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하이성

덤프버전 :


파일:중국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2 {{{#ffff00

한자
: 행정 약칭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의 성
칭하이성
青海(Qīnghǎi(Shěng | མཚོ་སྔོན་ཞིང་ཆེན་
Qinghai Provinc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0px-China_Qinghai.svg.png





성정부 소재지
칭하이성 시닝시 청중구 시다제12호
青海省西宁市城中区西大街12号
지역
시베이
면적
721,800km²
하위 행정구역
2지급시 6자치주 3현급시 28현 7자치현
시간대
UTC+8[1]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588만 7,000명
인구밀도
7.8명/km²
민족 구성
한족 54.03% | 티베트족 22.53%
후이족 15.62% | 토족 3.89%
HDI
0.680 (2017)
서기
천강(陈刚)
성장
우샤오쥔(吴晓军)
GRDP
전체
$526억 (2021)
1인당
$8,882 (2021)[1]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
810000
지역전화번호
0971
우편번호
810000 ~ 817200
ISO 3166-2
CN-QH

홈페이지

1. 개요
2. 인문
3. 역사
4. 지리
5. 민족 갈등
6. 행정 구역
7. 역대 영도인
8. 출신인물



1. 개요[편집]


칭하이성은 중국 서중부에 위치한 성급 행정구역이다. 성 이름은 칭하이성에 위치한 중국 최대 호수인 칭하이 호에서 유래했다.


2. 인문[편집]


성도는 란저우와 가까운 동북방의 시닝이다.[2]

간쑤성(북동쪽), 신장 위구르 자치구(북서쪽), 티베트 자치구(남서쪽), 쓰촨성(남동쪽)과 접해 있다.

칭하이는 중국어 명칭이며 원래 이 지방은 티베트의 일부로 티베트어로는 암도 지역이고 암도 및 현 쓰촨성 서부인 캄, 그리고 현 티베트 자치구와 함께 티베트를 구성한다.

중국에서 강 길이 순위 1, 2위인 장강, 황하의 발원지가 모두 칭하이성에 있다. 이 점에 있어서는 대한민국의 태백시와 비슷하다.

중국에서 가장 넓은 성으로, 면적이 남한 면적의 7배가 넘는 721,000km2에 달한다.

반면 인구는 562만 명에 불과해 중국의 모든 성을 통틀어 가장 적다.[3]

인구의 54.5%가 한족이나, 티베트족(20.7%)과 후이족(16%), 몽골계인 투족(4%) 등 소수민족 인구 비중이 거의 한족과 비슷한 수준이다. 실제 행정구역도 2개 시와 6개 소수민족 자치주로 이루어져 있다. 6개 소수민족 자치주들은 성 면적의 97%를 차지하나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5.9%로 한족들이 많이 거주하는 2개 시보다 적다. 반대로 성 면적의 3퍼센트 정도인 지급시 시닝시하이둥시의 인구구성은 한족이 우세하고 칭하이성 전체 한족의 80% 가까이가 두 지역에 거주 중이다.

칭하이 호를 기준으로 남쪽은 대체로 티베트인이 많고 북쪽은 한족이 많이 산다.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와 궈러 티베트족 자치주,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는 티베트족이 각각 97%92%, 66%, 63%로 티베트인이 많이 산다.

특산물로 야생 상태의 동충하초가 유명하다.

3. 역사[편집]




[ 펼치기 · 접기 ]

라다크
아리
암도

위짱
시킴
부탄
고대
다르드인
샹슝 왕국
테유랑 문화
레프차 부족
유목
쿠샨 제국
코코노르 왕국
강족 / 갈족
유목
얄룽 왕국
샹슝 왕국
저족
샹슝 왕국
토욕혼
얄룽 왕국
몬율 왕국
토번
토번
송찬간포

토번
티쏭데짼 - 푸곌 왕조

9~13세기
라다크 왕국
구게-푸랑

탕구트
서하
티베트 분열기
종파 형성기
몽골 침입
라다크 왕국
구게 왕국
푸랑 왕국
원 제국
선정원

원나라 치하 티베트
사캬왕조
토착왕조
팍모드루파 왕조
린풍파 왕조
짱파 왕조
겔룩파
달라이라마
코슈트 칸국
달라이 라마 3세 / [[알탄 칸|

알탄 칸
]]
남걀 왕조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5세
두룩 데시 정권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7세
시킴 왕국
준가르 칸국
청간섭기 - 암반
준가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칼룬 통치기
분열기
시크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구르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암반 통치기
구르카 왕조
동인도회사령
인도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시킴 왕국
1904~1948년
[[영국의 티베트 침공|

영국의 침입
]] ·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의 암도, 캄 일부 편입
]]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 대봉기
인도 제국
시킴 번왕국

