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노래)

덤프버전 : r20210301


파일:Norazo Logo.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color: #a9a9a9; min-width: 100%"
[ 전 멤버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000000; word-break: keep-all;"
[ 정규 앨범 ]

파일:attachment/노라조/norazo1.jpg


파일:미성년자 불가마 노라조.jpg


파일:노라조Threego.jpg


파일:노라조환골탈태.jpg


정규 1집 2005/08/02

정규 2집 2007/03/20

정규 3집 2008/11/20

정규 4집 2010/04/20
파일:노라조전국제패.jp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9700; font-size: 0.865em"
전국제패
정규 5집 2011/11/04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007c36; word-break: keep-all"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inline-block; color: #007c36; word-break: keep-all">
[ 개별 문서가 있는 노라조의 노래 ]


1. 개요
2. 가사
3. 기타
3.1. 인도사이다?
3.2. 해외에서



1. 개요[편집]


2010년, 노라조가 4집 '환골탈태'의 수록곡으로 내놓은 본격 카레 찬양 노래. 인도 분위기를 풍기는 듯 하나 정작 인도 분위기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는 점이 웃음 포인트.

참고로 타이틀 곡은 '구해줘'라는 곡이지만, 이 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묻혔다.

이국적인 분위기를 내는 더블 하모닉 스케일[1]을 전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소고기는 넣지 않아 나마스테'가 대표적으로 더블 하모닉을 사용한 부분. 실제로 일반적인 장조나 단조 스케일이 아니기 때문에 노래방에서 불러보면 음을 제대로 내기가 무척 어렵다. 이 음정을 이상한 춤을 추면서 정확히 찍어서 내는 두 사람의 보컬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


뮤직비디오도 참 압권. 처음 약 2분간은 단편영화처럼 법정에서 피고인[2]에게 불리한 증언을 했다가 에 찔려 죽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경호를 맡았던 요원이 여자의 시체를 안고 "총도 아니고 칼에 죽다니.... 칼에... 카레!!!!"하고 울부짖더니 갑자기 뮤직비디오가 시작된다. 참고로 4분 46초짜리 뮤직비디오에서 이 카레복선이 차지하는 부분은 1분 51초, 38.8%를 차지한다... 그 전에 1theK 계정답지 않게 제목에 '카레'만 적어놓은 것도...

그리고 칼에 찔리는 장면에서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깔리는 BGM이 바로 노라조의 변비 인스트루멘털 버전.


쇼! 음악중심 버전 영상

발리우드 영화의 춤 동작을 기억한다면 낯익은 춤 동작도 많이 보일 것이다. 대표적인 게 3분~3분 6초경에 나오는 춤. 가사에 "레알 좋아"가 있어서 인터넷 속어 레알을 지상파에 보급시킨 노래이기도 하다. 몬더그린 현상으로 "바쁘다면 즉석카레"가 "나쁘다는 즉석카레"로 들리기도

2. 가사[편집]


노랗고 매콤하고 향기롭지는 않지만 타지마할
양파넣고 감자넣고 소고기넣지않아[3] 나마스테
[4]아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르는 이 맛은
왼손으로 비비지말고 오른손으로 돌려먹어라 롸잇 나우
바삭바삭 치킨 카레도 바쁘다면 즉석 카레도 오 땡큐 땡큐
샨티[5] 샨티 카레 카레야[6] 완전 좋아 아 레알 좋아
샨티 샨티 요가 화이야 핫 뜨거운 카레가 좋아
인도 인도 인도 사이다
(간주)
순한 맛 매콤한 맛 인도에도 없는 이 맛 타지마할
찍어먹고 비벼먹고 그릇까지 핥아먹자 나마스테
아아 남녀노소 개나소나 반해버린 이 맛은
뜨거워진 후라이팬에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거라 예 쉐프
바삭바삭 치킨 카레도 바쁘다면 즉석 카레도 오 땡큐 땡큐
샨티 샨티 카레 카레야 완전 좋아 아 레알 좋아
샨티 샨티 요가 화이야 핫 뜨거운 카레가 좋아
(간주)
짭쪼름한 단무지에도 3년묵은 묵은지에도 오 쌩유 쌩유
샨티 샨티 카레 카레야 완전 좋아 아 레알 좋아
샨티 샨티 요가 화이야 핫 뜨거운 카레가 좋아
샨티 샨티 카레 카레야 완전 좋아 아 레알 좋아
샨티 샨티 요가 화이야 핫 뜨거운 카레가 좋아
인도 인도 인도 사이다


3. 기타[편집]


코갤에서는 3대 코국가에 등극했다.

