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일에 대한 내용은 키위(과일) 문서
키위(과일)번 문단을
키위(과일)# 부분을
, 이 외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키위(동음이의어) 문서
키위(동음이의어)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키위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쿠키런 시리즈의 등장 펫에 대한 내용은 키위새(쿠키런 시리즈) 문서
키위새(쿠키런 시리즈)번 문단을
키위새(쿠키런 시리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뉴질랜드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키위(키위새)
Kiwi

파일:키위새.jpg

학명
Apteryx
Shaw, 1813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고악하강(Palaeognathae)

키위목(Apterygiformes)

키위과(Apterygidae)

키위속(Apteryx)

큰알락키위(A. haastii)
쇠알락키위(A. owenii)
북섬갈색키위(A. mantelli)
남섬갈색키위(A. australis)
오카리토갈색키위(A. rowi)


파일:Apteryx haastii.jpg

큰알락키위(A. haastii)

1. 개요
2. 계통
3. 생태
4. 특성
5. 이름의 유래
6. 매체에서



1. 개요[편집]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토종새로, 뉴질랜드의 국조(國鳥)이자 나라의 상징이다. 대략 여섯 종류가 있다.


2. 계통[편집]


파일:external/phenomena.nationalgeographic.com/Ratites.jpg

한때 유전자 연구 등을 통해 모아에서 분리되어 나왔다는 학설이 유력했었으나, 현재 이 이론은 사장되었다. 이후 2014년 5월 키위가 유전적으로 코끼리새와 가깝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키위의 가까운 친척 중 한 종류가 키위의 서식지인 뉴질랜드와는 동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코끼리새라는 점에 의의가 있는데, 오세아니아아프리카는 한때 '곤드와나(Gondwana)'라는 초대륙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 곤드와나가 서로 분리되었을 때의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 초중반이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키위를 포함한 여러 주조류들이 지질학적으로 꽤 오랜 세월 동안 존재한 생물이라는 사실을 증빙한다. 단 에뮤/화식조는 키위보다 먼저 분화해 나간 무리로 추정하므로 가까운 친척이라 봐도 될 듯하다.

3. 생태[편집]


야행성이며, 날개가 퇴화하여 성인 남성의 엄지손가락 정도의 작은 돌기로 남았다. 타조와 같이 날개가 퇴화하여 나는 능력을 잃어버린 대신 다리가 잘 발달되어 잘 달린다. 긴 부리 끝에 콧구멍이 있어서 이를 이용해 후각으로 먹이를 찾는데, 주로 곤충류, 특히 지렁이를 주로 먹는다.

본래 키위에게는 하스트수리 같은 맹금류를 제외하면 천적이 거의 없었으나, 이주민이 데려온 외래종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를 받는다. 주로 고양이가 이 새에게 천적이라고 한다.[1] 지상 천적이 없는 세월이 너무 길었던 탓에 자신을 방비하고 천적에 대비하는 본능적인 습성이 전무하다. 잘 도망치거나 잘 숨거나 해야 살아남겠지만, 그렇지 않으니 문제다.[2] 게다가 번식률이 낮은 것 또한 문제. 20세기 초에는 뉴질랜드 전역에 백만 마리가 넘는 야생 키위가 있었다고 하는데, 2018년 기준으로 약 6만 8천 마리로 파악됐으며 매년 2%씩 개체가 감소하고 있다.

과거 천적이 없었을 때에도 개체 수가 잘 늘어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키위의 신체구조 때문이다. 정확히는 암컷이 품는 알 때문인데, 키위는 1년에 알을 딱 한 개 낳는다. 그런데 그 한 개의 크기가 성체 암컷의 1/4, 심하면 1/3 크기라서 알을 낳다가 죽는 암컷이 많다고 한다. 알이 복강에 가득 들어차기 때문에 산란 전 며칠간은 제대로 먹지도 못한다고. 보통 키위의 몸길이가 48 - 84 cm, 몸무게가 1.35 - 4 kg 정도인데 키위 알의 무게가 420 g 남짓이다. 몸집이 비슷한 새가 낳는 알의 무게가 70 g 정도니 무려 6배나 무겁다. 그래서 키위 새끼는 알에서 갓 나왔을 때도 상당히 크다.[3]

파일:키위새 엑스레이.jpg
알을 밴 키위의 엑스레이 사진.[4]

파일:키위 골격.jpg
골격 모형.

보통 조류들이 낳는 알의 크기를 생각해 보자. 저 작은 몸으로 타조처럼 커다란 알을 낳음을 감안하여 비교를 해보면 얼마나 몸에 비해 알이 큰가. 고작 닭 크기의 새가 낳는 알이 성인 남자의 주먹, 혹은 그보다 더 크니 당연하다. 이는 과거 다른 주금류처럼 키위새가 몸집이 컸던 시절의 흔적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진화하면서 덩치는 작아졌지만 알의 크기는 예전 그대로라는 것.

