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

덤프버전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본 문서에 존재하는 "나무위키에 등재된 천체의 목록" 문단을 삭제함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극단적인 천체들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천체() 또는 성체()[1]우주에 존재하는 물체를 아울러 부르는 말로서 주로 연구 대상이 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영어로는 astronomical object, celestial body, heavenly body 등으로 부른다. 흔히 천체라고 하면 행성이나 위성과 같은 거대한 물체를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크기는 상관없이 우주 먼지에서부터 별, 성운, 은하 등도 포함한다.


2.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극단적인 천체들[편집]


  • 아래 항목은 '현재까지 발견된 천체' 기준이기에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처럼 관측 능력이 향상되면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천체
명칭
수치
발견
가장 가벼운 항성
VB 10#
질량 0.075±0.005 M(78.6±5.24 MJ)[2]
1994, George van Biesbroeck
가장 무거운 항성
BAT99-98#
태양질량 × 226배

가장 작은 항성
EBLM J0555-57Ab#
반지름 0.84 RJ[3]
2017, 케임브리지 대학교
가장 큰 항성
스티븐슨 2-18
반지름 2,150R[4]
1860, 독일의 천문학자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
프록시마[5]
거리 4.246 ± 0.006 광년
1915, Robert Innes
가장 늙은 항성
HD 140283#
계산된 나이 144.6 ± 8.0억 년[6][7]

가장 뜨거운 축퇴성
H1504+65#
표면 온도 200,000 K, 백색 왜성

가장 뜨거운 일반 항성
WR 102#
표면 온도 약 210,000 K, 분광형 WO2

가장 차가운 항성 (갈색왜성 X)
2MASS J0523-1403
표면 온도 2074 ± 27 K, 분광형 L2.5V[8]

가장 먼 항성(단일 항성 관측)
WHL0137-LS
적색편이값 z=6.2 -> 278억 광년
2022년 3월 30일, 허블 망원경
가장 먼 은하(추정)
F200DB-045
적색편이값 z=20.4 -> 환산시 361억 광년

가장 먼 은하(공식 분광학 검증)
HD1
적색편이값 z=13.27 -> 환산시 333.85억 광년
2022년 4월 7일, 도쿄대학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5:43:58에 나무위키 천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성체3(星體)「명사」『천문』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 항성, 행성, 위성, 혜성, 성단, 성운, 성간 물질, 인공위성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천체."[2] 약 (1.49±0.1)×1029 kg[3] 약 6만 km로, 토성보다 약간 더 큰 정도이다. 질량은 85.2±4.0 Mj로, 밀도가 190 g/cm3로 상당히 높은 적색왜성이다.[4] 약 10 AU에 달한다. 만일 이 항성이 태양계 중심에 있으면 토성 궤도 일부까지 전부 다 쓸어담는다.[5] 이름 자체가 '가깝다'라는 뜻이다.[6] 우주의 나이가 137.98±0.37억 년으로 추정되는 걸 감안하면 계산된 나이가 우주의 나이를 넘어선다. 다만 최솟값은 우주의 나이보다 적다.[7] 금속성이 -2.45로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전형적인 종족-II 항성에 속한다.[8] L은 주로 갈색왜성에 사용되는 분광형이나, L0V~L3V의 경우 간혹 차가운 적색왜성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