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생을 위한 생명존중 교육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교육 대상
3. 교육 효과



1. 개요[편집]


2010년 초, 각 언론은 2009년 한 해 동안 청소년들이 사망한 가장 큰 이유가 '자살'이라고 앞다투어 보도하였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는 청소년들에게도 생명의 소중한 가치와 나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 2010년 생명존중 교육 '생명사랑나눔운동'을 시작하였다. 2010년 5월 4일,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에서 첫 교육이 실시된 이후 전국 1,825개교 1,056,7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2022년 말 기준)이 진행되었다.


2. 교육 대상[편집]


  • 청소년 - 생명사랑나눔운동
청소년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왕따', '학교폭력', '자살'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생명의 소중함과 타인에 대한 배려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이다. 또한 질병으로 고통 받는 이웃들의 삶을 돌아보고 장기기증 희망등록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청소년 안에 잠재된 사랑과 나눔의 에너지를 이끌어내고 있다.
2019년 7월부터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시행 규칙이 일부 수정되어 기존 만 19세 이상이던 장기기증 희망등록 연령이 만 16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되며, 해당 연령의 청소년들도 자신의 의사만으로 장기기증 희망등록이 가능해졌다. 이후 생명존중 교육을 통해 생명의 소중한 가치를 인지하고, 장기기증의 필요성에 공감한 청소년들이 장기기증 희망등록에 참여하며 시행 규칙 변경 후 1년 간, 만 16~18세 청소년 장기기증 희망등록자가 전년 동기간 대비 14배나 증가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초등학생 - 모든 생명은 소중해
2019년에는 청소년에 이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명존중 교육 '모든 생명은 소중해'가 시작되었다. 심장 이식의 과정을 심장의 여행으로 표현한 동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쉽고 재미있게 장기이식의 과정과 장기기증의 가치를 설명하는 교육은 2022년 말까지 213곳의 초등학교 33,700여 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은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과 고학년(4~6학년)을 구분하여 진행되었으며, 어린이들에게 장기기증의 가치에 대해 전할 뿐 아니라 생명의 소중함과 함께 우리 몸속 장기의 위치와 역할 등 과학적 정보 및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습관, 평소 실천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나 기부 등 다양한 나눔활동에 대해 소개하며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생명을 나눈 기증인과 생명을 선물 받은 이식인에게 감사와 응원의 메시지가 담긴 편지를 작성하여 보내기도 했으며, 해당 편지의 내용은 2019년 12월, 서울시민청에 전시되며 많은 시민들에게 생명나눔의 감동을 안겼다.

  • 맹학교 - 생명존중 교육
2021년에는 앞이 보이지 않아 책을 읽을 수 없는 시각장애 초등학생들을 위한 점자 및 촉각 교재와 오디오북을 제작하여 배포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교재가 부재해 생명존중 교육에 참여할 수 없었던 시각장애 어린이 240여 명에게 생명의 가치와 나눔의 필요성, 우리 몸속의 장기의 위치와 역할, 장기기증의 의미 및 기증인과 이식인의 이야기, 기부와 봉사활동 등 나눔의 종류에 대해 알려줄 수 있었다. 해당 교재 제작에는 성우 배한성, 김보민 씨가 재능기부로 참여하여 다양한 목소리 연기로 생동감있는 이야기를 시각장애 어린이들에게 전하며,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에 기여했다.


3. 교육 효과[편집]


  • 청소년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왕따’, ‘학교폭력’, ‘자살’ 등의 문제 예방
  • 생명나눔, 봉사활동, 기부활동 등 다양한 나눔 활동과 따뜻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배운다.
  • 2019년 시행 규칙 변경 후 1년 간, 만 16~18세 청소년 장기기증 희망등록자가 전년 동기간 대비 14배나 증가하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우리 몸속 장기의 위치와 역할 등 과학적 정보 및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 습관 등을 소개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9:48:5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