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아이돌/목록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국 아이돌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부연 설명을 넣지 않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POP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일반
K-POP (역사 · 해외 · 평가) · 한류 음악산업 통계 · 한국 음원시장
아티스트 분류
한국 가수 · 한국 아이돌 (목록 · 역사) · 다국적 아이돌 그룹현지화 아이돌 그룹
걸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보이그룹 (목록 · 역사 · 포지션) · 혼성그룹
유닛 · 남성 솔로 · 여성 솔로
2인조 · 3인조 · 4인조 · 5인조 · 6인조 · 7인조 · 8인조 · 9인조 · 10인조 이상
그룹이 변경된 아이돌 · 연기돌 · 형제 그룹 (자매 그룹)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연예 기획사 · 대형 기획사 (4대 기획사: SM · JYP · YG · HYBE) · 프로듀서 · 매니저 · 연습생 (조언) · 오디션 ·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 문화
팬덤 (목록 (아이돌 그룹)) · 응원도구 · 응원문구 · 굿즈#아이돌 산업에서의 굿즈 (그룹별) · 삼촌팬 · 홈페이지 마스터 · 총공
직캠 · 안무 영상 · 팬송 · 오프 (팬사인회 · 팬미팅 · 위문공연) · 소속사 안티 · MR 제거 · 리액션 비디오 · 커버 · 교차편집 · 엔딩요정 · 군통령 · 군백기 · 팬튜브
각종 기록 및
순위

써클차트 (1억 스밍 · 2억 스밍 · 250만 다운 · 500만 다운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멜론 차트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 지니차트 · 벅스차트 · 한터차트 · 아이차트
유튜브 조회수 순위 (최초 24시간 · 1억 달성 시간) · 유튜브 좋아요 순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케이팝 레이더 · 빌보드 차트 한국 가수 기록 · 컴백 기록 · 역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기록
초동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 총판 기록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대중음악 시상식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 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멜론의 전당 · 멜론 선정 명반
활동 플랫폼
콘서트 (공연장, MC) · 유튜브 채널 · K-POP 플랫폼
음악 방송 · 뮤직뱅크 (차트 · 순위) · 쇼! 음악중심 (차트 · 순위) · SBS 인기가요 (차트 · 순위) · 엠 카운트다운 (순위) · 쇼챔피언 (순위) · 더 쇼 (순위) · Simply K-Pop · MC
논란 및 문제점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 · 음원 사재기 · 음반 사재기 · 아이돌 7년 징크스 · 악성 개인팬 · 사생팬 · 극성팬 · 까빠 · 외퀴




1. 개요
2. 1996년 이전 데뷔
2.1. 1980년대
2.2. 1990년대
3. 1세대 (1996년 ~ 1999년 데뷔)
4. 2세대 (2000년 ~ 2006년 데뷔)
5. 2007년 이후 데뷔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아이돌들을 정리하는 문서. 연대순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읽다 보면 이런 아이돌도 있었나? 라는 생각이 절로 들 것이다

이곳에는 인지도가 높은 아이돌 위주로 설명되어 있으며[1], 더 많은 아이돌 그룹은 남녀 각각 보이그룹, 걸그룹 문서에, 아이돌의 역사적 흐름은 한국 아이돌/역사에 기재되어 있다.


2. 1996년 이전 데뷔[편집]


소속사가 정확하지 않아 년도를 쓴다.

이 시대에는 오늘날 부르는 아이돌과 같은 개념은 없었다. 팬덤이라는 이름 아래 팬 활동을 하는 첫 개념은 조용필 때부터 시작했지만, 본격적으로 아이돌이라는 개념이 나타난 것은 SM엔터테인먼트로 대표되는 대규모 스타 시스템이 작동하기 시작한 90년대 중반부터였다. 이 문단에 나열된 가수들 역시 '아이돌'이라는 범주에 묶이기보다는 그냥 '가수'라는 넓은 테두리에 속해 있었다. 하지만 아래 그룹들은 오늘날의 아이돌 시스템에 큰 영향을 주었기에, 오늘날 한국 아이돌의 역사를 말할 때는 아래 그룹들도 언급하는 것이 보통이다.


