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처파우스트 3

최근 편집일시 :

Die Panzerfaust(PZF) 3
판처파우스트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Panzerfaust3.jpg
파일:external/pbs.twimg.com/B1T6xU6IAAAvucI.jpg
제원
종류
대전차 로켓
구경
발사관 60 mm, 탄두 110mm
탄종
성형작약탄
길이
950 mm
무게
2.3kg(발사기 본체)
12.8kg (일반 성형 작약 탄두)[1]
13.3kg (탠덤 탄두, 열압력 탄두)
운용요원
1명
조준장치
UP-7V 망원조준경
최대유효사거리
500m(고정목표), 300m(이동목표)
최대사거리
920m[2]

1. 개요
2. 상세
3. 사용 현황
3.1. 현대 전장에서의 외면
4. 기타
5. 대중문화
5.1. 게임
5.2. 애니메이션
5.3. 소설
5.4. 영화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독일 Dynamit Nobel AG社가 기존 자군의 판처파우스트 44 란체를 바탕으로 1978년부터 개발을 개시하여 85년 종료, 92년 독일 연방군을 비롯한 대한민국 육군, 일본 육상자위대 등 여러나라에서 채용된 휴대용 대전차 로켓이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판처파우스트의 직계 후손이다.

파일:external/www.dn-defence.com/Pzf3ITn.jpg

독일 연방군의 소개 영상


2. 상세[편집]



판처파우스트 3은 대전차 로켓이지만, 기술적으로는 무반동포에도 한 발짝 걸쳐 있는 병기체계이다. 어째서 그렇냐 하면, 바주카라케텐판처뷕세처럼 단순히 로켓 자체의 추진력만으로 로켓이 발사되는 것이 아니라 무반동포를 발사장치로 사용하여 로켓을 발사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는 물론 판처파우스트 3과 그 전신인 판처파우스트 44 란체의 근원이 무반동포였던 판처파우스트에 있었기 때문이었다.[3]

그리고 상기한 설명대로 바주카라케텐판처뷕세처럼 단순히 로켓 자체의 추진력만으로 로켓을 발사하는 게 아니기에, 무반동포처럼 발사시 후방으로 연소가스를 배출하고, 그 후에 추진체(로켓 모터)가 가속하여 날아간다는 특성을 지닌다.

탄두는 성형작약이며, 탄두 교체 없이 기본 탄두를 신관 조정에 따라 일반 고폭탄으로도 사용가능하고, 탄두 앞부분의 연장관을 끄집어 냈을 때 충분한 스탠드오프 거리가 확보되어 메탈제트가 충분히 신장되므로 최대의 관통력을 얻을 수 있다. 전차 이외의 표적에 대하여 폭풍파편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할 경우에는 이 '주둥이'를 끄집어내지 않고 쏜다. 이 때 살상반경은 25미터이며 관통력은 크게 감소한다.

3세대 이상의 MBT 대응을 위해 만들어진 로켓탄답게 위력은 비유도식 로켓 중에서는 러시아RPG-29와 함께 최고를 자랑한다. 기본 탄두만으로도 700mm의 균질압연장갑을 관통 가능하며,# 신형 탠덤 탄두인 PzF 3-T를 사용하면 반응 장갑 관통 후 800mm 이상이 나온다는 괴물이다.

파일:external/modernfirearms.net/pzf3-it600.jpg
현재 가장 최신 사양인 PZF 3-IT. RHA 900mm이며, PZF 3-T와 달리 연장관이 3단으로 되어 있다.

파일:external/world.guns.ru/pzf3-bkf.jpg
탄두 중에는 'Bunkerfaust'라고 해서, 콘크리트 벽 관통 후 벙커 내부에서 작렬하는 HEAT열압력탄두(기화폭탄)로 구성된 탠덤 탄두도 있다. 균질압연장갑 110mm, 콘크리트 360mm, 모래주머니 1300mm 가량의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

탄두가 일회용 발사관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나오며, 이 발사관에 조준장치와 격발장치가 달린 발사기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이 발사기는 연속되는 발사로 인한 충격으로 내부 조준선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3회 사용후 교환이 '권장'되나 항상 그렇듯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3회는 말 그대로 교범상의 권장 횟수일 뿐이고, 실제론 수십회 넘게 재발사해도 별 문제는 없다고 한다. 조준선 나간 발사기는 제작사에 보내서 정비를 거치거나 아니면 축사탄 사격, 이론 교육용 등으로 사용된다.

