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학

덤프버전 :

분류

과학의 범위

[ 펼치기 · 접기 ]
좁은 의미
[[자연과학|

자연과학
]] 물리학 · 화학 · 생물학 · 지구과학 · 천문학
넓은 의미
[[형식과학|

형식과학
]] 논리학 · 수학 · 통계학 · 시스템 과학 · 전산학
[[응용과학|

응용과학
]] 거대과학 · 공학 · 건축학 · 의학 · 치의학 · 한의학 · 간호학 · 약학 · 수의학 · 농학 · 임학 · 수산학
[[사회과학|

사회과학
]] 법학 · 행정학 · 정책학 · 정치학 · 경제학 · 경영학 · 사회학 · 인류학 · 심리학 · 지리학 · 사회복지학 · 미디어학 · 교육학 · 종교학
[[인문학|

인문과학
]] 언어: 언어학 / 예술: 문학 · 미술사학 · 음악사학 / 역사: 사학 · 과학사학 · 고고학 / 사상: 철학
비과학
신학 · 변경지대의 과학
비학문
병적 과학 · 쓰레기 과학 · 유사과학 · 반과학




1. 개요
2. 역사
2.1. 왜 의학과 분리됐는가?
3. 기초치의학
3.1. 구강해부학
3.2. 구강조직학 및 구강발생학
3.3. 구강생리학
3.4. 구강생화학
3.5. 치과약리학
3.6. 구강미생물학
3.7. 치과재료학
3.8. 구강악안면병리학
4. 임상치의학


1. 개요[편집]


/ Dentistry, Dental Medicine, Oral Surgery & Medicine

치의학(치과)은 인간의 건강 유지와 증진을 목적으로 치아, 치주조직, 구강구조물, 턱뼈, 턱관절, 얼굴 및 이와 연결된 머리와 목 등 주변 구조물에 대하여 의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며 치과의사가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료분야이다. 의학의 한 분야로의 치의학이라는 학문과 국내 치과대학에서 교육중인 치의학에 대한 문서이다. 의료기관으로의 치과에 대해 알고 싶다면 치과 항목을 참고. 치의학은 (齒)와 잇몸(齗 ; 齒根), 치주(齒周)조직 그리고 턱과 얼굴(顎顔面)의 병변을 진단, 치료,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단순히 치의학에서는 치아에 대한 것만 다룬다고 오해할 수도 있는데 치아뿐만 아니라 구강내 그리고 악안면의 질병과 관련된 진단, 예방, 치료와 관련해 폭넓게 연구되는 학문이다. 즉 치의학은 악안면 및 구강의 조직과 장기의 질병을 진단, 치료, 예방하는 원리와 방법을 익히고 연구하는 동시에 결손 또는 상실된 구강 및 인접 조직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국민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연구함은 물론이고 치과의사의 진료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는 학문이다. 치의학에서는 특히 예방이 중요한데 치아가 재활 또는 재생성되지 않는 장기이기 때문이다. 또 치아의 결손은 음식물의 섭취, 발음, 심미적 부분에 많은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사전에 치아 및 구강조직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구강내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의 관련 직업으로 치과의사, 치위생사, 치기공사등이 있다.

치의학이 우리나라 및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지에서 의학교육과 분리되었는지는 학문적 발전 속도의 차이와 역사적 이유때문이다. 아래에서 살펴보자.


2. 역사[편집]


BC 3000년 경 이집트에서 발치와 배농을 한 기록이 있다. 그리고 치통 치료제도 이때 이미 존재했다.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와 아리스토탈레스가 치아발생, 치아우식증(충치)와 치주병의 치료, 치아발치, 턱골절, 구강내 보철물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18세기까지 서유럽에서는 외과술이 이발사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치과질환도도 마찬가지로 이발발치사(Barber Surgeon)에 의해 치료됐다.

