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기)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包. 장기의 기물중 하나로, 체스에는 대응하는 기물이 없는 기물이다. 다만 과는 다른 방법으로 자유자재로 이동한다는 점은 비숍과 유사할 것 같지만 이동 방향은 차와 동일하기 때문에 비숍과는 전혀 다른 기물이다.


2. 상세[편집]


7점으로, 체스에는 없는 무척 독특한 말이다. 보병/기병 일색인 차투랑가 계열 보드게임에서 흔치 않은 궁병 포지션. 차와 이동 경로가 같지만 다른 말을 꼭 한 개[1] 넘어야만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넘어가는 말이 자기 말이든 상대 말이든 상관없지만, 어쨌든 포는 혼자서는 이동을 못 한다.[2] 이것 때문에 차가 포를 장기판 끝으로 몰고 가서 사냥하는 경우도 발생한다.[3][4] 각 기물들은 장기판의 위치에 따라 위력이 달라지는데 포가 장기판에 넘어다닐 말이 없을 경우 움직이지도 못하면서 전투력이 0이 된다. 즉, 가로세로 직선상에 말이 적어도 하나는 있어야 이동이 가능하단 얘기. 또한 궁 안에서 선을 따라 대각으로 넘어다닐 수 있다.

혼자 움직일 수 없다는 결함으로 인해 포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 다른 기물을 이동시키기도 하는데 이러면 상대방이 포의 움직임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때문에 포는 기습용으로도 부적합하다.[5]

포는 같은 포(내 것, 상대의 것 포함)끼리 넘거나 잡을 수 없다는 또다른 독특한 규칙이 있는데[6], 이를 이용한 농포전이 가능하다. 궁 안에 있으면 상대의 포를 미연에 막아줌으로써 엄청 튼튼한 방패가 되기 때문에, 적의 포가 궁을 노리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작할 때 포 하나를 궁 앞에 배치하는 일은 매우 흔하다. 이를 면포라고 하고, 이 자리에 상이 오면 면상이라 한다. 방어용으로 아주 많이 쓰이는 기물로, 포가 없으면 궁이 상대방 포나 차에게 털리는 상황이 발생한다.[7][8] 차 다음으로 강력한 말. 참고로 한자는 가 아니라 로, 한국에 전래되면서 약어로 축약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수비의 기초며 체스의 '비숍'처럼 라인에 영향력이 있다. 다리를 통해 이동한다는 독특한 특성상 기물이 많을수록 활용성이 좋은 편이 있다. 포의 행마를 통한 양걸이는 읽기 어렵기 때문에 상당한 기력이 요구된다. 아군의 보호 속에 졸병의 진격을 보조하거나 이리저리 날아다니며 차나 궁성을 위협할 수도 있는 포의 활용성은 대단하다. 반면 대국이 진행되고 포를 지켜주며 시너지를 발휘해 줄 기물을 제대로 남기지 못했을 경우 이동성은 많이 떨어지는데 점수는 댑따 높아서 조각 싸움에서 애물단지가 되는 일도 생긴다. 후반까지 가지 않더라도 포가 적진 깊숙이 넘어가 상대 기물을 치고자 할 때엔 상대가 포다리를 끊거나[9] 두텁게 만들어 퇴로를 끊어버릴 위험이 없는가를 살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기의 유불리를 가르는 두가지 요소가 점수와 형태인데, 점수는 직관적으로 숫자로 나타낼 수 있는 반면 형태를 따질 때는 포의 위치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양포분할, 면과 귀, 1선과 3선으로 예쁘게 양포분할이 되어있는 것이 가장 좋은 형태로 치며, 점수가 앞서더라도 포가 멀리 나가서 상대진영에서 퇴로가 끊긴경우 되려 불리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어쨌든 퇴로가 끊겨도 뭐라도 한방 때리고 죽을 확률이 높은 마나 차에 비해 포는 퇴로가 끊기기도 쉽고 끊겼을 때 반항하기도 어려운 편.[10][11]

자신이 활용을 못한다고 후반에 영향력이 적다고 하기보단 아예 궁옆에 두고 있던지 앞에다가 적당한 기물[12]들을 활용해서 강력하게 활용해보자.

