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덤프버전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Comunidade dos Países de Língua Portuguesa
Community of Portuguese Language Countries

파일: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깃발.svg
본부
[[포르투갈|

포르투갈
display: none; display: 포르투갈"
행정구
]]
리스본
회원국
9개국
옵서버 18개국
공용어
포르투갈어
정부 형태
국제기구
면적
10,743,526km²
인구
255,042,548명(2018년)
인구 밀도
약 23.7명/km²(2018년)
통화
유로, 헤알
설립
1997년 7월 17일
홈페이지
파일: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깃발.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파일:1200px-CPLP_map-fr.svg.png
핵심 직위와 인물
사무총장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틀:국기|
]][[틀:국기|
]]
프란시스코 리베이로 텔레스
사무국장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틀:국기|
]][[틀:국기|
]]
아르민두 브리투 페르난지스
1. 개요
2. 회원국 및 참관국
3. 포르투갈어 사용 현황
4. 기타



1. 개요[편집]


1996년 7월 17일에 설립된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들의 조직체. 회원국은 대부분 포르투갈의 옛 식민지들이다. 현재 수장국은 모잠비크가 맡고 있다.

프랑스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전혀 무관한 국가들도 여럿이 정회원으로 등록돼 있을 정도로 회원 구성이 다소 산만한 프랑코포니와는 달리, 이쪽은 마카오를 포함한 모든 회원국들이 포르투갈어가 공용어로 지정돼 있어 일관성이 있는 편이다.

축약 명칭으로 "포르투갈어권 공동체"/"루소폰 공동체" (Lusophone Commonwealth)라 불리기도 한다.


2. 회원국 및 참관국[편집]



파일: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깃발.svg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Comunidade dos Países de Língua Portuguesa
]]
<:><#01426a>


파일:1200px-CPLP_map-fr.svg.png
■ 진녹색: 회원국
■ 연두색: 참관국

공식 회원으로 등록된 아홉 국가 외에도 포르투갈어나 포르투갈어권 국가에 관심이 있거나, 정치 혹은 사회적으로 어떤 식으로든 연관이 있다면 신청할 수 있는 참관국 지위도 있다. 현재 이 멤버십에는 일본, 조지아, 모리셔스, 나미비아, 세네갈, 터키, 체코, 헝가리, 슬로바키아, 우루과이, 안도라, 아르헨티나, 칠레, 프랑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영국, 세르비아 총 18개국이 속해 있는데, 일본과 우루과이는 둘 다 해당되는 대표적인 경우.[1][2]

적도 기니CPLP가 창설됐을 때 참관국 지위로 가입을 신청했다. 적도 기니는 스페인의 구 식민지였지만, 그 전에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은 역사가 있고 상투메 프린시페와도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다는 명목이 있었기 때문이다. 2004년 7월에 적도 기니는 참관국으로 정식 승인을 받게 되었다. 그런 다음 2010년 6월에는 회원국 신청을 했고, 이는 2014년 7월에 승인되어 적도 기니는 회원국으로 승격한다. 그러나 적도 기니의 제1 공용어는 스페인어이며, 제3 공용어인 포르투갈어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3]

마카오는 가입 신청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회원국도 참관국도 아니지만, 약 450년 동안 포르투갈의 교역 기지와 식민지로 존재한 역사가 있고, 포르투갈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4], 마카오 안에 협의체(Instituto Internacional de Macau)도 설립돼 있기 때문에 비공식 회원국으로 취급받는다.


3. 포르투갈어 사용 현황[편집]


마카오에서는 포르투갈어가 중국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티모르에서는 테툼어와 함께, 적도 기니에서는 스페인어, 프랑스어와 함께 지정되어 있다. 포르투갈, 브라질,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 상투메 프린시페, 카보베르데에서는 포르투갈어가 유일한 공용어이다.

포르투갈과 브라질에서는 인구의 100%, 상투메 프린시페에서는 95%, 앙골라에서는 80%, 카보베르데에서는 72%, 모잠비크에서는 40%, 동티모르에서는 15%, 기니비사우에서는 14%[5], 마카오에서는 3%[6], 적도 기니에서는 그 미만 비율의 인구가 포르투갈어를 할 수 있다고 한다.[7]


4. 기타[편집]



국가별 포르투갈어 오디오를 모아 놓은 영상이다. 적도 기니는 CPLP 회원국이긴 하지만 포르투갈어를 거의 쓰지 않기 때문에 적도 기니는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30:04에 나무위키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은 15세기부터 포르투갈 상인들과 교역을 해 와서 일본어 단어 중에도 이나 콘페이토처럼 포르투갈어에서 비롯된 것들이 어느 정도 있고, 일본을 제외한 세계 최대의 일본인 거주국이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인 브라질이기도 하다. 브라질에 사는 일본인은 약 200만 명으로, 이는 이웃나라우루과이 전체 인구의 2/3 수준이다. 이 외에 브라질 남부의 경우 독일계 이민자들이 매우 많으며, 상파울루와 리우 지 자네이루에는 다수의 이탈리아계 브라질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룩셈부르크의 경우 룩셈부르크 안에서 가장 많은 이민자 집단이 포르투갈계이다.[2] 우루과이는 포르투갈어 사용 국가인 브라질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스페인어를 쓰지만, 포르투갈어는 우루과이의 제2언어 혹은 지방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브라질과 우루과이의 국경 지역에선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의 혼합언어인 포르투뇰이 쓰이기도 한다. 또한 우루과이는 스페인의 구 식민지였지만,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브라질 제국에서 한때 시스플라티나라는 이름의 한 주(州)로서 브라질 제국 영토의 일부로 있었다. 아직도 브라질 민족주의자들은 우루과이를 브라질의 미수복 영토로 여기기도 한다.[3] 제2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다. 적도 기니는 프랑스어 사용 국가인 카메룬, 가봉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어도 국경 부근을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4] 전체 인구의 2%(약 1만 명)를 차지하는 포르투갈인을 제외하면 포르투갈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마카오에서는 포르투갈어 병기가 법으로 강제돼 있고, 수많은 포르투갈어 인프라가 있으며, 원래 마카오 반도 등에 살던 광동인 혈통 마카오인도 인구의 10% 이상이나 되므로 포르투갈어만 할 줄 알아도 생활하는 데 큰 지장은 없다. 단지 90%가 중국 대륙에서 내려온 사람들이라 포르투갈어를 안 쓰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본래 마카오의 공용어는 포르투갈어가 유일했다. 중국어는 반환이 결정된 지 5년 후인 1992년에 공용어로 추가된 것이다.[5] 단 위에 언급된 아프리카 국가들은 포르투갈어가 일상생활에서 제2의 공용어까지 합한 인구비율이다.[6] 모어가 아닌, 후천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사람도 포함하면 10% 정도는 된다. 마카오에서 포르투갈어는 엄연한 공용어이며, 공공교통, 호텔, 병원, 카지노, 법원 등 사회 여러 곳에서는 포르투갈어가 항상 병기된다. 특히 무역, 회계, 의료, 법조계 등, 엘리트 계층은 100% 포르투갈어를 구사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르투갈어가 우선되고 있기 때문에, 마카오에서는 포르투갈어만 알아도 지장 없이 일상 생활이 가능하다.[7] 포르투갈어가 유일한 공용어인 나라에서 포르투갈어를 못 하는 인구가 있거나 심지어 과반수, 대부분인 경우는 포르투갈어계 크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