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나다어

덤프버전 :

인도의 주요 언어
[ 펼치기 · 접기 ]
연방급 공용어
힌디어
हिन्दी
영어
English
주급 공용어
구자라트어
ગુજરાતી
네팔어
नेपाली
마니푸르어
ꯃꯤꯇꯩ
말라얄람어
മലയാളം
벵골어
বাংলা
산스크리트어
संस्कृता
아삼어
অসমীয়া
마라티어
मराठी
오리야어
ଓଡ଼ିଆ
우르두어
اُردُو
칸나다어
ಕನ್ನಡ
타밀어
தமிழ்
텔루구어
తెలుగు
펀자브어
ਪੰਜਾਬੀ
프랑스어
Français
가로어
আ·চিক্কু
마가히어
मगही/मगधी
카시어
Khasi
미조어
Mizo
차티스가르어
छत्तिसगढ़ी
쿠루흐어
कुड़ुख़
보지푸리어
भोजपुरी
호어
Ho
문다리어
Mundari
인도 헌법에 명시된 기타 지정어
보로어
बर'
도그리어
𑠖𑠵𑠌𑠤𑠮
카슈미르어
كٲشُر
콘칸어
कोंकणी
마이틸리어
मैथिली
산탈리어
ᱥᱟᱱᱛᱟᱲᱤ
신디어
سنڌي




ಕನ್ನಡ
칸나다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인도 카르나타카
원어민
약 4,370만 명
어족
드라비다어족
남부 드라비다어파
타밀칸나다어군
칸나다바다가어군
칸나다어

문자
칸나다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kn
ISO-639-2
kan
ISO-639-3
kan
주요 사용 지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annadaspeakers.png
칸나다어
ಕನ್ನಡ
힌디어
कन्नड़
영어
Kannada

ನಮೂ ವಿಕಿ(Namū viki, ನೀವು ಪೋಷಿಸುವ ಜ್ಞಾನದ ಮರ(nīvu pōṣisuva jñānada mara.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역사 및 문학
2.1. 상고 칸나다어
2.2. 고대 칸나다어
2.3. 중기 칸나다어
2.4. 현대 칸나다어
3. 문법적 특징
4. 문자
4.1. 유니코드
5. 여담
6. 들어보기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칸나다어는 인도카르나타카 주와 그 인접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현재 약 3,800만 명의 사용인구가 있으며, 인도 정부가 헌법으로 지정한 22개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칸나다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한 언어이며, 칸나다 문자라는 고유의 문자를 이용해 표기한다. 이름과는 달리(?) 캐나다와는 상관없다.


2. 역사 및 문학[편집]


칸나다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중에서 타밀어 다음 두 번째로 문어와 문학어로서의 전통이 오래된 언어로 꼽힌다. 칸나다어를 표기하는 칸나다 문자는 중세에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었는데, 그 초기 형태인 칸나다-텔루구 문자는 약 기원 후 6세기 또는 7세기부터 성립되었다. 칸나다어는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산스크리트어프라크리트어, 타밀어에 큰 영향을 받아 차용어를 대거 도입했고, 나중에는 포르투갈어, 영어에서도 외래어를 가져와 상당수의 어휘들이 외래어로 구성돼 있다. 특히 산스크리트의 영향으로 다른 많은 드라비다어(텔루구어, 말라얄람어 등)처럼 음운 체계에서 기식성(aspiration)에 따라 무기음-유기음을 구별하게 되었다.