2.1. 1980년대[편집]




2.2. 1990년대[편집]




3. 1세대 (1996년 ~ 1999년 데뷔)[편집]


분기점은 H.O.T. 흔히 말하는 1세대 아이돌이다.

  • SM엔터테인먼트(창립자 이수만)
    • 1996.09.07~2001, 2018~ H.O.T.
    • 1997.11.28~2002.12.19, 2016.10~ S.E.S.
    • 1998.03.24~ 신화[2]

  • DSP미디어(창립자 이호연)
    • 1997.04.15~2000.05.20, 2016~ 젝스키스[3]
    • 1998.5.12~ 핑클
    • 1999.08.07~ 2015.10.21~ 클릭비


  • JYP엔터테인먼트(창립자 박진영)
    • 1999.01.13~, 2014~ god[4]

  • 베스트 미디어(신철이 운영하던 기획사로 1집 데뷔부터 2집까지 활동) / 백산 미디어(3집,4집 활동 기획사) / 웨스트 사이드 미디어(유승준이 설립한 기획사)

  • 뮤직팩토리
    • 1997.10.28~ NRG

  • 트라이펙타엔터테인먼트
    • 1998.12.09~ 코요태[5]




4. 2세대 (2000년 ~ 2006년 데뷔)[편집]


분기점은 보아, 혹은 동방신기를 기준으로 2세대 아이돌로 불리기도 한다.


  • JYP엔터테인먼트(창립자 박진영)
    • (2002.04.24~)
    • 량현량하 (2000.01.20~2007.02.18)
    • 노을 (2002.12.24~)[6]

  • YG엔터테인먼트(창립자 양현석)
    • SE7EN(2003.03.22~)[7]
    • BIGBANG(2006.08.19~)


  • 스타월드


  • 예스플러스 엔터테인먼트[8]

  • 굿이엠지

  • 내가 네트워크(창립자 윤일상, 대표 최윤석)
    • 브라운아이드걸스(2006.03.02~)[9]
    • 써니힐(2007.09.20~)[10]



  • 302
    :
    SKOOL(대표 김이준)


5. 2007년 이후 데뷔[편집]


분기점은 원더걸스. 3, 4세대로 나누기도 하지만 아이돌 세대의 공백기가 있어 구분이 용이했던 1, 2세대 아이돌에 비하면 경계가 미약하다. 이는 문화산업이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정도로 성장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 SM엔터테인먼트(창립자 이수만)
    • 소녀시대(2007.08.02~)
    • SHINee(2008.05.25~)
    • f(x)(2009.09.05~2016.09.04)
    • EXO(2012.04.08~)
    • Red Velvet(2014.08.01~)
    • NCT(2016.04.20~)[11]
    • aespa(2020.11.17~)
    • RIIZE(2023.09.04~)

  • JYP엔터테인먼트(창립자 박진영)
    • 원더걸스(2007.02.10~2017.02.10)
    • 2AM(2008.07.11~)
    • 2PM(2008.09.04~)
    • 미쓰에이(2010.07.01~2017.12.27)
    • 15&(2012.10.05~2019.08.06)
    • GOT7(2014.01.20~)
      • JJ Project(2012.05.20~)[12]
    • DAY6(2015.09.07~)
    • TWICE(2015.10.20~)
    • Stray Kids(2018.03.25~)
    • ITZY(2019.02.14~)
    • Xdinary Heroes(2021.12.06~)
    • NMIXX(2022.02.22~)


  • 빅히트 뮤직[14](대표 방시혁)
    • GLAM(2012.07.16~2015.01.15)[13]
    • 방탄소년단(2013.06.13~)
    • 세븐틴(2015.05.26~)
    • 투모로우바이투게더(2019.03.04~)


  • 큐브엔터테인먼트(창립자 홍승성)
    • 4minute(2009.06.18~2016.06.16)
    • 비스트(2009.10.16~2017.02.23)[15]
    • 비투비(2012.03.22~)
    • CLC(2015.03.19~2022.06.06.)
    • 펜타곤(2016.10.10~)
    • (여자)아이들(2018.05.02~)
    • LIGHTSUM(2021.06.10~)

