈 네트워크의 무선 연결, 정밀한 위치추적, 근거리에 있는 전자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방식과 구현기술 등을 포함
  • 지능형 산업 시설물 관리 시스템 기술 (5단계)
    • 지능형 산업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환경에 적합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 저전력 임베디드 플랫폼기술, 스마트 센서 기술들을 활용하여 산업시설물을 지능화하고, 능동적이고 입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
  • 주변상황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기술 (6단계)
    • 다수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 주변의 환경(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게 하는 창작 도구 및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
  • 재난관리를 위한 IoT 센서 플랫폼 기술 (5단계)
    •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을 위해, 재난현장에 긴급 투입되어 이동형 상황관리를 통해 현장상황을 파악하는 IoT 기반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취합 분석하고, 표준화된 재난대응과 신속한 현장지휘를 수행하며 종합상황실로 상황정보를 실시간 동기화하여 입체적 재난관리를 구현하는 시스템 기술
  • 이종 네트워크간 상호연동을 위한 공통통신프로토콜 기술 (6단계)
    • 네트워크 프로토콜 종류에 관계없이 상위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정의하는 서비스 프로토콜을 탑재함으로써 홈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간에 상호호환성을 보장하는 기술
  • 이기종 경보시스템 상호연계 기술 (5단계)
    • 이기종 경보시스템 간 연동 인터페이스 표준화 및 프로토콜 엔진, 이기종 경보 통제 서버 및 단말표준 프로토콜, 경보전달 인터페이스 모듈 및 통합경보발령시스템, 및 예보/경보 통제 시스템 인터페이스 및 통합 경보발령 기술을 포함
  • 온도센서를 내장한 RFID 센서 태그 기술 (6단계)
    • 극초단파 주파수 대역에서 배터리 없이 동작하는 모드(Passive 모드)와 배터리에 충전하면서 동작하는 모드(Semi-active 모드)의 RFID 태그 핵심 기술과 정밀도 0.1이하의 CMOS 온도센서를 내장한 RFID TAG IC 솔루션 기술
  • 스마트 POS 시스템용 다기능 무선 접속 장치 기술 (4단계)
    • NFC, RFID, WiFi, 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모듈 등을 통합한 기술로써, NFC를 이용한 스마트 결제기술, RFID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기술, WiFi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모바일 POS(Point of Sales)에 응용할 수 있는 이종 통신 통합 크래듈 및 스마트 기기와의 접속 기술을 포함
  • 상황적응형 스케일러블 어플리케이션 제공 기술 (5단계)
    • 수시로 변화되는 환경과 상황에 적응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여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기술 및 이를 이용하여 적응형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스케일러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공
  • 무선통신용 Binary CDMA 무선 네트워크 기술 (8단계)
    • 디지털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성, 영상, 데이터를 자유롭게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로서, 산업분야 외 홈네트워크 분야에도 사용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다종 센서 기반의 GSP 위치인지 기술 (5단계)
    • 본 기술은 GPS와 저전력 관성(IMU)센서(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등), IEEE802.15.4a 등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융합하여 GPS의 위치 오차를 보정하고, 실내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무작위적 움직임의 위치 변화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 가상자원 기반 협력형 서비스 제공 기술 (5단계)
    • 홈 내의 스마트 기기들의 특성 및 제공 기능에 따라 자원을 가상화하고, 가상자원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황에 따라 가상자원을 조합하여 협력형 스마트 홈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워크 기술을 제공
  • WirelessHART 센서네트워크 기술 (5단계)
    • 기존 센서네트워크 기술에서 센서 노드가 많아질수록 데이터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한 점을 보완한 IEEE802.15.4e MAC 기술과 WirelessHART(IEC62591) 네트워크기술을 결합한 기술로서 센서노드가 많아도 데이터를 원활하게 전송가능
  • UPnP 기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기술 (3단계)
    • DLNA/ UPnP 기반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하여 홈 네트워크 내에서 보다 손쉽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
  • IoT 기반 공급망 관리 기술 (6단계)
    • 상품 이력정보, 위치정보, 환경 센싱정보가 결합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간 통신)기반 실시간 운송 및 보관 관리 환경 구축 및 IoT를 구성하는 이기종 통신 모듈의 통합을 지원하는 표준안 기반 개방화된 형태의 프레임워크(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스마트 물류환경을 이루기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 IoT 기기를 지원하는 홈 정보가전 기기 연동 제어 기술 (6단계)
    • 기존의 각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해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던 사용 환경의 개선을 통하여, 단일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하여 이종 IoT 기기의 통합 제어 및 서비스 연동 구성을 지원
  • DLNA 호환성 검증 기술 (3단계)
    • DLNA 기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하고, 기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스마트 폰,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접근하도록 하여 실제로 기기들을 동작시키지 않고도 기기 간 호환성 및 상호 운용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 400MHz 대역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 (6단계)
    • 400MHz ISM 대역의 무선 통신 기술은 FSK 통신기술로서, 2.4GHz 대역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수신감도가 매우 우수하여 저전력 무선 원거리 전송이 가능
- 전송속도 : 1.2/2.4/4.8/9.6 Kbps 이상
- 중심주파수 : 424MHz대역(20개 채널), 433MHz 대역 사용가능
- 전송거리 시험결과 : -87dBm @1.3Km(LNA 구동시 LOS 환경)