노래는 당시에 반응이 너무나도 좋았다. 대부분 이상한 컨셉을 타는 곡은 잠깐 뜨고 마는데, 이 노래는 그야말로 노라조의 아이덴티티를 사람들의 뇌리에 강력하게 박았을 정도로 그 이미지와 코드가 매우 잘 먹혀 들어갔다. 시대를 묘하게 잘탔다고 해야 될 정도. 덕분에 우리나라에서는 엽기 가수(?) 라는 이미지와 함께 인터뷰도 꽤 많이 실렸지만, 정작 노라조는 일본과 태국 쪽에서 상당한 인기를 구가할 정도로 스타로 대접받고 있다.

알고 작곡했는지는 몰라도 후렴 부분이 반짝반짝 작은 별 변주곡단조로 이조한 것과 거의 똑같다. 그도 그럴 것이 작은 별 변주곡의 키는 C, 카레의 키는 C#m이기 때문. 반짝반짝 카레카레야 반짝반짝 작은 별 단조 버전

부산예고 합창단도 불렀다! 왠지 모르게 조회수가 원곡보다 높으며 노라조 관련 영상 중 유일하게 이 영상을 이기지 못했다. 그 영상은 이거.

이 노래를 크리스마스 시즌에 맞춰 인도 산타로 자체 개사했다. 뮤직뱅크 공연 영상[7]

2016년 5월 26일 발매된 걸그룹 오마이걸의 미니 3집 리패키지 앨범 타이틀곡 WINDY DAY의 이국적인 인도풍 리듬 때문에 노라조의 카레가 재조명 됐었다. WINDY DAY와 카레의 뮤비를 합성한 동영상도 존재한다. CURRY DAY 동년 7월 2일에 열린 팬미팅에선 아예 본인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죠죠 버전도 있다.

음악 교과서4부 합창곡으로 실리게 되었다. 다만 그 교과서에 수록된 합창곡은 작곡자인 dk의 손을 타지 않은 것으로, 아마도 부산예술고등학교에서 합창곡으로 편곡한 이 버전인 듯 하다.

발리우드의 영향을 받은 점에서 착안했는지 한 유투버가 인도 영화인 바지라오 마스타니에 이 노래를 입힌 MAD 영상을 만들기도 했다.

사랑은 혼돈의 노예일지니와 코드와 진행이 매우 비슷해서 이러한 영상이 나오기도 했다. 일해라 위화감. 뮤비 버전도 등장.

뮤직비디오 끝을 보면 칠성사이다가 등장한다. 그리고 8년 뒤 사이다라는 노래가 나오면서 카레의 후속작이 아니냐는 반응이 많다. 뮤직비디오 끝에 칠성 사이다 출연과 2018년 8월 21일에 낸 사이다 노래를 냈지만 롯데칠성에서 반응이 없었으나 카레라는 노래가 나온지 9년 만에 사이다 광고를 찍게 된다.

2019년 2월 19일, 외국인들에게 카레 뮤직비디오 반응 영상이 나왔다.

2019년 10월 16일 자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진짜로 카레를 먹어보러 노라조가 나타났다.

진뽕명뽕 합작 단품으로 선택되었다. 보러가기.

Flow Music에서 오케스트라 버전으로 편곡했다.

후속곡(?)으로 2020년에 나온 "카레라면"이 있다. 작곡가도 동일.


3.1. 인도사이다?[편집]


가사 중간에 "인도 인도 인도 사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사실 그 부분의 가사는 도대체 그 의미를 아무도 모르는 걸로 악명 높은 고무줄 놀이 노래 중 하나인 마요네즈 송에서 따온 것이다. 노래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이 노래를 알 리 없는 10대의 사람들에게는[8] 카레를 먹고 나면 후식으로 사이다를 마셔야 한다는 암묵의 룰을 만들었다.

복면가왕 76차 경연에서 이 가사를 딴 가명을 만들었다.


3.2. 해외에서[편집]



태국에서 진행된 '코리안 뮤직 웨이브 in 방콕' 콘서트에서 노라조가 이 노래를 공연하며 태국인들에게 문화충격을 선사하기도 했다.

'인도 사람도 아니고 태국 사람인데 뭔 상관이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아시아 대부분 국가와 멀리 떨어져 있는 극동아시아 한국이나 일본이 특별해서 그렇지, 아시아에서 한국처럼 인도와 역사적 교류가 적은 나라는 거의 없다. 중국과 인도 중 중국에만 압도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은 특별한 아시아 국가가 한국과 일본.[9] 게다가 동남아 국가들은 대부분 현재도 인도와 직접적 교류가 많고, 인도계 동남아인들 수도 상당하며, 역사적으로 동남아에서 잘 나갔기에 외부 교류가 더 활발했던 태국은 더 할 수밖에 없다. 괜히 거기를 인도차이나 반도라고 부르는 게 아니다 인도랑 차이나 둘다 영향 받기 좋게 가까우니까 힌두교 국가가 아닌 태국임에도 인도계 태국인(혼혈 포함)이나 힌두교 사원도 어느 정도 있다. 다시 말해 태국인들은 인도쪽 민족이 아님에도, 인도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있다. 그렇기에 이 공연을 본 태국인들도 최소한 인도인이 받을 충격의 절반 이상은 받을 수밖에.[10]

노라조가 인기가 많은 일본에서 공연할 때 꼭 나오는 노래다. 가사가 한국어지만 카레라는 말은 한일공통이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처음에는 '뭥미?'하면서 듣다가 노래 중반부부터 같이 '카레! 카레!'라고 후렴구를 외친다고.