근대치의학의 아버지는 프랑스인 피에르 포샤르(Pierre Fauchard, 1678~1761)이다. 그는 보철물의 발전에 앞장섰고 치열을 교정하는 술식으로 근대 치과교정을 시술한 인물이다. 치조농루라는 치조골에 농이 차는 질병이 있는데 포샤르의 이름을 따서 포샤르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728년에 Le Chirurgien Dentisté, ou Traite des dents라는 근대 치의학 서적을 발간한다.

미국의 경우 1840년에 Baltimore College of Dental Surgery가 정치적인 이유로 의과대학에서 분리 설립되면서 그때 부터 학제적으로 분리되어 발전했다.
이 때 의과대학이 있는 대학에서 기초의학교육을 공동으로 받은 학교들은 D.M.D학위를, 그렇지 않은 학교들은 D.D.S학위를 수여했다고 한다.
비슷한 이유로 학교의 영문명도 School of Dental Medicine이거나 School of Dentistry이다. 추가적은 역사는 치과 참고.

한국에서는 다른 의학과 마찬가지로 민간요법이 주류였으나 1876년에 개항을 함으로써 근대적 치과치료를 시작했다. 1885년에 제중원에서 미국인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알렌이 진행한 발치가 한국 근대치의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의사학(Medical History) 논문에 따르면, 치의학의 발전 과정에서 여러 논쟁이 있어 왔다. 그 논쟁을 통해서 구 미국에서는 윤리적 의식과 전문의식이 탄탄한 직업군이 됐지만 한국에서는 치과의사라는 직업이 생긴지 얼마 되지 않았고 일제 강점기 직후였던지라 그럴 시간이 부족했다. 단, 이 논문은 2002년에 작성된 논문으로 이후 15년간 치과계도 많은 논쟁을 겪었고 아직 부족한 시간이지만 그 논쟁 속에서 ‘치과의사 윤리선언’을 만들어냈다. 해당 선언의 내용은 치과의사항목 참고.

  • 아말감의 사용 : 1835년부터 1850년 사이, 20세기 후반에 아말감의 사용 금지 여부를 놓고 격한 논쟁이 있었다.
  • 경화 고무 (Vulcanite)를 이용한 의치의 특허 : 굿이어 형제가 고무에 황을 첨가하여 실용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고, 1864년~1881년 사이에 치과의사들은 경화 고무를 이용한 의치를 제작할 때마다 굿이어 형제에게 특허권료를 줘야 했다. 치과의사들이 격하게 항의했으며 치과의사 한 명이 굿이어의 대리인을 살해하기도 했다.
  • 국소감염설 : 1910년~1920년 사이에, 불량한 치과 보철물을 제거하여 구강 내 감염을 줄이면 원인 불명의 질병을 줄일 수 있다는 설이 있었다. 그래서 당시 치과 보철물을 제거하는 것이 유행이 되었으나, 결론적으로 이런 행동은 근거가 없고 환자에게 해로운 것으로 밝혀졌다.
  • 수돗물 불소화 : 1945년 수돗물에 플루오린을 첨가하면서부터 항상 반대에 시달려 오고 있다.


2.1. 왜 의학과 분리됐는가?[편집]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의사협회가 따로 존재하고, 학회도 따로 존재하며, 대학치과대학의과대학이 따로 존재한다. 왜 학제도 면허도 따로 존재하는가? 치의학은 의학이 아닌 것인가?

아니다. 치의학은 현대에는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인체의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을 위한 학문으로 의학의 한 분야가 맞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봤을 때 치의학은 외과학의 한 분야이고 중세시대에 내과학과 외과학이 분리되어 발전했던 것 처럼 치의학은 외과학과 분리되어 발전한 것이다.

특히 보철물의 발전이 외과학에서의 분리를 가속화했다. 어떤 임상 술기가 학문이 되려면 과학적 방법론에 의한 검증근거중심주의가 돼야 하는데 치의학은 이런 발전이 외과학에 비해 느렸다고도 할 수 있다. 최초의 치의학 고등교육기관이 19세기 말[1]에 설립되었으니 느리긴 느렸다. 결론적으로는 치의학이 의학과 따로 발전하다가 과학적 배경을 갖추자 의학의 한 분야가 된 것이다.