  • 첨단소재부품
[ 펼치기 · 접기 ]
  • 고성능 마그네틱 커플링 설계기술 (6단계)
    • 종래 다양한 용량의 마그네틱 커플링에 사용되는 고가의 희토류 마그네트를 출력, 사양 변화에 따라 공용화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허구조를 갖는 고성능 마그네틱 커플링 구조 및 최적화 설계기술
  • 비희토류 고효율 전동기 (7단계)
    • 전동기에 대한 효율 규제뿐만 아니라,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고성능 영구자석 핵심 소재인 희토류에 대한 자원 무기화가 빈번해지면서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고 전동기의 효율을 높이려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함. 3상 유도전동기, 동기릴럭턴스전동기 등 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전동기와, 페라이트 자석을 적용한 자속집중형 고효율 전동기 설계 기술을 확보
  • 카본브러쉬 대전방식의 전기집진 기술 (7단계)
    • 가변 구조의 다단 집진판 적용으로 동일 면적과 풍량에서 기존 일자형 전기 집진 방식 대비 우수한 집진 효율
      • 세정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다단팩 구조, 각단별 집진판 일정 각도 부여
  • 다차원 하이브리드 탄소소재 제조 및 방열/에너지소재 응용기술 (6단계)
    • 선형(1D)과 판상형(2D) 나노탄소소재를 무전해 파우더 도금 기술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화한 다차원 나노탄소 소재 제조 기술임. 또한 본 소재 특유의 고분산, 고방열, 고비표면적 특성을 이용한 고방열 부품용 플라스틱 복합체 제조 기술과 고용량, 고출력 특성을 지닌 에너지 저장소자의 전극 제조기술을 포함
  • 직접 전사를 이용한 그래핀 기반 적층체 제조기술 (4단계)
    • 기판 상에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한 경화층을 구비하여 그래핀을 기판에 직접 전사하는 기술로, 간단한 공정으로 그래핀의 특성 저하 및 오염물질 없이 그래핀 기반의 적층체 제조가 가능함. 또한, 그래핀 층의 일면에 도핑 폴리머 층을 형성하여 그래핀의 보호 및 전도도 제어도 가능
  • 스캐닝 LiDAR 기술 (8단계)
    • 라이다는 펄스레이저를 활용하여 전방 물체를 향해 조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얻어내는 ToF(Time of Flight) 기반 센싱 기술
  • 수정진동자(QCM)를 이용한 스모크 및 연기감지 센서 기술 (3단계)
    • 수정진동자 센서는 진동자 표면에 흡착하는 미세 질량에 이해 공진주파수가 바뀌는 원리로 ~ ng 수준의 질량을 감지할 수 있어 습도 변화의 감지와 연기 감지 및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음. KETI의 QCM센서는 저렴한 전자부품인 수정진동자 소자를 이용하였으며, 미세질량 변화에 의해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IoT 센서임. 연기 입자의 증가 정도를 감지하여 출력전압의 증가로 출력함
  •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저가형 광 송수신 칩셋 기술 (6단계)
    • 기가비트급 이상의 대역폭을 확보하고 값싸고 가벼운 연결을 추구하면서 차량 내 네트워크, 디지털 오디오 인터페이스 등에 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광섬유 기반 시스템에 최적화된 저가형 광 송수신 칩셋 기술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입력장치 기술 (6단계)
    • 플렉시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인체 정보(Bio)의 감지 및 위치, 음성 등의 파악을 위한 인체 밀착 및 부착형 입력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플렉시블 기판에 다양한 기능 구현 소자를 집적하기 때문에 기존에 구현할 수 없었던 대화면의 얇고, 가볍고 깨지지 않는 다기능 모바일 플렉시블 기기를 구현할 수 있음
  • 플라스틱 웨이브 가이드 기술 (6단계)
    • 밀리미터 대역의 고주파 반도체 회로 기술을 사용하여 다채널 플라스틱 웨이브 가이드에 100Gbps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가 왜곡 없이 데이터를 복원하므로, 기존 I/O 시스템에서 소모되는 비용과 전력을 획기적으로 절감 시키고 현존 최고 기술 대비 2배의 속도, 1/100이하의 전력소모를 구현하는 시장 경쟁력 및 국제 경쟁력 우위의 기술
  • 탄소나노튜브 전도성 필름 기술 (6단계)
    • CNT 코팅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분산 기술 및 분산안정성 평가 기술, CNT 코팅액 조성물 및 기판 전처리 기술, 코팅된 CNT 전도성 필름의 환경안정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바인더 및 후처리 코팅 조성물, 및 CNT 코팅 필름의 미세 패터닝 기술을 포함하여 대량 생산에 적합한 롤코팅 방식으로 전도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CNT 투명전극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음
  • 클락 동기화된 고속 저 전력 송수신기 (6단계)
    • 밀리미터 데이터 안테나와 클락*용 안테나의 공동구성을 통한 통신효율성 향상, CDR* 회로의 제거를 통한 전력효율 향상, 송신단에서 필요로 하는 코딩의 제거를 통한 통신속도 향상 등을 구현하는 기술
      • 클락(Clock) : 디지털회로에서 타이밍의 기초가 되는 신호
      • CDR(Clock Data Recovery) : 수신데이터를 정확히 재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수신측 회로
  • 커넥션용 비등방성 접속 부품 및 소재 기술 (6단계)
    • 정렬된 3차원 고분자 복합체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만 전기 및 열을 진행시키는 차세대 비등방성 접속 부품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초미세 피치를 가지는 전기전도 커넥터(~100μm 급) 또는 초 고열전도 소재 (~50W/mK 급)를 제조할 수 있음
  • 침투율 측정을 위한 반응 물질 카트리지 및 측정 장치 기술 (4단계)
    • 칼슘 전극 및 저항/투과도 등의 정밀 측정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카트리지(Cartridge) 형태로 제작하여 수분, 산소 등 외부 물질의 기판 침투율 측정에 신뢰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측정 장치 기술
  • 초소형 부품 및 바이오 셀 조작용 마이크로 그리퍼 기술 (5단계)
    • MEMS*기술을 적용한 마이크로 그리퍼 기술은 정전과 압전에 의한 혼합방식을 활용하며 그리퍼의 제조, 그립기능 향상 및 구조, 유체 및 공기압의 활용 등에 관한 기술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반도체 공정기술 기반으로 ㎛에서 ㎜ 범위 크기의 초소형 정밀기계 제작기술(or 미세전자제어기술)
  • 초고속 광 인터커넥트용 광소자 일체형 SoC 기술 (6단계)
    • 기존에 개별부품으로 제작되던 광소자와 구동회로를 칩-레벨로 집적화하여 기존 연결부분에서의 성능저하를 막고 가격경쟁력을 향상시켜 초고속 광 인터커넥트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SoC 기술
  • 접속 장애 방지가 가능한 산업현장용 통신 장치 구조 및 방법 (6단계)
    • 통신 부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두 개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해 병렬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통신 부하를 감소시키는 기술이며, 또한 두 개의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통해 인터페이스 전환 및 변환이 가능 하여 백본망 형성이 가능한 기술
  • 전자파차폐·방열 일체형 시트 기술 (6단계)
    • 전자파와 방열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전자파차폐와 방열의 개별시트를 점·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지한 형태가 아닌 전자파차폐/흡수 및 방열 특성을 한 장으로 구현하는 혁신적인 일체형 시트 제조 기술
  • 전자파 차폐 필름 제조 기술 (8단계)
    • 전자기기 내 FPCB에 적용되어 내마모성, 고유연성, 고내열성 등의 고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박막 다층 차폐필름으로서, 고내열 고분자 개발과 이를 활용한 전도성 접착제 개발이 주요 기술
  • 전자 스크랩소재 재자원화 기술 (5단계)
    • 사용한 TFT-LCD 패널을 그대로 분리하거나 재자원하여 ITO 나노분말, 인듐(In), Glass 등 원료를 높은 회수율로 확보하는 기술
  • 전력소자용 실리콘 기판상 GaN 성장 기술 (4단계)
    • 기판 위에 증착된 갈륨나이트라이드(GaN)층이 크랙 없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두께 3um 이상의 박막이 되도록 분자선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 MBE) 공정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인 소스 플럭스 조정 (V/III 비율을 조정)에 의해 실리콘 기판 위 갈륨나이트라이드(GaN)층을 성장시키는 기술
  • 전력소자 반도체 기술 (6단계)
    • 3상 입력전압 신호의 파형을 이용하여 정류기의 전류를 보상하여 역률을 개선하고, 3상 입력전압신호와 전류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전류와 전압의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제어함으로써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 전기-광배선 PCB 기술 (4단계)
    • PCB 내 광인터커넥션*을 위한 새로운 구조물의 전기-광패키지로, 반도체칩이 실장된 IC 기판의 측면에 광소자 어레이를 접합하고, 광소자 어레이의 타측에 광도파로* 어레이를 광 접속되도록 접합
      • 광인터커넥션(Optical Interconnection) : 광을 이용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병목현상을 해결하고 고속전송을 실현하는 기술
      • 광도파로(Optical Waveguide) :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광섬유
  • 저온 소성형 잉크 및 페이스트 기술 (5단계)
    •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반도체, PCB 등 전자 부품의 배선 및 전극 등에 사용되는 핵심 도전성 금속 나노입자 (Ag, Si, Au, Sn, Ni, Cu 등) 및 이를 제조하는 친환경 제조 방법(가스 증발법*, 상온 석출법**), 잉크 용매 내 균일 분산 및 잉크 제조,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포함함
      • 가스 증발법 : 증발법(Evaporation) 또는 스퍼터링법(Sputtering)을 이용하여 금속 원료에서 초미세급의 금속 증기를 진공 증발 후 미리 장입된 액상 용매 내에서 포집하여 초미세급의 단분산된 금속 나노입자를 획득하면서 산화를 방지하는 방법
      • 상온 석출법 : 상온에서 고속으로 환원시켜 입자를 석출하고, 액상 용매 내에서 미리 장입한 분산제에 의해 포집하여 초미세급의 단분산된 금속 나노입자를 획득하는 방법
  • 저온 경화형 전도성 페이스트 기술 (5단계)
    • 고온 열처리 없이 저온 열처리 조건에서도 우수한 전기 및 열전도 특성을 보이는 전도성 페이스트 구현
- 전도성 부재들 간의 접속을 200°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향상시키기 위해, 바인더 수지의 열경화 온도보다 전도성 부재들 간의 소결 온도를 낮게 제어
  • 재난현장의 상호 무선 통신 표준 연동기술 (5단계)
    • 경찰, 소방, 응급 등 재난관련 기관들의 신속한 합동대응을 위해, 이들 재난관리 및 대응 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로 다른 주파수와 통신기술(VHF, UHF, TETRA, IDEN 등)로 구현된 이종의 무전기 간에 상호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상호 무선 통신 게이트웨이 기술
  • 자속 장벽을 가진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기술 (6단계)
    • 모터의 회전자에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진 홈으로 자속 장벽(flux barrier)을 형성하여 돌극(Salient)구조를 가져 진동과 소음 극복과 출력 특성을 향상시킨 기술
  • 자성분말 코어를 갖는 하이브리드 모터 기술 (6단계)
    • 전기강판* 및 SMC(Soft Magnetic Composite)를 이용하여 3차원적인 코어구조를 가짐으로서 모터 성능개선 및 제작이 용이한 하이브리드 모터 기술
      • 전기강판(electrical steels): 변압기나 모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강판
  • 자동접이식 블레이드 기술 (3단계)
    • 풍력발전시스템의 주요 고장요인 중 하나인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레이드의 하단 부분을 전기장(ER) 유체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전기장 인가유무에 따라 물성을 변화시키고 강풍이 불어올 경우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아 액체상태로 만들어 블레이드를 접는 기술
  • 인쇄전자용 광소결형 전도성 나노 잉크 기술 (4단계)
    • 초저가의 나노구리잉크를 기반으로 펄스화된 제논 백색광을 조사하여 대기 중 1/1000초 레벨에서 대면적 환원/소결 과정을 동시에 유도하여 전도성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원가절감과 공정 혁신을 모두 구현
  • 인쇄전자 및 3D 프린팅용 잉크젯 헤드 기술 (5단계)
    • 절연 소재의 미세 고 종횡비 노즐 어레이와 이에 연결된 잉크 공급 장치, 각 노즐에 할당된 전극, 이를 제어하는 다채널 고전압 제어 드라이버 보드를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로서, OLED 패널 생산용 잉크젯 프린터나 바인더제팅/머티리얼 제팅방식의 3D 프린터 등에 사용된 기존 버블젯/압전 방식 잉크젯 헤 드보다 고점도 잉크를 사용할 수 있고 2차원 노즐 밀도를 높여 고속 생산과 저비용을 구현함
  • 인버터/전동기 고장 진단 기술 (3단계)
    • 인버터 및 전동기에 대한 고장진단 기술은 크게 고장판별, 고장예측, 그리고 고장대응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모터의 특성 및 인버터 스위칭의 분석을 통하여 고장을 판별하고 고장을 예측하고 고장상황에 따라 여분의 스위치를 활용하거나 인버터의 출력을 조절하여 비상운전이 가능
  • 은나노와이어 유연 투명 전도성 필름 기술 (7단계)
    • 은나노와이어 투명 전도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은나노와이어 코팅액 제조기술, 코팅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접착성, 환경안정성, 내화학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 기술, 저저항의 투명전극을 구 현하기 위한 코팅액 및 광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 조성물, 및 은나노와이어 전도성 필름의 패턴 형성 기술을 포함
  •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나노 복합 소재 기술 (1단계)
    • 제한적인 필터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한 광촉매 분해 효과를 가진 나노구조체를 포함한 유해물질 제거 기술로서, 기존의 환경오염 저감기술이 분리/포집에만 중점을 둔 것에 비해 능동적인 분해, 재생, 변환 등이 가능한 복합화 기술
  • 유성감속기 설계 및 평가 기술 (6단계)
    • 유성감속기는 동축(同軸) 구조로 일반 범용감속기보다 고강도, 고정밀, 고감속의 성능을 가지며, 인벌류트(involute) 치형(齒形)을 가짐
      • 인벌류트(involute): 원통에 감은 실을 풀 때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
  • 용액공정을 이용한 산화물 박막 소결용 자외선 램프 장치기술 (5단계)
    • 산화물 박막 형성 공정에서 고온 공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기능성 재료들의 반응 및 불순물의 제거를 하던 방법과는 달리, 자외선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저온에서도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이처럼 저온 공정으로 제조된 산화물 박막을 어닐링하여 소결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자외선 램프 장치를 제공
  • 영구자석 매립형 전동기 (6단계)
    • 일반적인 IPM* type의 영구자석형 전동기는 자속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Nd(희토류) 재료의 V형 형상의 회전자를 적용하고 있으나, 본 기술은 고가의 Nd 영구자석을 페라이트 영구자석으로 대체하여 저가의 고성능 모터 제작이 가능
      • IPM(Interior Permanent Magnet): 영구자석을 로터내부에 매립하는 구조
  • 양자점을 이용한 광전자 소자 기술 (4단계)
    • 이차원 평면 구조의 박막에 대하여 기계적 박리법을 통해 형성한 양자점을 이용하여 광전자 소자를 제조함으로써, 양자점 외부에 쉘 및 리간드를 부착할 수 있고, 다양한 층을 가지는 광전자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음
  • 실시간 반도체 접합온도 기반 파워 사이클링 시험장치 (6단계)
    • 전력반도체의 TJ 평가는 TSP(Temperature Sensitive Parameter)를 기반으로 예측함. TSP로서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는 스위칭타임, on-resistance 등 다양한데, 그 중 선형 특성을 보이는 VF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임. VF 측정은 측정용 미세전류 IM을 인가하여 측정하며, 짧은 펄스 형태로 인가하여 측정 시 시스템 내에서의 실시간 TJ 모니터링이 가능함
VF 측정 → TJ 추정 → TJ의 과도응답 특성 해석 과정을 통해 반도체의 방열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방열특성의 변화로부터 크랙, 박리와 같은 열화를 확인하고 예측할 수 있음
  • 실리콘 기반의 고성능 집적수동소자(IPD) 기술 (6단계)
    • 기존 CMOS 기술과 쉽게 결합이 가능한 고성능의 고주파용 수동소자 집적에 관한 기술로서 종래 CMOS 회로에 고주파 적용 시 발생되었던 수동소자의 전기적 손실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극복함
  • 수질 내 암모니아 감지를 위한 마이크로 분석 시스템 (5단계)
    • 본 기술은 하나의 초소형의 유체소자 칩만으로 암모니아를 인도페놀로 합성하여 633nm에서 그 농도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 분석 시스템 기술
  • 수광·발광 일체형 광소자 및 광학 모듈 기술 (6단계)
    • 수광·발광 반도체 집적화 소자 설계 및 공정, 수광·발광 일체형 패키지 모듈, 광섬유 기반 광신호처리 핵심 모듈, 광선로 감시 기능 내장형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기술
  • 산화물 나노입자의 저온 합성기술 (6단계)
    • 디스플레이 및 전자 소자의 투명전극과 전자파 차폐 등에 사용되는 핵심 투명 도전성 산화물인 ITO (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 나노 분말 및 SnO2, ZnO, SiO2 나노 분말 등 기능성 산화물 나노 분말의 저온 합성 및 제조된 분말을 이용한 잉크 제조 기술
  • 반사형 디스플레이 (5단계)
    • 미래형 디스플레이로서의 건식입자형 전자종이 기술은 입자 및 패널 기술 개발을 통해 종래 전자잉크(E-Ink) 디스플레이가 갖고 있던 느린 응답속도, 복잡한 제조공정, 고해상도 구현과 칼라화의 어려움 등 많은 난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수동구동방식을 적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저가격 대면적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이 가능
  •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VRFB) 전극 및 스택 기술 (5단계)
    • VRFB의 낮은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소재 관점에서 전기화학 반응영역을 제공하는 전극의 전기화학적 활성화도를 개선하고, 스택 관점에서 스택 자체의 내부저항 및 분류 전류(shunt-current)를 최소화하기 위한 유로 설계 및 스택 형상을 최적화하는 기술
  • 무연솔더, 솔더페이스트 및 반도체 장치 (6단계)
    • 연성이 우수한 솔더 합금*에 0.001~0.1wt%의 Ge, Bi, P, In을 1종 이상 첨가한 무연솔더 합금으로 제조한 솔더페이스트 및 솔더바
      • 솔더 합금 : 0.1~0.5wt%Cu, 0.001~0.1wt%Pd, 0.001~0.1wt%Al, 0.001~0.1wt%Si 및 Sn으로 구성
  • 무선통신용 대역통과 필터 기술 (6단계)
    • FPCB(Flexible PCB)를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와 항공기, 레이더, 광대역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필터 뱅크*에 적용되는 광대역 대역통과 필터 기술
      • 필터뱅크(Filter bank) : 여러 필터가 대역별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
  • 무분극/반분극 LED 칩 제작 기술 (4단계)
    • 내부전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로서, r-plane사파이어 기판 위에 무분극인 a-plane GaN을 성장 시키거나 m-plane사파이어 기판 위에 반분극인 GaN LED를 제작하여 고효율의 LED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
  • 리튬이온전지용 고용량 Si/SiOx 음극소재 기술 (4단계)
    • 리튬이온전지의 신규 고용량 음극소재로서, Si/SiOx 기반의 음극소재를 사용하고, 기존의 리튬 금속 대신 다리튬계 전이금속산화물을 리튬소스로 하여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리튬을 음극에 도핑하는 기술 및 이를 포함하는 고용량 Si 기반의 음극소재 기술을 포함함
  • 레이저 및 포토닉스 기술 (6단계)
    • 반도체 레이저 소자 설계 및 공정, 외부 공진기 레이저 설계 및 제작, 열방출 개선을 위한 패키지 구조, 영상용 화이트 밸런스 기술, 백색 레이저 모듈 기술을 포함하는 기술
  • 디지털 제어 기반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IC 기술 (6단계)
    • 본 기술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기반의 LED 드라이버 IC 대신 디지털 기반의 드라이버 IC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구현함으로써 LED 시스템 조명에서 필요로 하는 조명 제어 콘텐츠를 별도의 LED 드라이버 IC 없이 하나의 마이 크로프로세서에서 구현할 수 있음
  • 동적 열특성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불량 검출 장치 (6단계)
    • 반도체 패키지에서 발생한 열이 반응하는 속도는 패키지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데 발열소자(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 등)의 접합에 사용되는 플립칩* 본딩부 등은 방열에 큰 영향을 줌. 반도체 패키지 내부에 존재하 는 발열에 따른 소자의 특성변화와 온도에 따른 동작전압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패키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음
  • 단일 소자에서 센싱/액츄에이팅 동시 구현 가능한 2㎜급 박형 햅틱 모듈 및 감성 UI/UX SW 기술 (4단계)
    • 누르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팅부를 하나의 압전 소자에 구현한 기술
- 저온 소결 압전성/역압전성 동시 확보 가능한 연계 소재로, 센싱/액츄에이팅 동시 구현 가능한 단일 압전 소자
- 센싱/액츄에이팅 동시 구현 가능한 박형 햅틱 모듈
  • 단 한 번에 연결이 가능한 방수형 광커넥터 (6단계)
    • 광커넥터와 어댑터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하고, 외부 케이스의 중간 “ㄷ”자 링의 회전으로 슬라이드 lock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하 케이스가 분리되는 원스탑 체결을 지원함. 양산시 필요한 각 부품의 플랫폼 구성으로 고정 지그 교체만으로 다채널로서의 확장이 용이
  • 다중대역용 RF 모듈 기술 (6단계)
    • 복합 시스템에서 수많은 개별 무선 통신용 부품을 하나의 초소형/집적화된 모듈로 통합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필터, 커플러, 안테나, 매칭 회로, IC 등이 포함된 RF 모듈의 소형화 및 최적화 기술
  • 다양한 크기의 광섬유 연결이 가능한 광트랜시버 모듈 (6단계)
    • 다양한 사이즈의 플라스틱광케이블(POF, Plastic Optical Fiber) 체결이 가능한 보조슬리브 적용으로 동일 규격의 트랜시버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구조이며, 광정렬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트랜시버 모듈
  • 능/수동 소자 내장형 패키징 기술 (7단계)
    • 반도체 칩과 같은 능동소자와 시스템 구현을 위한 수동소자 등을 PCB 또는 웨이퍼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패키지 기판 내에 내장(embedding) 시켜 집적도를 높이는 동시에 상호 부품 간 접속 길이를 짧게 하여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3D 형태의 고성능ㆍ초박형 반도체 패키지 기술
  • 나노탄소기반 유연 발열체 조성물 기술 (6단계)
    • 2종 이상의 나노탄소 물질을 혼성 복합화하여 200℃ 이상의 고온에서 연속사용이 가능하고, 100% 인쇄형으로서 높은 유연성을 갖춘 발열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제품 기술
  • 기가비트급 광 송수신 칩셋 기술 (6단계)
    • 표면방출레이저(VCSEL)를 이용한 단파장 대역의 광 인터커넥트는 저가 고성능의 통신이 가능하여 300m 이내, 10기가비트급 이내의 광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며, 본 기술은 VCSEL 기반 광 링크의 핵심기술인 광 송수신 칩셋 기술
  • 광 전력 전송에 의한 센서 시스템 플랫폼 (6단계)
    • 별도의 전원 없이 광전송로를 통해 마이크로 IC 센서 구동을 위한 광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감지된 신호를 광 전송로를 통하여 고속 전송할 수 있는 광전력 전송 기반의 센서 시스템 플랫폼과 광전력 분배 모듈에 의한 다중 센서 시스템
  • 광 마이크로폰 기술 (4단계)
    • 광마이크로폰의 광효율 향상과 생산성/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PCB(FPCB) 상에 광정렬 부품을 손쉽게 실장하여 광정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박형화를 구현하고 광센싱부와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개발한 기술
  • 광 감지 지문인식 센서 기술 (6단계)
    • 유리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TFT)로 광센서를 구성하여 지문을 인식하는 방식의 광 감지 센서 기술로서, 고성능 TFT를 유리기판 위에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지문센서 모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지문인식률을 향상 시킬 수 있음
  • 고효율 유도기동형 전동기 기술 (6단계)
    • 종래 유도전동기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삽입하는 유도기동형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형상을 최적화(신구조화) 설계하여 슈퍼 프리미엄급 효율 확보 및 성능개선을 확보
  • 고효율 안테나 기술 (6단계)
    • MIMO 안테나의 격리도 향상, 도파관과 패치안테나의 변환구조, 초광대역 통신기기에서 무선랜 주파수 대역인 5GHz 대역을 차단하는 안테나 기술, 휴대용 단말기에 투명 패턴을 적용하여 지상파 DMB 안테나 를 구현하는 설계기술, 및 인체 부착형 고효율 안테나 기술을 포함
  • 고효율 고선형 전력증폭기 (6단계)
    • 고출력, 저전력, 고선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CMOS Power Amplifier* 기술, 고출력을 구현하는 멀티핑거형 트랜스포머 구조와 이를 이용한 전력증폭기 기술, 선형성 확대 목적의 도허티(Doherty) 기술*을 단말용에 최적화시킨 기술 등
      • CMOS Power Amplifier: CMOS(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기반 전력증폭기
      • 도허티 기술: 위상조절을 통해 주 증폭기와 보조 증폭기를 출력에서 합성되도록 구성한 대전력 송신기용 고능률 변조 증폭 기술
  • 고효율 갈륨나이트라이드(GaN) 전력소자 기술 (4단계)
    •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SBD)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의 성능 향상을 위해 기존 질화물 소자 대비 누설전류를 낮추어 높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하는 관련 설계 및 공정 기 술 등을 포함
  • 고출력 슬롯리스 정밀 모터 (6단계)
    • 슬롯리스 모터는 고정자 철심에 별도의 슬롯(Slot)*없이 코일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속・고출력 성능 구현이 가능하고 소음과 진동, 손실이 작아 일반적인 슬롯형 모터대비 소형화 및 효율 증대에 유리함
      • 슬롯 : 코일을 삽입하여 권선하기 위해 고정자 철심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한 공간
  • 고유전율 저손실 컴포지트 소재 기술 (6단계)
    • 저손실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고유전화를 위한 세라믹 소재 및 폴리머의 복합 소재 조성물을 가지는 소재 기술
- 열경화성 복합 소재를 기판으로서 활용하는 공정 기술 포함
  • 고에너지 (30 Wh/kg) 리튬이온커패시터 및 리튬도핑 기술 (6단계)
    • 리튬이온커패시터의 안정적 리튬도핑 구현을 위해 기존의 리튬 금속 대신 다리튬계 전이금속산화물을 리튬소스로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리튬을 음극에 도핑하는 기술 및 이를 포함하는 고에너지 리튬이온커패시터 관련 기술
  • 고성능/고효율 전동기 제어 기술 (6단계)
    • 전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BLDC/BLAC 전동기 구동 드라이브의 고성능 제어를 통한 전동기의 최적 운전기술, 가전기기/산업용에 많이 사용되는 압축기 진동저감기술, 원가절감 및 위치센서 취부가 어려운 분야를 위한 센서리스 벡터 제어기술, 고밀도/고신뢰성 기반의 인버터 H/W설계 기술
  • 고방열 부품용 다차원 나노카본소재 제조 기술 (6단계)
    • 전기·전자 부품 분야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열전도율을 개선시키는 기존의 열전도성 필러는 metal oxide, metal carbide, metal powder 등의 금속 계열과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등의 탄소 계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비용 대비 열전달의 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으므로, 본 기술은 기존의 저차원 소재를 융합하여 다차원화시킴으로써 분산성 및 방열특성을 극대화
  • 고방열 복합소재 기술 (6단계)
    • 계면 및 복합체 구조의 제어를 통하여 서로 상반되는 기능의 해소가 가능한 차세대 고방열성 유·무기 복합재료
- 고열전도를 위한 무기물 필러, 폴리머 소재 합성, 무기물-폴리머 컴포지트화 기술
- 소재 성형 공정 및 특성 평가 기술 (최적 제조 프로세스 기술)
  • 계자권선형 동기 전동기 기술 (6단계)
    • 모터의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계자권선을 적용하여 고속, 저속, 高토크 운전을 실현한 전동기 기술
  • 감광성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및 무에칭 패턴 기술 (7단계)
    • 은나노와이어 투명 전도성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은나노와이어 코팅액 제조기술, 코팅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접착성, 환경안정성, 내화학성 등을 확보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 기술, 코팅액 및 광학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 조성물, 및 에칭 없이 자외선 노광을 통해 패턴을 형성하는 패터닝 공정 기술을 포함
  • 가스 및 수질 정보 획득용 집적형 분광 센서 모듈 기술 (6단계)
    • 임프린트* 기법을 이용하여 고효율, 고성능의 저가형 고분자 기반의 나노회절 격자, 오목거울, 광도파로부가 단일칩 형태로 이루어진 분광센서 모듈
      • 임프린트(imprint): 모래에 새겨진 발자국처럼 각인하는 기술
  • 가변속 유체기계 설계 및 평가 기술 (6단계)
    • 펌프, 송풍기 등과 같은 유체기계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최고 효율점을 이동시키고 그로 인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변속(可變速) 유체기계 관련 설계 및 평가기술
  • UV-LED(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살균 모듈 (6단계)
    • 각종 살균장치, 가전제품, 공기청정기, 자동차, 정수기, 신발장 등의 살균 필요에 따라, 적정 파장 영역의 자외선 단색광을 방출하고, 광출력을 스스로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구동회로와 자외선 확산성이 우수하고 열화되지 않는 렌즈로 구성된 UV-LED 살균 모듈을 제공
  • PM형 스테핑 모터 기술 (6단계)
    • 휴대전화기를 포함한 각종 정보기기의 광학모듈 위치결정 구동용 외경 4mm급 모터 기술로, 종래 소형화의 난점을 극복한 독자적 구조의 영구자석(PM)형 스테핑 모터* 기술
      •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하는 모터로 펄스모터 혹은 스텝모터라고도 함
  • Ni-rich 고용량 양극소재 전구체 및 표면 개질 기술 (5단계)
    • Ni-rich 양극소재의 원료가 되는 전구체의 고밀도화 및 입도 제어가 가능한 공침반응 기술, 구조 안정성 개선을 위한 이종원소 치환형 전구체 설계·제조 기술, Ni-rich 양극소재 열적특성 개선을 위한 이종원소 치환 및 양극소재 표면개질 기술
  • Metal PCB의 방열 기술 (5단계)
    • 에어로졸 증착법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Al2O3, AlN 등의 세라믹 분말을 금속기판 상에 충돌시켜 치밀한 세라믹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존 Metal PCB의 절연층에 비해 열전도도가 우수한 세라믹 절연층을 형성
  • 3차원 회로 형성용 복합 소재 (5단계)
    • 레이저에 의해 활성화되는 세라믹 소재를 활용하여 세라믹 소재와 폴리머 레진을 혼합하여 구조체 소재를 제작하고, 레이저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도금 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전자 회로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
  • 3D 디스플레이 구현 및 평가 기술 (7단계)
    • IEC TC110에서 제정하는 표준측정법 기반의 측정시스템 보유
  • 2.5D/3D 패키징 플랫폼을 위한 TSV 및 실리콘 인터포저 기술 (6단계)
    • 2.5D 및 3D 패키지를 위해 실리콘 기판에서 구현되는 저손실 및 고격리도 특성의 다양한 TSV 구조 및 이에 대한 공정 기술로서, Cavity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동종 및 이종 IC를 내장할 수 있는 Low-profile Interposer 기술

