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거스미스

덤프버전 :

파일:fingersmith.jpg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인물
4. 리메이크
5. 여담


1. 개요[편집]


2002년에 발표된 세라 워터스의 세 번째 장편소설. 빅토리아 시대가 배경이다. 1860년대의 런던 뒷골목과 시골 대저택, 상류사회, 정신병원, 외설물 전문 서점 등을 배경으로 한 주인공 수와 모드의 사랑이야기이자 스릴러 소설. 소설의 제목인 핑거스미스는 도둑을 뜻하는 빅토리아 시대의 은어이자 주인공인 수의 직업이기도 하다.


2. 줄거리[편집]


유명 소매치기의 딸로 태어나 도둑 소굴에서 지내던 '수'. 어느 날, '젠틀맨'이라는 별칭을 지닌 사기꾼이 그녀에게 찾아와 뜻밖의 제안을 하나 한다. 젠틀맨 자신이 백작 행세를 해 대저택에 사는 '모드'라는 아가씨와 결혼하여 상속금을 가로챌 생각인데, 옆에서 모드가 자신에게 다가오도록 수가 바람잡이 역할을 해 달라는 것. 대가로 2천 파운드을 주겠다고 했지만 수는 그에게 더 높은 액수를 요구해 결국 3천 파운드로 합의를 보고 제안을 수락한다.[1]

하녀로 위장 취업을 해 대저택에 온 수. 아름답다는 말과는 전혀 다른 모드의 인상에 내심 놀란 그녀는 하녀로서 시종일관 모드와 함께 있었는데 심지어 악몽을 꿀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이유로 모드와 잠자리까지 함께 한다. 이후 점차 모드를 향한 이상한 감정을 느끼게 되는 수는 급기야 젠틀맨이 모드에게 스킨십을 시도할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지는 자신을 발견한다.

시간이 흘러 자신이 젠틀맨에게서 청혼을 받았다는 사실을 수에게 알리는 모드. 둘 사이에 복잡미묘한 기류가 흐르고 수의 마음속에는 막대한 돈을 가로채려는 도둑으로서의 정체성과 모드를 사랑하는 하녀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난다.

자신의 하녀와 사랑에 빠진 아가씨, 아가씨를 속이려다 오히려 그녀에게 반한 하녀 행세하는 소매치기, 그리고 기어코 아가씨로부터 돈을 빼내기 위해 혈안인 사기꾼.

과연, 이 사기극은 어떻게 끝날까?


3. 등장인물[편집]


작품의 주인공. 풀네임은 수잔 트린더이며 애칭은 수키.[2] 유명 소매치기의 딸로 태어났고 도둑 소굴에서 석스비 부인 아래에서 자랐다. 사형당한 어머니에게서 소매치기의 재주를 물려받았는지 꽤나 솜씨가 있는 소매치기꾼이 됐다. 어느 날, 젠틀먼의 제안을 받고 대저택의 하녀로 지내며 모드와 함께하게 된다.

  • 젠틀먼
도둑 소굴을 찾아온 사기꾼. 대저택에 사는 늙은 갑부의 조카딸을 꾀어 상속금을 독차지하고 그녀를 정신병원에 감금시켜버릴 무시무시한 계획을 세웠고 자신과 함께 바람잡이 역할을 해줄 하녀 역할로 수를 점찍었다.

  • 모드
젠틀먼이 노리는 대저택에 사는 아가씨. 풀네임은 모드 릴리. 아름답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수가 처음 본 인상은 아름답기보다는 세상물정 모르는 쑥맥에 갓난아기 같은 얼굴이었다. 밤마다 악몽을 자주 꾸기 때문에 수와 함께 자는 시간이 많다. 삼촌 크리스토퍼의 비서 역할을 하고 있다.


4. 리메이크[편집]


  • 드라마, 영화로 각색이 되었다. 드라마는 2005년 BBC에서 3부작으로 제작되었다. 주연은 샐리 호킨스, 일레인 캐시디.

  • 영화는 박찬욱 감독이 제작을 맡아 <아가씨>라는 제목으로 2016년에 개봉했다. 시대적인 배경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로 변경됐고 수 포지션의 남숙희 역은 김태리, 젠틀먼 포지션의 후지와라 백작 역은 하정우, 모드 포지션의 히데코 역은 김민희가 맡았다.


5. 여담[편집]


  • 원작가 세라 워터스는 자신의 소설 핑거스미스를 리메이크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를 좋은 의미로 "미친 영화"라고 하면서 3번이나 봤다고 한다. 특히 하녀 남숙희가 주인 아가씨 이즈미 히데코를 목욕하면서 이를 갈아주는 장면을 굉장히 좋아했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1:33:04에 나무위키 핑거스미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빅토리아 시대 당시 물가로 1파운드가 2010년대 16-20만원 정도 가치를 갖는다. 2천 파운드면 3-4억, 3천 파운드면 5-6억에 달하는 거금이다.[2] 영화 아가씨의 주인공 남숙희의 이름은 여기서 따 온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