발사기 제조사는 독일총기 명가 H&K사. 혹시라도 군에 들어가서 판처파우스트 3 발사기를 보게 된다면 선명하게 새겨진 로고를 볼 수 있다. 발사기 구조는 후방에 카운터매스(Countermass)로서 사용되는 데이비스식 안전변(安全弁)이 붙어있어 후방 안전거리가 10m 정도로 다른 대전차로켓의 1/3 수준이고 발사시 먼지가 적어 발사후 신속히 도주하는 데에도 훨씬 유리하다. 후폭풍을 감쇄시키기 위한 카운터매스(Countermass)는 2m 정도의 안전 거리만 유지되면 벙커 등의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등[4][5] RPG-7같은 것과는 여러 가지로 다른 의미의 명품이다. 가격 또한 9,994달러 정도로 환상적이다.

파일:external/world.guns.ru/pzf3-dynarange.jpg
유효 사거리는 기본 조준기를 사용했을시 고정표적에 대해 400m, 이동표적에 대해 300m 수준인데, T600부터 적용된 다이나레인지(DYNARANGE) 조준기를 운용시에는 고정/이동 표적에 대해서 600m의 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조준기에는 컴퓨터가 내장되어 조준을 도와주며, 기본사양의 발사관 본체에도 별도의 개조없이 장착할 수 있다. RPG-7과 비교했을 때,[6] 아무래도 훨씬 이후에 나온 판처파우스트3의 명중률이 더 높다.

발사관을 통해서 움직이는 물체를 포착 사격하는 방법도 배우기는 하는데, 다이나레인지 조준기가 아닌 기본 조준기만을 썼을 경우 일정 속도 이상으로 기동하는 표적에 대한 타격은 한계가 있다.


3. 사용 현황[편집]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111302592094474.jpg
독일 연방군은 물론 자위대[7], 이탈리아군, 네덜란드군, 스위스군, 멕시코군, 엘살바도르군 등 세계 각국에서 제식 채용 중이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도 93년부터 기존에 사용되던 M72 LAW를 대체하는 중대급 대전차화기로 사용되고 있다.[8]기계화보병은 각 소대에 지급된다.[9]


3.1. 현대 전장에서의 외면[편집]


현재 탈냉전기 이후 상당히 안쓰러워진 무기다. 현용 대전차 로켓 중에서도 최상급에 속하는 준수한 성능에도 실전에서 운용된 사례는 아직까지 드물고[10] 미군은 쓸만한 국산 무기 많은데 굳이 이걸 쓸 필요가 없어서 거들떠 보지도 않았고, 구공산권 혹은 친러국가들에서는 RPG 시리즈에 밀려서 보기 드문 무기이다. 서방에서도 일부 나라들에서만 정식채용하여 사용중인데[11], 스펙은 FGM-148 재블린 등의 신형 대전차 미사일에 밀리고, 가성비는 같은 서방 쪽의 AT4 무반동포SMAW 대전차 로켓 등이 우월하기 때문에 입지가 좁아졌다. 거기다 이젠 자국에서도 가볍고 화력도 적당한 MATADOR 대전차 로켓이 나오는 바람에 본가에서조차 밀리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간단하다. 유효사거리가 300~600m로 짧은 반면에 가격은 다른 대전차 로켓에 비해 압도적으로 비싸다. 초기형은 그나마 적절한 가격을 목표로 했지만, 이후 탠덤 탄두와 개량된 조준기[12] 등이 도입되면서 세트당($2,000 발사기 1개 + $2500 탄약 3개) 가격이 거의 $10,000(한화 1,100만원 이상)이다. RPG-7은 발사관이 $1,000, 사용탄은 $20~200에 불과하다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비싼 무기라 할 수 있다. 현재 서구권 국가들이 주력 대전차 무기에 최소 600m 이상의 거리에서 이동 중인 3세대 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 스펙을 요구하고 있는데, 아무리 독일의 기술이 우수하다고 해도 이러한 요구 사항에는 한끗발 밀리는 것이 사실이다.[13] 반면에 중동 등지의 시가전같은 저강도 국지 전투에서 시가지 구조물 파괴라든지 알보병이나 테크니컬 같은 저가치 목표물에 마음껏 쏘기에는 가격이 너무 비싸고 위력도 쓸데없이 강하며 너무 무겁다[14].