  • 스마트카
[ 펼치기 · 접기 ]
  • Management of AI service on Edge resources (7단계)
    • Platform to deploy and manage a trained deep learning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federeated resource on a cluster. Enabling technology to run an AI service on locally installed edge device.
  • 자기장기반 근접센싱 터치 시스템 기술 (6단계)
    • 사용자의 UX인터페이스의 용이성을 높이고, 직접 접촉이 되지 않아도 근접하여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비접촉식 터치 시스템 기술
- UX(User eXperience): 기기 조작을 위해 사용성을 높인 편의향상 기법
  • 복합 자속형 모터 (6단계)
    • 일체형 권선과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복합 자속을 기반으로 단일 모터 내부에서 반경방향(Radial direction)과 축방향(Axial direction) 자속을 동시에 활용하여 출력증대
  • 카메라와 Depth 센서를 활용한 물체 자세 인식 기술 (5단계)
    • TOF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인식 대상 물체의 거리 정보 이미지 및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이미지에서 추출된 에지(Edge) 이미지를 연산하여 실효성 있는 특징점(Constrained Feature)들로 이루어진 3차원 점군 데이터(3D Point Cloud)를 획득하고, 이를 인식 대상 물체 전체의 3차원 점군 데이터와 정합함으로써, 인식 대상 물체의 자세를 인식하는 시스템 기술
  • 이더캣의 멀티채널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기술 (6단계)
    • 시간지연과 실시간 비보장성을 극복하고, 다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채널을 확장시켜 안정된 시뮬레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된 이더캣의 멀티채널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제공
  • EV용 제어기 수냉각 유로 설계 및 성능 평가 기술 (6단계)
    • 핀휜 구조 히트싱크 수냉각 유로에 칸막이와 슬릿 등의 기구부를 적용하여 핀휜 구조를 통과하는 냉각수 유동을 고르게 분배함으로써 균일 냉각 성능을 향상시켜, 발열체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
  • 송풍 환기 범용 양방향 동일특성 팬 블레이드 최적 설계 및 성능 평가 기술 (6단계)
    • 기존 설치된 팬은 한 방향에만 최대의 풍량과 정압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지만, 양방향 동일특성을 갖는 팬은 정·역 양방향에서 동일한 풍량과 정압이 발생하므로, 유체의 흡입과 토출이 모두 필요한 분야에는 설치비용과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
  • 국제 표준 기반 CPS(Cyber Physical System) 구현 기술 (4단계)
    • 전자 제조공장의 모듈형 장비, 자산간 데이터와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수직·수평적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국제 표준기반의 관리-셸 참조 모델, 생산 시스템의 각종 정보를 기술하는 AutomationML 데이터모델을 OPC UA 정보 모델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 OPC UA 통합 게이트웨이 포함
  • 다중센서 및 협업기반 교통사고 상황인지 기술 (6단계)
    • 교통사고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운동 벡터와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 충돌 검출 등의 특징 추출과 입력된 정보의 인과관계를 확률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을 사용하여, 교통사고 객체 검출과 추적, 인식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
  • 광역 3D 실시간 융합 모델링 기술 (5단계)
    •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3D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 환경을 미리 모델링하는 모듈과 특정방향을 실시간으로 3차원으로 입력받는 모듈을 통해 입력된 입체영상을 서로 정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과정 및 입체 영상에 대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과정을 나누어 수행하는 기술
  • 공간/바이오 융합센서 및 융합정보처리 기술 (5단계)
    • 동일 생활공간 內 가족에 대한 적극적 보호(보안+생활관리)범위까지 사회적인 요구 증대
    • 원격/비접촉 방식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공간융합 센서 개발과 바이오 신호(심박/호흡/체온)와 공간신호를 융합처리 할 수 있는 센서융합 모듈 개발
  • 3차원 거리 측정 장치용 구동 제어 모듈 기술 (6단계)
    • 3D 레이저 거리 측정 모듈에 사용되는 반사 거울이 수평/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3차원 거리 측정 장치용 수직/수평 방향 구동 제어기술임
  • 스캐닝 LiDAR 기술 (8단계)
    • 라이다는 펄스레이저를 활용하여 전방 물체를 향해 조사하고,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얻어내는 ToF(Time of Flight) 기반 센싱 기술
  • 차세대 ITS를 위한 차량검지 기술 (6단계)
    • 지자기센서를 활용한 차세대 차량검지기술로서, 차량검지기 모듈 설계 및 제작 기술, 차량검지 정보 분석 기술 및 운용/관리 기술로 구성됨
  • 차량용 영상정보를 이용한 운전편의 기술 (5단계)
    • 차량 영상기록 시스템을 통해 확보된 영상을 바탕으로 전방 차량을 검출하여 앞차간의 거리를 인식하고, 전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는 전방환경을 기반으로 주행 안내를 할 수 있는 기술
  • 차량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플랫폼 기술 (6단계)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운전자 정보와 차량 정보를 전달하는 운전자와 차량間의 정보 전달 기술과 운전자의 동작을 인식하여 양방향 인터랙션*이 가능한 기술
- 양방향 인터랙션 사례: 차량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거나 손동작을 인식
  • 차량용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기술 MOST (6단계)
    • 유럽이 주축이 되어 MOST Cooperation 에서 만든 규격으로 차량 내 전자파 방해를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하여 TDM*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TDM(Time Division Multiplexer): 컴퓨터 통신에서, 하나의 통신회선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하 는 방식으로 사용 시간을 나누어, 순서대로 돌아가며 짧은 시간씩 회선을 사용하게 함
  • 자동차용 라이다 기술 (6단계)
    •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란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로서, 자동차용 라이다는 주행 중인 차량이 앞 차와의 충돌을 피하거나 또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차간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경고 또는 차량 자동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임
  • 차량 내부 네트워크 연동 기술 (6단계)
    • 차량용 내부 네트워크를 통한 차량내의 ECU 유지 보수 기술과 내부 네트워크간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기술 그리고 차량 상태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연동 기술
  • 자율협력주행용 WAVE 통신 기술 (7단계)
    • 고속 주행상황에서 차량과 차량간(V2V), 차량과 도로변의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V2I)와의 실시간 통신을 통해 주변의 교통상황 및 돌발상황을 전달받아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로서, 이러한 V2X 통신을 통해 교차로 등에서의 교통사고를 70% 이상 저감할 수 있음
  • 자율주행자동차 및 자동차 전방 감지용 라이다 센서 기술 (6단계)
    • 고출력의 펄스레이저를 이용하여 Target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Target의 3차원 공간정보를 획득하는 기술로 Source, 광학계, Detector, 신호처리, 영상처리 부분을 포함한 소형 LiDAR 센서의 전반적 기술
  • 자율주행 자동차용 충돌 방지 및 속도 제어 기술 (7단계)
    •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FPGA 또는 SoC내의 영상가속처리 IP와 SW를 이용하여 고속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도로상의 객체를 탐지하며, 거리를 측정하여 도로객체(차량, 보행자, 신호등, 교통 표지판)를 구분, 인식하는 기술
  • 안전운전 지원 시스템 기술 (6단계)
    • 차량의 안전운전을 지원하기 위한 차량間 추돌 감지, 차선 감지 및 이탈 경고, 졸음운전 등의 운전자 상태 인식 등 안전 지원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센서 및 영상 처리 기술과 운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HVI(Human Vehicle Interface) 기술
  • 모바일세컨드용 오픈SW 기반 스마트 컨버전스 기술 (5단계)
    • 모바일세컨드 분야*의 新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웹기반 디바이스별 컨버전스 SW 프레임워크 및 모바일 클라우드 연계 미래형 ICT카 융합 서비스 및 플랫폼 제공
- 모바일 세컨드 분야: 스마트폰 이외 스마트 IVI(In-Vehicle Infotainment), 워치, 글래스, 패드, TV 등
  • 굴삭기 원격제어를 위한 제어 기술 (4단계)
    • DGPS를 활용한 굴삭기 좌표 파악, 작업 위치 좌표 수신 후 작업 수행, 3축 자세센서와 붐, 암, 버킷의 정보를 활용한 작업 제어 기술을 포함하고, 조작기에 진동 등 햅틱 기술을 적용하여 굴삭기의 전복 위험성을 미리 원격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포함함
  • MOST150 차량용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안드로이드 솔루션 (7단계)
    • 링 토폴로지 형태의 차량 내 멀티미디어 네트워크를 구현한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안드로이드 단말에서 사용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함
- 팅크웨어(Thinkware Inc.)의 상용 단말을 기반으로 하여 안드로이드용 MOST*150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개발
·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차량용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기술