4. 특성[편집]


호기심이 많은 편이라서 사람을 무서워 하지 않고 오히려 사람을 따라다니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그래서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에게 사랑받는 새이기도 하다. 마오리족 전설에 의하면 키위는 숲과 새들의 정령인 타네 마후타(Tane Mahuta)[5]의 보호를 받으며, 키위의 털은 타네 마후타의 신비로운 힘을 간직하고 있다고 믿었다. 때문에 키위의 깃털을 모아서 의식용 망토를 만들기도 했다. 단, 이때 절대로 키위를 죽이거나 일부러 털을 뽑아서는 안되고, 털갈이철에 키위가 흘린 깃털을 하나하나 모았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키위의 깃털은 여전히 고급소재로 활용하는데, 로드킬을 당한 키위의 시체나 키위가 흘린 깃털을 모아서 쓴다. 키위가 사람을 따라 마을까지 들어오면 길조로 여긴다고 한다.[6]

이런 만큼 키위의 외모에 관한 전설도 있다. 제목은 날개를 잃은 키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과거 키위에게도 날개가 있고 다른 새들과 함께 나무 위에서 살았지만, 벌레들이 나무를 파먹어 죽이자 앞에 나온 타네 마후타의 형제인 타네 호카호카(Tane Hokahoka)가 땅에 내려가 살면서 벌레를 잡아줄 새를 찾게 되었다. 다른 새들은 이런저런 이유로 거절했으나 용감한 키위는 다시는 날 수 없을 걸 알면서도 어두컴컴하고 축축한 땅으로 내려갈 것을 결심, 그 결과 키위는 신의 축복을 받고 다른 새들은 벌을 받았다는 내용. 전문. 번역본.만화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펫 퀘스트에도 내용이 구현되어 있다.

5. 이름의 유래[편집]


'키위'라고 하는 이름은 마오리족이 새들의 울음소리를 흉내낸 의성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를 '멍멍이'라고 부르고 고양이를 '야옹이'라고 불렀다는 식이다. 하지만 소수 언어학자들은 폴리네시아어 사용자들이 타히티도요[7]를 키위라고 불렀는데, 마오리족이 뉴질랜드로 와서 키위를 보고는 (부리가 긴 모습이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역시 키위라고 부르게 됐다고 주장한다.

원산지가 중국인 과일 키위 역시 중국 색을 빼기 위해 키위새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키위'란 이름이 붙었다. 다만 키위새를 몰랐던 사람 중에는 거꾸로 과일 키위에서 새 키위의 이름이 나왔다고 여기는 이들도 꽤 있다.

6. 매체에서[편집]


  • 게임 뉴질랜드 스토리에 나오는 주인공이 바로 이 키위새이다. 하지만 색이 노란색인 데다가 날개가 있는지라 생긴 것은 영락없는 병아리. 게다가 2006년 NDS판에서는 아예 병아리로 확정되었다.
  • 플래닛 주 오세아니아 DLC를 구매하면 사육 가능한 동물로 나온다.
  • 디지몬 시리즈에 등장하는 키위몬의 모티브가 되었다.

  • 시인 유하가 '자동문 앞에서'라는 시에서 문명에 익숙한 현대인들을 '키위새'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정작 두 손으로 힘겹게 열어야 하는

어떤
문 앞에서는
키위 키위 울고만 있을 것이다.

-유하, 자동문 앞에서 中


[1] 실제로 뉴질랜드에선 뱀이나 개과를 비롯한 육식동물 수입을 불법으로 간주해 철저히 막고 있다.[2] 뉴질랜드 동물보호 기관에서는 다쳤거나 노출된 야생 키위를 구하는 전용 탐지견도 운용 중이다.[3] 단순 비교하면 50kg 여성이 15kg짜리 아이를 낳는 셈이다. 보통 신생아 몸무게가 3kg 내외라는 걸 생각하면...[4] 인간도 복강이 줄어들어 주요 장기들이 위로 이동하는데, 이쪽은 아예 알에 다 눌려있다. 참고로 가슴의 하얀 것은 키위 암컷의 심장이다. 본디 더 위에 위치해야 하는데 알과 장기에 밀려 아래로 내려왔다.[5] 설화에 따르면, 신의 아들 중 하나이다.[6] 똑같이 신성시 여겨진 뉴질랜드장어, 투아타라는 종종 마오리족이 잡아먹기도 했지만 키위새만큼은 예외였는데, 지방이 너무 두꺼운데다가 고기에 불쾌한 냄새가 심해서 먹지 못하기 때문이다.[7] 학명으로는 Numenius tahitiensis, IUCN에서 멸종위기등급 취약종으로 분류한 새로 도요새의 일종이다. 흔히 우리말 검색엔진에서 '타히티 도요'라고 치면 옛날에 멸종한 Prosobonia leucoptera가 검색되지만, Prosobonia속은 도요과에 속하긴 해도 도요속(Numenius)은 아니다. 이 새는 철새로 번식은 알래스카에서 하지만 겨울은 남태평양의 섬에서 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키위 문서의 r3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키위 문서의 r3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20:40:48에 나무위키 키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