2.1. 상고 칸나다어[편집]


오늘날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칸나다어 문헌 기록은 주로 오늘날 카르나타카 지방과 인근에서 출토된 비문(석문과 동판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초기 비문들은 완전히 칸나다어로 기록된 것은 아니며, 산스크리트어 등 당대의 주요 문어로 쓰였지만 당시의 칸나다어가 고유명사 등 일부에 남아 있는 정도이므로 칸나다어 문헌 연구에 쓰기에는 한계가 분명하다. 기원후 5세기경부터는 칸나다어 기록이 조금 풍부해지기 시작하는데, 444년 산스크리트어 문서이지만 칸나다어가 지역의 경계를 묘사하는 데 폭넓게 쓰인 서강가 왕조의 툼불라(Tumbula) 동판이 출토되었으며, 5세기 후반에 칸나다어만으로 쓰인 최초의 석문인 할미디(Halmidi) 비문도 발굴되었다. 이러한 5세기 내지 6세기의 초기 칸나다어 자료에는 문학어로 쓰인 조금 나중 시대의 고대 칸나다어(Old Kannada) 성립 이전의 상고 칸나다어가 적혀 있다.

2.2. 고대 칸나다어[편집]


9–10세기 라슈트라쿠타 왕조 시대에 본격적인 문학어로서 고대 칸나다어가 정립되었다. 9세기 중반경에 성립된 칸나다어 문법서 《카위라자마르가》(Kavirājamārga, ಕವಿರಾಜಮಾರ್ಗ)가 오늘날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칸나다어 서적으로, 고대 칸나다어의 규범이 되었다. 《카위자라마르가》는 당대 산스크리트 언어학 및 시학에 큰 영향을 받았고, 인도 언어학 전통을 따라 고대 칸나다어의 문법 외에도 음운론, 시학, 수사학 등을 함께 다루었다. 《카위라자마르가》 이후 10세기에 저술된 《찬돔부디》(Chandōmbudhi, ಛಂದೋಂಬುಧಿ)로 칸나다 고전 운율론이 정리되었다. 라슈트라쿠타 이전 찰루키아 왕조 시대인 7–8세기에도 칸나다어로 많은 시가 쓰이고 서적이 작성되었을 것이 거의 확실하다. 그러나 당대 제지술의 미발달로 장기 보존이 어려운 패엽 등에 문서가 기록된 등의 이유로 오늘날 찰루키아 시대 칸나다어 서적은 후대 문헌에 발췌 인용된 일부 내용을 제외하면 모두 실전되었으며 찰루키아 시대나 그 이전[1]의 칸나다 문학은 추정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찰루키아와 라슈트라쿠타 시대에 칸나다 고전 문학의 기반이 형성되었으며, 뒤이은 호이살라 왕국 시대에도 고대 칸나다어 문학의 융성이 지속되었다.

라슈트라쿠타 시대 후기인 10세기에는 여러 산스크리트 고전 문학이 칸나다어로 번역·번안되며 칸나다 문학을 풍성하게 하였다. 특히 이 시대 팜파(Pampa, ಪಂಪ)가 《마하바라타》를 번안한 《위크라마르주나 위자야》(Vikramārjuna Vijaya, ವಿಕ್ರಮಾರ್ಜುನ ವಿಜಯ, '아르주나의 승리')가 칸나다 고전 서사시로 유명하며, 팜파를 비롯한 라슈트라쿠타 시대 시인들의 작품 및 문체는 이후 칸나다 문학의 모범이 되었다.

산스크리트 및 프라크리트의 영향을 문학 스타일에서 얼마나 인정할 것인가는 드라비다어권 대언어(타밀, 칸나다, 말라얄람, 텔루구) 모두에서 논쟁적인 주제인데, 대체로 타밀어가 가장 드라비다어 고유의 어휘와 스타일을 보존하는 편이고, 텔루구어와 말라얄람어는 외래 영향에 개방적인 편이며 칸나다어는 이 두 그룹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본다. 9세기 중반 라슈트라쿠타의 아모가와르샤 1세는 산스크리트 스타일(어휘, 통사 구성면에서)의 칸나다 문체를 공식적인 것으로 인정했으나, 칸나다의 고유성을 살리는 통속 문학도 여전히 존재했고 향유자가 많았으므로 이 사건은 논쟁을 끝내기보다는 오히려 촉발하게 되었다. 한편 1112년 시인 나야세나는 "칸나다어를 산스크리트와 섞는 것은 깨끗한 버터와 기름을 뒤섞는 것과 같다"는 주장을 펼치며 거의 순수한 칸나다어만 사용한 논설문을 썼다(불가피한 경우 극소수의 산스크리트 외래어를 쓰기는 했다). 1235년에는 시인 안다야가 비로소 순수 칸나다어로 장문의 문학 작품들을 써내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로써 순수 칸나다어 문학 전통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 이래로 산스크리트 스타일, 고유 칸나다 스타일, 혼합 스타일 모두 다양한 작가군을 보유하게 되었다.