  • 드론, 로봇·AI
[ 펼치기 · 접기 ]
  • Management of AI service on Edge resources (7단계)
    • Platform to deploy and manage a trained deep learning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federeated resource on a cluster. Enabling technology to run an AI service on locally installed edge device.
  • Binarized Neural Network를 위한 HW IP (4단계)
    • 인공지능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이진화하여 Edge Device에서 저전력 및 작은 Chip Size로 경량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제공하는 IP/SoC 기술
    • 인공지능을 위한 Nerual Network에서 사용하는 Data를 이진화(Binarized)하여 작은 메모리만으로 인공지능 추론이 가능한 기술 제공
    • 이진화에 의한 정확도 감소를 보완하기 위한 shortcut connection 구조를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ResNet 지원
  • 인공지능 기반 고해상도 동영상 프레임 율 고속 변환 기술 (5단계)
    • 최근 인공 지능 기반 프레임 율 고속 기법이 등장하여 전통적인 기법에 비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 그러나 기존 인공 지능 기법들은 고해상도 영상에서 과도한 GPU 메모리와 연산량을 요구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계층적 인공 지능 네트워크를 개발하여 저 복잡도 및 고성능 프레임 율 변환 기술을 개발함
  • 딥러닝 기반 사용자 발화 의도 분석 기술 (4단계)
    • 정확한 사용자 발화 의도 분석을 위해서는 현재 발화뿐만 아니라 문맥 정보에 해당하는 이전 발화도 필요. 이전 및 현재 한국어 발화를 입력으로 받고, 가장 확률이 높게 나온 의도를 출력으로 하는 딥러닝 기반 사용자 발화 의도 분석 모델을 구축함
  • Task 및 상황 정보 기반 적응적 발화 생성 기술 (4단계)
    • 대화의 목적 및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의 정보를 기반으로 적응적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대화 모델. 대화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자의 발화와 더불어 대화 목적, 상황 정보에 대한 정보도 활용을 하게 되어, 목적에 맞는 발화를 생성하거나, 적응적 발화 생성이 가능
  • 영상 기반 마커리스 수어 인식 기술 (4단계)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마커리스(Markerless) 방식*의 영상 기반 인공지능 수어 인식 기술 개발
- 마커리스 방식: 손목, 팔꿈치 등 관절점마다 마커를 부착하거나 센서가 장착된 장갑 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는 방식
  • 인공지능 기반 영상 다중 캡션 자동 생성 기술 (4단계)
    • 본 기술은 이미지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양한 표현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캡션을 생성하는 딥러닝 모델과 학습 방법에 대한 기술임. Attention 네트워크로부터 캡션이 표현하고 있는 이미지 내 영역을 검출하고, Variational Autoencoder를 이용하여 이 영역 스타일의 분포를 학습한 뒤, 랜덤 샘플링을 통하여 여러개의 다양한 설명 문장 생성이 가능
  • 시각 가이드 기반 원격제어 모듈 기술 (6단계)
    • 다중 카메라와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원격조작하는 기기와 작업환경을 사용자 관점에서 동시에 조망하고 작업/조작 가능 영역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 기술
  • 자기장기반 근접센싱 터치 시스템 기술 (6단계)
    • 사용자의 UX인터페이스의 용이성을 높이고, 직접 접촉이 되지 않아도 근접하여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비접촉식 터치 시스템 기술
- UX(User eXperience): 기기 조작을 위해 사용성을 높인 편의향상 기법
  • 복합 자속형 모터 (6단계)
    • 일체형 권선과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복합 자속을 기반으로 단일 모터 내부에서 반경방향(Radial direction)과 축방향(Axial direction) 자속을 동시에 활용하여 출력증대
  • 무인 항공기용 추진 시스템 (6단계)
    • 다양한 가반하중에 대응 가능한 경량·고효율의 구동모터와 프로펠러 설계 기술로서, 회전자 일체형 방열구조를 통해 냉각성능을 개선하고 프로펠러 형상 최적화를 통해 익단 와류현상 저감 및 효율 증대
  • 퍼스널 로봇용 시각인식 기술 (7단계)
    • 시각인식 기술에서 영상의 특징점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입력 영상으로 복수개의 표본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어 인접한 표본 영상의 차영상을 생성하고 특징점 추출하는 연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DoW라는 연산기법과 SW로 구현시 멀티 Thread 기법을 사용하여 실시간성이 확보됨
  • 퍼스널 로봇 공통기술 - 시각인식 실용화 기술 개발 (6단계)
    • 임베디드형 시각센서, 고기능 비전 인식 학습 알고리즘 모듈 및 전방향 카메라 모듈 기술을 포함함으로써, 로봇용 인지 알고리즘이 탑재된 다양한 시각모듈을 통해 퍼스널/지능형 로봇의 기반 핵심 기술을 제공
  • 탈부착형 방사선 검사 장치 (6단계)
    • 화력발전소의 수냉벽 보일러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검사를 위한 비파괴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 이동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탈부착이 용이하며 경량화 어 있어 협소 공간에서 검사 대상물에 장착하여 검사 가능한 기술
  • 카메라와 Depth 센서를 활용한 물체 자세 인식 기술 (5단계)
    • TOF 센서를 통해 획득한 인식 대상 물체의 거리 정보 이미지 및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이미지에서 추출된 에지(Edge) 이미지를 연산하여 실효성 있는 특징점(Constrained Feature)들로 이루어진 3차원 점군 데이터(3D Point Cloud)를 획득하고, 이를 인식 대상 물체 전체의 3차원 점군 데이터와 정합함으로써, 인식 대상 물체의 자세를 인식하는 시스템 기술
  • 초박형 아트로봇 기술 (5단계)
    • 기어, 모터 등의 다양한 기구를 종이 등 판형 재료에 자석을 이용해 결합하는 기술, 또는 판형 재료에 전선 역할을 하는 전도성 잉크나 전도성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기존 블록형 완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어댑터 형식으로 기구를 변형하는 기술
  • 청소로봇의 절모인식 방법 (6단계)
    • 헤어샵용 청소로봇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봇용 인지 알고리즘이 탑재된 임베디드 일체형 시각모듈을 제공하는데, 절모 영역으로 추측되는 임의 영상 영역이 바닥 영역에 포함되면 이에 인접한 수직 영상 영역 사이에 수직 세그먼트 영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수직 세그먼트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절모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하는 방법
  • 청소로봇 플랫폼용 영상기반 자율주행 모듈 및 상용화 기술 (6단계)
    • 가정용/빌딩용 청소로봇이 자율주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서, 고가의 공간 센서(Range Sensor)없이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로봇 좌표계에서의 랜드마크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영상기반 알고리즘 및 시각 위치인식모듈의 임베디드화/제반 부품 및 모듈 기술
  • 이더캣의 멀티채널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기술 (6단계)
    • 시간지연과 실시간 비보장성을 극복하고, 다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채널을 확장시켜 안정된 시뮬레이션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된 이더캣의 멀티채널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터를 제공
  •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과 이의 운용 방법 (6단계)
    • 이더캣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슬레이브 노드가 사고 또는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이중화 등의 방법이 시도되지만, 좀더 단순하게 모듈화하여 고장 검출과 동시에 고장이 발생한 이더캣 노드와 복수의 이더캣 슬레이브 노드를 정상적으로 이더캣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기술
  • 이더캣 네트워크 기반 로봇 제어기 기술 (6단계)
    • 초고속 정밀 로봇제어를 위한 실시간 중앙 집중식 소프트 모션 제어 시스템으로서, 100Mbps 통신 속도를 가진 네트워크로 이더켓을 사용하고,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중앙집중식 중앙정보처리기(Master controller)를 사용함
  • 유연한 길이 변화를 갖는 조작레버(조이스틱) 장치 기술 (6단계)
    • 일반 레버보다 긴 레버를 갖는 조작기를 통한 세밀한 조작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비의도적 낙하 시 원래 최소 크기로 복귀 가능한 장치
  • 양팔작업 로봇을 위한 안전모듈 및 힘-토크/조인트 센서 기술 (6단계)
    • 산업현장의 작업(제조업, 용접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의 고출력 밀도의 매니퓰레이터와 다양한 소형 로봇 손을 용이하게 개발하기 위한 일체형 구동/관절모듈과 그에 따른 부품 및 센서 보정이 가능한 캘리브레이션 장치 기술
  • 협동로봇용 전동기 시리즈화 설계기술 (6단계)
    • 협동로봇의 경우 로봇 1대당 6개 이상의 전동기가 탑재되며, 출력 용량은 2~3종이 요구됨. 이러한 협동로봇은 가반중량에 따라 3~10 kg 급으로 구분되며, 5종 이상의 용량이 필요함. 이에 원가상승을 최소화하면서 공용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전동기 시리즈화 설계를 수행함. 가장 널리 쓰이는 범용 표면부착 형 영구자석 전동기에 대하여 5종, 고토크형 다극 전동기 2종, 축방향 자속 영구자석(AFPM) 전동기 2종에 대하여 개발 및 시험평가 완료.
  • 상수도 관망 갱생 로봇의 위치인식을 위한 인공피처 기술 (4단계)
    • 상수관망 내 3D 지도 구성을 통한 위치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 주행의 다중로봇을 활용한 손쉬운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중계 기술
  • 승마형 운동기구의 제어방법 (6단계)
    •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모션 라이브러리를 자동 설정 및 보정하면서 승마형 운동기구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스테레오 기반 시각 가이드를 위한 장애물 정보 제공 기술 (6단계)
    • 스테레오 영상센서의 위치와 마이크로폰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환경에 대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음성정보만이 아닌 단순화된 시각정보로 재구성하여 전달하는 시스템 기술
  • 스위핑 방식 지문 인식 알고리즘 기술 (6단계)
    • 전체 지문의 정확한 구현이 가능한 스위핑 방식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으로서, 스위핑 지문 인식 센서에서 추출 및 개선된 슬라이스 영상에 대해 가장 높은 코릴레이션 평균값을 갖는 위치에서 기정합된 영상에 수직 영상을 정합하고, 수직 영상 정합된 슬라이스 영상에 대해 회전 영상을 정합하는 기술
  • 소켓 커넥터 기술 (5단계)
    • 소켓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켓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켓 내에 병렬로 배치된 장치를 통해 커넥터 접속 및 전원 공급에 따라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기술
  • 소구경 다자유도 기구 설계 기술 (5단계)
    • 소구경 통로를 통해 다자유도의 로보틱 기구를 하나 이상 집어넣어 사람의 손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소구경에 다수 도구를 삽입하고 다자유도를 확보하는 기술,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기술, 와이어를 이용한 그리퍼 설계기술 및 구동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와이어 길이변화 방지기술 등으로 구성
  • 복합형 로봇 제어 장치 기술 (5단계)
    • 높은 자유도를 갖는 원격조종장치를 기본으로 대상작업의 자유도에 따라 운동범위를 변경하여 다양한 작업에 적합하도록 가상의 조종모드를 갖는 기술로서, 작업에 따른 부가적인 조종 장치를 어댑터 형태로 부착하여 조종 모드를 용이하게 변경함
  • 마커프리 모션 캡쳐 기술 (5단계)
    • 인간의 몸에 특정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인간이 센서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의식하지 않는 가운데, 자연스러운 손짓의 제스처나 모션 등 인간 상반신의 동작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데 필요한 핵심 알고리즘 기술
  • 로봇용 구동 파라미터 자동 튜닝 기술 (6단계)
    • 로봇의 구동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학습을 통해 누적 갱신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파라미터 튜닝을 하면서도 보다 신뢰성 있는 파라미터 튜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
  • 로봇 설계 방법 및 장치 기술 (6단계)
    •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로봇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제1 영역에 로봇을 구성할 모듈들을 나열하고, 모듈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1)형상을 제2 영역에 표시하며, 제1 영역에 나열된 모듈들 중에서 모듈(1)에 결합될 모듈(2)을 선택하여 그 형상을 모듈(1)의 형상에 결합시켜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기술
  • 랩어라운드 영상을 이용한 로봇 원격 제어 기술 (6단계)
    • 로봇 자신을 기준으로 사방을 평면도와 같이 나타내는 랩어라운드 영상을 생성하고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 단일 카메라 기반 병렬 로봇 제어 기술 (6단계)
    •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 한번 검출(0ne-shot detection)이 아닌 상시 조종이 가능하게 하는 단일 카메라 기반의 대상물 검출 시스템 및 통합 로봇 제어기 시스템 기술
  • 다지점 촉각센서 설계 기술 (5단계)
    • 정밀성과 선형성을 가지고 적절한 센서 정보 수집, 특히 접촉 힘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한 다지점 햅틱 센싱 장치와 그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수mm이내의 좁은 간격으로 다수의 센싱 지점을 배치하는 기술, 이를 신호처리하는 기술, 저가형으로 제작 가능한 기술, 및 다양한 방향으로 압력/전단력 등을 측정하는 기술로 구성
  • 노약자/장애인용 근력보조 시스템의 힘제어 액추에이터 기술 (4단계)
    • 모터와 감속기/토크센서(또는, 힘센서)/엔코더/브레이크 모듈이 일체화 되어 있는 휠 구동모듈, 앉기/서기 구동모듈, 견착형 구동모듈 기술로서, 외력에 의한 토크 센서 변화량을 기반으로 작업의 의도 파악이 가능
  • 광역 3D 실시간 융합 모델링 기술 (5단계)
    •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3D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 환경을 미리 모델링하는 모듈과 특정방향을 실시간으로 3차원으로 입력받는 모듈을 통해 입력된 입체영상을 서로 정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과정 및 입체 영상에 대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과정을 나누어 수행하는 기술
  • 공간/바이오 융합센서 및 융합정보처리 기술 (5단계)
    • 동일 생활공간 內 가족에 대한 적극적 보호(보안+생활관리)범위까지 사회적인 요구 증대
    • 원격/비접촉 방식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공간융합 센서 개발과 바이오 신호(심박/호흡/체온)와 공간신호를 융합처리 할 수 있는 센서융합 모듈 개발
  • 곤돌라형 외벽유지보수 로봇시스템의 센싱 및 제어 기술 (5단계)
    • 대면적 고속 도장을 위한 곤돌라형 외벽유지보수 로봇시스템 기술로서 곤돌라에 내장된 센서 시스템과 제어 시스템이 로봇의 수평자동제어, 수직위치제어, 도장툴 제어, 청소툴 제어, 외벽 3D 모델링을 수행
  • WAVM 기술 (Wrap Around View Monitoring) (6단계)
    • 센서의 범위를 벗어나 3D 정보가 부족한 개활지 등에서 카메라 4대의 2D 영상만을 가지고, 임의의 영상 시점 생성을 통하여, 주행환경 또는 상황에 따른 조작시점 제공을 통한 주행환경의 직관적 영상 제공
  • ToF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 융합형 캘리브레이션 기술 (3단계)
    • ToF 센서와 스테레오 카메라 센서를 융합하여, 고정밀·고해상도의 환경정보 취득이 가능하며, 로봇 주행·작업·제어 기능 적용을 위한 환경모델링 기능이 내장되어진 센서 기술
  • 3차원 거리 측정 장치용 구동 제어 모듈 기술 (6단계)
    • 3D 레이저 거리 측정 모듈에 사용되는 반사 거울이 수평/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3차원 거리 측정 장치용 수직/수평 방향 구동 제어기술
  • 3D 영상 기반 원격 조작 기술 (5단계)
    • 로봇에 탑재된 여러 가지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모델링하여 로봇을 조감적으로 볼 수 있는 복합화상을 만들어 내면 원격지 환경 가운데 있는 로봇의 상태 및 주변 환경의 모습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로봇의 원격 조작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
  • 드론용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 (6단계)
    • 카메라 영상을 통한 움직임이 있는 객체를 추출하고 이러한 객체 중에 특정 객체를 추적하는 기술과 드론의 모터 및 센서 데이터 제어를 하는 비행컨트롤러의 중요 부품인 제어프로세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RT 및 API Layer)기반 플랫폼 기술
  •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항공전자공학용 이더넷 기술 (7단계)
    •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의 핵심 IP 를 개발, 100Mb/s 속도의 이더넷 링크로 이중 망을 구성하여 끊어짐 없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Profiled Network 설정에 의해 정해진 BAG (Bandwidth Allocation Gap) 간격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계되었음
  • 수도 관망 갱생 로봇의 위치인식을 위한 인공피처 기술 (4단계)
    • 상수관망 내 3D 지도 구성을 통한 위치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 주행의 다중로봇을 활용한 손쉬운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중계 기술
  • 드론을 활용한 AED 이송 시스템 (6단계)
    • 응급환자가 발생을 하면 응급관제센터에서 신고자의 전화추적을 통하여 확인한 위치좌표를 무선통신을 활용하여 Drone House에 있는 드론(Drone)에 전송하여 AED*를 환자가 있는 곳으로 이송하는 시스템
-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심장제세동기, 자동심장충격기
  • 굴삭기 원격제어를 위한 제어 기술 (4단계)
    • DGPS를 활용한 굴삭기 좌표 파악, 작업 위치 좌표 수신 후 작업 수행, 3축 자세센서와 붐, 암, 버킷의 정보를 활용한 작업 제어 기술을 포함하고, 조작기에 진동 등 햅틱 기술을 적용하여 굴삭기의 전복 위험성을 미리 원격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포함

