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1. 순우리말
2. 한자
2.1. 취(趣), 큰 수
3. 외래어


1. 순우리말[편집]


국화과에 속하는 풀 중 식용이 가능한 나물을 '취'라고 부르곤 한다. 주로 '취나물'이라 많이 부른다. 곰취, 단풍취, 수리취, 참취, 서덜취 등이 있다.


2. 한자[편집]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309~407위]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에서 '취'라 읽는 글자는 아래 6자이다.
  • (취할 취)
  • (불 취)
  • (이룰 취)
  • (냄새 취)
  • (달릴 취)
  • (취할 취)

표 외 한자로는 다음이 있다.

  • (모을 취): 2급 한자. 취합(聚合), 취락(聚落)
  • (불땔 취): 2급 한자. 취사(炊事)-취사병(炊事兵), 자취(自炊)
  • (연할 취): 1급 한자. 취약(脆弱)
  • (푸를 취): 1급 한자. 비취(翡翠)

북한 문화어로는 췌장(膵臟)을 취장이라 한다.

근래의 인터넷 은어에서는 취향(趣向)을 '취'로 줄이는 일이 잦다. '개취'(개인 취향), '취존/취좆'(취향 존중/좆까), '취저'(취향 저격) 등의 줄임말이 있다.

이들 한자는 일본 한자음으로는 スイ/シュウ 둘 중 하나가 된다. 取는 단음 シュ이며 脆는 예외적으로 ゼイ이다.


2.1. 취(趣), 큰 수[편집]


취(수) 문서 참고

3. 외래어[편집]


비표준 표기로 [tʃ]를 '취'로 적기도 한다. [dʒ]를 ''로도 적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중국어 한글 표기에서는 'ju/qu/xu'를 각각 '/취/'로 적는다. 상용한자 2500자 중 'qu'로 읽는 글자는 아래 9자이다.

1성(qū)
(구) (구) (굴) (추)
2성(qú)
(거)
3성(qǔ)
(곡) (취)
4성(qù)
(거) (취)

, 는 중국어 한글 표기, 한국 한자음 모두 '취'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6:20:3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