  • 쏘스뮤직(대표 소성진)
    • 여자친구(2015.01.16. ~ 2021.05.22.)
    • GLAM(2012.07~2015.01.15)[16]
    • LE SSERAFIM(2022.05.02~)


  • IST엔터테인먼트[17](대표 최진호)
제작 1본부[18]
제작 2본부[19]
제작 3본부[20]


  • NH EMG(대표 김남희[22][23])
    • 유키스(2008.08.28~)
    • 라붐(2014.08.28~)[21]

  • MBK엔터테인먼트[24][25](대표 김광수)

  • 포켓돌스튜디오(대표 손용근)
    • DIA(2015.09.14~2022.09.17.)
    • 비너스(2019.08.06)
    • H&D(2020.04.21~)[26]
    • BAE173(2020.11.18~)

  • 엠이오(대표 조이현)
    • CLASS:y(2022.05.05~)[27]
    • FANTASY BOYS(2023.09.21~)[28]

  • 클레버 E&M (대표 허재성,유용진)
    • 비타민(2015. 10. 07~)[29]
    • 피어스(2018. 10. 29~)[30]


  • 라이징스타엔터테인먼트[31]

  • 판타지오
    • 헬로비너스(2012.05.09~2019.05.08)[32]
    • ASTRO(2016.2.23~)
    • 위키미키(2017.08.08~)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대표 한성수)
    • 애프터스쿨(2009.01.15~2020)[34]
      • 오렌지캬라멜(2010.06.17~2018)[33]
    • 뉴이스트(2012.03.15~2022.03.14)
    • 세븐틴(2015.05.26~)
    • 프리스틴(2017.03.21~2019.05.24)
    • 프로미스나인(2018.01.24~)[35]
    • TWS(2024 1월 데뷔 예정)

  • 페이브엔터테인먼트
    • 아이유(2008.09.18~)[36]
    • 피에스타(2012.08.31~2018.05.15)
    • 히스토리(2013.04.26~2017.05.12)
    • 멜로디데이(2014.02.25~2018.12.26)
    • I.B.I(2016.08.18~2016.11.)(프로젝트 걸그룹)
    • JBJ(2017.10.18~2018.04.30)(프로젝트 보이그룹)





  • J9 엔터테인먼트[37]

  • 비트볼뮤직(대표 이봉수)
    • 플레이걸(2009.09.10~)

  • 스타쉽엔터테인먼트(대표 서현주, 김영석)
    • 씨스타(2010.06.03~2017.06.03)
    • 보이프렌드(2011.05.26~2019.05.17)
    • 몬스타엑스(2015.05.14~)
    • 우주소녀(2016.02.25~)[38]
    • CRAVITY(2020.04.14~)
    • IVE(2021.12.01~)


  • 울림엔터테인먼트(대표 이중엽)
    • 인피니트(2010.06.09~)
    • 러블리즈(2014.11.12~2021.11.16)[39]
    • 골든차일드(2017.08.28~)
    • 로켓펀치(2019.08.07~)
    • DRIPPIN(2020.10.28~)

  • 플라이뮤직 엔터테인먼트

  • H-LINE 엔터테인먼트

  • GP엔터테인먼트 (구골플렉스 엔터테인먼트)








  • RBW(대표 김진우, 김도훈)
    • 마마무(2014.6.19~)
    • VROMANCE(2016.07.12~)
    • 원어스(2019.01.09~)
    • 원위(2019.05.13~)[40]
    • 퍼플키스(2021.03.15~)[41]

  • 와이후 엔터프라이즈(대표 윤민수)
    • BeBe Mingnon(베베 미뇽)(2010.11.01~?)