  • 영상·미디어
[ 펼치기 · 접기 ]
  • 인공지능 기반 고해상도 동영상 프레임 율 고속 변환 기술 (5단계)
    • 최근 인공 지능 기반 프레임 율 고속 기법이 등장하여 전통적인 기법에 비해 더욱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 그러나 기존 인공 지능 기법들은 고해상도 영상에서 과도한 GPU 메모리와 연산량을 요구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계층적 인공 지능 네트워크를 개발하여 저 복잡도 및 고성능 프레임 율 변환 기술을 개발함
  • 3D 영상 및 센서 기반의 보안 시스템 및 서비스 기술 (4단계)
    • 3D 영상 입력을 기반으로 객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안 이벤트를 추출하는 지능형 보안 영상 분석 시스템과 사용자의 GPS 및 다종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 경로를 제공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 알림 및 경고를 발송하는 서비스 제공 기술
  • 제한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음향센서 기기 및 음향분석 시스템 (5단계)
    •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분석해서 상황을 인지하고 알림을 발생시키는 음향센서 기기로, 음향입력장치(마이크로폰)와 입력신호 분석 프로세서로 구성
  • 생체신호 기반 정신건강 VR/AR 플랫폼 기술 (4단계)
    • 생체데이터 측정용 무선 VR/AR HMD 및 뇌/인지과학적 정신건강 증진 기능성 콘텐츠와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
- 생체데이터 기반의 VR/AR HMD 및 플랫폼 구축에 대한 국내 기술 확보를 통하여 VR/AR 분야에 폭넓은 활용 가능
- 현대 사회 질병 부담 비율 중 12% 이상(WTO)을 차지하는 정신건강에 대한 VR/AR 기반의 접근성, 몰입성, 효과성 높은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조기 개입 및 예방, 자가 진단/치유 등 국민정신건강 증진에 기여
  • 홍보전략 기반 맞춤형 홍보물 자동 제작 기술 (5단계)
    • 수시로 변화하는 시장 트랜드 및 상황을 반영하여 자영업자 또는 소상공인들의 홍보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홍보대상 고객에게 최적화된 홍보물을 실시간으로 자동 생성(매쉬업)해 주는 기술
- 매쉬업(Mash-Up) : 웹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정보나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것
  • 한글 웹툰 자동번역을 위한 웹툰어 처리 기술 (4단계)
    • 기계가 이해하기 힘든 웹툰 특유의 한글 텍스트를 번역이 용이한 대체 텍스트로 생성해 주는 웹툰어 처리엔진과 이를 생성하기 위한 웹툰 텍스트 및 기본/전문어 DB를 패키징한 다국어(한영/한일) 자동번역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
  • 클라우드 기반 UHD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 (3단계)
    • UHD 콘텐츠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의 클라이언트로 스트리밍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스트리밍 환경의 콘텍스트를 처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UHD, HD, SD급의 개별 파일에 대한 실시간 코덱 기술 및 실시간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초광대역 무선 통신 기반 다채널 오디오 전송 기술 (5단계)
    • 기존 무선랜과 같은 ISM 대역을 사용하는 기술에 비해, 전파 간섭이 적은 초광대역 주파수를 사용하여 오디오 소스와 스피커 단의 거리에서 고품질의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술
  • 청력 보호 기술 (6단계)
    • 잡음 환경에서 사용자가 헤드폰을 착용하였을 때 헤드폰에 유입되는 소음 크기를 저감하기 위해 능동소음제거(Active Noise Cancellation, ANC) 기술을 사용하고 디 노이징(De-Noising)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을 강화하는 기술
  • 지상파 모바일 디지털 TV 기술 (6단계)
    • 북미 및 국내의 디지털 지상파 방송 표준으로 사용 중인 ATSC 규격을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디지털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ATSC M/H 설계 기술
  • 지상파 디지털 모바일 및 라디오 방송 기술 (6단계)
    • 유럽형 디지털라디오 표준(DRM, DRM+) 멀티플랙싱 및 신호발생 기술과 확장형 고효율 고급 오디오 부호화 (extended High-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extended HE AAC)방식 기반 DAB, DAB+ 수신모듈 및 수신기 기술, T-DMB, DRM, DRM+ 수신 및 분석기 기술을 구현
  • 지능형 카메라 용 영상 신호처리 기술 (6단계)
    •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할 때 손떨림으로 인한 영상 흔들림을 보정하며, 카메라의 빠른 움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롤링셔터 왜곡도 동시에 제거 기술
- 저조도에서 효과적으로 노이즈 제거 및 실제 색에 가장 가깝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색으로 컬러 보정 가능
  •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용 영상 분석 기술 (6단계)
    • 저조도 상황에서도 영상 감시 시스템(CCTV, DVR, NVR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채널별 설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객체(사람 얼굴/외모, 차량 번호판/외형 등)의 검출, 추적 및 이벤트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
  • 전자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한 개인방송 편성방법 (6단계)
    • 디지털 방송 수신 플랫폼 상에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편성 스케줄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방송만을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
  • 전세계 라디오 수신 기술 (7단계)
    • 수신 성능 향상 기법 및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디지털 라디오 수신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라디오 표준별로 상이했던 칩셋을 하나로 통합하고, 모든 라디오 표준을 수신할 수 있는 단일 수신칩셋 기술을 개발
  • 입체 음향 기술 (6단계)
    •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그 위치와 영상신호를 동기화해서 3D 입체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는 영상과 음향의 사이의 립싱크를 위한 영상 및 음향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기술
  • 인터랙티브 UI를 활용한 VOD 트위터 기술 (6단계)
    • 본 기술은 자신이 좋아하는 장르에 맞는 영화를 먼저 본 친구들이 사용자에게 직접 추천 및 컨텐츠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VoD 컨텐츠와 연계된 비즈니스 모델로의 연계가 가능한 기술
  • 음향사건인지(AED)에 적용 가능한 음향 장치 기술 (4단계)
    • 음향사건인지 시스템을 사회안전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거리에 설치하게 되는 수음(受音)장치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배치기술로서, 마이크로폰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
  • 글로벌 금기어/유의어 검증 분석 기술 (6단계)
    • 4개 국어(한국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 11개 문화권(대한민국, 일본,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인도, 필리핀, 중국, 대만, 홍콩)의 약 22,000개의 금기어/유의어를 바탕으로, 검색할 단어를 입력 받아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에 기반한 발음 치환을 수행하고, 입력된 단어와 유사한 발음 구조를 갖는 금기어/유의어를 검색하는 기술
  • 음성데이터 분석을 통한 화자기반 사용자 음원 및 동영상 관리 방법 (4단계)
    • 단순한 '가나다'순 혹은 파일 생성 날짜 기준의 콘텐츠 나열 및 관리 방식을 벗어나 사용자에게 음성데이터 분석을 통한 화자기반 사용자 음원 및 동영상 관리 방법을 제공
  • 오디오 음량 측정 및 조절 기술 (6단계)
    • 오디오 음량 측정 국제표준 ITU-R BS.1770-3*을 만족하는 오디오 음량의 실시간 측정 및 자동 음량 조절을 통해 청각에 편안한 음량을 제공하는 기술
  • 원격 제어를 지원하는 미디어 변환 및 스트리밍 기술 (5단계)
    • 사용자가 가입한 방송 서비스 단말(셋탑박스 등)로부터 영상 원신호를 획득한 후 디지털로 변환하여 스트리밍함으로써, 원격 단말에서 시청가능하게 하고, 또한 원격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단말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 스케일러블 어플리케이션 창작 기술 (5단계)
    • 웹 컨텐츠, 어플리케이션, 광고, 디지털 컨텐츠, GUI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시청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에 맞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창작도구 및 창작 방법을 구현
  • 스마트 TV와 디바이스간 연동 게임 프레임워크 기술 (6단계)
    • 스마트 TV와 스마트 디바이스 간 연동 게임을 위한 개방형 기술 개발 및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게임 조작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연동형 게임 프레임워크 기술로서, 게임 개발자와 기업에게 오픈 API 형태로 제공
  • 상황 적응형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기술 (3단계)
    • 사용자들과 사이니지 스크린간의 거리 및 스크린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의 상황정보에 따른 다수개의 콘텐츠를 조합하고 멀티콘텐츠의 레이아웃을 능동적으로 결정해 화면에 표출하는 기술 및 사용자들의 위치 및 스크린 집중여부에 따라 사이니지 스크린에서 사용자들의 개인 스크린을 할당하는 기술
  • 상황 인지형 영상 녹화 및 녹화 콘텐츠 관리 기술 (4단계)
    • 움직이는 개체의 유무에 따라 영상의 품질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압축 및 녹화를 수행하는 한편, 녹화되는 영상의 메타데이터를 체계화함으로써 녹화된 콘텐츠를 손쉽게 검색하는 기술
  • 사용자별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기술 (6단계)
    •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추천 및 공유를 위한 에이전트 구축 기술을 제공
  • 사용자 선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6단계)
    •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정보를 자동으로 학습하고 최신의 선호정보 및 사용자 선호패턴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사용자 선호정보 엔진 및 그 알고리즘을 개발
  • 사용자 상황인지형 서비스 재구성 기술 (5단계)
    •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연동/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API들을 활용하여 기술력 있는 기업 및 연구개발자가 확보한 서비스 기술을 모듈 또는 자원단위로 클라우드 자원화하고, 클라우드 연동 관리 시스템이 고객의 서비스 요구 수준을 파악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복수개의 서비스들을 조합하여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
  • 사용자 SGMI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MMP UI 기술 (4단계)
    • Zigbee를 이용하여 Agent간 Sync ID를 교환하고, 이종대역 단말기의 SGMI(Self-Generation Meta Info) 데이터를 수집한 후, 커뮤니티 공간에서 정보 교환을 통해 커뮤니티 환경과 연계된 상황 인지형 미디어 가이드 제공 기술
  • 분산 HEVC 트랜스코더 기술 (6단계)
    • 본 기술은 ISO/IEC 23008-2 HEVC 비디오 코덱 표준을 만족하면서 다양한 동영상(MP4, MKV, TS, AVI, WMV 등)을 입력으로 받아 다양한 해상도의 HEVC/MP4 미디어로 실시간 분산 트랜스코딩할 수 있는 시스템 SW 기술
  • 분류기에 기반을 둔 정보 검출 기술 (4단계)
    • 데이터 정보 추출의 다양한 정합기술에 사용되는 거리 함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협업 필터링을 이용하거나 거리 함수를 결합하거나, 또는 거리 함수의 값을 학습을 통해서 결정하는 기술
  • 문자열의 유사도 비교 기술 (7단계)
    • 두 문자열을 행렬에 배치하고 행렬의 각 성분에 대응하는 두 문자의 동일성 여부와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두 문자의 비교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공백을 두 문자열 사이에 삽입하여, 최적의 두 문자열 간 유사도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제공
  • 무안경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합성 알고리즘 (6단계)
    •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영상 또는 방송에서 송출되는 입체영상 컨텐츠를 16채널 수준의 무안경 입체영상 모니터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중간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고속처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
-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를 합성하여 대상을 하나의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 정보로 만드는 작업
  • 무선 다채널 오디오 전송 기술 (6단계)
    • 최대 9개(7.2채널)의 오디오 데이터 채널과 채널당 192kHz/24bits의 고품질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환경인지 기반 다채널 지능형 무선 오디오 송수신 규격 및 핵심 하드웨어 기술을 포함
  • 멀티카메라 기반 사용자 동작 인식 및 의미 분석 기술 (7단계)
    • 전방카메라(Frontal Camera)와 수직카메라(Vertical Camera)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의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고, 영상, 음향, 서비스 공간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그룹 공간행동의 의미를 분석하는 기술
  • 멀티미디어 콘텐츠 식별 기술 (7단계)
    • 기존에서 사용하던 2진 특징점을 만드는 방법을 개선하여 가중 투표 등을 통해 2진 특징점을 생성하고 추출하는 기술
  • 멀티미디어 기기용 부화면 처리 기술 (6단계)
    • 스마트폰 등 첨단 멀티미디어 장치의 화면을 디지털 TV에 출력해 주기 위해 동영상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 마케팅 전략 기반 홍보물 제작 서비스 기술 (6단계)
    • 자본력과 유통수단이 취약한 소상공인들이 편리하고 쉽게 홍보물을 제작‧배포하게 하는 홍보물 제작 모듈로서,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요소들을 메타데이터로 표현하고, 이를 해석하여 홍보물 제작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구성, 제작 템플릿 결정, 필요한 이펙트 등을 처리하는 기술, 및 미리 정해진 스크립트에 따라 영상홍보물을 제작하는 시스템 설계 기술을 포함
  • 라이프 스타일 정보 분석 엔진 및 라이프 스타일 관리 서버(LMS) (5단계)
    • 웨어러블 디바이스, PC, 센서, 모바일 디바이스 등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개인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클라우드 환경의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를 정형화하는 동시에, 수치적, 의미적 분석을 수행하는 기술
  • 광역 이동물체에 대한 연속 위치추적이 가능한 트래킹 기술 (4단계)
    • 실내에서의 이동체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WIFI Positioning System(WPS) 기술과 실외에서의 이동체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GPS 및 RFID 측위기술(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을 융합한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표적체의 위치/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저전력 측위용 통신 모듈
  • 광고물 배포 서비스 기술 (6단계)
    • 제작된 마케팅 홍보물을 전달/배포함에 있어 제품, 업종, 차별화된 전략에 따른 홍보 의도 등을 고려하여 대상이 되는 고객들 위주로 배포를 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
  • 고성능 영상 스무딩 기술 (6단계)
    • RGB영상의 gradient, Laplacian, diagonal 미분 및 분리 최적화를 통해 영상의 주요성분을 살리고 미미한 성분을 제거하는 스무딩 영상 획득 기술
- 영상을 영역별로 분리 처리하여 부자연스러운 데이터의 보간, 노이즈 제거 가능
  • 건축 바닥면 성형용 3D 스캔·시공 시스템 (6단계)
    • 기존의 건축·토목에 있어서 바닥 평탄화 작업을 하기 전에 3D 레이저 광학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평탄도를 측정하고, 3D 공간정보로 구성하는 방법과 구성된 3D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바닥면을 평탄화 또는 기울기를 주어서 자동으로 성형하는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시스템
  • 객체 인식/추적 IP 기술 (6단계)
    • 영상 기반 지능적 정보 추출 및 동작을 위한 객체 인식/추적 기술을 SW로 구현하고, 높은 복잡도를 가진 알고리즘을 전용 HW로 구현
- 고사양 객체 인식이 특징인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를 전용 HW로 구현
- 저 복잡도,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SW/SoC 구조 및 구현 기술
  • 개인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표적 데이터 처리 기술 (6단계)
    • 사용자의 프로파일, 사용자의 미디어 소비 이력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고, 미디어, 광고 및 제품의 특성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 감정 분석을 통한 선호 음원 관리 기술 (6단계)
    • 사용자의 뇌파, 심전도, 맥박, 음성, 땀 등의 생체 정보를 통해 감정을 분석하고 최적의 선호 음원을 추천해 주는 기술
  • LAN선을 이용한 오디오/비디오(A/V) 전송기술 (6단계)
    • AVB(Audio/Video Bridging) 기술은 IEEE 802.1 AVB작업그룹을 통해 세부 규격들이 국제 표준화된 기술로서, 저가의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디오 및 오디오 디지털 신호를 실시간 무손실로 전송하는 기술
  • HEVC 영상 디코더 기술 (6단계)
    • ISO/IEC 23008-2 HEVC 비디오 코덱 표준을 만족하면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HEVC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SW 기반의 HEVC 디코딩 라이브러리 기술
  • CG 실사 합성 서비스 기술 (6단계)
    • 기존 블루스크린을 이용한 CG 실사 합성이 아닌 스테레오 카메라의 기술을 이용한 깊이 정보 추출을 통해 CG와 실사가 합성될 수 있는 기술
-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Depth Map 이미지에서 특정 깊이값 이상의 대상(물체)을 자동 세그먼테이션하여 영상을 합성하는 기술
  • 3D 영상 및 센서 기반의 보안 시스템 및 서비스 기술 (4단계)
    • 3D 영상 입력을 기반으로 객체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안 이벤트를 추출하는 지능형 보안 영상 분석 시스템과 범죄자의 전자발찌 등의 GPS 및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 사용자에게 사전 알림 및 경고를 발송하는 서비스 제공 기술

