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 타임

덤프버전 :

1. 개요
2. 21세기의 코리안 타임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Korean time

근대 서양 문화가 한국에 들어올 당시, 특히 미군정기에 약속에 자주 지각하는 한국인들을 보며 미국인들이 지어낸 단어다.

근대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역사적 차이 때문에 이런 말이 생겨났다. 당시 서양에서는 근대화가 진행되어 24시간제에 분(分)과 초(秒)라는 개념이 이미 있었고 시계도 종종 보고 다녔지만, 국내에서는 흔히 12간지 시간을 따랐다.[1] 예컨대 "미시(未時)에 만나세"라고 약속을 했다고 치자. 미시는 오후 1시에서 오후 3시 사이로 꽤나 넓은 시간대에 해당한다.[2] 일종의 문화 지체.

하지만 이 용어가 20세기 후반 한국에서 문제시되면서 이후 국가적인 차원으로 "시간은 금이다"라는 캠페인을 벌이고 해서 코리안 타임은 거의 사라진 말이 되었다.[3]

이런 식의 느긋한 생활 문화는 시계의 보급이 적고 사회 생활 자체가 빡빡하지 않은 전근대 지역에서는 흔한 일이었다. 그 독일마저도 산업화되기 이전에는 먼저 산업화된 영국에게 게으르다는 소리를 듣던 시절이 있었다. 시계가 먼저 발달해 딱딱 정해진 시간에 맞춰 생활해오던 구미 사람들 기준에서 현지 사정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들 기준으로 재단한 것일 뿐이다.

여행스케치의 4집 음반에 〈코리안 타임〉이라는 노래가 실려 있다.


2. 21세기의 코리안 타임[편집]


21세기 이후로는 한국의 시간대가 다른 나라보다 빠르다는 평가가 종종 나오기도 하는데, 대체로 한국에서 오래 살아 본 외국인들이 공감한다고 한다. 단, 단순한 빨리빨리 문화와는 성격이 조금 다른데, 여기서 시간대가 빠르다는 건 유행 등 사회의 변화 속도가 빠르다는 말이다.

실제로 한국에서는 대중가요조차 나온 지 몇 달만 지나도 유행이 지나는 일이 많고, 은어로도 그대로 나타나서, 지금 이 순간에도 쉴 새 없이 새로운 은어들이 10대~20대에게서 중심으로 창조되나 대부분은 길어 봐야 1년 정도 지나서 반쯤 사어가 된다. 사회의 변화 속도가 빠를수록 재현 오류도 많아지기 쉽다.

요즘은 대학 혹은 동아리마다 약속 시간보다 늦는 경우 소속 단위를 넣어서 ㅇㅇ타임이라고 흔히들 부른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9:21:48에 나무위키 코리안 타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조선 중기 이후로는 역법 변화로 24시간제였고 갑오개혁 이후 다시 강조되었다.[2] 그 외에도 식경이나 일다경 등의 용어도 있었는데 식경(食頃)은 밥 먹는 정도의 시간으로 보통 30분이며 일다경(一茶頃)은 말 그대로 티타임 정도의 시간으로 약 10~ 15분 정도였다고 한다.[3] 한국인 관광객들의 "빨리빨리"를 요구하는 문화 때문에 동남아시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가장 잘 알아듣는 한국어가 "빨리빨리"라고 하면서 이것을 코리안 타임이 사라진 것에 대한 근거로 내세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