부탄 번왕국
티베트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1949년~
인도 자치령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망명정부
]]
인도 자치령
시킴 왕국
부탄 왕국
인도 공화국
잠무 카슈미르 주
라다크 연방 직할지
인도 공화국
시킴 주



고대 한나라 때 정복을 통하여 한족이 들어왔다가, 강족, 토욕혼 등과 섞이게 되어 오히려 한족들이 강족과 동화되는 상황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고대 한나라 때는 아직 따로 성리학이나 중국 불교 등으로 구분되는 한족 정체성이 발전하기 이전이라서, 변방의 한족들이 비한족들과 동화되는 경우가 흔하기는 했다. 5세기에는 토욕혼이 이 곳에 나라를 운영했다.

7세기에는 토번이 토욕혼을 점령한 이후부터 토번의 영토가 되었고 중세부터 근세까지는 티베트의 암도 지방이었다. 당군이 토번군에게 우세를 보였을 때는 하황 지대가 당에 넘어갔고, 안사의 난으로 당의 정예군이 반란 진압에 투입된 틈을 타, 토번이 다시 빼앗았다. 이후 선종 시기 장의조가 하서 일대를 비롯하여 하황 일대를 당에 바쳤으나, 장의조 사후 하서 일대가 회흘인들에게 넘어가고 하황 일대는 토번에 다시 빼앗겼다. 그 뒤 왕안석의 신법 하에 재정이 풍족해지자, 북송 시기 송군이 이 곳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하였다.[4][5] 그러나 정강의 변 이후 송나라가 남쪽으로 내려가자 서하와 금나라가 하황 일대를 동시 관할하였고, 몽골 제국이 세계를 제패하던 시기 몽골군에 점령당한 이래 원의 땅이었으며, 원이 망한 뒤에는 오이라트의 일파 호쇼트 칸국이 장악하였다. 호쇼트 칸국이 준가르 칸국에 공격으로 예속되자 청나라 강희제 연간에 외몽골과 함께 준가르로부터 빼앗았다. 그땐 몽골어로 쾨케누르라고 불렸다.[6]

근세까지는 티베트인이 대부분이었으나, 근세 청나라가 준가르 칸국을 견제하는 과정에서 팔기군들을 주둔시키고, 팔기군 기지에서 둔전을 경작할 농민들과 군수품을 납품하는 상인들이 중국 본토에서 대거 이주하면서 인구 구성이 바뀌었다. 특히 간쑤성에서 후이족들이 많이 이주해왔다. 달라이 라마가 직접 관할하던 티베트 지방과는 달리 청나라 시기 칭하이로 분할되었으며, 별개의 이번원이 설치되었다. 이번원이 폐지된 이후에는 중화민국 시대에 칭하이성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의 통치하에 남아 성으로 강등되었다.

1929년 1월, 군벌 펑위샹의 주도로 간쑤성에서 떨어져나와 성립되었다. 군벌 쑨롄중이 초대 성정부 주석을 맡았으며 1차 장풍전쟁 중 마씨군벌 마치(1869)가 정부주서에 임명되어 칭하이성의 지배자가 되었다. 이를 기점으로 오늘날의 간쑤성 일대의 후이족 상당수가 이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칭하이성은 1931년 마치가 사망할 때까지 마치의 지배 하에 놓여 있었으며 마치가 사망한 후 마씨 군벌들이 돌아가면서 지배했다.

티베트는 티베트인들이 많이 사는 이 지역을 자신들의 고유 영토로 생각하여 침공하였으나 마부팡이 지휘하는 후이족 군대에게 패전하고 이 지역은 마씨 군벌의 영지(?)화 되었다.

1938년, 마치의 아들 마부팡장제스로부터 성정부 주석에 임명되면서 칭하이성의 지배자가 되었다. 1949년, 국공내전에서 중화민국이 무너질 때까지 마부팡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소수민족지역이기는 하지만 주변의 티베트나 위구르와는 달리 독립운동은 거의 없다.


4. 지리[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inghai_lake.jpg
칭하이 호의 위성사진

티베트 고원의 동북쪽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매우 높은 산들이 존재한다. 가장 높은 산은 부카다반봉(布喀达坂峰)으로 해발 6,860m에 달하며, 그 외에 아니마칭 산도 여기 위치하고 있다. 성도 시닝만 해도 해발고도 2,275m의 고지대이며, 칭하이 호는 해발 3,205m에 위치해 있다. 고지대다 보니 기후가 춥고 건조한 편으로, 일부 고원 지역에서는 한대기후도 나타난다.[7]

이곳은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 위치한 곳으로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편이며. 2016년 10월 17일에 이곳에서 규모 6.4의 지진이 일어났고, 2021년 5월 22일에는 이곳에서 규모 7.3의 대지진이 일어났다.


