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오 본선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노선에 대한 내용은 츄오선 문서
츄오선번 문단을
츄오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철도 노선

[ 펼치기 · 접기 ]
신칸센 총괄본부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모리오카 지사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키타카미선 - 카마이시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하나와선 - 야마다선 - 하치노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아키타 지사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케센누마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리쿠우토선 - 리쿠우사이선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죠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조반선 - 미토선 - 스이군선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파일:JRE-JO.svg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힌카쿠선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조반선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 파일:JRE-JL.svg 조반 완행선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I.svg 츠루미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 파일:JRE-JK.svg 네기시선 - 사가미선 - 파일:JRE-JT.svg 이토선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CO.svg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C.svg 오메선 - 파일:JRE-JC.svg 이츠카이치선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하치코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죠에츠선 - 에치고선 - 야히코선 - 하쿠신선 - 요네사카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나가노 지사
츄오 본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신에츠 본선 - 이야마선
폐선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파일:JRE_Wlogo.svg
>
파일:JRC_Wlogo.svg
>
中央(ちゅうおう本線(ほんせん
Chūō Main Line | 츄오 본선[1]
파일:DcwcZtlVQAE8JeM.jpg

JR 동일본 211계 전동차[2]
노선 정보
분류
간선
기점
도쿄역 (본선)
오카야역 (지선)
회사 경계역
시오지리역
종점
나고야역 (본선)
시오지리역 (지선)
역 수
112
개업일
1889년 4월 11일
소유자
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파일:JR 도카이 로고.svg
JR 도카이

운영자
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파일:JR 도카이 로고.svg
JR 도카이

파일:JR 화물 로고.svg
JR 화물

노선 제원
노선연장
396.9km (본선)
27.7km (타츠노 지선)
궤간
1067mm
선로구성
단선[3]~2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신호장비
ATS-P·PT·Sn·Ps
최고속도
130km/h

파일:JR_Chuo_Main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츄오 본선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상세
3. 츄오토선(中央東線)
3.1. 개요
3.2. 차량
3.3. 운행 계통
3.4. 이야기
3.4.1. 도쿄 도심 구간의 심각한 선로 용량 부족
3.4.2. 도쿄 구간 고가화
3.4.3. 노후된 차량
3.6. 기타
4. 츄오사이선(中央西線)
4.1. 개요
4.2. 차량
4.3. 이야기
4.4. 역 목록



1. 개요[편집]


도쿄도 치요다구도쿄역에서부터,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나고야역까지를 잇는 간선 철도 노선이다. 총 연장 424.6km.


1.1. 노선 데이터[편집]


  • 관할, 선로보유 : 전장 396.9km (지선 포함)
    •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도쿄~시오지리 222.1km
      •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27.7km
    • 도카이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시오지리~나고야 174.8km
    •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신주쿠~시오지리 211.8km
      •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27.7km
      • 시오지리~나고야 174.8km
  • 궤간 : 1067mm
  • 역수 : 112
    • JR동일본 : 73
    • JR도카이 : 39
  • 복선구간
    • 복복선 이상
      • 오차노미즈~미타카
    • 복선
      • 도쿄~오차노미즈
      • 미타카~후몬지 신호장
      • 오카야~미도리코~시오지리
      • 시오지리~니에카와
      • 나라이~미야노코시
      • 하라노~쿠라모토
      • 쥬니카네~나고야
    • 단선
      • 후몬지 신호장~오카야
      •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 니에카와~나라이
      • 미야노코시~하라노
      • 쿠라모토~쥬니카네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ATS-P
      • 도쿄~신주쿠~타카오~코후~시오지리
      • 오차노미즈~신주쿠~미타카 (완행선)
    • ATS-PT : 시오지리~나고야
    • ATS-Sn :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 최고속도
    • 우등열차
      • 도쿄~하치오지 : 100km/h
      • 하치오지~시오지리, 나카츠가와~나고야 : 130km/h
      • 시오지리~나카츠가와 : 120km/h
    • 보통열차
      • 도쿄~시오지리 : 100km/h
      • 시오지리~나카츠가와,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오차노미즈~미타카(완행선) : 95km/h
      • 나카츠가와~나고야 : 110km/h
  • 운전지령소
    • 도쿄~코부치자와 : 도쿄 종합지령소
    • 코부치자와~시오지리 : 나가노 종합지령소 (CTC)
    • 오카야~타츠노~시오지리 : 나가노 종합지령소 (CTC)
    • 시오지리~나고야 : 도카이 종합지령소 (CTC)
  • 열차종합관리시스템
    • 도쿄~코후 : 도쿄권 수송관리시스템 (ATOS)
    • 나카츠가와~나고야 : 나고야권 운행관리시스템 (NOA)
  • 여객 운임
    • 여객 운임체계 : 전차특정구간 제외하고 간선 운임 적용
    • 수도권 근교구간 (여객영업규칙에 의한) : 도쿄~시오지리 (지선 포함)
    • 전차특정구간 : 도쿄~타카오 (완행선 포함)
    • 특정도구시내
      • 도쿄 도구내 : 도쿄~니시오기쿠보
      • 도쿄 야마노테선내 : 도쿄~신주쿠
      • 나고야 시내 : 신모리야마~나고야
    • 교통카드 호환지역 : 도쿄~시오지리 (지선 포함), 나카츠가와~나고야
  • 영업본부
    • 도쿄~니시오기쿠보 : JR 동일본 도쿄 지사
    • 키치죠지~코부치자와 : JR 동일본 하치오지 지사
    • 시나노사카이~시오지리 (지선 포함) : JR 동일본 나가노 지사
    • 시오지리~나고야 : JR 도카이 도카이 철도사업본부 (직할)