하지만 인도 현지인들에겐 반응이 아주 안 좋다. 특히 뮤직코어에서 공연한 라이브 버전에선 유튜브 댓글에 영어로 "인도 문화를 모욕했다," "인종차별 (Racist) 이다," "동영상 지워라"라는 반응이 심심찮게 보인다. 배경에 타즈마할이나 가네슈 신 같은, 인도의 종교적인 요소를 희화화했기 때문에 이런 반응이 나온 듯. 때문에 인도인 친구가 있다면 이 곡을 섣불리 소개하는 건 삼가자.

유튜브 채널인 코리안브로스에서 이 뮤직비디오를 외국인들에게 소개하고 반응을 살펴봤는데, 결과는 당연히 혼돈의 도가니. 그리고 한국인들이 남긴 댓글들은 '한국인인 우리도 이해를 못하는데 저 분들은 오죽하겠냐'...

2020년 7월 13일 세븐틴V LIVE에서 이 노래를 불렀는데, 이를 본 해외 시청자들로부터 가사와 뮤직비디오가 인종차별적 요소를 담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조빈인스타그램을 통해 "인종차별이나 종교를 모욕하려는 의도는 없었으며, 몇몇 단어의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건 분명한 저희의 실수"라며 사과했다. 관련기사

기원을 알 수 없는 아무말 대잔치 가사를 가진 마요네즈 송에서 어느 정도 부분을 가져왔는데, 그 부분에서 인도인 입장에서 민감한 단어를 가져왔기에 인도인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희화화한 것으로도 느낄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한다. 다만 사이다(...)같은 가사를 보면 아무말 대잔치의 일종이라 인종차별을 노리고 만든 게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우리로 치면 '불국사 한라봉 이순신 장군 모짜렐라치즈'급의 아무말 대잔치라서 그저 혼란스러워 하는 외국인들도 많으나, 오히려 그렇기에 인도 문화를 외국인들이 장난스럽게 다룬다며 분노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이다.

허나 10년 전 즈음에 나온 노래이고 오마이걸이 커버한 적도 있어 왜 이제서야 이 노래를 지적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는 시각이 있으며 이들을 PC충으로 까는 사람이 대다수. 퓨디파이가 인도를 까는 것에 대해서는 가만히 있으며 기괴하지만 인도의 음식인 카레를 찬양하는 노래에 대해 까는 것을 보아 선택적 분노라 생각하고 한국이 만만하냐며 분노하는 사람이 많으며 노라조를 오히려 응원하는 사람이 많다. 억울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처세를 보인 조빈 덕에 사태는 다행히 심각해지지 않았다.


[1] '아라빅 스케일'이라고도 하며 C-D♭-E-F-G-A♭-B로 구성된다.[2] 다만 뮤직비디오에서는 피의자라고 말한다. 일부러 한 것인지는 불명이나 기소가 되어 재판에 가게 된 이상 일단은 옥의 티.[3] 무슬림권의 사람들은 소고기를 먹지만, 인도는 과할 만큼 채식주의자가 많아서 종교적인 이유와 무방하게 고기를 안 넣는 경우가 태반이다. 하지만 비프커리가 아예 없는 메뉴는 아니다. 비프커리는 대체로 일본 쪽에서 많이 보이는 듯 하다.[4] 1옥타브 도(C3)[5] 힌디어로 '평화'라는 뜻이다.[6] '샨티 샨티 레 카 야' 부분의 최고음은 2옥타브라(A4)이다.[7] 중간에 조빈이 원곡의 가사를 부르려다 빠르게 바꾸는 모습을 보여주며 라이브 인증을 제대로 보여준다.[8] 다만 요즘엔 알고 있는 10대들도 꽤 있다[9] 이는 당시 동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인도조차도 덮어버릴 정도로 압도적인데다가, 이미 중국을 통해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있던 터라 제3의 국가와의 문화 교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인도와 한국은 중국을 거치지 않고서는 육로로 직접 닿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즉, 이미 중국을 통해서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있었던데다 중화식 세계관의 영향으로 중국이 최고의 나라라고 생각하고 있던 만큼 인도와의 교류를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았다. 당장 인도에서 탄생한 종교인 불교가 한국과 일본에서 영향력이 엄청나지만 이를 받아들인 것은 중국을 통해서였다.[10] 아니나 다를까, 결국 이 노래는 10년 후, 인도 네티즌들의 화를 불러일으키게 되었는데 자세한 것은 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