3. 기초치의학[편집]


기초치의학은 구강 및 악안면에 대한 질병에 대한 이해와 기전을 연구하고 치과에서 사용하는 술식의 학문적 근거가 되는 기초학문이다. 치과의사 국가시험 과목을 위주로 기술하면 구강생물학이라는 과목 안에 구강해부학, 구강조직학, 구강생리학, 구강생화학, 치과약리학, 구강미생물학이 포함되고 이 외에 구강악안면병리학, 치과재료학, 면역학, 치과의사학, 보건경제학, 보건통계학 등이 포함된다. 구강생물학은 총 48문제로 문제 당 0.5점이고 치과재료학은 총 15문제로 문제 당 1점이다.
국가시험에서 보는 과목명은 위와 같으나 각 학교에서는 해부, 조직, 발생, 생리, 약리, 미생물, 생화학, 병리학 등의 기본 명칭 앞에 구강 또는 치과를 붙여 가르치고 있다. 예로 어떤 과목은 아예 치과ㅇㅇ학, 구강ㅇㅇ학으로만 배우고 어떤 과목은 ㅇㅇ학, 치과ㅇㅇ학 이렇게 배운다. 과목명이 치과ㅇㅇ학, 구강ㅇㅇ학이라고 해서 치과 또는 구강만 관련된걸 배운다기 보다는 전신에 대해서 배우고 구강과 악안면에 대해서 깊게 배운다고 보면 된다. 예로 치과약리학의 경우 기본적인 약리학 총론과 각론을 치과에서 쓰이는 약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치과의사와는 크게 연관은 없는 항우울제, 항정신병약물 등의 약물도 배운다. 구강이 전신과 동떨어진 기관이 아니고 치과의사가 치료해야 할 환자 중에는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도 있기 때문에 전신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대부분의 학교는 전신과목을 한학기 배우고 치과관련으로 자세히 한학기 배운다. 일례로 모 학교는 해부학이 4학점(이론3 실습2)으로 전신에 대해 우선 배우고 두경부해부학을 2학점(이론2 실습2)으로 두경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배운다. 아래는 국가시험 과목을 위주로 설명한다.


3.1. 구강해부학[편집]


주로 두경부해부학이라는 과목명으로 개설된다. 머리와 목 그리고 구강에 있는 다양한 구조물(뼈, 근육, 혈관, 신경)과 상호관계를 배운다. 사람의 머리가 상당히 복잡하게 구성돼 있는데 특히 뇌신경이나 안면부의 근육들 그리고 목의 혈관들은 종류도 많고 중요하다. 보통 전신해부학을 배운 후 두경부해부학을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두경부해부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제1장 서론
제2장 머리뼈
제3장 머리 및 목의 근육
제4장 턱관절(약관절)
제5장 머리 및 목의 혈관
제6장 입안 구강
제7장 뇌신경
제8장 머리 및 목의 자율신경계통
제9장 얼굴 및 입안의 감각신경로와 운동신경로
제10장 악안면영역의 임상신경해부학
제11장 머리 및 목의 국소해부학


3.2. 구강조직학 및 구강발생학[편집]


구강조직학/발생학은 구강의 연조직과 악안면 그리고 치아의 기원과 조직학적 특성에 대해 배우는 학문이다. 조직학은 병리학의 기초가 되고 발생학은 선천적 기형의 원인을 배울 수 있다. 기초조직학과 인체발생학을 배운 후 구강조직학 및 구강발생학을 배운다.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구강조직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1.구강조직의 구조
2.일반발생학
3.머리, 얼굴 및 구강의 발생
4.세포뼈대, 연접장치, 섬유모세포 및 세포외바탕질
5.치아와 치아지지조직의 발생
6.뼈
7.법랑질: 조성, 형성 및 구조
8.상아질-치수 복합체
9.치아주위조직
10.생리적 치아이동: 맹출과 탈락
11.침샘
12.구강점막
13.턱관절
14.얼굴 성장과 발육
15.구강조직의 치유 및 재생


3.3. 구강생리학[편집]


