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

덤프버전 :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되는 법
3. 실존하는 천문학자
4. 오해



1. 개요[편집]


우주천체(항성, 행성, 은하 등)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사람, 즉 천문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흔히 망원경을 들여다보며 별들의 움직임 등을 관찰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현대에는 그런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계산도 거의 컴퓨터를 통한 프로그래밍으로 한다.
유명한 천문학자로는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갈릴레이, 스티븐 호킹, 칼 세이건이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천문의 움직임을 연구하는것은 농사에 직격되므로 고대에서부터 엘리트 취급받았다. 농사란 과거의 경제활동에 해당한다.

당장 성경에 나오는 동방박사가 현 이란지역의 천문학자들이고,[1],\ 일본에도 음양사 라는 직업이 존재 하는등. 시대적인 한계로 종교적인 면과 융합하긴 했으나. 그 근본은 농사(경제)를 잘 짓기위한 목적이므로 과학자로 보는게 맞다.

2. 되는 법[편집]


천문학과 출신이 천문학자가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대부분 대학원까지 졸업해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딴 뒤, 연구원, 또는 연구 인턴으로 일하며 경력을 쌓고, 정식 연구원으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사범대학지구과학교육과 전공을 한 뒤 천문학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신문기사에서는 부부 천문학자라고 하지만, 부인 쪽만 천문학자이다. 남편 측은 천문학과 관련된 어떠한 연구도 하지 않았다. 지구과학교육과 출신의 천문학도들을 위해 커리어패스를 소개한다.
  • 남편: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학사 →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박사 (지구물리학) → NASA 제트추진연구소 근무 (2005년 현재) →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고체지구물리학 및 실험 / 인공위성 측지' 연구

  • 부인: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학사 → 서울대 천문학과 석사 →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박사 → NASA Hubble Fellowship으로 UCLA에서 연구 (2005~2007) →세종대학교 교수 (2007~2011), 경희대학교 교수 (2011~ 현), LG 연암 해외연구교수로 선정되어 텍사스 대학 연구교수 (2013~2014)

남편의 경우는 지구 과학자, 지구물리학자라고 볼 수 있다. 남편의 연구분야인 지구물리학은 지질학이나 물리학의 하위 분야이고, 남편의 개설 수업들도 지질학 계통의 학과에서 열리므로 천문학과는 관련이 없다. NASA출신 과학자라고 해서 모두 천문학자나 로켓과학자는 아니며, 지질학과 지구물리학을 전공한 과학자들도 많다. 이들은 주로 태양계 내 고체행성(지구형 행성)에 대해 연구한다.

그 외에 현직 지구과학 과학교사 중 천문학 박사를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또한 물리학과를 나와도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전공한다면 최종 진로는 천문학자가 된다. 가령 세종대학교 이희원 교수(천체물리)의 경우 학사는 서울대 물리학과, 박사는 Caltech 물리학과 출신이다. 세종대 채규현 교수(중력렌즈, 우주론)의 경우에도 학사는 고려대 물리학과, 박사는 피츠버그대 천체물리학과 출신이다.


3. 실존하는 천문학자[편집]