  • 드림캐쳐 컴퍼니[42](대표 이주원)

  • 위닝인사이트(대표 김승태)

  • 하이스타엔터테인먼트
    • 예아라(Ye Ara)(2011.02.24~)

  • 바나나컬쳐엔터테인먼트[43]

  • 트로피엔터테인먼트[44]

  • DR 뮤직(대표 윤등룡)
    • 라니아(2011.04.07~2020.06.26)
    • 블랙스완(2020.10.16~)[45]

  • DK엔터테인먼트(대표 박동규)
    • 에이데일리(2014.12.03~날짜미상)
    • 플로리아(2020.08.11~)

  • 브랜뉴스타덤[47]
    • 제노티(2013.10.24~)[46]
    • 트로이(2014.03.14~)


  • 튠즈윌 엔터테인먼트

  • 키더웨일엔터테인먼트

  • 파라마운트뮤직(대표 백영묵)
    • 쇼콜라(2011.08.17~?)[48]

  • 디 엔터테인먼트 파스칼[49]

  • B2M엔터테인먼트(대표 길종화[50])



  • 제이드컨텐츠미디어




  • 제이제이홀릭미디어


  • 스타게이지 엔터테인먼트
    • 투엑스(2012.08.16~) : 제이튠캠프에서 이적

  • 지엔아이엔터테인먼트
    • 매드타운(2014.10.06~2017.11.09) : 제이튠캠프에서 2016년 12월 이적








  • 폴라리스엔터테인먼트
    • 레이디스 코드(2013.03.07~)
    • 이달의 소녀(2018.08.19~)[51]

  • 탑클라우드엔터테인먼트


  • 마루기획
    • 박지훈(2019.03.26~)
    • GHOST9(2020.09.23~)[52]

  • 빌리프랩[53]




  • 빅마운틴엔터테인먼트

  • 카론 유니버스[54]


  • 레드스타트이엔엠
    • TIOT(2023.08.23~)[55]

  • YY엔터테인먼트
    • TOZ(2023.09.27~)

