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군

덤프버전 :





폴란드군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1]
Polish Armed Forces

파일:폴란드군기.svg
파일:폴란드군 로고.svg
깃발
로고
창설일
1918년 10월 12일
국가
[[폴란드|

폴란드
display: none; display: 폴란드"
행정구
]]

소속
폴란드 국방부
상비군
160,000+명[2][3] (2023년)
예비군
200,000+명[4] (2023년)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3.5세대 전차
193대
3세대 전차
232대
2세대 전차
584대
전차 총합
1009대
자주포
495대
다연장로켓
240대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호위함 (4,000~5,000t)
2척[1]
초계함 (2,000~3,000t)
1척[2]
초계함 (1,000~2,000t)
1척[3]
미사일 고속정[4] (300~400t)
3척[5]
상륙함 (1,000~2,000t)
5척[6]
재래식 잠수함 (3,000~4,000t)
1척[7]
재래식 잠수함 (400~500t)
4척[8]
전투함 총합
83척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헬리콥터
212대
공격헬기
30대
4.5세대 전투기[1][2]
48기
4세대 전투기[3][4]
32기
3세대 전투기
32기
공군기 총합
약 469대

예산
국방비 총합
206억 6천만 달러 (2023년)
웹사이트
폴란드 국방부 홈페이지(PL)
폴란드군 홈페이지(PL)
폴란드군 총참모부 홈페이지(PL)
폴란드군 총사령부 홈페이지(PL)
폴란드군 작전사령부 홈페이지(PL)
폴란드군 각군 홈페이지(PL)
폴란드군 유튜브
1. 개요
2. 상세
3. 수뇌부
3.1. 폴란드 인민군 수뇌부
3.2. 현재 수뇌부
4. 예산과 경제규모
5. 역사
11. 기타
11.1. 한국과의 관계
12. 관련 문서
13. 외부 링크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폴란드의 군대로, 유럽의 강력하기로 손꼽히는 군대 중 하나이자 NATO의 중핵이자 핵심전력이다. 중부유럽동유럽에 걸쳐 러시아 다음 가는 육군력을 보유하였다. 2009년에 징병제를 폐지한 이래 상비군 병력 16만 명+, 예비군 병력 20만 명+로 구성된다.

냉전 종식 이후 NATO 기준치 2%에 근접한 국방비 지출을 유지한 몇 안되는 유럽 국가 중 하나이다. 폴란드 역시 냉전 시기에 비해 어느정도 군축을 진행하긴 했으나, 그럼에도 2000년대에도 GDP 대비 1.8%~2%대의 국방비 지출을 유지하며 다른 대다수 유럽 국가에 비해 안보에 신경쓴 편이다.


2. 상세[편집]


폴란드가 주변보다 군사력이 강한 이유는 러시아군의 서진을 저지하는 최전선에 있기 때문. 냉전 시대에는 서독군이 담당했던 역할을 냉전이 끝난 후 서방으로 전향한 폴란드군이 이어받은 것이다.

냉전 때에도 바르샤바 조약기구에서 소련군 다음가는 강력한 군세를 자랑했다. 함께 최전방에 있는 동독군은 인구수 차이 때문에 양적으로는 폴란드군보다 한 수 아래였다. 냉전 시기에는 유사시 동독군이 몸빵을 서고 폴란드군이 광속으로 서진해 미군이 대서양을 건너오기 전에 NATO군을 밀어붙여 최대한 많은 영토를 점령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 외에 프라하의 봄처럼 공산권에서 '혁명'이 터졌을 때도 곧잘 투입되었다. 냉전 전후를 막론하고 그야말로 현대 유럽의 방파제라고 할 수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생하고, 독일이 군비 증강 선언을 하자 폴란드 또한 기존 4개 사단[5]을 6개 사단으로 늘리고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은 기존의 2%에서 3%로 향상시키는 방안을 발표했다. 기존에 퇴역 예정이던 소련제 장비들은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고, 공백은 신규 장비를 대거 도입하는 방식으로 메꿔 질적인 향상 또한 추구할 예정이다.