간단한 활용방법이라면 초반에는 중포로 배치(2선포)하여 빠른 농포를 하는 것이 좋고 중포로 놓고 기물상 이득을 봤다면 1선으로 내려서 귀포를 시켜 궁의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13] 형태상 이득을 보는 중이라면 중포가 자리 이탈 시 상대방의 형태가 풀릴 수 있으므로 형태상 이득보다 더 강력한 상대방의 선수가 들어오지 않는 한 자리를 지키자. 하지만 중반 및 종반에서는 귀포로 배치하는 것이 수비에도 좋고 다른 기물 지원하기에도 좋다. 하지만 예외로 민궁이나 양사 접장기에는 중포가 더 좋다.[14]

포는 마에게 따이는 경우가 꽤나 많다. 그런 만큼, 포와 상대 마+졸 혹은 마+상 대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포 대 마졸의 경우 점수는 둘 다 7점이지만, 후반전으로 갈수록 마+졸의 위력이 강해진다는 점을 참고하자. 포 대 마상은 아예 7점 v. 8점[15]이라 1점 이득이다. 아예 형태상 이득[16]을 위해 포로 마를 그냥 치는 수도 있다.[17]

양포는 차 하나보다 더 세다. 양포의 점수는 14점, 차 1개의 점수는 13점인 이유가 있다. 체스에서 룩 2개가 10점이고 퀸이 9점인 것과 같은 경우.[18]

초반에 궁성에 들어가 궁을 지키는 포를 중포라고 잘못 부르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다. 궁성의 세로 3줄 중 가운데에 위치하긴 하니까 대충 그렇게 생각하고 부르는 경우. 상술했듯이 해당 자리는 '면'이라고 하며, 이 자리에 포가 들어가면 면포, 상이 들어가면 면상, 마가 들어가면 면마가 된다. 중포는 궁성으로 치면 가로로 가운데가 되는 라인 즉 장기판 전체 라인에서 9줄에 포가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형태의 견고함을 포기하고 발빠름 행마로 이익을 도모할 때 구사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포가 하나 남은경우에는 면포보다는 귀포를 놓는것이 유리하다는게 정설. 아무래도 귀포가 궁성 내에서 옮길 수 있는 자리가 많으니까. 또 면포를 하포로 놓으면 안궁한 궁이 이동하기가 힘들다.[19] 그에 비해 귀포가 놓여있으면 면으로 대피할 수 있다.

비유적 표현으로 "차포 다 떼고 붙는다." 하는 말이 있는데, 핵심전력을 모두 잃은 상태를 뜻한다. 저기서 말하는 차포가 장기말의 차와 포.

초반에는 차에 버금갈 정도로 막강하지만 기물이 많이 빠지는 시기에 접어들면 포의 공격력이 점점 약해지고 방어에 치중(置重)하게 된다. 단 아주 가끔씩 포를 상대 궁성 귀 자리에 붙인 다음 차로 9선을 잡고 입궁[20]시켜서 차+포 양수겸장을 불러 외통수를 만드는 고급기술도 사용 가능.

장기의 직계 선조인 샹치에서는 그냥 움직일 때는 차처럼 움직이고 잡을 때만 다른 말 하나를 뛰어넘으며, 같은 포끼리도 서로 넘거나 잡을 수 있다. 아무래도 한국 장기에서는 넘을 수 있는 말만 있으면 마음대로 넘을 수 있어서 공수 양면에서 샹치의 포에 비해 더 강한 면모를 보이다 보니 밸런스 붕괴를 막기 위한 차원에서 수정된 모양이다.