구강생리학은 구강주위 조직과 관련된 기관의 기능에 대해서 배우는 학문이다. 주로 저작, 소화기능과 악안면순환과 동통 그리고 내분비계의 영향에 대해서 배운다. 주로 치과와 관련된 전신생리를 배우고 구강생리학을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구강생리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Section 1 총론 및 흥분성 조직
제1장 항상성과 세포기능
제2장 분자생물학과 세포 내 신호전달
제3장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제4장 흥분성 세포: 신경
제5장 시냅스
제6장 근육

Section 2 심혈관계
제7장 혈액
제8장 심장
제9장 혈액순환과 조절
제10장 구강악안면 순환

Section 3 소화 및 대사
제11장 위장관 생리학
제12장 타액선과 타액
제13장 에너지대사와 체온조절

Section 4 내환경의 조절
제14장 호흡생리
제15장 신장생리
제16장 체액생리

Section 5 내분비
제17장 내분비
제18장 생식생리
제19장 경조직생리

Section 6 감각
제20장 감각 일반
제21장 체성감각
제22장 통증
제23장 특수감각

Section 7 운동
제24장 하부운동신경과 반사
제25장 상부운동신경계
제26장 저작

Section 8 신경계의 통합기능
제27장 자율신경계
제28장 구강진료와 생체반응
제29장 대뇌의 복합기능

Section 9구강악안면 기능
제30장 구강조직의 기능과 치아의 맹출
제31장 교합
제32장 임플란트 생리학
제33장 발성생리


3.4. 구강생화학[편집]


구강생화학은 구강악안면영역의 질병의 발생과 치유를 분자적인 수준에서 살펴보는 학문이다. 주로 기본적인 생화학을 배우고 구강생화학을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구강생화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Chapter 1.구강의 특성 및 중요성
Chapter 2.법랑질
Chapter 3.상아질
Chapter 4.치수
Chapter 5.골과 치아의 석회화
Chapter 6.구강점막 및 치은
Chapter 7.타액
Chapter 8.치아표면에 부착된 침착물: 획득피막, 치태 및 치석
부록1.치과유전질환
부록2.구강암
부록3.고혈압과 치과진료


3.5. 치과약리학[편집]


약리학은 약이 작용하는 기본 원리를 알고 각론에서 각 계열의 약물이 인체에서 어떤 원리로 어떤 치료효과를 내며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배우는 학문이다. 치과약리학은 총론을 배우고 치과에서는 주로 사용하지 않는 약물들에 대해서도 상호작용 등을 이유로 우선은 다 배운다. 그리고 치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물들을 배우고 내원하는 환자들이 주로 가지는 내과질환과 관계된 약물을 배우고 어떻게 처방 및 투약해야 하는지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의 목차이다.

제1부 약리학의 기본 원리
제 1 장약역학
제 2 장약동학
제 3 장약치학
제 4 장약물 유전학과 약물 상호작용

제2부각 약물의 약리학
제 5 장자율신경계 개론
제 6 장콜린성 약물
제 7 장항무스카린제
제 8 장니코틴성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
제 9 장아드레날린성 약물
제 10장아드레날린 차단약물
제 11장항정신병 약물
제 12장항우울제
제 13장항불안 및 수면제
제 14장간질 치료제
제 15장파킨슨병 치료약물
제 16장국소마취제
제 17장전신마취제
제 18장마약성 진통제
제 19장통증, 염증 및 관절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제 20장히스타민 및 히스타민 길항제
제 21장세로토닌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과 편두통 및 기타 통증 증후군에 사용되는 약물
제 22장항부정맥제
제 23장심장부전 치료제
제 24장협심증 치료제
제 25장이뇨제
제 26장항고혈압 약물
제 27장지질강하제
제 28장항빈혈제와 조혈자극 약물
제 29장응고촉진제, 항응고제 및 혈전용해제
제 30장호흡기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제 31장위장관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제 32장뇌하수체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및 관련 약물
제 33장부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
제 34장혈당조절 호르몬과 경구 혈당강하제
제 35장성호르몬과 길항제
제 36장항균 화학 요법제
제 37장항진균제 및 항바이러스제
제 38장항종양제
제 39장면역조절약물
제 40장살균 소독제 및 항치태 약물

