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포유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한국의 생물자원

1. 개요
2. 종류
2.1. 진무맹장목
2.2. 박쥐목
2.4. 중치목


1. 개요[편집]


한국, 정확히 말하면 한반도에 자생하는 포유동물은 2016 국가생물종목록 기준으로 125종으로 추정되며 중국이나 일본에 비하면 수가 적으나 종 다양성은 면적에 비하면 다양한 축에 속한다. 예를 들면 호랑이나 표범, 고라니나 노루 등은 한반도에 서식하지만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반면 원숭이등은 서식하지 않는다. 한반도가 유라시아 대륙에 위치하고 있지만 유라시아에 사는 늑대나 불곰, 스라소니, 여우, 쇠족제비등의 식육류나 노루, 백두산사슴 등은 개체수가 적거나 분포 범위가 좁은 것에 반해 아시아 대륙에 사는 호랑이나 표범, 반달곰, 삵, 족제비등 식육류나 고라니, 꽃사슴 등은 개체수도 많고 분포도가 넓은 축에 속한다.


2. 종류[편집]



2.1. 진무맹장목[편집]



2.2. 박쥐목[편집]



2.3. 설치목[편집]



2.4. 중치목[편집]



2.5. 식육목[편집]


  • 개과
    • 개속
      • 늑대[1]
    • 너구리속
    • 승냥이속
    • 여우속
  • 고양이과
    • 고양이속
      • 고양이[2]
    • 삵속
    • 스라소니속
    • 표범속
      • 표범[3]
      • 호랑이[4]
  • 곰과
    • 큰곰속
      • 아시아흑곰
      • 불곰[5]
  • 족제비과
  • 바다사자과
  • 물범과

2.6. 경우제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50:21에 나무위키 한국의 포유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는 많이 살고 있지만, 몽골늑대, 유라시아늑대 등의 야생 늑대는 없다. 사실 개도 늑대와는 별개의 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 이쪽은 외래종이다.[3] 남한에서는 멸종. 아무르표범이 매우 적은 수가 북한에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긴 하나 정확하지 않다.[4] 한국을 상징하는 동물이지만, 정작 한반도 자체에서는 공식적으로는 멸절했다.[5] 우수리불곰이 북한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걸로 추정될 뿐이다.[6] 과거에는 붉은사슴의 일종으로 여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