유사시 러시아군을 허허벌판에서 정면으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군대 비율은 육군이 압도적이다.[6] 특히, 폴란드 육군의 주력인 기갑부대는 양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다음 가는 중부-동부 유럽 최대 규모이다. NATO 가입 이후 독일에서 공여에 가까운 가격으로 도입한 레오파르트 2를 주력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크림반도 사태 이후 러시아의 위협이 본격화하자 긴급 소요로 M1 에이브람스 전차도 구매하였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안보 상황이 더 악화하자 신속한 도입이 가능한 K-2 흑표를 대량 구매하여, 향후에는 K-2 흑표가 폴란드 기갑부대의 양적 주력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육군에 비해 해군과 공군의 전력은 매우 뒤떨어진다.

폴란드는 해안선이 좁아서 해군의 중요성이 별로 부각이 안되며, 그 때문에 아직도 1970년대에 나온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2척이 주력함으로 운용 중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31형 호위함을 3척 도입할 예정이다

공군은 처참하다. 우선 경우 전술기 숫자부터 심하게 부족하며, 조기경보기, 공중급유기, 전자전기 등의 전력은 전무하다. 일단 F-35 32기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MiG-29와 Su-22의 대체기라서 전반적인 수량은 여전히 적다. MiG-29의 대체 용도로 FA-50 또한 도입하게 되었으나, 그럼에도 모자라다.

폴란드군의 주력인 육군도 현재로선 마냥 사정이 좋지는 않다. 주력인 기갑부대만 보아도 상황이 나쁘다. 일단 T-72 계열인 PT-91 트바르디 전차와 레오파르트 2 전차가 혼재되어있다. 즉, 동구권 장비와 서구권 장비로 나뉘어져서 보급과 정비에서 난점이 많다. 이러한 상황의 경우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을 통해 대거 구매한 K-2 전차와 폴란드가 자체 개발한 보르숙 장갑차와 같은 대체 장비들이 도입되면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자주포 사업의 경우 기술력 부족으로 고전해오다 신형 자주포 개발 사업을 취소하고 영국의 AS90 포탑과 한국의 K-9 차체를 결합한 AHS 크라프를 도입/배치 중이며 K-9 자주곡사포 자체도 별도로 도입 중이다.

3. 수뇌부[편집]



3.1. 폴란드 인민군 수뇌부[편집]


총사령관
국방장관
총참모장
제1서기
총리
국방장관
총참모장
미에치스와프 라코프스키(Mieczysław Rakowski
제1서기

타데우시 마조비에츠키(Tadeusz Mazowiecki
총리

플로리안 시비츠키(Florian Siwicki
대장[7]

유제프 우지츠키(Józef Użycki
상장[8]

바르샤바 군관구(Warszawski Okręg Wojskowy
사령관

포메라니아 군관구(Pomorski Okręg Wojskowy
사령관

실레시아 군관구(Śląski Okręg Wojskowy
사령관

폴란드 공군(Wojska Lotnicze
사령관

폴란드 해군(Marynarka Wojenna
사령관

폴란드 방공군(Wojska Obrony Powietrznej Kraju
사령관

바르샤바 군관구
사령관

포메라니아 군관구
사령관

실레시아 군관구
사령관

공군 사령관
해군 사령관
방공군 사령관
즈지스와프 스텔마슈크(Zdzisław Stelmaszuk
중장[9]

즈비그니에프 블레흐만(Zbigniew Blechman
중장[10]

헨리크 슘스키(Henryk Szumski
중장[11]

티투스 크라브츠치(Tytus Krawczyc
항공중장

피오트르 코워지에이치크(Piotr Kołodziejczyk
해군중장

론긴 워조비츠키(Longin Łozowicki
상장[12]


1989년 기준이며, 북한군처럼 총참모부에서 지상군을 직할 통치했는지 별도의 지상군 사령관 보직은 없다. 참고로 대장 계급은 지상군만 존재했다.