  • 전력·에너지
[ 펼치기 · 접기 ]
  • 고효율 양방향 컨버터 설계 및 제어 기술 (6단계)
    • 기존 산업기기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회생에너지를 저항으로 소비하지 않고 계통으로 회생하여 에너지를 세이빙 할 수 있으며, 또한 양방향 충전기, 양방향 OBC를 통해 전력에너지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 태양광 인버터 초소형, 고효율 설계 기술 (6단계)
    • 차세대 WBG 전력반도체 소자를 적용한 초소형, 고효율 주택용 3.5kW급 태양광 인버터시스템은 발전된 태양광 에너지를 상용 전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제품으로 해외 선진사 대비 부피절감과 향상된 효율성능을 통하여 시장 가격경쟁력 제고와 발전원가 절감이 가능한 기술
  • Shunt 저항 전류센서를 적용한 AC, DC(교류, 직류) 겸용 전력 량계 (A AC/DC combined using e-meter with shunt resistor sensor) (7단계)
    • Shunt 저항 센서를 적용하여 교류, 직류 전력량을 동시에 수용하고 저비용으로 상간 전기회로를 절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교류와 직류 전력량 측정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DC-Offset을 제거하거나 보존 방법 제시.
    • Shunt 저항 센서 + 전기회로 절연 비용 이 CT 전류 센서보다 저렴하도록 Mix 아날로그 회로 구성방법 제시.
  • 전기자동차용 IoT Connected 기술 (6단계)
    • 전기구동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 및 IoT Connected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전기자동차의 차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전기구동 시스템 및 IoT 모듈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측면의 서비스 및 기능구현이 가능한 기술.
  • 해상풍력발전용 블레이드 손상감지 및 공력성능 운영관리 기술 (4단계)
    • 5MW급 해상풍력발전용 carbon-glass 하이브리드 복합재 블레이드의 손상감지 및 공력성능 운영관리 로봇 기술로서, 고속의 대면적 블레이드 검사와 형상적응이 가능
  •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추진 선박 기술 (5단계)
    • 전기 추진 선박은 배터리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디젤엔진은 보조동력으로서 고압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사용됨. 프로펠러는 복수개의 모터와 변속기를 통한 간단한 구조로 추진이 가능하며, 추진력의 크기에 따라 구동할 모터의 개수 조절이 가능함. 선박 내부의 전원 시스템은 분산전원 컨버터와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순시부하와 상시부하를 상황에 맞게 공급이 가능
  • 풍력발전기용 유지보수 시스템 및 제어 기술 (6단계)
    •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자와 보수용 장비들을 안전하게 운반하며, 바람의 영향에도 흔들림을 최소화 하도록 제작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풍력발전기 요소부품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기 위한 작업대 수직 이동용 구동시스템 제어기술 및 작업대 수평유지 제어 기술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운영효율 향상 기술 (5단계)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열화 감지, 발전량 예측, 수명 예측 및 발전성능 향상을 위한 운전 및 유지 보수(O&M) 기술 적용을 통해 발전량 증가 및 전력비용(LCOE)을 낮출 수 있는 기술
  • 전력기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6단계)
    • 콘센트를 활용하여 의료기기의 위치파악 및 기기 사용 상태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병원 관리 시스템으로 이는 병원뿐만 아니라 가정 또는 회사 등 범용적으로 응용이 가능한 원격관리 기능 또는 전력 감시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
  • 전력 정보 수집 기능이 내장된 ARG 기술 (4단계)
    • IEC 61850 소트프웨어 스택을 기반으로 전력정보를 수집/관리/전송할 수 있는 PIC(Power Info. Collector)를 개발하고, 댁내 전력 사용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
  • 자기장 통신 기술 (6단계)
    •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 영역을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존의 RFID 기술과 USN 기술의 약점을 해결하고 무선통신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 기술
- 자기장 영역이란, 전자계가 안테나로부터 분리, 전자파가 되어 공간으로 전파되기 전까지의 거리를 말하는데, 안테나에서부터 λ(파장)/2π까지의 영역을 나타냄.
  • 온실가스 관리 기술 (6단계)
    • 물류활동 자체의 결과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린 공급망 관리(Green Chain Management, GCM) 전 단계에서 설계, 구현, 관리, 통제하는 활동을 지원하는 솔루션 및 서비스를 통합 프레임워크 기반에서 다양한 기술영역을 포함하여 개발함
  • 에너지저장 시스템(ESS) 설계 및 운용기술 (7단계)
    • 건물 내부의 무정전 전원 공급을 위한 비상발전기의 운전 시 초기 기동에 대한 정전 경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ESS*를 병렬로 연계하여 운전하는 기술과 ESS의 높은 초기 투자비용을 해소하기 위해 이종 배터리를 구성하여 운용하는 기술 및 차세대 흐름전지**의 BOP*** 설계 및 운용기술
- ESS(Energy Storage System):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
- 흐름전지(flow battery): 재충전이 가능한 금속 이온을 가진 수용성 전해액을 이용한 대용량 전지
- BOP(Balance Of Plant): 원자력발전소에서 증기를 이용하는 설비 쪽의 총칭. 터빈·발전기 설비를 의미
  •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고효율 다기능성 스마트 윈도우 (4단계)
    •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선 및 주위 환경에 따라 투과/반사도를 윈도우 스스로 또는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자동차 및 건축물 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고효율 스마트 윈도우 기술
  • 에너지 절감 시스템 기술 (6단계)
    • 기기별 전력 소비량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전원 제어(개별/그룹별), 이벤트 기반의 전원제어, 스케쥴링 기반의 전원 제어 등 다양한 전원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에너지 절감 기술
  •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장치 (3단계)
    • 액체를 이용한 Energy Generating 기술은 바람, 진동, 빗물, 파도, 시냇물의 흐름 등의 자연적인 현상과 인간의 다양한 움직임, 자동차의 진동 및 움직임, 생활 하수의 흐름, 기차의 진동 등 다양한 외부 부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
  • 스마트그리드용 무선 네트워크 기술 (5단계)
    • TV 유휴대역(White Space)과 서브기가(Sub-Giga)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전기, 가스, 수도와 같은 유틸리티 관련 정보를 공급자와 사용자 사이에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기술
  • 스마트 콘센트 및 플러그 기술 (6단계)
    • 내부에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H/W 모듈과, 스마트 콘센트 및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on/off 제어할 수 있는 모듈, 및 측정한 결과를 에너지 절감 시스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는 통신모듈로 구성된 지능형 홈 에너지 절감 시스템 기술
  • 스마트 에너지 계량 기술 (7단계)
    • 에너지 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에너지 사용량을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 효율성 평가 및 에너지 소비패턴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요예측으로, 대상시설에 맞는 탄소배출량을 환산 관리하는 에너지 시설의 지능화 제어 및 탄소배출 감축의 통합 관리시스템 기술
  • 비주얼 태양추적 모듈(VSTM)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발전(CPV) 광추적 시스템 기술 (6단계)
    • 집광형 태양광 모듈에서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광 트랙커로 하여금 태양직사광선과의 법선벡터를 유지하여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써, 날씨정보와 구름, 태양의 황도계산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태양위치 추적 기술
  • 비접촉식 전력식별 기술 (6단계)
    • 개별기기의 전력량을 전력 총량으로부터 유추하는 비접촉식 형태의 전력식별 기술로서, 기기별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사용이력(Footprint)을 도출하고 사용자 패턴을 인지·학습하여 자율적으로 가전기기별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자율제어 에너지 관리 플랫폼(Autonomous-EMS) 기술
  • 무선전력전송 기술 (6단계)
    • 무선전력전송은 전력을 전선 없이 무선으로 전자기기에 공급하는 기술로서, 근거리 대전력 전송의 자기유도‧자기공진방식과 원거리 소전력 전송의 RF방식이 있으나, 최근 위치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고출력 전송이 가능한 방식에 대한 기술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자기 공진형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제공
  • 무선전력전달 및 무선충전을 이용한 무선조명 기술 (6단계)
    • 무선전력전달 및 무선충전기술을 적용해 간편하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로서, 조명 밝기 등의 제어 및 전력 공급과 충전을 무선으로 구현할 수 있음
  • 대용량 전압・전류 정격의 전력변환 기술 (6단계)
    • MV(Medium Voltage)를 입력으로 하는 MW(Mega Watt)급의 멀티레벨 컨버터로 고속 스위칭소자를 적용하고 스위칭 주파수를 높여 입·출력 필터의 소형화가 가능한 MW급의 파워스택과 고전압 전력반도체 소자를 각종 폴트상황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고 구동할 수 있는 고전압 IGBT* 게이트 드라이버
-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파워 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의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switching) 소자(素子)
  • 단상 에너지 측정 기술 (5단계)
    • 기기 부하에 입력되는 교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소비 전력 및 에너지 사용량을 계산하는 방식과 달리, 전압/전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 및 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한 단상 전력 측정 장치의 계산 엔진 IP 및 설계 기술
  • 고효율 전력변환시스템 설계 및 제어기술 (7단계)
    •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광과 풍력발전용 전력변환시스템의 고효율 토폴로지 설계 및 최대전력 제어 알고리즘 구현 기술과 시스템 내부의 수동소자의 사이즈를 줄여 전력밀도를 높일 수 있는 토폴로지 설계 기술 및 전력반도체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
  • 고효율 전력 측정 기술 (6단계)
    • 전압 신호를 주파수 분석(푸리에 변환)하여 고조파*로 해석하고 유효한 페이저**를 전류 측정을 전담하는 모듈에 전송하고 그 모듈에서 전압 페이저와 전류 페이저 활용하여 전력 측정을 하는 방식으로 비용과 안전성면에서 효과적으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음
- 고조파: 주기적인 일그러진 파(歪波)는 가장 낮은 기본 주파수의 정현파와 이 정수배 주파수의 다수의 정현파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데 정수배의 주파수를 의미
- 페이저(Phasor): 정상 정현파(sine wave)량(교류 전압, 교류 전류 등)을 복소량(複素量)으로서 표시한 것
  • 고효율 유기발광소자 및 백색 발광 소자 제조 기술 (5단계)
    • 유기발광소자의 내외부에 나노 크기의 도트(dot)와 요철구조가 형성된 광추출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 광산란 물질을 포함하는 유연기판을 이용하는 방법
    • 청색 OLED에 형광잉크를 코팅이나 프린팅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 고전압 배선 선로용 장수명 Isolated Hot-spot Wireless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5단계)
    • 배전반 차단기 접점부(hot spot) 실시간 온도계측을 위한 접촉식 무선 온도센서 및 자가 전력공급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개발
- Hot-spot과 회로부의 절연 (36kV) 및 단열 (180℃) 패키징 개발
- 초소형 회로 및 하우징 설계 제작
- 2개 센서 동기 제어 및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
- 배터리 및 수신 전력의 효율적인 전력관리
- 배전반 indicator 설계 및 온도에 따른 전원차단 회로개발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와 그 제조 방법 기술 (6단계)
    •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버스바 전극을 산화구리로 대체하고 광소결을 통해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공정비용을 줄여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
  • 건축물 유리용 초단열 코팅 기술 (7단계)
    • 내구성이 좋지 않은 종래의 단열필름에 비해, 본 기술은 나노 다층 무기 산화막으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시광선 투과도는 유지되면서 사람이 가장 뜨겁게 느끼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차단하며,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전극 박막을 코팅하여도 광학적으로 상호 보강되는 구조로 코팅이 됨으로써, 스마트 윈도우에도 적용가능한 유리용 초단열 코팅기술
  • 가변자속 전동기 시스템 (6단계)
    • 가변자속 전동기는 영구자석의 자속량 조절이 가능하여 저속에서는 자속량을 증가시켜 운전하고 고속에서는 자속량을 감소시켜 운전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동기로서 영구자석의 착/감자가 용이한 전동기 형상 설계와 착/감자 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기술을 제공
  • LED 조명용 구동 시스템 제어 기술 (6단계)
    • LED 조명기기 구동용 전력변환기 및 조명장치에 관한기술로 조명기기의 조광제어를 용이하게 하며 고효율, 고출력,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 고출력의 역률개선부, 컨버터부를 통해 고효율화를 달성, 신호제어선이 필요 없는 시스템 제어기술을 구현, 조광제어 및 가로등 시스템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제어기술을 구현
  • 3D 자기공진 기반 무선충전 기술 (6단계)
    • 3차원(입체형) 코일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충전 기술로 컵홀더 또는 연필꽂이 등 입체형 무선충전 송신기에 놓여진 수신기의 위치 자유도 확보가 가능한 기술