판처파우스트3가 개발되던 80~90년대에는 소련의 기갑 물량 공세를 저지할 무기가 중요했다지만, 2000년대에 넘어오면서부터는 구소련 붕괴 이후 물량전 교리 탈피가 진행되며 환경이 바뀌어 버렸다. 주변 강대국들과의 전쟁에서 전차를 잡는다면 사거리, 명중률, 파괴력이 넘사벽인 재블린, MBT LAW 등의 미사일로 멀리서 정확히 잡아버리는 방식이 선호되고, 알보병이나 테크니컬 잡기에는 한 발에 $1,500짜리 AT4이나 더 저렴한 M72 LAW 개량형으로도 충분하니, 현재는 애매한 물건이 되어 버렸다. 게다가 하필 냉전이 끝나고 배치가 시작 된 탓에 기대와 달리 나토 표준 장비화에 실패했고 운용국도 많지 않은 상황이다.[15] 다만 한국의 경우 북한, 중국과의 전면전, 특히 다수의 저가형 구식 전차들이나 중국의 99식 전차나 96식 전차들을 상대해야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쓸모 있다는 것이 그나마의 위안거리이다.


4. 기타[편집]


  • 2004년 9월 전방 모 사단 모 연대의 실거리 사격장[16]에서 소대장의 오발로 10여 미터 거리에 있던 콘크리트 구조물이 파괴되면서 파편이 튀어 3명이 사망하고 12명이 부상당한 사고가 있었다. 해당 소대장이 고폭탄이 장전된 것을 모르고 격발한 것이라는 뉴스도 있으나, 위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탄이 장전된 것을 모를래야 모를 수가 없다. 더구나 이 발사기는 소총처럼 조정간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방아손잡이를 펴는 것 자체가 그 역할을 하게 되어 있다. 즉, 방아손잡이를 펴지만 않았어도 물리적인 안전장치가 당연히 작동되어 사고를 방지할수도 있었다. 당시 현역들의 유력한 추측은 축사기로 착각한 것이 아닐까 하는 것. 실물과 교보재를 색으로 구분하는[17] 다른 화기들과 달리 이 녀석은 축사기가 실제 고폭탄과 똑같이 생겼다. 실제로 이 사고 이후 육군에서는 축사기에 파란색 테이프를 감아(…) 실탄과 구분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도 했다. 해당 사격장에는 이들을 기리는 비가 세워져 있으며, 현재에도 해당 사격장으로 공용화기 훈련을 나가면 간부나 짬찬 선임들에게 이 사건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18]
  • 독일 정부가 페쉬메르가에 지원한 무기중 하나로 함께 지원된 무기로는 MG3, H&K G3, H&K G36, 발터 P1, 밀란 대전차미사일, 칼 구스타프 M2, DM41 수류탄 등이 있다.


5. 대중문화[편집]


세계 각지의 분쟁에서 대전차 로켓하면 RPG-7이 바로 떠오를 정도로 RPG-7이 이 바닥을 주름잡고 있어서인지 등장은 많지 않다.

예외적으로 한국일본에서는 비교적 지명도가 높은데, 이는 이들 두 나라가 판처파우스트 3을 실제로 주력으로 운용중인 국가들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자신들이 실제로 운용하고 있는 대전차 화기이니 당연히 대중문화에도 많이 출연시켜주는 것. 특히 한국군은 화력을 중요시 하다보니 휴대용 대전차무기들 중에서 기본형만 700밀리의 관통력을 자랑하는 판저파우스트 3을 주목하는게 따지고 보면 당연하다.


5.1. 게임[편집]


  • 게임 워록에서 중화기병의 기본 대전차무기로 등장한다.
  • 홈프론트에서도 등장한다. 근데 작중 인물들은 RPG로 언급한다(...)
  • 바이너리 도메인에서도 미래형 버전이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에서 역사와 전통의 RPG-7을 대체하여 등장.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대한민국 국군 해병대와 서독 보병들이 사용하는 고급 대전차화기로 등장. 무지막지한 장갑관통력으로 상급 전차중에서도 최상급 전차가 아닌 이상 다 씹어먹어버리는 위용을 과시한다. 그야말로 독일어 원어답게 기갑 주먹의 위용을 뽐낸다.
  • 아르마 3의 2019년 4월 30일 발매되는 글로벌 모바일라이제이션 DLC에 서독군의 무기로 추가된다.


