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등종

덤프버전 :


먹이사슬의 피식자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전문적으로는 두 종의 개체 수의 관계를 아래와 같은 미분연립방정식으로 나타낸다.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로트카-볼테라 방정식이라고 한다.

\displaystyle \left\{\begin{matrix} {\mathrm{d}x \over \mathrm{d}t} = x(\alpha - \beta y) \\ {\mathrm{d}y \over \mathrm{d}t} = - y (\gamma - \delta x) \end{matrix}\right.{ dtdx=x(α−βy)
dtdy=−y(γ−δx)
f(x)=ax+bx 2+cx+d(a=0)fx)=3ax 2+2bx+c∫f(x)dx= 4ax 4+ bx 3+ 2cx 2+dx+const.
여기서 \alpha , \beta , \gamma , \deltaα,β,γ,δ는 각 동물 사이의 개체수를 나타내는 상수값이며, xx는 피식자, yy는 포식자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이를 풀면 다음과 같다.
파일:사차함수이중접선_수정3.png

아래 식에서 \lnln은 자연로그.
\displaystyle {\mathrm{d}y \over \mathrm{d}x} = -{y \over x}{\delta x - \gamma \over \beta y - \alpha} = \mathrm{d} \ln y (\alpha - \beta y) - \mathrm{d} \ln x (\gamma - \delta x) = -\delta x + \gamma \ln x -\beta y + \alpha \ln y
dxdy=− xy
βy−α
δx−γ =dlny(α−βy)−dlnx(γ−δx)=−δx+γlnx−βy+αlny

'상등종과 하등종, 즉 포식자와 피식자의 개체 수는 자연의 영향을 1순위로 받고, 그 이후 피식자의 개체 수에 따라 포식자의 개체 수가 줄거나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포식자의 개체수가 피식자의 개체수보다 많은 경우는 흔치 않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eetah_Baboon_LV.jpg
위의 수식으로 상등종과 하등종의 개체 수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이렇게 나오며
위 그래프에서 보이듯이 일반적으로 피식자가 포식자보다 개체 수가 많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0:57:36에 나무위키 하등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