  • AR·VR
[ 펼치기 · 접기 ]
  • 생체신호 기반 정신건강 VR/AR 플랫폼 기술 (4단계)
    • 생체데이터 측정용 무선 VR/AR HMD 및 뇌/인지과학적 정신건강 증진 기능성 콘텐츠와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
- 생체데이터 기반의 VR/AR HMD 및 플랫폼 구축에 대한 국내 기술 확보를 통하여 VR/AR 분야에 폭넓은 활용 가능
- 현대 사회 질병 부담 비율 중 12% 이상(WTO)을 차지하는 정신건강에 대한 VR/AR 기반의 접근성, 몰입성, 효과성 높은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조기 개입 및 예방, 자가 진단/치유 등 국민정신건강 증진에 기여
  • 증강현실용 컨텐츠 매쉬업 서비스 기술 (6단계)
    • 구글글래스 등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실물 전시물 관람하는 경우 해당 전시물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술
  • 인터랙티브 UI 기반 3D 시스템 기술 (6단계)
    • 무안경식 입체영상 기반에서 신체의 움직임을 인지하여 3D 콘텐츠와 상호 인터랙션하고, 영상 객체 조작 시 공간 촉감기능을 제공하여 몰입 연계체험이 가능한 新 정보가전 시스템 기술
- 3D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인터랙티브 3D 시스템
- 실감 몰입형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
- 3차원 공간의 손제스처, 몸동작 등을 인식 할 수 있는 센싱칩
- 인터랙티브 3D 콘텐츠와 시스템이 연동할 수 있는 미들웨어 S/W
- 접촉하지 않고 손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비접촉식 자극인터페이스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접촉식 입력 기술 (3단계)
    • 한 손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 시, 입력과 출력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입력 시 출력화면을 가리지 않고 입력부의 영역 및 시간의 조합으로 다양한 입력이 가능한 측면 접촉식 입력 기술과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접촉 기반 입력 기술을 포함
  • 스테레오 비젼 기반의 제스처 인지 SoC 솔루션 기술 (7단계)
    • 2개의 카메라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3D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뻗은 손이나 팔의 위치를 인지하여 에어 마우스를 위한 UI로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지하여 제스처 UI로 사용가능한 기술
  • 스키 및 스키점프 시뮬레이터 기술 (5단계)
    • 스키, 스키점프를 가상현실 기반에서 실제와 같은 느낌으로 체험하기 위한 에어플로팅스페이스 기반의 스포테인먼트 실감체험 서비스 플랫폼기술
- 실제 환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VR(Virtual Reality) 콘텐츠, 고품질 3D영상 콘텐츠, 실감효과 재현장치, 사용자 자세 인식, 6자유도 및 공중플라잉 모션장치로 구성
  • 스마트 펜 기반 전자칠판 콘텐츠 증강 기술 (7단계)
    • 스마트 펜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지시하고 있는 대상물 및 위치를 식별하고,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 센서로 스마트 펜의 제스쳐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특정 대상물이나 위치 관련 학습콘텐츠 오버레이 및 증강 기능 구현 가능
  • 상호 작용이 가능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 (6단계)
    • 3차원 영상을 광학 처리부를 통해 다른 위치에서 3차원 영상을 재현하고, 재현된 3차원 영상과 관찰자의 움직임을 연동하여 3차원 영상을 변화시키는 기술
  • 사용자 인터렉션을 위한 비접촉식 초음파 텍타일 기술 (5단계)
    • 별도의 장갑이 필요없이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활용하여 공간상의 사용자 손에 촉각을 전달할 수 있는 초음파 텍타일 기술
  • 다자 협업형 가상훈련(e-Training) 시스템 관리 기술 (7단계)
    • 다종의 가상훈련 시스템(천장크레인, 가상용접, 포크레인, 자동차운전 훈련 시스템 등)이 연동하고 다수의 훈련자가 참여하는 환경에서, 훈련설정, 훈련모니터링, 훈련평가, 훈련역량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
  • 감성기반 사용자경험(UX) 평가 기술 (5단계)
    • 서비스의 발굴부터 평가, 운영에 이르는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프로세스에서 제품, 콘텐츠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용자 반응측정(생리신호, 행태추적 등을 통한 집중도, 피로도, 만족도, 감성상태) 및 분석이 가능한 사용자경험 평가 시스템
  • 가상환경 멀미 극복 기술 (2단계)
    • 가상환경에서 비롯되는 멀미를 극복하기 위하여, 스튜어트 플랫폼 같은 로봇기술을 활용하여 인체의 다른 감각과 시각 정보를 일치화하여 장시간의 HMD를 활용한 작업에도 인체에 이상이 없도록 해주는 기술
  • 3D 투영영상 공간 터치 UI 기술 (6단계)
    • 공중에 3차원 영상을 띄우고 적외선 처리시스템과 X, Y, Z축을 감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해 영상을 만지는 손가락 끝의 위치 인식
- 허공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처럼 공중영상의 표시가 가능하며, 3차원 영상을 손가락으로 만져 조작하는 기술
  • 3D 영상용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6단계)
    •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은 전자기기 및 광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광정보 처리를 통해 홀로그래픽 데이터 처리
- CCD, CMOS 등의 광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실물에 대한 완벽한 3차원 정보 포함
  • 3D 공간터치 기반 문자입력 기술 (6단계)
    • 스마트 IT 기기에서 맨손가락으로 3차원 허공을 움직여서 자연스럽게 문자입력 및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는 3D 공간터치 기반 Natural UI 기술

  • 휴먼케어
[ 펼치기 · 접기 ]
  • pH 센서, 이온센서, 바이오의료 센서에 적용 가능한 나노전계효과트랜지스터 센서 (6단계)
    • nanoFET 의 확장게이트 전극 구조를 활용하여 소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고 감지전극만 검사 환경에 노출시켜 일회용으로 사용함. 검사 시료의 pH 검출, 이온농도, 생화학분자의 실시간 검출에 적용 가능한 센서 기술로써, 감지전극의 재료를 어떤 것으로든 간단하게 교체하여 센서 최적화 연구에 활용 가능
  • nanoFET 이온 발란스 센서 (7단계)
    • 이온발란스를 관리하기 위해 nanoFET 소자를 사용하며 n형과 p형 채널 소자를 동시에 사용하여 음이온과 양 이온의 발란스뿐만 아니라 불균형 정도를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음. 간단한 센싱 원리로 동작하며 저소비전 력이므로 IoT 센서에 적합하여 제조라인 전체의 이온발란스 정도를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이온발 란스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현하기에 적합한 센서 기술
  • 오픈 플랫폼 기반의 ICT 스마트 센서 기술 (6단계)
    • 가속도, 압력, IMU센서 등 통합 인터페이스 센서 패키지로, RF기반 교체형 생체신호 측정 모듈 및 외부센서 통합처리 게이트웨이 모듈을 적용이 가능하며 면상 모듈러 방식으로 조립 및 가공이 편리하고, 보행, 호흡, 심박 측정 등 다양한 생체 신호 측정으로 폭넓은 분야에 응용이 가능
  • 수정진동자(QCM)를 이용한 스모크 및 연기감지 센서 기술 (3단계)
    • 수정진동자 센서는 진동자 표면에 흡착하는 미세 질량에 이해 공진주파수가 바뀌는 원리로 ~ ng 수준의 질량을 감지할 수 있어 습도 변화의 감지와 연기 감지 및 공기중 부유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음. KETI의 QCM센서는 저렴한 전자부품인 수정진동자 소자를 이용하였으며, 미세질량 변화에 의해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IoT 센서임. 연기 입자의 증가 정도를 감지하여 출력전압의 증가로 출력
  • 미용 목적의 피부 진단 및 치료기기 기술 (4단계)
    • 병의원용 전문 의료기기에서 가정용 미용 의료기기와 뷰티 가전에 이르기까지 적용 가능한 다양한 고주파, 레이저 시스템 기술로서 각종 첨단 기기를 통한 안전성, 유효성이 확보된 기술
  • 빠른 검사용 면역진단 키트, 카트리지 및 판독용 리더기 기술 (4단계)
    • 복잡한 세척단계 없이 검사시료의 주입만으로 10분 내외로 신속하게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멤브레인 기반의 카트리지나 마이크로웰기반의 일회용 면역진단 카트리지 기술 및 이를 정량 판독하는 면역진단 리더기 기술로서, 현장 신속진단(POCT)이 가능
  • 의료 영상 분리 엔진 (5단계)
    • MRI/CT 등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여러 개의 객체로 분리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서 객체를 분리하기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Shape sensitivity를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한 최적의 영역분리를 수행하는 엔진과, 사용자가 제공한 영역정보를 바탕으로 혈관과 같은 객체의 영역을 분리하는 엔진으로 구성
  • 실시간 세포 추적 시스템 기술 (4단계)
    • 세포 추적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살아있는 부착성 세포를 관측하고 세포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세포 분석 기기임
    • 본 기술에 따른 세포추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4가지 영역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함
- 세포 관찰 장치 : 세포의 주화성에 따른 이동(또는 활동)능력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미지를 표시함
- 세포 배양 관찰 장치 : 배양되는 세포의 이미지를 인큐베이터를 개방하지 않고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함
- 세포 배양용 인큐베이터 : 다양한 배양 조건을 위하여 온도와 CO2 흐름 제어가 가능함
- 주화성 측정 장치 : 세포의 주화성 등 측정이 가능한 구조물
  • 실리콘 나노와이어 마이크로폰 제조 기술 (4단계)
    • MEMS 공정에 기반을 둔 top-down 방식의 실리콘 나노와이어 어레이 제조공정을 바탕으로, 음압에 따른 다이아프램(diaphragm)의 진동에 의한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기인한 실리콘 나노와이어의 압저항 효과에 따라 저항 변화가 유도되는 구조 설계를 통해 고감도의 압저항형 마이크로폰을 제조하는 기술
  • 식품첨가물 검출 기술 (6단계)
    • 아질산염 검출용 화학반응인 Azo dye 화학반응을 멤브레인 스트립에 적용하여 안정적이고 감도가 우수하면서도 저렴한 형태로 아질산염 검출용 색센서 스트립을 제작할 수 있음.
  •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사용법 안내시스템 (6단계)
    • 다양한 기능과 방식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사용방법을 사용자 입장에서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기기의 종류 및 사용방법을 검출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정확하게 정밀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정보 측정기기의 사용법 안내시스템
  •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기술 (6단계)
    • IR 레이더를 통해 실시간 실내위치추적시스템을 구현하고, 멀티센서와 연동하여 무구속 무자각방식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어 위치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 및 재난구호시스템에도 활용이 가능한 기술
  • 반복 사용 가능한 디지털 뇨당계 기술 (5단계)
    • 당뇨 환자나 신장 이상, 기타 대사 기능에 이상이 의심되는 환자들 중 배뇨 중에 포함되는 당의 농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기기로서 채혈 없이 손쉽게 소변 중의 당 농도를 디지털로 표기함
    • 대량 양산 가능한 저가의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센서 표면층의 다층 막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배뇨 중 불순물의 효과적인 차폐를 통하여 200회 이상의 반복 사용이 가능함
    • 개발된 전극 구조를 가지는 PCB와 이를 이용한 디지털 뇨당계 시제품 제작이 완료됨
  • 미용 목적의 피부 진단 및 치료기기 기술 (4단계)
    • 병의원용 전문 의료기기에서 가정용 미용 의료기기와 뷰티 가전에 이르기까지 적용 가능한 다양한 고주파, 레이저 시스템 기술로서 각종 첨단 기기를 통한 안전성, 유효성이 확보된 기술
  • 3D 구강스캐너 기술 (5단계)
    • 별도의 스프레이 도포 없이 3차원 형상 측정이 가능한 공초점 방식의 3D 스캐너용 광학모듈 기술로서, 초점 조절을 위한 모터 등 기계식 구동부품의 소음, 진동, 무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빙 파트 없이 전자 포커싱이 가능한 저음, 저진동, 경량화 구조의 3D 스캐너용 핵심 광학 모듈을 구현
  • 모바일 요당 분석 서비스용 모듈 기술 (6단계)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한 수집용 플러그인 모듈 구조, 요당 센서와 무선으로 연동하기 위한 무선 통신기술, 측정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요당 분석 서비스용 기술
  • 동계트랙 스포츠용 생체신호 전송 기술 (5단계)
    • 생체신호 및 동작정보 수집을 위한 다채널 통합게이트웨이 시스템으로서 심전도, 호흡, GSR, 근전도 생체신호 데이터 수집 및 센서 동작신호 데이터 등의 다채널 신호전송이 가능한 기술
  • 능동 소음 제어 활용 기술 (3단계)
    • 모바일 기기로 들어오는 입력음향신호를 분석해서 음성의 명료도를 높여 출력하고, ANC 헤드폰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보청기와 ANC 시스템 플랫폼을 개발하여 사람에 밀착되지 않는 형태의 이동 가능한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을 구현함
  • 공기 중 바이러스 살균, 포집 및 분석 기술 (3단계)
    • 공기 중 부유 유해 물질 및 바이러스를 이온화시켜서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여 1차적인 피해를 최소화시키며, 정전기력 원리로 상시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도한 센싱 영역에 공기유해 바이러스를 포집하는 기술과, 그 고유 특성을 이용하여 염색하거나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광/흡광/발색 등의 광학 리더기로 검출하거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정확히 분석하는 기술
  •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VDI)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관리 기술 (6단계)
    • 클라우드 응용 서비스 대응을 위한 클라우드 단말의 기능 확장과 성능 향상을 위한 관리 및 제어를 목적으로 하며, 개인형 맞춤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개인인증을 포함한 다중 접속 방식의 클라이언트 단말 관리 기술을 포함
  • AED 시스템용 비전 기반 입력 방식 및 위치 검출 SW (6단계)
    • Smart AED*, 3D AR* Glasses 등 관련 제품에 포함하여 활용 가능하며, 스테레오 카메라를 활용하여 신체의 흉부압박점 및 전극패드 부착위치를 자동으로 찾아주는 검출 시스템으로 일반인도 쉽게 사용 가능
-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자동제세동기, 심장 마비가 발생하여 쓰러진 사람이 있을 때 심장에 전기 충격 을 주어서 심장 맥박의 이상을 교정하는 장치
- AR(Augmented Reality, Artificial Reality): 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기술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9. 국제협력현황[편집]


  • 미국
    • 완전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AI 기반 자동화 협력[Carnegie Mellon Univ.(CMU)]
    •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 Remote Terminal Unit(RTU) 시스템 협력(ExxonMobil)
    • 자율주행용 카메라 기반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IIT)
    • 엑소좀 기반 정밀 암 진단 플랫폼 상용화 협력[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MGH)]
    • AI 기술을 활용한 메타버스공연, 무인설비점검 솔루션 개발(UCSD)
    • SoC 및 광전모듈 개발[Purdue Univ.]
    • Wearable device UI/UX [Carnegie Mellon Univ.(CMU)]
    • SI-알고리즘(객체분할/ADAS)개발 [UC San Diego/IIT]

  • 독일
    • 개방형 IoT 스마트 공장 플랫폼 및 Factory-Thing 하드웨어 협력(Fraunhofer IOSB)
    • 친환경 양자점 발광자용 소재 및 공정기술 협력(Fraunhofer IAP)
    • 고효율 GaN MMIC Power Amplifier 기술 및 5G/6G 모뎀 기술개발(Fraunhofer HHI)
    • 리튬배터리 효율/수명 향상을 위한 히터 개발[BMW]
    • 차세대 무안경 홀로그래픽/3DTV용 레이저 개발[FBH]

  • 이탈리아
    • 유럽향 ITS-G5 기반 V2X 시스템 및 서비스 협력[CNR-IEIIT]

  • 프랑스
    • 자동차 전원 정밀제어 장치 최적화 기술 개발[Valeo]
    •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용 고효율 회로 개발[Universite Paris-Sud]

  • 스페인
    • 엣지 컴퓨팅 지원 스마트팜 정밀 농업용 AI 서비스 플랫폼 개발[CT Ingenieros Aeronauticos de Automocion e Industrialeds(CT Ingenieros)]

  • 스웨덴
    • 스마트 IoT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공격탐지 및 방어 기술 협력[RISE(Research Institutes of Sweden)]

  • 체코
    • 계층형 클라우드-엣지 플랫폼 개발[Brno Univ. of Technology(BUT)]
    • AI 기반 회전교차로 자율주행 안전주행 서비스 기술개발[Czech Technical Univ. at Prague(CTU)]

  • 호주
    • 리튬-황 전지의 장수명화 기술 개발[University of Wollongong]

  • 중국
    • Smart-Home/Factory 기술개발/표준협력[IGRS]
    • AVP 영역 확장을 위한 5G-V2Z 기반 핵심 기술개발[충칭우전대(CUPT), 충칭장안자동차(CCA), 중국정보통신연구원(CAICT), 칭화대(TU)]
    • Bio융합-에어샘플러 개발[시안교통대]
    • 단열/발열 소재 및 필름 개발[전자과기대]