5. 민족 갈등[편집]


티베트 불교를 믿는 티베트족과 이슬람교를 믿는 후이족이 같이 사는데 이 둘 사이의 갈등이 제법 심하다.

후이족과 티베트족 간 갈등은 매우 역사가 긴데, 중앙아시아와 인도 불교가 이슬람의 공세로 쇠퇴하던 시기 이후에도 티베트 불교는 직접 이슬람과 대치하던 상황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8세기 당시 신장 지역 서부 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에 해당하는 지역은 무슬림들이 정복하여 급속한 이슬람화가 진행되었으나, 신장 지역의 경우 토번 제국이 무슬림들의 진공을 저지했고 이로 인해 위구르인들이 완전히 이슬람화하는 시점은 14~15세기로 늦춰졌다. 또한 명나라에서는 무슬림 살라르족을 이 지역 동부에 주둔시켜 티베트계 부족들을 견제했던 바 있다.[8] 20세기 들어 마씨 군벌 통치기에는 티베트가 이 지역에 쳐들어왔다. 마씨 후이족 군대에게 격퇴당하기도 했다. 이른바 장회충돌(藏回冲突) 혹은 회장충돌이라 불린다.

후이족티베트인은 사이가 매우 좋지 않지만 칭하이성에서 상호 교류는 활발한 편이다. 티베트 요리도 후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는 티베트 불교에서는 도축을 권하지 않기 때문에 티베트인들이 도축과 육류 가공을 후이족에게 맡기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만 후이족은 똑같은 티베트 불교를 숭상하던 만주족에게 탄압[9]당했던 역사 때문에 반불교 감정이 심하고, 상대적으로 약자인 티베트인에게 화풀이하는 성향이 있다.

티베트인들도 후이족이 배타적이라고 거부감을 느끼는 편으로 티베트인이 봉기하는 경우 한족뿐 아니라 후이족들도 표적이 되는 경우도 있다.

티베트계 무슬림들의 경우 일반 티베트인과 후이족 양쪽에게 모두 배척당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양쪽의 중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칭하이성의 티베트계 무슬림들은 라싸 일대의 까체족[10]과 다르며 칭하이성과 간쑤성 경계 지대의 무슬림 소수민족 살라르족의 영향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한 경우이다.


6. 행정 구역[편집]


파일:중국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2, 자치주 6
현급행정구
시할구 7, 현급시 5, 25, 자치현 7, 지방설립위원회 1
시닝시

성도
西宁市
청중구
城中区
城东区
城西区
城北区
湟中区
湟源县
大通回族土族自治县

하이둥시
海东市
러두구
乐都区
平安区
民和回族土族自治县
互助土族自治县
化隆回族自治县
循化撒拉族自治县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海北藏族自治州
하이옌현
海晏县
祁连县
刚察县
门源回族自治县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黄南藏族自治州
퉁런시
同仁市
尖扎县
泽库县
河南蒙古族自治县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海南藏族自治州
궁허현
共和县
同德县
贵德县
兴海县
贵南县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果洛藏族自治州
마친현
玛沁县
班玛县
甘德县
达日县
久治县
玛多县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玉树藏族自治州
위수시
玉树市
杂多县
称多县
治多县
囊谦县
曲麻莱县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海西蒙古族藏族自治州
더링하시
德令哈市
格尔木市
茫崖市
乌兰县
都兰县
天峻县
大柴旦行政委员会

|
칭하이성 지방정부 자체 설립 행정관리구
(중국 민정부 편제 외 행정구)
색인:
{{{-2
둥베이
화중
화난
기타




칭하이성
青海省
파일:500px-Qinghai-map1.png
행정 구역
(중국어)
(티베트어)
면적(km²)
인구(`10)
민족 구성(`10)
시닝시
西宁
Xīníng
ཟི་ལིང
Siling
7,607
2,208,708
한족 74.0%
후이족 16.3%
하이둥시
海东
Hǎidōng
ཧའེ་ཏུང་
Haidung
12,982
1,396,846
한족 55.7%
후이족 19.6%
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
海北
Hǎiběi
མཚོ་བྱང་
Cojang
34,390
273,304
한족 35.9%
후이족 31.5%
티베트족 24.4%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黄南
Huángnán
རྨ་ལྷོ་
Malho
18,226
256,716
티베트족 68.5%
몽골족 14.0%
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
海南
Hǎinán
མཚོ་ལྷོ་
Colho
43,453
441,689
티베트족 66.3%
한족 24.8%
골록 티베트족 자치주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
果洛
Guǒluò
མགོ་ལོག་
Golog
74,246
181,682
티베트족 91.9%
위쉬 티베트족 자치주
(위수 티베트족 차지주)
玉树
Yùshù
ཡུལ་ཤུལ་
Yüxü
204,887
378,439
티베트족 96.5%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海西
Hǎixī
མཚོ་ནུབ་
Conub
300,854
489,338
한족 66.0%
후이족 13.5%
티베트족 10.9%

행정구역은 2개 지급시와 6개 자치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6개 자치주는 전통적으로 티베트의 암도 지방과 캄 지방의 일부(위쉬)이기도 하다.