고수들의 치고 빠지는 쌥쌥이 플레이로 많은 초보들을 골치아프게 할 수 있다.
[1] 두 개 이상은 넘을 수 없다.[2] 포를 흔히 상상하는 대포가 아닌 투석기에 비유하고 성벽을 넘어 안쪽의 적을 잡는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한다.아니면 이웃 나라 샹치 포와 비교해서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고정포거나[3] 실제로는 마나 상으로 많이 잡는다. 차가 포를 겨냥할 경우 포가 그 차를 넘어서 다른 기물이 지켜주는 곳으로 도망갈 수 있기 때문.[4] 이후에도 언급하겠지만 포끼리는 서로 넘을 수 없는데, 이를 이용해 아군 진영에 깊숙이 들어온 포의 퇴로에 아군 포를 놓아 가둬버리고 죽이는 전술도 있다.[5] 다만 포는 수비용 기물로 많이 쓰는 특성상 뒷줄에서 많이 움직이는데, 포의 움직임을 가벼이 봤다가는 갈 길이 막힌 차를 포에게 따일 수 있으니 주의.[6] 이는 상의 기원이기도 한 알필의 특성이다.[7] 아주 간단한 예로 굳이 궁이 아니더라도, 혼자 떨어져 있는 졸 뒤에 마나 상 등의 대기물을 감춰놨을 경우 차가 졸을 세로선상으로 똑바로 노려보며 상대의 다음 수에 이에 대한 위협을 가할 수 있지만, 졸 뒤에 있는게 포라면 차를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차가 졸을 똑바로 노려보지 못해서 오히려 앞에 나서 있는 졸도 차로부터 안전해진다.[8] 아군의 포가 모두 죽은 상황에서 상대는 쌍포가 다 살아있다면 수비가 대단히 어려워, 중후반전에 아군의 차를 던져 상대 포를 하나 떼야 하는 상황이 거의 반드시 온다. 쌍포는 무쇠도 녹인다는 장기 격언을 상기하자.[9] 포의 퇴로에 똑같이 를 놓아 길을 막아버리면 정말이지 답이 없다. 포끼리는 서로 넘을 수 없음을 상기하자.[10] 이럴 경우 보통 상이나 사를 때리고 죽는다. 사를 때리면서 죽는 게 이득일때가 더 많으며, 실제로 중후반전에는 아예 궁을 깨기 위해 멀쩡히 잘 살아있는 포로 사를 그냥 때려버리기도 한다. 포로 사 치는 데 묘수 있다는 장기 격언을 상기하자.[11] 넘어갈 기물이 아예 없는 상태에서 마나 상에게 걸려버렸다거나, 드물게 퇴로 양쪽이 모두 같은 에게 막힌 경우에는 꼼짝없이 공짜로 죽게 된다.[12] 대표적으로 차. 포 앞의 차가 빠지면서 차로 다른 기물을 걸고, 뒤의 포로 장군을 부르는 식으로.[13] 단, 수읽기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포를 썼다가는 역관광당하기 딱 좋으니 주의할 것. 농포전략 전반에 모두 해당하는 격언이다.[14] 대표적인 낚싯밥으로 상대가 상대진영에서 한번도 움직이지 않은 상을 던져놓고 지켜주는 기물(대표적으로 차)이 이동하면 '내 상 먹어가십시오.'하면 상을 덥석 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상대가 실수로 차를 내보냈다면 이득이지만 계산된 수였다면 상대의 포가 퇴로를 차단해서 포가 상 하나 혹은 상이랑 사를 취하고 죽는 경우도 많다.[15] 마 5점 + 상 3점[16] 포로 상대 귀마를 쳐서 상대의 천궁을 강제한다던지. 귀마를 친 포는 보통 궁으로 잡기 때문.[17] 혹은 사를 때려버리기도 한다. “포로 사 치는 데 묘수 있다”는 격언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18] 차 한마리로 양포를 따면 손해가 아니라 이득이며, 앞에서 설명했듯 결국 중후반전에 양포를 따인 상대가 차포대를 강제당할 확률이 매우 높다.[19] 하포 때문에 궁이 움직일 자리가 없는 상황에서 마장군이나 상장군을 맞으면 외통수에 걸리는 수가 있다.[20] 단, 상대 궁성 정가운데에 들어가는 차를 다른 기물로 지켜줘야 한다. 또, 상대 포가 궁중앙을 지키지 못 하게 해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4;"
, 2.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4;"
, 2.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9:35:14에 나무위키 포(장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