  • 갈릴레오 갈릴레이
  •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
  • 닐 디그래스 타이슨
  • 데이비드 수다르스키: 외계 행성모항성으로부터 받는 일조량에 따라 가지게 되는 겉모습을 예상해서 분류한 수다르스키 행성 분류법으로 유명한 미국의 천문학자다.
  • 박석재 천문학계의 수치
  • 빌헬름 글리제: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을 만든 천문학자이자 군인.
  • 브라이언 메이: 의 기타리스트. 음악인이기 이전에 본업은 천문학자고, 실제로 밴드 활동 와중에도 활발하게 천문학 연구에 임했다.
  • 샤를 메시에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찬드라세카르 한계[2]로 유명한 인도의 천문학자다. 여담으로, Raman scattering 분석으로 응집물질 물리학 연구에 기여한 인도의 물리학자인 찬드라세카라 벵카타 라만이 그의 삼촌이며, 약력의 대칭 깨짐을 발견한 중국 태생의 물리학자인 리정다오양전닝이 그의 제자들이다.
  • 스티븐 호킹: 사실상 물리학자에 더 가깝다.
  • 실베스테르 2세: 제139대 가톨릭 교황으로, 잊혀졌던 헬레니즘 시대의 천문학 지식이 재조명받게되는데 크나큰 공헌을 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기록을 토대로 아스트롤라베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했는데, 당대 유럽에선 가장 정확도가 높은 기구였다.
  • 아리스토텔레스: 이 사람은 별걸 다 해본 사람이기 때문에(…)[3] 취소선을 그었다.
  • 알 비루니
  • 심채경
  • 아서 스탠리 에딩턴: 20세기 초반의 천문학 연구에 크나큰 기여를 했던 영국의 천문학자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발견한 상대성 이론[4]의 증거 중 하나인 공간의 비틀림[5]을 관찰한 것으로 유명하다. 위의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의 지도교수이기도 했다.
  • 알렉산더 볼시찬: 폴란드 태생의 미국 천문학자로, 외계 행성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대표적인 업적으로, 펄서PSR B1257+12의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을 발견한 것이 있다.
  •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 10세기의 페르시아계 무슬림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별 목록을 보완하였다.
  • 앨런 샌디지: 일평생을 허블 상수의 정확한 값을 도출해내기 위해 헌신한 관측천문학의 대가다.
  • 에드윈 허블
  • 요하네스 케플러
  • 윌리엄 허셜
  • 이영욱: "암흑에너지는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한다.[6]
  • 조경철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천문학자는 맞는데, 이 사람은 수학이랑 물리학도 깊게 손을 댔기 때문에[7], 어느 분야의 학자라고 특정하기 어렵다.
  • 칼 세이건: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호스트이자, 이 다큐를 원작으로 하는 동명의 책의 저자로 유명한 사람이다. 사실 대중들에게는 이 정도로만 알려져있지만[8], 실제로는 NASA화성 탐사 계획인 바이킹 계획의 총책임자이자, 목성 탐사 계획인 보이저 계획의 참가자로서 활동하여, 천문학 연구에 큰 기여를 한 천문학계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이자, 행성과학우주생물학의 실질적인 창시자다.
  • 클라이드 톰보: 명왕성을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며, 아래의 퍼시벌 로웰의 제자다. 당시에는 해왕성 너머에서 태양계의 새 행성을 발견했다 하여 큰 화제를 모았고, 2006년에는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재분류되면서 톰보의 발견이 다소 빛을 바랜 건 있지만, 당대에만 해도 이론 상의 영역이던 카이퍼 벨트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명왕성의 발견으로 인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9], 그가 천문학에 기여한 바는 결코 작지 않다.
  • 탈레스: 최초의 천문학자이기도 하지만, 본업은 철학자인 인물이다.
  • 티코 브라헤
  • 퍼시벌 로웰: 직접 명왕성을 발견한 것은 아니나, 훗날 그의 제자인 클라이드 톰보가 명왕성을 발견하는 업적을 세운데 있어서 결정적인 도움을 준 사람이다. 그리고 화성 표면에 운하가 있다는 당대의 오해에 근거해서 화성본을 만드는 등[10], 행성과학 연구에도 지대한 공헌을 했다. 사족으로, 이 사람은 천문학자가 되기 전에는 조선에서 생활하기도 했는데, 때문에 고종의 신임을 얻어서 미국으로 파견된 보빙사의 통역을 담당하기도 하는 등, 한국사에도 상당한 족적을 남겼다.
  • 프리츠 츠비키: 암흑물질 연구의 선구자로, 빅뱅 우주론에 근거하여 계산한 우주의 총 질량과 실제 측정되는 질량이 차이가 나는 문제를 두고, 관측되지 않는 미지의 물질에 의해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처음 제안했다.
  • 프톨레마이오스


4. 오해[편집]


  • 인터넷 상에서 천문학자는 자살률이 높다 라는 식의 오해가 퍼져있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4:04:20에 나무위키 천문학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묘사된 모습을 보면 천체관측을 하는 점성술사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2] 항성적색 초거성 단계를 거친 후에 백색 왜성이 될 수 있는 질량의 한계선으로, 태양 질량의 1.44배 정도다.[3] 천문학, 수학, 철학은 물론, 정치학, 수사학에 심지어 문학 평론까지 손댄 사람이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만 이런건 아니고, 르네 데카르트, 블레즈 파스칼, 피타고라스 등 전근대시대 철학자들이 다 이런 식이었다.[4] 정확하게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증거를 발견했다.[5] 강한 중력을 발산하는 물체 주변의 공간이 휘는 현상으로, 중력 렌즈는 이 현상으로 인해 생겨나는 효과 중의 하나다.[6] 다만 최근의 관측결과와 연구성과들은 오히려 이영욱을 포함한 암흑에너지 부정론자들의 주장을 카운터치는 것들이 절대다수다.[7] 라그랑주 역학으로 유명하다. 물리학 전공자라면 반드시 알고 넘어가는 이론이다.[8] 그래서 칼 세이건을 두고 연구 성과는 거의 안 내고, 외부 활동에만 전념하는 뻥카 아니냐고 지적한 멍청이사람들도 좀 있다.[9] 명왕성은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카이퍼 벨트 천체다.[10] 결국 소련에서 추진한 화성 탐사 계획인 마르스 계획에 의해 화성 표면에는 운하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로웰의 주장이 틀렸다고 밝혀졌다. 사실 로웰이 살아있었을 때도 이미 영국생물학자앨프리드 러셀 월리스가 화성 표면의 온도를 계산하여, 화성에는 운하가 있을 수 없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