2. 상세[편집]


도카이도 본선과 다르게,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고(신주쿠- 나고야 간은 1960년대까지 운행), 지금도 없다.[4] 산지를 지나는 노선이기 때문에 경사가 심하며, 선형이 나쁜데다가 나가노로 크게 우회한다. 이와 더불어 시점과 종점이 모두 도카이도 본선상의 역이기 때문에 해당 역들을 오갈 때에는 도카이도 본선을 경유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편리하다.[5]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쿄(東京) - 시오지리(塩尻) 간은 츄오토선(中央東線), 시오지리(塩尻) - 나고야(名古屋) 간은 츄오사이선(中央西線)으로 나눠서 부른다. 실제로 시오지리역을 기점으로 두 노선의 성격이 크게 달라지며, 관할 회사도 달라진다.[6]

이용객들 사이에서는 츄오선(中央線), 츄오 본선(中央本線) 두 가지의 명칭으로 불린다. 주로 근거리 통근 열차를 츄오선(中央線), 타치카와(立川) 이후의 로컬선 구간을 츄오 본선(中央本線)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

MARS에서는 칸다 - 요요기, 신주쿠 - 시오지리(츄오토선), 카나야마 - 시오지리(츄오사이선), 오카야 - 시오지리(지선)으로 나뉘어 있다. 도쿄 - 칸다는 도호쿠 본선, 요요기 - 신주쿠는 야마노테선, 카나야마 - 나고야는 도카이도 본선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츄오사이선은 철도요람상 노선과 기종점이 거꾸로 되어 있다.

자세한 사항은 각 항목에서 서술한다.


3. 츄오토선(中央東線)[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도쿄-타카오 구간의 열차선 중 쾌속계통에 대한 내용은 츄오 쾌속선 문서
츄오 쾌속선번 문단을
츄오 쾌속선# 부분을
, 각역정차 계통에 대한 내용은 츄오-소부 완행선 문서
츄오-소부 완행선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JRE_Wlogo.svg
>
中央東線(ちゅうおうとうせん
Chūō East Line
츄오토선
}}}
파일:E353_series.jpg

특급 '아즈사'
노선 정보
분류
간선
기점
타치카와역[7]
종점
시오지리역
역 수
47
노선기호
JC (타치카와~오츠키)
CO (하츠카리~코부치자와)[8]
개업일
1889년 4월 11일
소유자
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운영자
사용차량
211계 전동차[9], E233계 전동차[10]
E127계 전동차[11], 313계 전동차[12]
E259계 전동차, E353계 전동차
차량기지
토요다 차량센터, 마츠모토 차량센터,
나가노 종합 차량센터, 진료 검차구
노선 제원
노선연장
196.7km
궤간
1067mm
선로구성
단선,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신호장비
ATS-P, Ps, Sn
최고속도
130km/h

파일:JRE_Chuo_Main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츄오토선 (중거리열차 운행 구간)

특급 아즈사 신주쿠→시오지리→(시노노이선)마츠모토 방면 주행영상

3.1. 개요[편집]