제3부특별주제
제 41장응급약
제 42장남용되는 약물
제 43장알코올
제 44장처방전과 약물 규제


3.6. 구강미생물학[편집]


구강미생물학은 구강 및 전신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특성과 미생물이 유발하는 병에 대한 병리 그리고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약물들에 대해 배운다. 구강에는 정말 많은 미생물이 존재한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구강미생물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제1장 미생물학의 역사
1. 생명체
2. 미생물
3. 미생물학의 역사
4. 병원미생물학의 발달
5. 자연계에서 미생물의 역할
6. 미생물학의 분야

제2장 미생물의 구조
1. 세포
2. 세균
3. 세균의 구조
4. 바이러스
5. 진균

제3장 세균의 영양과 증식
1. 세균증식에 필요한 영양성분과 환경인자
2. 세균의 증식
3. 세균배양을 위한 배지
4. 미생물의 대사
5. 포도당 이외 에너지원의 분해와 합성

제4장 미생물의 유전
1. 개요
2. 핵산
3. 미생물의 유전체
4. 세균의 유전변이
5. 돌연변이

제5장 미생물의 분류 및 동정
1. 분류학
2. 세균의 분류 및 동정
3. 버기편람

제6장 면역
1. 면역학의 기초 개념
2. 면역반응의 구분
3. 과민반응
4. 자가면역질환
5. 면역결핍

제7장 숙주와 병원체의 상호작용
1. 감염
2. 감염 유형
3. 병원성과 감염 성립
4. 감수성 숙주
5. 세균의 병원성
6.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

제8장 화학요법
1. 개요
2. 항미생물 화학요법제
3. 화학요법제의 작용기전
4. 약제 내성
5. 균교대 현상
6. 기회감염
7. 치과 영역의 임상 분리균과 약제 감수성
8. 항균제의 부작용

제9장 병원성 세균
1. 그람양성 구균
2. 그람음성 구균
3. 그람양성 간균
4. 기타 그람양성 세균
5. 그람음성 간균
6. 스피로헤타
7. 클라미디아
8. 리케치아
9. 마이코플라스마

제10장 병원성 바이러스
1. DNA 바이러스
2. RNA 바이러스
3. 혈액 전파 바이러스

제11장 병원성 진균 및 원충
1. 진균
2. 원충

제12장 구강환경과 세균
1. 구강미생물총
2. 구강환경
3. 타액
4. 치은열구액
5. 치면세균막
6. 치석

제13장 치아우식증 관련 세균
1. 치아우식증의 역학
2. 치아우식증의 발생기전
3. 치아우식증의 발생 요인
4. 치아우식증의 분류에 따른 세균
5. 치아우식증 관리
6. 치아우식증 억제 방법

제14장 치주질환 관련 세균
1. 치주질환
2. 치주질환과 세균
3. 치주질환 세균의 병원성
4. 만성 치주염의 주요 원인균
5. 치은염과 세균
6. 만성(성인형) 치주염과 세균
7. 급성 치주염과 세균
8. 치주질환의 예방 방법

제15장 치수염 및 치근단 감염 관련 세균
1. 치수염 관련 세균
2. 치근단 감염 관련 세균

제16장 기타 구강 감염질환
1. 구강 영역의 화농성(고름성) 질환
2. 치성 병소감염
3. 타액선 감염

제17장 치과진료실에서 일어나는 교차 감염 예방법
1. 교차감염의 예방
2. 치과진료기재 감염관리

부록 신종 감염병
1. 감염병
2. 신종 감염병


3.7. 치과재료학[편집]