  • 베트남
    • VITASK(산업기술ODA) 사업 참여, 산업기술 ODA를 통한 기업지원
    • 베트남 시장용 30W LED 가로등 개발

  • 미얀마
    • 미얀마 LED 조명 기반조성사업[DRI(Department of Research and Innovation)]
    • 동남아 시장용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개발

  • 사우디 아라비아
    • 사막형 태양광 특수발전시스템 개발


10. 교육훈련지원[편집]


KETI는 다양한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기업재직자, 미취업자 등에게 전문기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출처

  • 기업재직자 교육훈련
  • 대학(원) 전문인력양성
  • 특성화고 인력양성
  • 통합형 인력양성

지식 나눔을 통해 지역 사회 과학문화 확산에 공헌하고, 청소년 진로 교육을 실천을 위한 연구원 견학 및 지식봉사단을 운영한다.
  • 대상: 중고등학생
  • 주요 내용: 연구원 소개, 진로 상담, 연구부서 소개 및 주요시설 견학(실험실 등)
  • 신청방법: KETI 기업성장지원실 031-789-7633, [email protected]
  • 견학기간: 평일 09:30~17:30
  • 기타: 각 부서의 지식봉사단원이 직접 학교에 방문하여 특강도 가능함

교육 문의는 홈페이지 상단 메뉴의 각 사업별 신청방법 또는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상담 가능시간: 평일 오전 10시 ~ 오후 5시, 토, 일 공휴일 휴무)


11. 기업협력[편집]


온/오프라인 기업협력 플랫폼을 통해 기업협력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에서 사업화까지 기업에 필요한 모든 솔루션을 제공한다. 출처

  • 기업협력 플랫폼

  • 온라인 플랫폼: 사업화대상기술 소개 등 기업 협력·지원 사항을 상시 접수하고 솔루션을 제공
  • 오프라인 플랫폼: 기술혁신 교류회 등 기업과 소통하는 기술혁신 교류회 (기술 매치메이킹 행사 등)를 연간 운영


  • 기업협력 프로그램

  • 공동기술개발
IT소재부품, 정보통신미디어, 융합시스템, 지능정보, 스마트에너지·제조 등 전자·IT 분야의 첨단 기술을 선도한다. 정부 R&D사업에 공동으로 참여하거나, 기업수탁 과제 등을 통해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 공동기술개발 형태
    • 정부 R&D 사업
      • R&D 수요발굴[기업] -> 공동 R&D 문의[기업] -> 가능여부검토[KETI] -> 사업기획[공동] -> 정부 R&D 사업 신청[공동] -> 사업 선정 및 수행[공동]
    • 기업수탁 사업
      • R&D 수요발굴[기업] -> 수탁 문의[기업] -> 가능여부검토[KETI] -> 기술미팅[공동] -> 수탁계약[공동] -> R&D[공동]
  • 개발 분야
[ 펼치기 · 접기 ]
  • IT소재부품
    • ICT디바이스·패키징
    • 디스플레이
    • 융복합전자소재
    • 나노융합
    • 신뢰성
  • 정보통신미디어
    • 정보미디어
    • VR/AR
    • 스마트네트워크
    • 콘텐츠응용
  • 융합시스템
    • 자율지능IoT
    • SoC플랫폼
    • 휴면IT융합
    • 스마트센서
  • 지능정보
    • 지능형영상처리
    • 모빌리티플랫폼
    • 임베디드·SW
    • 지능로보틱스
    • 인공지능
  • 스마트에너지·제조
    • 에너지IT융합
    • 차세대전지
    • 지능메카트로닉스
    • 스마트제조
    • 신재생에너지
  • 광주지역
    • 에너지변환
    • IT융합부품
    • 자동차전장
    • 스마트가전혁신지원
  • 전북지역
    • 스마트전자부품
    • IT응용
    • 기업혁신센터

  •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 보유하고 있는 핵심기술, 특허, 노하우를 기업에게 이전하여 사업화로 연계한다.

  • 애로기술 자문
    • 전문가 매칭, 맞춤형 기술지도 및 컨설팅 등을 통해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돕는다.
애로기술자문 의뢰 -> 가능여부 확인-> (가능)-> 연구자 매칭 -> 컨설팅 실시
(불가능)-> SOS1379 안내[6]


  • 신뢰성 평가지원
신뢰성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서 기업에서 개발·생산한 제품에 대한 신뢰성 시험·평가·분석 및 솔루션을 제공한다. 고장분석, 열신뢰성, 신뢰성예측, 자동차용 전장품 신뢰성 시험(AEC-Q), EMC 해석 및 대책, 가속수명시험(ALT) 등 다양한 신뢰성시험·분석 의뢰가 가능하다.
  • 신뢰성연구센터(본원)
    • 열/에너지분야
    • 자동차 전장분야
    • 전력/전자/RF/EMC 분야
    • 시스템 신뢰성 분야 등
(시험문의: 031-789-7282, 7284)
(홈페이지: www.keti.re.kr/reliability)
  • 광주지역본부
    • 환경 시험 분야
(시험문의: 062-9757-051)
  • 전북지역본부
    • 자동차 전장 분야
    • 전자기 적합성
    • 고출력 전자기파 영향
(시험문의: 063-219-0053)

  • 연구기반 활용
KETI가 보유한 연구장비 및 장비전문인력을 정부지원사업과 연계하여 활용. 광학·전자관련 영상 및 전파 측정, 화합물 전처리 분석, 반도체 공정 및 테스트 지원, 통신 신호처리, 기타 전기전자 관련 측정·시험·분석 관련 첨단 연구장비 활용을 지원한다.
  • 연구장비 지원
국가장비활용도 제고와 기업성장의 플랫폼 역할을 다하고자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첨단 연구장비(약 560여종)의 공동활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연구원이 기반구축사업 등을 통해 구축한 기능별‧거점별 지원센터들은 중소기업이 보유하기 어려운 고가의 연구시설‧장비의 공동활용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시험, 분석, 계측, 공정개발 등 기능별 일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지원서비스
    • 기능별 일괄지원서비스
본원(성남시 소재) 및 인근 수도권 지역과 광주, 전북 지역거점 13개 지원센터의 기반구축 장비를 활용 시험, 분석, 공정개발 등 기능별 일괄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동활용 보유장비 검색 및 이용신청
다양한 첨단 연구장비 약 560여종의 연구장비 공동활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을 원하시는 장비를 검색한 후 온라인 상담 신청을 하면 연구장비 공동활용 담당자가 사용가능 여부를 안내한다.(공동활용 장비 활용 시 장비별 기준에 따른 소정의 장비사용료[7] 발생)
  • 중기부 연구기반활용사업
공동활용 수요도가 높은 263대의 연구장비를 연구개발 목적으로 활용하는 중소기업에게 중기부 지원사업을 통해 이용요금(60~70%)을 절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이용방법
보유장비 검색 -> 온라인상담신청 -> KETI 담당자 사용가능여부 확인 -> 안내
  • 창업지원
예비 기술창업자나 초기 창업기업에게 보육공간 및 KETI 인프라 활용 기회를 제공하여, 견실한 중소·중견기업으로 육성시키고자 창업보육센터를 운영·지원하고 있다.
  • 창업보육센터
예비기술창업자나 초기 창업기업에게 보육공간 및 KETI의 인프라 활용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산·연 신기술 협동연구, 이전기술 사업화, 해외 우수기업 및 기관의 공동협력을 통한 신기술 창조, 확산 및 사업화 촉진 등 신기술 연구기업과 공동연구의 공간으로 신기술R&BD확산센터를 운영 지원한다.
  • 입주 절차
모집공고 → 입주신청서 접수 → 심사(서류) → 심사(발표) → 선정 및 계약체결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모집공고 및 신청서는 공지사항 및 주요서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창업보육센터 운영
    • 입주대상 : 예비창업자, 창업일로부터 3년 이내의 중소·벤처기업
    • 모집분야 : 전기전자, 정보통신, 나노, 정밀기계, 콘텐츠, S/W 등
    • 모집 결격자
      • 신용불량자 또는 휴.폐업중인 자
      • 소음.진동.폐수.악취 등의 공해를 유발하는 자 또는 업종
      • 기타 보육사업의 목적에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 입주기간 : 6개월 이상 3년 까지(창업한 때로부터 7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가 2년 연장 가능)
    • 입주공간 : 70㎡형(전용율 65%, 1개실 기준)
    • 지원내역 : KETI 연구인프라 활용 및 사업화자금 일부지원
  • 신기술R&BD확산센터 운영
    • 3년 이내(1개실 기준 50㎡형)
    • 입주대상
      • 신기술 협동연구 및 KETI 이전기술 사업화 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 및 기관
      • 글로벌 R&BD 사업과 협력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동협력이 가능한 선진기술 보유의 해외 우수기업 및 기관
    • 모집분야 : 전기전자, 정보통신, 나노, 정밀기계, 콘텐츠, S/W 등
    • 입주기간 : 6개월 이상 3년 까지(추가 2년 연장 가능)
    • 입주공간 : 50㎡형(전용율 65%, 1개실 기준)
    • 지원내역 : KETI 연구인프라 및 지원 프로그램 활용 지원
  • 문의처
  • 교육지원
연구원의 연구개발 인프라와 쾌적한 교육시설을 활용, 기업 재직 근로자에 대한 기술직무능력향상 훈련 을 실시하여 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 지원 대상
    • 중소·중견기업 및 대기업(일부 과정의 경우 대기업 재직자 참여 불가)
    •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교육은 중소·중견기업 직원 및 대표이사 참여 가능
    • 고용노동부 지원 교육은 고용보험가입 재직자만 참여 가능
  • 지원내용
    • 분야 : IT 융합시스템(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ARM, 시스템 및 디지털 반도체, IoT 개발, 통신 및 회로, 차량 제어, 센서공정 등)
    • 비용 : 무료(국비 지원), 일부 과정의 경우 대기업은 교육비의 20% 부담
  • 참여기업 혜택
    •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식 직무기술교육 제공
    • 연구원내 기업지원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기업 애로사항 지원
  • 신청절차
    • 절차
      • 모집공고 → 참가신청 → 기업협약 체결 → 서류제출 → 수강확정[8]
    • 고용노동부 지원 교육은 교육신청 홈페이지 (http://ittc.keti.re.kr) 에서 제출 양식을 다운받아 협약 후 교육신청
      • 제출 서류 : 협약신청서 및 개인정보동의서
    •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교육은 이메일로 교육신청
      • 제출 서류 : 개인정보동의 및 교육신청서(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 문의처
  • 글로벌 산업기술협력 지원
연구원이 보유한 우수 연구성과와 글로벌 연구기관 기업과의 협력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우리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의 수요를 발굴하고 우리기업과 연계함으로써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 주요업무
    • 글로벌 산업기술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기업의 기술혁신 기반 확보
    • 연구원 보유기술과 글로벌기업의 수요 연계를 통한 기업의 해외사업화 추진
    • 정부 산업통상협력 정책 이행을 통한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 문의처
  • 기업협력 성공사례
  • 공동기술개발 - 산·연간 유기적인 기술개발 협력을 지원하여 기술사업화에 기여
    • A기업
      • 지원내용
        • 기술개발 협력 과정에서 파생부품(발룬 등)에 대한 기술 사업화 기여
        • KETI가 축적한 자성체 기술과 재료 특성 평가 인프라 지원
      • 사업화 현황
        • 국내 선도 수준의 0805 사이즈의 초소형 고용량 권선형 인덕터 개발 성공(14년 6월)
        •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0603 사이즈 민간 수탁으로 추진
  •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 연구원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지원
    • B기업
      • 지원내용
        • 에칭형 은나노와이어(AgNW) 관련 미국 Cambrios社의 원천특허 회피기술 이전
- 미국 특허 회피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 및 수풀 경쟁력 기대
  • 사업화 현황
    • 기술의 양산 scale-up 및 특성 안정화 등의 공정 개발과 중대형 사이즈 투명전극의 제품 Line-up 구성중
- 태블릿 PC(7"), 차량 센터페시야(10"), 올인원 PC 및 게임기 모니터(15") 등
  • 애로기술자문 - R&D, 제품개선, 지식재산권 등 기업애로 해결 및 컨설팅 지원
    • C기업
      • 지원내용
        • 제품 아이디어 구현 및 사업화 컨설팅 제공
        • 차세대 피부과 치료용 의료기기 개발에 지속적으로 협력 추진 예정
      • 사업화 현황
        • 개발 제품 '14년 출시로 25억원 매출 발생 기대
        • CE인증, FDA 승인 추진으로 해외 수출 본격화
  • 신뢰성 평가 - 객관적 제품 성능 평가를 위한 신뢰성 시험 및 불량분석 지원
    • D기업
      • 지원내용
        • 교통 RFID 시스템 버스단말기 불량의 급격한 증가 원인 규명‧개선 및 신뢰성 향상
        • 교육지원: 누적 고장율 '12년 14.2%에서 '13년 4.6% 달성(9.6%p 하락)
      • 사업화 현황
        • '15년 2월 전국 고속버스에 장착(2,088대 납품으로 59억원 매출 달성)
        • 수요 업체의 클레임(1억원) 제기 해결 기여
  • 창업지원 - 창업컨설팅, 창업보육센터 입주 지원 등을 통해 기술창업 지원
    • E기업
      • 지원내용
        • '12년 중기청 '연구원특화 예비기술창업지원사업'에 우수한 성적(22사 중 2위)으로 최종 선정
        • KETI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투자유치 및 現 개발제품의 유통 협력 지원
      • 사업화 현황
        • S社 휴대폰 제조 큐어링용 자외선 LED 신뢰성 테스트 통과('14년 11월) 공급 계약 체결
        • 국내 대표 네일아트 램프 W社에 네일아트 큐어링용 자외선 LED 공급 시작('14년 12월)
  • 주요 업무 연락처
  • 기업협력 대표번호(기업협력총괄실 박순응 실장): 031-789-7610
  • 기술이전‧사업화(기술사업화실): 031-789-7664
  • 외주연구용역(기술사업화실): 031-789-7661
  • 특허지원(기술사업화실): 031-789-7669
  • 연구장비지원(기업협력총괄실): 031-789-7114
  • 신뢰성 시험/분석(신뢰성연구센터): 031-789-7282, 7284
  • 신뢰성 시험/분석(광주지역본부): 062-9757-051
  • 신뢰성 시험/분석(전북지역본부): 063-219-0053
  • 교육지원(기업성장지원실): 031-789-7631
  • 창업보육센터(기업성장지원실): 031-789-7633
  • 국제협력(글로벌협력실): 031-789-7622
  • 연구원 보도(홍보실): 031-789-7764

  • 기타 문의
상담신청 결과는 등록 시 작성한 이메일 계정으로 전달되며, 접수여부 등에 대하여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담당자(031-789-7614, [email protected])에 연락하면 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4:12:31에 나무위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99년 1월 30일 산업자원부 산하 전자부품연구원으로 독립법인 설립[2] 2020년 7월 28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국문명칭 변경[3] 제42조(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 등) ① 중소기업자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소기업자 외의 자는 공동으로 지식경제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업종별 또는 기능별로 연구소(이하 "전문생산기술연구소"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4] '22년 3월 기준[5] '23년 1월 기준[6]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운영하는 기업공감 원스톱서비스[7] 비용은 사용장비, 사용기간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며, 사용비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사용문의(상담신청) 이후 각 장비 담당자와의 추가상담(유선가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8] 모집공고 및 신청서는 http://ittc.keti.re.kr를 방문하면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