츄오 본선의 시오지리(塩尻) 동쪽 구간. 전체 노선의 90%가 복선화되어있고, 전 구간 전철화 완료. 나가노현 남부 지역과 야마나시현도쿄와 이어주고 있는 중요 노선이며, 타카오(高尾)-도쿄(東京) 구간은 츄오 쾌속선(中央快速線)이라는 별도의 운행계통이다. 수도권 최대 과밀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오카야(岡谷)-시오지리(塩尻) 구간은 원래 타츠노(辰野)역을 경유하여 빙 둘러가는 노선이었으나, 1983년 7월 엔레이 터널(塩嶺トンネル) 개통으로 28km였던 동 구간을 12km로 단축시켰다. 구선은 폐선되지 않고 타츠노 지선(辰野支線)으로 별도의 운행 계통을 가지고 있다.


3.2. 차량[편집]


츄오-소부 완행선의 차량은 해당 문서 참조

3.3. 운행 계통[편집]


  • 도쿄(東京)-타카오(高尾) 간을 운행하는 츄오 쾌속선(中央快速線)
  • 쾌속선 열차중 일부는 오츠키(大月)까지 연장 운행[13]
  • 쾌속선 일부열차는 출퇴근시간대에만 후지급행과 직결한다.
  • 소부 본선 혹은 도쿄메트로 도자이선에 직결하여 미타카(三鷹)-치바(千葉) 간을 운행하는 츄오-소부 완행선(中央・総武緩行線)
  • 타치카와(立川)-시오지리(塩尻) 간을 운행하는 츄오 본선 열차
  • 신주쿠(新宿)[14] 에서 시오지리(塩尻)를 경유하여 시노노이선 마츠모토(松本)까지 운행하는 특급 아즈사(あずさ)
  • 신주쿠(新宿)-코후(甲府) 간을 운행하는 특급 카이지(かいじ)
  • 신주쿠(新宿) 에서 시오지리(塩尻)를 경유하여 오이토선 하쿠바(白馬)까지 운행하는 임시야간쾌속 문라이트 신슈(ムーンライト信州). 편도로만 운행하는 임시열차로, 전석 지정석이다.


3.4. 이야기[편집]



3.4.1. 도쿄 도심 구간의 심각한 선로 용량 부족[편집]


나카노역, 혹은 미타카역, 심하면 니시도쿄 끄트머리인 하치오지역부터 정체가 일어난다. 이것은 츄오 쾌속선에 열차가 너무 많기 때문. 츄오 쾌속선에는 출퇴근 시간대에 2분 간격, 평시에도 4분 간격으로 통근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그나마도 평시에는 시간당 4대가 츄오특쾌, 오메특쾌 등으로 운행되어 선행 대피 등으로 선로 용량을 갉아먹는다. 게다가 신호기가 ATS. 비슷한 배차 간격의 야마노테선ATC를 쓰고 있는 것에 비해 너무나도 열악하다. 게다가 여기에 특급 열차가 시간당 2대 더 들어가 카오스 상태가 된다. 이미 보통열차만으로도 말도 안 되는 수준의 과밀 다이어를 이루고 있는데 여기에 특급 열차가 더 들어가고 있는 셈. 한국의 중앙선과 굉장히 흡사한 경우가 아닐까. 실제로 이름조차 츄오센을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으면 중앙선이 된다.[15] 덕분에 정시 운행은 애초부터 글러먹은 상태고, 이용객들도 그냥 그러려니 하고 이용하는 상황. 가만 냅둬도 정시를 못 지키는 판에 인신사고 발생률도 1위이니 완전 엎친데 덮친격. 특급 열차로 운행하는 E353계 전동차부터가 ATC 대응이 안 되며[16], 따로 열차선이 없는 쾌속선 선로의 신호 체계를 바꿔버리면 대다수의 특급형 열차나 화물 열차가 들어올 수 없게 되어 득보다 실이 많아지게 된다. 그 예로 도호쿠/도카이도 본선의 전차선인 야마노테선케이힌토호쿠선이 있다. 열차선은 전부 ATS 쓰는데 지들만 떡하니 ATC 쓰고 아예 따로 놀아서 우에노도쿄라인까지 만들었을 정도니.