3.2. 현재 수뇌부[편집]


통수권자
국방장관
총참모장
총사령부장
작전사령부장
파일:wkeocdn0_400x400_large.jpg
파일:Min._Mariusz_Błaszczak (1).jpg
파일:800px-Rajmund_Andrzejczak_official_photo.jpg
파일:800px-Gen.dyw.J.Mika.jpg
파일:Tomasz_Piotrowski_(generał_broni).jpg
안제이 두다(Andrzej Duda
대통령

마리우시 브와시차크(Mariusz Błaszczak
국방장관

라이문트 안제이차크(Rajmund Andrzejczak
육군대장

야로스와프 미카(Jarosław Mika
육군대장

토마시 피오트로프스키(Tomasz Piotrowski
육군중장

폴란드 육군(Wojska Lądowe
육군참모총장

폴란드 해군(Marynarka Wojenna
해군참모총장

폴란드 공군(Siły Powietrzne
공군참모총장

폴란드 특수군(Wojska Specjalne
특수군사령관

폴란드 영토방위군(Wojska Obrony Terytorialnej
방위군사령관






보이치에흐 그라보프스키(Wojciech Grabowski 소장
야로스와프 지에미안스키(Jarosław Ziemiański 소장
야체크 프시초와(Jacek Pszczoła 소장
스와보미르 드루모비치(Sławomir Drumowicz 준장
비에스와프 쿠쿠와(Wiesław Kukuła 소장

폴란드 대통령은 군통수권을 가진다. 명령체계는 국방부(MON) 예하 총참모부(SGWP)로 내려가며, 총참모부의 지휘 권한은 크게 예하의 총사령부(DGRSZ)와 작전사령부(DORSZ)로 이원화되었다. 총사령부는 폴란드군의 합동군사령부로서 부대의 행정지휘 권한을, 작전사령부는 부대의 작전지휘 권한을 맡는다. 즉 총사령부는 평시 및 전시의 전투태세 유지, 보급, 인사 및 기술 관련 업무 전반을 맡고, 작전사령부는 작전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총사령관은 현행 폴란드 헌법상 전시에 대통령이 임명하므로 현재 폴란드군의 총사령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2017년에 창설된 영토방위군은 총사령부 예하인 기존 군종(육군/해군/공군/특수군)과 달리 국방부 직속 영토방위군사령부(DWOT) 소속으로, 이 병과는 여단급으로 편제한다.


4. 예산과 경제규모[편집]


(2000~2014) 폴란드의 명목 GDP와 국방비 흐름[13]
분류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추정치
전체 단위: 10억달러(약 1조원)
폴란드 전체 명목 GDP
171.2
190.4
198.1
216.8
252.9
303.9
341.6
425.5
529.4
431.2
469.6
515.5
490.6
517.7
552.2
폴란드 전체 국방비[14]
5.9
6.1
6.2
6.5
6.8
7.2
7.7
8.7
7.8
8.4
8.7
9.1





5.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군/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육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육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공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특수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 특수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국토방위대[편집]




11. 기타[편집]


  • 폴란드군의 정모는 로가티프카(Rogatywka)이다.[15]


11.1. 한국과의 관계[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13. 외부 링크[편집]




14. 둘러보기[편집]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5:05:00에 나무위키 폴란드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위 즈브로이네 제치포스폴리테이 폴스키에이/[2] 상비군 현황[3] 최종적으로 30만 명까지 증원 예정이다.[4] 예비군 현황[5] 제 11기갑기병사단, 제12기계화사단, 제16기계화사단, 제18기계화사단[6] 폴란드 지형도를 보면 동부지역에서 적을 저지할 자연적 방어선이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특히 폴란드의 수도인 바르샤바 까지는 바르샤바를 관통해서 흐르는 비스와강까지 아무것도 없다.[7] 기계화보병[8] 보병[9] 공병[10] 보병[11] 기갑[12] 보병[13] (2000~2014) 폴란드의 명목 GDP 흐름[14] http://milexdata.sipri.org/result.php4[15] 나폴레옹 시대에만 해도 높이가 높았던 게 20세기에 실용성을 위해 높이가 낮아졌고, 현대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