  • ARMADA 엔터테인먼트
    • ONE PACT(2023년 하반기)[56]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8:55:50에 나무위키 한국 아이돌/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말은 즉, 이름조차도 알리지 못한 상태에서 쥐도 새도 모르게 잊힌 아이돌들도 많다는 이야기다.[2] 현재는 신화컴퍼니로 직접 기획사를 세웠다.[3] 현재 YG엔터테인먼트 소속.[4] 현재 iHQ 소속.[5] 현재 KYT엔터테인먼트로 직접 기획사를 세웠다.[6] 2011년 재결성 후 YNB엔터테인먼트를 거쳐 현재는 씨제스엔터테인먼트로 이적하여 활동 중이다.[7] 현재는 2015년을 기준으로 YG를 나온 후에 1인 기획사를 설립하여 활동 중이다.[8] 원래는 컬러링을 만들던 회사로 엔터 사업에도 진출했다. 현재는 사라졌다.[9] 현재 미스틱스토리 소속.[10] 현재 BOD엔터테인먼트, MY엔터테인먼트 소속[11] 완전체 데뷔일. 특이하게 유닛 그룹이 모그룹보다 먼저 데뷔한 케이스. 또한 NCT의 하위 그룹 중 하나인 WayV는 중화권을 겨냥하고 만들어진 그룹이기에, 기록하지 않았다.[12] 두 구성원 JBJr.GOT7에 합류하여 재데뷔한 후 JJ Project는 GOT7의 유닛으로 자리잡았다.[13] 여자친구의 소속사였던 쏘스뮤직 합작 걸그룹. 한 멤버가 큰 사건에 휘말린 이후 GLAM 다음으로는 걸그룹을 런칭하지 않고 있었으나, 2022년 르세라핌과 뉴진스를 런칭하였다[14] 구 빅히트엔터테인먼트[15] 현재는 어라운드어스엔터테인먼트 소속이며 하이라이트로 팀명을 바꿨다.[16]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와 합작한 걸그룹.[17] 구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18] 舊 크래커엔터테인먼트[19]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20]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 출범 후 새로 런칭한 아티스트나 그룹을 담당한다.[21] 브라운아이드걸스 前 소속사 내가 네트워크와 합작한 글로벌에이치미디어 소속 걸그룹.[22] 배우 방은희의 배우자. 때문에 방은희는 방송 출연 시 때때로 본인을 '유키스의 어머니'라며 유키스를 홍보한다. 요시모토 흥업에게 1500억 원을 울궈내는 걸 보면 수완 하나는 확실하다. 여담이지만 농협과 절대 전혀 관련없는 기획사다 94년도에 천일기획으로 시작하여 임창정, UN, 김지현의 앨범을 발매한 경력이 있는 나름 중견급 회사.[23] 여담으로, 유키스와 라붐 두 그룹 모두 데뷔일이 8월 28일 목요일이다.[24] 구 코어콘텐츠미디어[25] 포켓돌스튜디오로 이적.[26] BAE173으로 2020년 11월 18일 데뷔했다.[27] MBC 프로그램 방과후 설렘을 통해 데뷔.[28] MBC 프로그램 소년판타지를 통해 데뷔.[29] 하이틴돌이다.[30] 하이틴돌이다.[31] 스타제국 신하 레이블[32]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와의 합작 걸그룹으로 데뷔했었다.[33] 2015년부터 활동이 없었으며 2018년 7월 부로 리지가 플레디스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멤버들은 오렌지캬라멜 활동에 긍정적이나 리지의 음주운전 문제로 쉽지 않을 전망이다.[34] 해체했다는 언급은 없으나, 2016년 이후 활동이 없으며 2020년 애프터스쿨 공식 트위터가 유일하게 플레디스 소속인 나나의 공식 계정으로 변경된 걸로 보아 플레디스에서 애프터스쿨 활동 의지가 없는 걸로 볼 수 있다.[35] 데뷔할 때는 오프더레코드 소속이었으나, 2021년 8월 16일부로 현 소속사로 이적하였다.[36] 아이유는 아이돌이 아닌 솔로가수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아 왜 이 목록에 있는지 의아해할 수 있는데, 한국갤럽에서 실시한 아이돌 선호도 조사에서 3위 밖으로 밀려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볼 때 아이돌의 이미지도 공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데뷔 초반에는 확실히 아이돌 댄스가수 이미지가 강했으며, 현재는 솔로 싱어송라이터 및 멀티 엔터테이너라는 인식이 강하다.[37] C9 엔터테인먼트의 걸그룹 전문 레이블[38] 중국 연예기획사인 위에화 엔터테인먼트와 합작한 걸그룹.[39] 해체 선언은 하지 않았으나, 인피니트처럼 베이비소울을 제외한 멤버가 울림을 떠난 상태다.[40] 16.08.02 MAS라는 이름으로 <> 앨범 수록곡인 "15초 후" 무대를 통해 첫 음악방송 데뷔를 했었으며(리더인 용훈이 들어오기 전 그룹명은 MAS0094로 음반 발매 기록은 15년도부터 존재한다.), 이후 19.05.13 원위로 재데뷔하였다.[41] 20.11.26 <My Heart Skip a Beat>, 21.02.03 <Can We Talk Again> 두 차례의 프리데뷔를 거쳐, 21.03.15 정식 데뷔를 하였다. 데뷔와 동시에 앨범 3개를 가진 아이돌이 되었다.[42] 前 해피페이스 엔터테인먼트[43] 전 예당엔터테인먼트[44] 예당엔터테인먼트 계열이었으나 2013년 웰메이드 스타엠에 인수.[45] 라니아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멤버 일부와 외국인 멤버를 추가하여 재데뷔한 그룹[46] 데뷔 당시 이름은 탑독[47] 조PD가 세운 기획사이다. 후에 브랜뉴 뮤직과 스타덤으로 갈라졌는데 스타덤은 후너스 엔터테인먼트와 합병.[48] 활동은 2013년까지였으나 티아는 2017년에 계약이 종료되었다.[49] 원래 이름은 탑클래스 엔터테인먼트. 2015년에 개명.[50] DSP미디어에서 기획실장과 이사를 역임하며 핑클의 매니저와 카라의 기획을 담당하기도 했다.[51] 폴라리스엔터테인먼트 자회사인 블록베리크리에이티브에 속해있다.[52] TEEN TEEN(2019.9.18~) - 프리 데뷔 유닛그룹[53] CJ ENMHYBE의 합작 설립 회사이자 CJ ENM의 자회사이다.[54] 카론 크리에이티브 에서 2022년 설립한 음악 및 버츄얼 전문 브랜드이다.[55] 프리데뷔[56] 프리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