실제로 츄오선 도심 구간에서 열차 대피가 가능한 역은, 도쿄[17], 신주쿠[18], 나카노, 미타카[19], 무사시코가네이역, 코쿠분지역, 타치카와역, 토요다역, 하치오지역, 타카오역. 미타카 이후로 늘어나는 모습이 보이지만, 문제는 다이아 과밀 현상은 미타카 이서보단 이동 구간이 심각하다는 게 문제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 문제는 각 역의 위치 및 구조, 그리고 비용 문제로 대피선 증설이 힘들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옆의 완행선. 그러나 사실 원래 완행선을 병설한 이유는 타치카와역까지의 2복선화가 목표였으나 1964년 계획을 세운 이래 아직도 완료가 되지 않고 있으니 완행선을 탓할 수는 없다. 애초에 선로 증설 계획이 타치카와에서 미타카로 반토막난 것이 문제. 일단 2023년 이후로 다시 미타카~타치카와 구간의 복복선화를 진행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다.

도쿄 구간이 고가화되는 과정에서 대피선이 삭제된 역이 있고, 위의 원인으로 인해 설비를 증강하기도 어려워 근본적 대책이 없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열차는 줄일 수가 없는데 이대로는 매일매일이 지연 운행이니 이도 저도 못하는 상황. 이 때문에 JR 동일본의 특급(特急)은 "특별히 빠르지 않은(がない) 열차" 라는 조롱을 받는다.[20]


3.4.2. 도쿄 구간 고가화[편집]


타치카와(立川)역부터 미타카(三鷹)역까지의 구간이 고가화되었다. 그 이전에는 너무나도 심각한 과밀 다이어로 건널목이 도통 열리지 않았고, 남북간의 단절이 심각해 고가화가 결정된 것.

파일:attachment/2012062505.jpg
2009년 11월 7일, 도심 구간 고가화 공사가 마무리될 무렵 신주쿠역의 구내 배선을 수정하기 위해, 나카노(中野) - 신주쿠(新宿)간을 하루 동안 운휴시켰다. 쾌속 열차는 완행선 선로를 이용하여 운행하고, 본래 신주쿠 정차인 특급 아즈사(あずさ)는 나카노역에서 종착 시켰다.


3.4.3. 노후된 차량[편집]


츄오 쾌속선이나 츄오-소부 완행선의 경우는 E231계 전동차E233계 전동차로 다니고 있고, 오메선 로컬 구간조차 E233계 4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는데 반하여 츄오 본선 로컬 구간은 211계 전동차이다. 무려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으로 설정되어있는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신차에 인색하다.

본선 구간에 신차가 투입되지 않는 이유는, 본선 구간 자체가 도쿄 근교와는 다소 떨어져 있어서 보통열차에 대한 수요가 그다지 크지 않은 데다가[21], 본선 구간이 산악 지대인 관계로 한랭지 사양에 맞춘 차량이 필요한데, 앞서 언급한 산악 구간의 수요 문제로 JR 동일본이 신차 개발에 뜨뜻미지근하기 때문이다.[22] 한때 치바현 외곽 노선들[23]도 여기 처럼 스카색 구형차 천국이었다.[24] 타카사키선에서 구르다 쫓겨난 211계 한랭지 사양 편성이 개조되어 코신에츠 지역 운행에 투입된 것 정도를 빼면 해당 노선에 신차 도입 계획은 아직 없다.[25]


3.5. 역 목록[편집]




3.6. 기타[편집]


  • 타카오 이서 구간은 차량한계가 매우 작게 지어져 있다. 따라서 이 구간에는 차량번호 옆에 ◆표시가 붙은 차량만 입선할 수 있다. 아래 JR 도카이 구간 역시 차량한계가 작지만, JR 도카이의 거의 모든(211계 일부 제외) 재래선 열차는 차량한계가 가장 작은 미노부선에 맞춰져 있기에 이쪽은 별다른 문제가 없다. JR 동일본 차량 중 일부는 유사시또는 차돌리기 츄오 본선에 투입될 때를 대비하여 츄오 본선에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에, 츄오 본선과 전혀 관계없는 노선에서도 ◆표시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스와호에서 불꽃놀이가 열릴 때 난부선 차량이 츄오 본선에서 임시열차로 운행한 적이 있다.
  • 한편, 이런 츄오 본선 대응차량들도 시코쿠 요산선에 있는 토리고에 터널은 못 넘으며 도카이 차들은 겨우 넘을 수 있다고 한다.