5.2. 애니메이션[편집]


  • 괴도 세인트 테일에서 타카미야 리나가 세인트 테일을 잡기 위해 사용했다. 사용탄은 최루탄.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에서 키하라 아마타가 사용했다.
  • KARA The Animation 에서는 이걸로 박규리해리어를 잡았다(...) 여신버프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 전략자위대가 사용한다.
  • 아웃브레이크 컴퍼니에서 육상자위대가 사용해서 드래곤을 격퇴했다.
  • 게이트 - 자위대. 그의 땅에서, 이처럼 싸우며에서 육상자위대가 마을을 습격한 적룡을 사살할 때 사용한다.
  • 폐기물 13호에서는 폐기물 13호를 유도하던 해상자위대의 군사용 레이버 '류진(龍神)'이 유도음파가 꺼지지 않아 폐기물 13호에게 계속 추격당하다 막다른 길에서 고장나서 오도가도 못하게 되자, 작전을 지휘하던 이시카와 일좌의 명령을 받은 자위대원들이 판처파우스트3로 류진의 동체 상부에 장착된 스피커포드를 파괴한다. 이 장면을 두고 이후 류진 승무원들에 대한 언급도 없고 류진의 동체 전부가 화염에 휩싸여 있는 것으로 봐선 류진이 파괴된 것은 확실하므로 해당 장면을 팀킬로 보는 의견이 있으며, 발사된 파우스트 3의 궤도를 잘보면 스피커포드를 분명히 향하고 있고, 류진이 외부장착용 옵션 스피커포드에 직격한 정도로 승무원이 사망할 정도로 허접한 레이버는 아니기에 팀킬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19]
  • 짱구는 못말려 7번째 극장판 폭발! 온천 부글부글 대작전에서 온천 G맨 전투원들이 황금 온천을 노리면서 접근하는 빨간 거대로봇을 향해 강산성 화학탄을 탑재한 것을 사용한다.


5.3. 소설[편집]


  • 나병국 작가가 집필한 판타지 소설 말년해병록에서 등장한다. 클레이모어 다음으로 자주 쓰는 폭발성 무기인듯. 근데 수틀리면 탄두 하나에 1억씩 쳐먹는 지대공 미사일인 신궁을 쓴다 카더라. [20]


