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덤프버전 :

분류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 펼치기 · 접기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1. 개요
2. 배경지식
3. 종류
3.1. 필요조건
3.2. 충분조건
3.3. 필요충분조건
4. 여담



1. 개요[편집]


논리적 귀결을 맺는 두 명제 간에 성립하는 관계. 표준논리에서 조건문 ‘P → Q’의 전건인 P와 후건인 Q 간에 성립하는 관계로 이해할 수 있다. ‘P → Q’가 참이라고 할 때 P를 ‘Q가 성립하기 위한 충분조건’이라고 부르며, 반대로 Q를 ‘P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운전면허증은 택시를 운전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운전면허증이 있어야 택시를 운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운전면허증은 충분조건은 아니다. 택시면허증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2. 배경지식[편집]


  • 논증 / 증명 / 입증 (proof, demonstration): 참 거짓을 나눌 수 있는 문장이다. 전제와 결론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전제와 결론은 명제이다.

  • 명제 (proposition): 참과 거짓을 나눌 수 있는 문장이다. 논증의 구성요소인 전제와 결론이 바로 명제이다. 명제는 문장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조건명제이다.

  • 조건 (condition): 명제의 한 종류로, "A이면 B이다" 구조를 가진 명제이다. 앞에 A는 전건(앞 조건)이라 하고 B는 후건(뒷 조건)이라 한다.

3. 종류[편집]



3.1. 필요조건[편집]


Necessary Condition

P → Q가 참일 때 그 정의에 의해 명제 P가 참이 되기 위해 먼저 명제 Q가 참일 필요가 있다. 즉 Q는 P가 성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Q가 P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Q는 P의 필요조건이다"와 그 의미가 같은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1]:
  • "P ⇒ Q"
  • "Q라면 P일 수 있다."[2]
  • "Q가 아니면, P도 아니다."
  • "P는 Q의 충분조건이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아리스토텔레스동물이다'는 '아리스토텔레스사람이다'의 필요조건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사람이기 위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동물일 필요가 있다.)
  • 여대에 입학하려면 여자여야 한다. (여자는 여대에 입학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공무원이 되려면 공무원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공무원이기 위해서는 공무원 시험에 합격할 필요가 있다.)

필요조건을 충분조건으로 착각하면 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급수가 수렴하려면 일반항의 극한값이 0이어야 한다'라는 문장을 예로 들면, 급수가 수렴하려면 일반항의 극한값이 0이어야 하지만(필요조건) 착각하여 충분조건으로 오해하면 '극한값이 0이니 급수는 수렴한다'가 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기 때문(반례: 조화급수).


3.2. 충분조건[편집]


Sufficient Condition

P → Q가 참일 때 그 정의에 의해 명제 P가 참이라면 명제 Q는 참임이 충분히 보장된다. 즉 P는 Q가 성립하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P가 Q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P는 Q의 충분조건이다"와 그 의미가 같은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
  • "P ⇒ Q"
  • "P라면 Q이다."
  • "P가 아니면 Q가 아닐 수 있다" ('아니다'가 아니다!)[3]
  • "Q는 P의 필요조건이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철수는 농구를 한다'는 '철수는 운동을 한다'의 충분조건이다. ('철수가 농구를 한다'면 '철수는 운동을 한다'라고도 충분히 말할 수 있다.)

충분조건을 필요조건으로 착각하면 전건부정의 오류가 된다.


3.3. 필요충분조건[편집]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P → Q가 참이고 Q → P가 참이면 그 정의에 의해 P가 참이면 Q가 참이고 P가 거짓이면 Q는 거짓이다.
P → Q가 참일 때 P이면 Q이고, Q → P가 참일 때 P가 아니면 Q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P는 Q의 필요충분조건임과 동시에 Q는 P의 필요충분조건이다.

"P는 Q의 필요충분조건이다"와 그 의미가 같은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
  • "P ⇔ Q"
  • "P이면 Q이며, Q이면 P이다."
  • "P가 아니면 Q가 아니며 Q가 아니면 P가 아니다."
  • "P인 경우 오직 그 경우에만 Q이다."
  • "P if and only if Q"
    • "P iff[4] Q"로 줄여쓰는 경우가 잦다.
  • "Q는 P의 필요충분조건이다."

P와 Q가 필요충분조건 관계인 경우 P와 Q는 '동치'가 된다.


4. 여담[편집]


  • 수리논리학에도 등장하는 논리학의 기초적인 개념이다.
  • 필요조건은 흔히 일상에서 일컫는 ‘조건’과 유사하며 상대 조건문보다 상위 또는 전제적 개념에 가깝다. 충분조건은 상대 조건문보다 하위 또는 결론적 개념에 가깝다.
  • 쉽게 외우는 방법 중에 "화살표 맞은 쪽이 피가 나니까 필요조건 화살표 쏘는 쪽에서 출발하니까 충분조건"가 있다. 다만 개념적 이해로 들어가면 주체가 뒤에 있는 명제이므로 '뒤에 있는 명제 필요'한 것이 필요조건, '뒤에 있는 명제 충분'해지는 것이 충분조건이다.
  • 이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혼동하면 전건부정/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 수학도들이 지겹게 암기하는 정의, 정리, 증명의 패턴에서 ⇔, ⇒, ⇐ 등의 두줄 화살표가 많이 쓰인다. 한줄 화살표는 함수 및 사상의 정의역과 치역, 공역을 나타낼 때 주로 쓰이기 때문에 한줄 화살표와 두줄 화살표의 용도는 제법 엄격하게 구분되는 편. 그러나 정작 필기와 판서가 아닌 수학 교과서에서 이 기호를 쓰는 경우는 의외로 드물다. 한국어 교과서들이 쓰는 경우는 꽤 있으나, 영어 및 불어 교과서에서는 범주론이나 수리논리학 같은 일부 수학기초론 과목에서 이 두 줄 그은 화살표를 자연 변환 등의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쓰기도 해서인지 그리 흔히 보이지는 않는다. 대신 영어 교과서에서는 필요충분조건을 진술할 때 "다음은 동치이다; (1) P(x) (2) Q(x)"라는 패턴을 쓰거나 위에서 말한 P(x) iff Q(x) 같은 문장을 쓰는데, iff의 경우 영어와 한국어 어순의 차이 때문에 P⇒Q를 먼저 증명함은 P only if Q를 증명함이므로 초보 독자들은 가끔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이 무엇인지 혼동하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1:25:22에 나무위키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한국어영어 같은 자연 언어의 문법은 표준논리의 실질조건 연산자 '→'의 문법과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문서 참조.[2] Q라면 'P일 수 있다'를 'P이다'라고 하는 오류가 후건긍정의 오류이다.[3] 전건부정의 오류는 '아닐 수 있다'를 '아니다'로 착각하여 일어나는 오류이다.[4] 또는 i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