2.3. 중기 칸나다어[편집]


호이살라를 계승한 비자야나가르 제국 시대에 중세 칸나다 문학은 제국 궁정의 전폭적인 후원으로 황금기를 맞았다. 비자야나가르 시대부터 약 18세기까지 문어로 쓰인 칸나다어는 중기(중세) 칸나다어(Middle Kannada)로 부른다. 비자야나가르 시대부터는 칸나다어 문헌이 매우 풍부해지는데, 이 시대의 칸나다 문학을 크게 분류하면 시바파 종교 문학, 비슈누파 종교 문학, 자이나교 종교 문학, 박티 문학(앞의 분류와 겹칠 수 있다고 보면 됨), 그리고 세속 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시바파 문학 가운데는 한정불이론 계열에 속하며 박티 운동의 영향을 받은 링가야트파(Lingayatism) 종교 문학이 크게 융성하였다. 비슈누파 문학에서는 시인 쿠마라브야사(Kumāravyāsa, ಕುಮಾರವ್ಯಾಸ)가 탁월한 작품들을 남겼으며, 또 《라마야나》의 뛰어난 칸나다어 번안도 이루어졌다.

비자야나가르 제국이 붕괴되어 가며 17세기 중반에 새로 대두한 마이소르 왕국 시대에도 군주와 귀족은 칸나다 문학을 후원하여 칸나다 문학의 융성이 지속되었다. 이 시대에는 다양한 서사시와 종교시, 종교 논문, 고전 칸나다 작품들에 대한 주석이 작성되었고, 칸나다 문화를 종합하는 백과사전적 저술들도 나왔다.

2.4. 현대 칸나다어[편집]


마이소르 왕국은 영국과 네 차례의 전쟁을 벌여 패배하였지만, 영국은 마이소르 지역을 직접 통치하지 않고 마이소르를 번왕국으로 남겼으며 이 체제는 인도 독립 시점까지 존속하였다. 영국 지배하 마이소르의 궁정에서는 여전히 칸나다 문학이 융성하였지만, 19세기부터 서서히 영국과 유럽의 문학에 영향을 받았다.

마이소르 번왕국에서 칸나다 근대 문학은 다른 주요 인도 현대어 문학보다 다소 늦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전반에 본격적으로 개화하였다. 이때 칸나다어 산문이 칸나다 문학사에서 처음으로 높은 문학적 지위를 획득하였으며, 칸나다 소설 장르가 생겨났다. 20세기 초 슈리칸타이야(B. M. Śrīkaṇṭhayya, ಬಿ.ಎಂ.ಶ್ರೀಕಂಠಯ್ಯ, 1884–1946)가 영어와 타밀어 시를 칸나다어로 번역함으로써 구태의연한 칸나다 운문 및 극문학에 일대 혁신을 불러왔다. 이후 20세기 칸나다 문학은 소설, 운문, 극문학이 종합적으로 괄목할 만큼 발달하며 근대 문학의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20세기 전기의 칸나다 문학은 나보다야(Navodaya), 다시 말해 신문학의 시대이다. 초기 현대 소설 작가로는 시바람 카란트(Kota Shivaram Karanth), 마스티 벤카테샤 이옌가르(Masti Venkatesha Iyengar) 등이 있고, 초기 현대 극작가로는 카일라삼(T. P. Kailasam) 등이 있다. 독립 직전의 둘째 사반세기에는 소설, 시 등이 다양히 발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학 비평도 상당히 발달하여 다양하고 중요한 비평, 문학사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1940년대 초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의 후기 나보다야 시대에는 프라가티실라(Pragatishila), 다시 말해 진보문예운동이 나타났다. 소설가 크리슈나 라오(A. N. Krishna Rao) 등이 주도한 진보문예운동은 초기 나보다야의 문학적 순수주의에 반대하고 사회적 주제를 조명하며 진보적, 좌파적 경향을 가졌다.

