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샤카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전승
3. 기타



1. 개요[편집]


파일:Taxaka_Statue.jpg
Takshaka / तक्षक
인도 신화에서 등장하는 나가.


2. 전승[편집]


카샤파와 카드루의 넷째 자식으로, 뱀의 사악한 측면을 상징한다. 그래서인지 그다지 좋은 역으로 나오는 이야기가 없다. 마하바라타에서는 자신이 사는 숲을 불태운 아르주나에게 복수하기 위해 두료다나 쪽에 가담하여 자신의 독으로 그를 죽이려고 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크리슈나의 방해로 실패하고 만다. 그러나 끈질기게 아르주나 일족을 노려서 그 일족의 귀한 보석을 훔치기도 하고 이런 저런 방해를 한다. 그 결과, 마침내 아르주나의 손자인 파릭시트(Parikshit) 왕을 죽여서 복수를 달성하는 근성을 보여주었다.

후에 이 사실을 알게 된 파릭시트 왕의 아들 자나메자야(Janamejaya) 왕이 복수를 위해 거대한 제사를 바쳐 세상의 모든 뱀을 태워죽이기로 결심하였다. 이로 인해 온갖 뱀들이 제사장의 불꽃으로 떨어져 산 채로 타죽게 되었고 탁샤카도 인드라의 전차바퀴에 매달려 끌려가지 않으려고 발버둥쳤으나 제사의 위력은 너무나 강력하여 아예 인드라의 전차 째로 탁샤카를 잡아당겼고 결국 타죽게 된 찰나, 조카인 브라만 아스티카(Astika)의 간청으로 구사일생하였다.


3. 기타[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가(인도 신화) 문서의 r1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나가(인도 신화) 문서의 r1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30 15:32:35에 나무위키 탁샤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