4. 츄오사이선(中央西線)[편집]


파일:JRC_Wlogo.svg
>
中央西線(ちゅうおうさいせん
Chūō West Line
츄오사이선
}}}
파일:Series315_C6.jpg

315계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간선
기점
시오지리역
종점
나고야역[26]
역 수
40
노선 기호
CF (일부 역)[27]
개업일
1909년 12월 1일
소유자
파일:JR 도카이 로고.svg
JR 도카이

운영자
사용차량
211계 전동차[28], 313계 전동차[29]
383계 전동차, 315계 전동차[30]
차량기지
진료 검차구, 나가노 종합 차량센터
노선 제원
노선연장
174.8km
궤간
1067mm
선로구성
단선,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신호장비
ATS-P, PT
최고속도
130km/h

파일:JRT_Chuo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츄오사이선

특급 시나노 나고야→시오지리→(시노노이선)나가노 방면 주행영상

4.1. 개요[편집]


츄오 본선의 시오지리(塩尻) 서쪽 구간. 츄오토선에 비해 다소 시설이 낙후되어있지만 나카츠가와(中津川)-나고야(名古屋) 구간은 나고야 도시권에 속해있어 통근 수요가 많다.

코조지역 - 나고야역 구간은 나고야 도심부를 지나며 도카이도 본선 에 못지 않은 고밀도 시각표로 운행한다. 최대 10량 편성으로 운행하며, 오조네역을 기준으로 보면 시내를 남쪽으로 크게 돌아 카나야마역 으로 가기 때문에 운행 거리는 길지만 중간역이 대단히 적고 요금도 저렴해 지하철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구간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고야 근교 구간을 벗어나면 아직 단선인 구간이 많이 남아있어 군데군데 속도 제한이 많이 걸려 열차 소요 시간의 증가의 주범으로 작용하는 중. 이런 문제 때문에 도카이도선에 비해 지연도 잦다. 3-5분 정도의 지연은 일상일 정도.


4.2. 차량[편집]




4.3. 이야기[편집]


JR 도카이의 재래선 사랑(?)이 묻어나는 곳.

수요에 맞게 병결을 한다고는 하는데, 2량, 4량짜리 열차를 덕지덕지 붙여서 10량(!)으로 만드는 기술을 보여준다. 게다가 같은 차량을 붙이는 것도 아니고 서로 다른 차량[31][32]홋카이도?을 병결하는 충격과 공포짬뽕편성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렇게 붙이면 차량 길이가 달라져 문 위치가 맞지 않는데다가, 병결된 차량 중 성능이 가장 낮은 것의 속도로만 달릴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문제가 발생하지만 그런거 없고 수송력 증강만을 노리는 듯. 그래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

2022년부터 8량 고정편성의 315계가 투입되면서 특급을 제외한 츄오사이선의 모든 차량은 등급을 불문하고 8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211계, 313계 등의 다른 차량이 투입되는 열차도 무조건 8량 편성으로 조합하여 투입하는 중.

나고야에서 시오지리, 시노노이선 마츠모토역을 경유하여 신에츠 본선 나가노역까지 운행하는 특급 시나노(しなの)가 1일 13왕복 운행한다. 예전에는 일부 편성이 도카이도 본선으로 오사카역까지 운행하였으나, 2016년 3월 26일 이후 오사카역 발착 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아게마츠역쿠라모토역 사이에 명승인 "침각의 상(寝覚の床)" 바로 위를 지나가는 구간이 있는데, 시나노의 경우 다이어에 여유가 있다면 이 구간을 천천히 지나가 승객들이 풍경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또한 이 구간을 지날때 나오는 특별한 안내방송도 있다. JR 도카이 답지 않다