대부분의 기초치의학 과목들은 의과대학의 기초의학과 겹치는 부분이 많지만 치과재료학은 치과대학만 배우는 과목이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적인 물리, 화학, 생물학, 광학적 성질들에 대해 배우고 치과용 인상재, 임플란트, 석고, 금속재료, 세라믹재료등 다양한 재료들에 대해서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치과재료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chapter 01 서론
chapter 02 물질의 구조와 표면 특성
chapter 03 일반적 성질
chapter 04 기계적 성질
chapter 05 생물학적 성질
chapter 06 금속 재료의 기초

chapter 07 세라믹 재료의 기초
chapter 08 고분자 재료의 기초
chapter 09 인상재
chapter 10 석고
chapter 11 수복용 레진

chapter 12 치질에 대한 접착
chapter 13 아말감
chapter 14 시멘트
chapter 15 왁스
chapter 16 매몰재
chapter 17 치과주조법
chapter 18 귀금속합금

chapter 19 비귀금속합금
chapter 20 치과용 세라믹스
chapter 21 의치상용 레진과 기타 레진들의 보철적 응용
chapter 22 임플란트
chapter 23 치과교정용 재료
chapter 24 치과용 기구 및 장비

chapter 25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수복물 제작
chapter 26 치과분야 한국산업표준 목록


3.8. 구강악안면병리학[편집]


구강악안면병리학은 전신 및 구강악안면의 병리적 현상에 대해 분자적, 면역학적, 형태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환자의 증상과 징후의 원인과 이유를 규명하는 학문이다. 국가시험에서도 전신병리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므로 전신병리를 배우고 구강악안면 병리를 배운다. 다음은 모 학교에서 사용하는 구강병리학 교과서의 목차이다.
제1장 진단 과정과 생검
1. 구강병소의 예비진단
2. 구강병소의 생검

제2장 염증과 수복(복구)
1. 염증
2. 염증의 원인
3. 급성 염증
4. 삼출물의 성상에 따른 분류
5. 염증의 현미경적 변화와 임상증상
6. 염증의 화학적 매개체
7. 염증의 전신적 증상
8. 급성 염증의 경과
9. 만성 염증
10. 육아종성 염증
11. 재생 및 수복

제3장 면역
1. 면역반응의 기본 개념
2. 면역반응의 구분
3. 면역병리학
4. 면역학적 구강질환
5. 구강의 자가면역질환

제4장 구강의 감염질환
1. 세균 감염성 질환
2. 진균(곰팡이) 감염질환
3. 바이러스 감염질환
4. 구강병소를 나타낼 수 있는 기타 바이러스 감염질환
5.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감염

제5장 치아 및 구강의 연조직 손상
1. 치아경조직 손상
2. 구강연조직 손상

제6장 치수 및 치근단(치아뿌리끝) 질환
1. 치수염
2. 치근단 질환 및 염증성 치근단 병소
3. 치아흡수
4. 골 내 치성 감염 병소
5. 기타 골 내 치성 감염 병소

제7장 구강영역의 발육장애(발육이상)
1. 정상범주 변이
2. 연조직 발육장애
3. 구강영역의 발생장애

제8장 치아의 발육(발달)장애
1. 치아의 발생 과정
2. 치아 수의 이상
3. 치아 크기의 이상
4. 치아형태의 발육이상(발달이상)
5. 치아 구조의 발육이상
6. 치아의 맹출장애

제9장 구강영역의 낭
1. 치성낭
2. 비치성낭
3. 점액낭

제10장 종양
1. 종양의 정의
2. 종양의 원인
3. 종양의 분류
4.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의 특성
5. 종양의 진단
6. 구강영역에 발생하는 비치성종양
7. 치성종양

제11장 전신질환의 구강증상
1. 내분비질환
2. 혈액이상
3. 악골과 안면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질환
4. 구강 내 약물효과


4. 임상치의학[편집]


임상치의학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쓰이는 각종 술식들의 이론적 기초이다. 임상치의학에는 치과보철학, 영상치의학, 치과보존학, 치과교정학, 예방치과학, 구강내과학, 치과마취과학, 구강진단학, 구강악안면외과학, 소아치과학, 치주과학등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7:45:48에 나무위키 치의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840년에 설립된 미국의 Baltimore College of Dental Surgery, 현 메릴랜드 대학교 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