7. 역대 영도인[편집]


파일:중국 국장.svg
칭하이성 영도인

[ 성장 ]
#FFF
||<-3><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칭하이성 인민정부 주석}}}'''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자오서우산]] || [[장중량]] || [[쑨쭤빈]] ||
||<-3> '''{{{#ffff00 칭하이성 인민위원회 성장}}}'''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쑨쭤빈]] || [[위안런위안]] || [[왕자오]] ||
||<-3> '''{{{#ffff00 칭하이성 혁명위원회 주임}}}'''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 ||
||<rowbgcolor=#fff,#191919> [[류셴취안]] || [[탄치룽]] || ||
||<-3> '''{{{#ffff00 칭하이성 인민정부 성장}}}''' ||
||<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장궈성]] || [[황징보]] || [[쑹루이샹]]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진지펑]] || [[톈청핑]] || [[바이언페이]] ||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2 {{{#ffff00 제9대}}}}}} ||
||<rowbgcolor=#fff,#191919> [[자오러지]] || [[양촨탕]] || [[쑹슈옌]] ||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2 {{{#ffff00 제12대}}}}}} ||
||<rowbgcolor=#fff,#191919> [[뤄후이닝]] || [[하오펑]] || [[왕젠쥔(정치인)|왕젠쥔]] ||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2 {{{#ffff00 제15대}}}}}} ||
||<rowbgcolor=#fff,#191919> [[류닝]] || [[신창싱]] || [[우샤오쥔]] ||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FFF
||<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장중량]] || [[가오펑]] || [[왕자오]]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양즈린]] || [[류셴취안]] || [[탄치룽]] ||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2 {{{#ffff00 제9대}}}}}} ||
||<rowbgcolor=#fff,#191919> [[량부팅]] || [[자오하이펑]] || [[인커성]] ||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2 {{{#ffff00 제12대}}}}}} ||
||<rowbgcolor=#fff,#191919> [[톈청핑]] || [[바이언페이]] || [[쑤룽]] ||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2 {{{#ffff00 제15대}}}}}} ||
||<rowbgcolor=#fff,#191919> [[자오러지]] || [[창웨이]] || [[뤄후이닝]] ||
|| {{{-2 {{{#ffff00 제16대}}}}}} || {{{-2 {{{#ffff00 제17대}}}}}} || {{{-2 {{{#ffff00 제18대}}}}}} ||
||<rowbgcolor=#fff,#191919> [[왕궈성]] || [[왕젠쥔(정치인)|왕젠쥔]] || [[신창싱]] ||




8. 출신인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1:54:48에 나무위키 칭하이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은 전 지역(홍콩, 마카오, 대만 포함)이 중국 표준시를 사용한다.[2] 시닝은 본디 간쑤성에 속하였으나 중화민국이 칭하이성으로 편입시킨다.[3] 성급 행정구역을 모두 치자면 마카오가 가장 적다.[4] 왕안석의 희하개변 당시에는 하황지구(오늘날 칭하이 호 일대)를 점령하였으나, 12세기 초반 서쪽으로 더 확장해 나갔다.[5] 1108년 북송군이 하황 일대를 회복하고 청당 지대로 영토를 개척하였을 때, 청당은 서녕주로 바뀐다. 오늘날의 시닝 시.[6] 본래 시닝시는 긴쑤성 소속이었으나 1912년부로 티베트 통치를 위해 칭하이 성으로 편입된다.[7] 중심 도시인 시닝도 위도는 충청북도 청주와 정확히 똑같은데(북위 36도 38분) 해발고도는 넘사벽으로 높아서 여름이 매우 시원하다. 청주가 38℃에 습도 60~90%로 가마솥더위를 보일 때 시닝은 아무리 기온이 높아도 27℃가 못 되며 밤에는 매우 쌀쌀해진다.[8] 여담으로 18세기 말까지 현재의 신장 위구르 지역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티베트 불교를 믿던 준가르부는 이슬람교를 탄압했고, 이슬람교를 믿던 위구르족은 이 때문에 서쪽에서 준가르부를 정벌하러 온 청나라군을 도왔다.[9] 후이족에게도 변발을 강요한 건 물론 모스크 정문에 “황제만세 만만세”라는 현판을 붙일 것을 강요했다.[10] 티베트인과 카슈미르인, 위구르인, 라다크의 무슬림 등등의 혼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