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관련 정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철학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사람인 "철학자(哲學者)"에 대한 내용은 철학자 문서
철학자번 문단을
철학자# 부분을
, 철학 내용을 담은 책인 "철학서"에 대한 내용은 철학서 문서
철학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철학서#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메타철학
3.1. 일반 형이상학
3.2. 특수 형이상학
4.1. 철학 방법론
11.1. 고대
11.2. 중세
11.3. 근대
11.4. 현대
12.1. 동아시아 철학
12.1.2. 유가철학
12.1.3. 도가철학
12.1.4. 불교철학
12.1.5. 중국근현대철학
12.1.6. 한국철학
12.1.7. 일본철학
12.2. 인도 철학
12.2.1. 아스티카
12.2.2. 나스티카
12.3. 이슬람 철학
16. 철학상
17. 기타



1. 개요[편집]


철학과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 철학적 입장이나 개념 등을 정리해놓는데 주력한다.

철학에 처음 흥미가 생겨 알아보고 싶은 경우 철학/입문 문서 참조.

다른 학문 분야가 그렇듯이 위키위키의 특성상 아래 문서들을 학문적으로 신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레포트에 나무위키 페이지를 출처로 쓰는 것은 전혀 현명한 생각이 되지 못한다. 해당 문서에서 출처를 표기한 경우, 그 출처를 따라 그 인용이 맞는지 직접 원문을 확인한 후 해당 원문을 인용하는 것이야말로 좋은 쓰임새일 것이다.

또한 철학과 사회(특히 종교) 관련 정보들에 대해서는 이미 극단적일 정도로 편향적이고 무지한 내용이었다는 지적도 자주 있었으며, 리그베다 위키 붕괴 당시 키보드 워리어가 여론몰이 등을 통해 써놓은 잘못된 내용이 여전히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또한 유의할 것.

좀더 공신력있는 정보를 위해선 철학사 페이지에 적힌 고전적인 철학사 연구서를 참조하는 것도 좋고, 또한 영어에 문제가 없다면 권위를 널리 인정 받는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을 참조하는 것도 좋다.

2. 메타철학[편집]



3. 형이상학[편집]



3.1. 일반 형이상학[편집]



3.2. 특수 형이상학[편집]



4. 인식론[편집]



4.1. 철학 방법론[편집]



5. 논리학[편집]


논리학 관련 정보 참조

6. 가치론[편집]



6.1. 윤리학[편집]



6.2. 미학[편집]



6.3. 정치철학[편집]



7. 과학철학[편집]



8. 심리철학[편집]




9. 언어철학[편집]



10. 수학철학[편집]



11. 철학사/서양[편집]



11.1. 고대[편집]





11.2. 중세[편집]





11.3. 근대[편집]







11.4. 현대[편집]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펼치기 · 접기 ]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대륙철학
현상학
후설 · 셸러 · 레비나스 · 앙리
하이데거
실존주의
사르트르 · 메를로퐁티 · 보부아르 · 야스퍼스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루카치 · 그람시 · 코르쉬 · 블로흐 · 알튀세르 · 네그리 · 발리바르 · 바디우 · 랑시에르 · 지젝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분석철학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미드 · 듀이 · 로티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덤밋 · 셀라스
심리철학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20세기 과학철학
푸앵카레 · 포퍼 · 핸슨 ·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2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end바슐라르 · 캉길렘 · 시몽동 }}} }}} ||

영미정치철학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12. 철학사/동양[편집]



12.1. 동아시아 철학[편집]



12.1.1. 제자백가[편집]



12.1.2. 유가철학[편집]



12.1.3. 도가철학[편집]



12.1.4. 불교철학[편집]



12.1.5. 중국근현대철학[편집]


  • 모택동주의(마오주의)
  • 신문화운동
  • 문화열
  • 국학열(國學熱)
  • 신유학 (New Confucianism)[3]
    • 홍콩대만신유가[1]
    • 대륙신유가[2]

12.1.6. 한국철학[편집]



12.1.7. 일본철학[편집]



12.2. 인도 철학[편집]



12.2.1. 아스티카[편집]



12.2.2. 나스티카[편집]



12.3. 이슬람 철학[편집]


  • 칼람 (kalam)
  • 팔사파 (falsafa)
  •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파
  • 조명학파 (Illuminationism)
  • 초월론적 신지학 (Transcendent theosophy)

13. 철학과[편집]


해당 항목 참조

14. 철학자[편집]


해당 항목 참조

15. 철학서[편집]


해당 항목 참조

16. 철학상[편집]



17. 기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33:18에 나무위키 철학 관련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만에선 신유가를 두고 당대신유가(當代新儒家), contemporary new confucianism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이는 송명이학과의 연속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심성유학을 중시한다.[2] 중국 대륙에선 현대신유가(現代新儒家), modern new confucianism이라는 표현을 선호한다. 정치유학을 중시한다. 이는 중국내에서 공산주의가 통치이념으로서 갖는 한계를 유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캉유웨이를 중시하여 신캉유웨이주의자(康黨)라 불리기도 한다.[3] 신유가라는 표현도 혼용된다. 대한민국에서 성리학(송명이학)도 신유학이라고 부르므로 혼동에 주의. 영미권에선 둘을 구분해서 부르는데, 성리학은 'Neo' Confucianism으로 현대신유학은 'New' Confucianism으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