4.4. 역 목록[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6:38:08에 나무위키 츄오 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 한자 발음으로는 중앙본선. 의미가 의미인 만큼 한국의 중앙선과도 한자가 같다. [2] 츄오토선과 츄오사이선 모두 보통열차로 211계가 쓰인다.[3] 카미스와~오카야, 지선 구간[4] 특급을 탄다면 시오지리에서 한번 갈아타면 된다.[5] 이 점은 도카이도 본선을 경부선에 대응시키면 한국의 중앙선과 비슷하다. 다만 중앙선은 일부 구간이 전철화도 안돼있고 복복선 구간도 없기 때문에 상황은 츄오 본선쪽이 더 낫다. 하지만 중앙선은 츄오 본선과달리 크게 돌아가는 선형은 아니다. 그리고 2021년 이후로 중앙선, 동해선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준고속열차 KTX-이음이 부전~청량리까지 다닐 예정이고 이후 망우역까지 복복선화도 착수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 쪽의 미래가 더 밝다. 현재의 중앙선은 경부선을 산요 본선에 대응시키고 중앙선을 산인 본선에 대응시킨다는 말이 조금 더 옳을 것이다. 중앙선 구간에는 광역시가 단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6] 츄오토선은 JR 동일본, 츄오사이선은 JR 도카이 관할.[7] 쾌속선 열차가 아닌 츄오선 보통열차는 타치카와/하치오지 발착이다.[8] 만약 JC를 쓰면 코부치자와역과 역번호가 먼저 도입된 오메선 니시타치카와역의 번호가 JC 51로 겹치기에 할 수 없이 Chuō에서 따온 CO를 사용한다.[9] 0~3000번대[10] 0번대[11] 100번대[12] 3000번대[13] 배차간격이 엄청 길다.[14] 일부 도쿄(東京), 치바(千葉)에서 출발[15]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본토의 츄오 본선(中央本線)과 중복이 된다는 이유로 식민지 조선의 중앙선을 경경선(京慶線)으로 바꾼 적이 있다.[16] 예전에 츄오선에서 운행하던 E257계 전동차 역시 ATC 대응이 안 된다.[17] 도쿄역 츄오선 플랫폼은 1홈 2선식이다. 따로 대피선이 있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잘 조정하면 대피는 가능해지므로 일단 넣는다. 근데 어차피 그럴 일 할 이유도 별로 없고, 이미 RH시간대에는 열차를 꾸역꾸역 넣는 수준이라...[18] 도쿄역부터 신주쿠역 사이엔 대피선이 없는 관계로, 특급은 주로 신주쿠 시종착이다(도쿄역 플랫폼이 10량 편성까지만 받을 수 있기도 하지만). 그리고, 원래 신주쿠역의 대피선은 신주쿠역의 엄청난 승하차 인원 덕에 생기는 승하차 지연 현상 타개를 위한 용도이다.[19] 나카노~미타카 구간은 복복선 구간이긴 하지만 도자이선에서 들어오는 츄오-소부 완행선 열차가 들어오기 때문에 완행선도 상상 그 이상으로 빡빡하다. 대피선 증설이 필요한 상황.[20] 거기다가 츄오 쾌속선 제한속도가 100km/h이다.[21] 예외적으로 타카오-오츠키 구간은 2000년대 이후 도쿄로의 통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역인데, 이 구간에 한해 쾌속선을 운행하는 E233계 열차 일부가 오츠키역 또는 후지급행선까지 연장 운행한다.[22] 사실 츄오 본선에 적합한 신형 통근형 차량이 있긴 하지만, 해당 차량의 츄오 본선 도입 계획은 없다.[23] 소부 본선, 나리타선, 우치보선, 소토보선, 토가네선[24] 현재 치바현내를 오가는 보통열차는 209계 전동차로 운행한다. 그런데 이 마저도 노선에서 넘어온 차량이다.[25] 사실 조에츠선이나 신에츠 본선등의 한랭지 노선 구간에서 115계 전동차는 흔하게 볼 수 있는 물건에 속한다. 비록 타카사키선에서 쫓겨난 211계 전동차가 한랭지 노선으로 개조되어 들어오면서 일부 115계 전동차를 대체하기는 했지만, E231계 투입 시점에서 동급 사양의 113계 대부분이 폐차된것에 비하면 115계는 어디에서만 아직까진 팔팔한 현역이다. 정작 신차랍시고 들어온 211계도 국철 시대에 디자인된 최소 20년 이상 나이먹은 차량이라는 게 함정[26] 운행계통 상으로는 나고야 방면이 상행이다.[27] 나고야역~나카츠가와역, 나기소역, 아게마츠역, 키소후쿠시마역[28] 1000, 3000, 5000, 6000번대[29] 3000번대[30] 2023년에는 보통과 쾌속이 315계로 통일된다고 한다.[31] 이를테면 211계 뒤에 313계를 붙인다. 사실 의도적으로 최대한 많은 열차를 211계+313계 조합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211계에는 화장실이 없고 313계만 화장실이 있기 때문이다. 편성당 최소 1개의 화장실을 확보하기 위한 조합인 셈.[32] 그나마 211계와 313계 모두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을 쓰기 때문에 총괄제어가 가능하긴 하다. 참고로 VVVF 제어에다 저항제어 전동차를 붙이면 아예 제동 방식 자체가 달라서 킨테츠처럼 VVVF 차량 제동 방식까지 전자직통식으로 통일하든가 저항차량 제동 방식을 마개조하지 않는 이상 총괄제어가 불가능해 한 편성은 무동력 상태로 끌려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