20세기 후기에는 순수문학과 참여문학 사이의 논쟁이 지속되었으며 다양한 갈래로 칸나다 문학이 발전했다. 참여문학의 한 갈래로서 불가촉천민 문학도 발전하였다.

3. 문법적 특징[편집]


칸나다어는 현대 드라비다어족의 다른 언어들처럼 문법적 성이 존재한다. 일찍이 산스크리트어팔리어 등의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고전 문법 체계가 산스크리트를 모방한 성과 격 체계를 따랐으며, 이에 따라 3개 성(남성, 여성, 중성) 및 8개 격(주격, 대격, 도구격, 여격, 탈격, 속격, 처소격, 호격; 고전 문법에서는 격의 순서도 의미가 있으므로 순서를 섞으면 안 된다)을 구별하였다[2]. 그러나 실제로는 산스크리트와 많이 다르다.

우선 타밀어와 비슷하게 성의 구별은 형식적인 것보다는 의미에 따른 것이다. 사람은 의미상 성에 따라 성을 취하고(어머니-여성, 아버지-남성, 왕-남성 등), 자연물 중 성별이 있는 것은 대개 해당하는 신의 성별에 따라 명사의 성을 배정 받는다. 가령 '바람("바유")'은 남성인데 이는 바람의 신 바유가 남성이기 때문이다. 추상명사(사랑, 세계)는 대개 중성이고, 많은 자연물 명사(나무, 강)도 중성이다. 또한 격과 수의 변화는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어미에 의한 것으로 교착적 특성을 보이며, 격 중 도구격과 탈격은 같은 접사를 사용하여 도구격-탈격이라는 하나의 형태를 가진다. 형용사와 동사 변화 역시 규칙적이므로 굴절어가 아닌 교착어로 분류된다.

구어체문어체가 크게 다르다. 구어체는 지역마다 다른데, 약 20개 정도의 변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4. 문자[편집]




  • 칸나다 문자의 모음
파일:external/www.omniglot.com/kannada_vwl.gif

  • 칸나다 문자의 자음
파일:kannada_cons.gif

칸나다어는 칸나다 문자라는 고유의 문자를 이용해 표기를 한다. 이 문자는 텔루구 문자와 상당히 흡사해 보이며 실제로도 텔루구 문자와 기원을 같이한다.

텔루구 문자와는 모양이 비슷하게 생긴 걸 넘어서 아예 자형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텔루구 문자와 칸나다 문자의 차이가 뚜렷해진 시기가 16세기 일로 비교적 최근 일이기 때문이다.

인도에서 사용되는 문자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이 문자도 아부기다에 속한다. 이 문자가 어떻게 읽히는지 알고싶다면 아부기다 항목 참조.

4.1. 유니코드[편집]


칸나다 문자는 유니코드 U+0C82~U+0CF2 영역에 할당되어 있다.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0C80
















0C90
















0CA0
















0CB0















ಿ
0CC0
















0CD0
















0CE0
















0CF0

















5. 여담[편집]


  • 한 때 iOS 단말에서 이 언어의 일부를 메시지로 받으면 메시지 앱이 멈춰버리는 일이 있었다.
  • v(ಥ o ಥ)v 아헤가오 이모티콘에 쓰인 문자가 바로 칸나다 문자다.

6. 들어보기[편집]



칸나다어 팝 'Male'(비).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3:50:20에 나무위키 칸나다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위라자마르가》에 따르면, 6세기 중반 서강가 왕조의 국왕 두르위니타(Durvinita)가 칸나다어 산문을 썼다고 하지만 이는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2] 수의 경우 산스크리트에서 쌍수가 빠진 2개(단수, 복수)이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