5.4. 영화[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 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 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SIG556P, CAR816, M4A1P, M4A3P, G36CP, DD Mk.18P, SR-16P, K2C, M6P, ARADP,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ARS-HP,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7A1P, MP9, APC9K PRO, UMP45P, 커스텀 9mm ARP, DSMG9P, DSAR-15PC, X95 9mm SMG,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 베레타 92F, P7M13P, USP9T, P2000P, P226, P229P,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TT 권총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 B.A.T 팀에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1] 탄두와 발사관을 합친 무게. 탄두 무게만 따지면 약 4kg 정도이다[2] 최대사거리인 920미터를 넘어갈 경우 탄두가 자폭한다 [3] 소련RPG-7과 그 전신인 RPG-2 역시 개발 과정에서 랜드리스로 받은 바주카와 함께 판처파우스트도 참고되었기에, 판처파우스트 3과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후폭풍을 줄이기 위해 카운터매스(Countermass)인 데이비스식 안전변(安全弁)을 도입한 판처파우스트 3과는 달리 RPG 시리즈는 카운터매스를 도입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보다 심플한 구조를 채용했다는 점에서 기술적 차이점이 있다.[4] 이중추진장약 사용으로 날아가는 중에 한번 더 불꽃이 생기는걸 볼 수 있다.[5] 물론 어디까지나 사용 '가능'. 매뉴얼에서는 그렇게 이야기하지만 쏘는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거슬릴 수밖에 없다... 물론 사격과 동시에 강렬한 후폭풍에 실려 천국으로 사출되는 RPG-7에 비하면 양반이지만.[6] RPG-7의 유효사거리는 가로 5m, 세로 2.5m 크기의 고정 표적에 대해 300m, 14km/h로 이동하는 표적에 대해 200m 수준이다.[7] 자동차 회사로 유명한 닛산의 계열사인 IHI Aerospace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것을 사용. 발사기 측면에 간단한 운용 방법도 일본어로 새겨져 있다. 축사기의 색상은 청록색 계열로 일본어로 주의 문구가 새겨져있다. 그런데 라이센스 생산 과정에서 가격이 뻥튀기되는 바람에 일본 밀덕들이 판저파우스트 1대 값이 자동차 1대 값이 되어 버렸다 는 의미로 닛산에서 생산 중인 자동차 이름을 따서 하늘을 나는 닛산 마치(空飛ぶ日産マーチ) 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했다(...)[8] 그러나 적지 않은 수의 전방 사단들이 2020년 기준으로 아직까지도 90mm 무반동총을 중대급 대전차 화기로 운용 하고 있다.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판처파우스트 3와 대전차 미사일 현궁의 개발 및 실전배치 시기를 생각하면 한참 늦은 셈이다. 물론 화기중대 내에서도 항상 도태장비로 취급 하고 있으며, 현궁으로 대체 하려는 추세이다.[9] 한국군이 사용하는 판처파우스트는 현재 풍산그룹에서 면허생산 중이다. 한국군에서 사용하는 공식 명칭은 '팬저파우스트3'이다. 당연히 교범도 이 제목으로 나와 있다.[10] 최근 이라크 내전에서 쿠르드 페슈메르가 민병대에 공여되어 화력이 뛰어나고 후폭풍이 매우 적다는 호평을 받았다고 알려졌으나, 실전에서 어떤 전과를 올렸는지는 확인되지 않있다. 유튜브 영상에서도 실전에서 운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이 전무한 수준 훈련영상은 많다. 근데 주로 콘크리트 표적에 쏘던데[11] 실상 대전차 무유도 로켓은 짧은 유효사거리로 인해서 대전차미사일(ATGM)에 비해서는 사수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적전차에 근거리 대전차 로켓을 사용할 정도라면 전면전에 가까운 위기상황일 가능성이 높은데, 판처파우스트3를 정식채용하고 있는 서방권 국가들은 그러한 전시상황이 매우 드물어 실전 운용사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보인다. 서구권 국가라도 세계 각국 분쟁지역에 수시로 파병되는 미군, 영국군, 프랑스군이 사용하고 있다면 실전 경험이 있겠지만, 이들 국가는 후술할 이유로 쓰지 않고 있으니...[12] 최신형은 무려 대전차 로켓 중에선 최초로 사통장치의 일종인 다이나레인지가 들어가는데 영점이 틀어지지 않아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3발 쏘면 버리는 것 따윈 안해도 되지만 그만큼 가격이 뛰어서 이 사양을 채택한 국가는 독일 외엔 없으며 전면전 위협이 높은 한국 조차 도입하지 않았다. 차라리 그럴 바에 현궁을 쓰는게 낫기 때문.[13] 최근엔 보병용 대전차 미사일은 수백미터가 아니라 km 단위로 날아가는게 기본이지만 이런건 길어봐야 1km도 못 찍는다. 때문에 대전차 로켓이나 무반동총의 경우, 대전차 보다는 대보병을 상정하고 경량화 하는것이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와, 가성비 및 무게 면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RPG-7의 경우가 대표적이다.[14] 발사기+탄약 1세트에 15kg 씩이나 하는데, 1인 운용이 기본이다. 평야가 많고 기계화가 잘 된 유럽 전선에서 활동하는 나토 지상군과 독일 연방군의 MBT 대응용 대전차 화기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개발된 탓에 판처 3 한 세트가 K3 기관총두배 이상 무겁고 그 M60 기관총의 10.5kg나 툭 하면 무겁다고 까이는 K12 기관총 보병용의 10.4kg 보다 무거우며, 심지어 그 옛날 2차 대전에서 조차 무겁기만 한 구닥다리 쇳덩이 취급이던 M1919 브라우닝과 맞먹는 중량이다. 실제 한국의 가파른 산악 지형에서 탈것 없이 돌아다닐 상황에 놓여지던 군필들에게서도 도수운반하기가 버겁고 상시 들고 다니며 행군하기엔 매우 불편하다는 악평이 자주 나온다. 그만큼 알보병에겐 불친절한 무기다.[15]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일부 유럽 국가들엔 걸프전 특수로 소량이지만 팔았다.[16] 800m 표적도 있어 해당 사단의 다른 연대(현재는 여단)는 물론 주변 사단과 군단에서도 주로 K3 기관총 공용화기 훈련의 실거리 사격을 하러 온다. 가끔 판저파우스트와 K201사격도 한다. 해당 부대가 기계화부대로 개편된 이후 전차장갑차를 끌고와서 기관총 사격과 박격포 축사탄 사격까지 진행한다.[17] 파란색 혹은 파란 띠가 둘러진 것이 교보재/훈련탄, 노란색 혹은 노란 띠가 둘러진 것/다른 표식 없이 국방색이나 검은색인 것이 실물이다. 신교대에서 수류탄을 신물나게 던져보면 안다.[18] 하지만 2000년대 중반엔 이미 파란색 축사기가 보급되었다.[19] 판처파우스트3의 위력과는 상관없이, 이 작품의 이야기가 인간이 만든 통제불능의 피조물을 인간이 스스로 제거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류진이 파괴되었다고 볼 수 있다.[20] 작중에선 주인공이 신궁을 발사하던 중 "이거 한 발만 해도..."라는 대사를 했었다. 그만큼 고가의 고화력 장비라는 뜻.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2:02:32에 나무위키 판처파우스트 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