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용기

덤프버전 : r20200302


지용기(池湧奇, 1330년 ~ 1392년 4월)는 고려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다. 호는 의재(毅齋), 본관은 충주이다. 벼슬은 벽상삼한삼중대광(碧上三韓三重大匡), 판삼사사 판호조사(判三司事 判戶曹事),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역임했고, 충의군(忠義君)에 봉작되었다가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으로 개봉되었다.

공민왕 때 삼사사를 여러번 역임하고 우왕, 창왕 때에는 이성계와 정도전, 정몽주 등을 따라 공양왕을 책립한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에 책록된 뒤 충의군에 봉작되었다. 1390년(공양왕 2년) 윤이 이초의 옥사가 일어나자 삼척에 유배되었고, 바로 감형되어 외방에서 편리를 따르도록 허락받았으나 정양군이 그가 왕씨 일족을 숨겨주었다고 무고하여 다시 유배되어 배소에서 사망한다.


1. 생애[편집]


공민왕 때에 여러 번 삼사사를 지낸 뒤 삼사우윤에 이르렀다. 그 뒤 우왕 때에 예의판서가 되었다가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승진했고, 이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를 역임하였으며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의 호를 받았다. 1378년(우왕 4) 전라도도순문사가 되어 장흥부에 침입한 왜구와 교전하여 승전, 격파하였다. 바로 지밀직사사로 승진했으며, 1381년 지밀직사사 재직 중 전라도 원수(全羅道 元帥)가 되어 사근내역(沙斤乃驛)까지 쳐들어온 왜구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후퇴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1382년 양광·전라·경상도 조전원수(楊廣全羅慶尙道助戰元帥)로 기용되어 원수 이을진(李乙珍)과 함께 전라도 나주 반남현(潘南縣)에 들어온 왜구와 싸워 격퇴하였다. 1384년 문하평리(門下評理)로 전라도도원수를 겸하였으며, 이어 전라도도순문사로 다시 나가 왜구와 교전하여 승리하였다.

1388년 제1차 요동 정벌 당시 안주도 부원수로 우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의 휘하 부장으로 참가하였다가 계속 정벌을 주장하는 총도통사 최영과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갈등 때 이성계의 편을 들어 위화도에서 회군결정을 성사시켰다. 그해 이성계, 정몽주, 심덕부, 설장수, 정도전 등과 함께 폐가입진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창왕을 폐출하고 공양왕을 세우는데 동참하였다.

판삼사사 판호조사(判三司事 判戶曹事),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거쳐 1389년(공양왕 1) 이성계와 함께 공양왕을 세운 공으로 문하찬성사에 발탁되었으며 중흥공신녹권(中興功臣錄券)을 받고 충의군(忠義君)에 봉하여졌다. 그 뒤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냈으나 윤이(尹彛)·이초(李初) 등의 이성계 일파 제거가 실패로 돌아가 윤이 이초의 옥사가 드러났다. 이때 그는 윤이 이초의 옥사 관련자로 지목되어 체포된 김종연(金宗衍)의 당인(黨人)으로 지적되어 탄핵을 받고 강원도 삼척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사헌부대사헌이 된 김사형(金士衡) 등이 그가 여러 번 왜구를 토벌한 공로를 정상참작하여 죄를 경감하고 공신호와 공신녹권만 거두자고 하였으나 낭사(郎舍) 진의귀(陳義貴) 등은 그가 역모를 꾸몄다고 하여 삼척에 귀양보냈으며 가산은 적몰하였으나 얼마 뒤 석방되어 풀려났다.

1391년 부인 서씨의 친정 재종(再從) 왕익부(王益富)가 스스로 충선왕의 증손이 된다고 자칭하는 것을 정양군(定陽君) 왕우(王瑀[1])가 이를 입수하고는 지용기가 왕씨의 후예를 숨겨두었다가 후에 모반하여 왕으로 세우려는 계획을 꾸몄다고 고변,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벽지에 감금하였으나, 뒤에 사면받고 충청도 목천으로 이배되었다. 1392년 충청도 목천의 귀양지에서 사망하였다.


2. 사후[편집]


묘는 당진군 합덕면 석우리 분토동에 안장되었으며 부인 이천 서씨와 합장되었다. 그 뒤 임진왜란, 병자호란으로 묘를 실전하였으나, 정조 때 그의 후손 지덕진이 묘소를 찾아 지석을 찾아내고, 봉축을 고친뒤 석의를 갖추고, 제전을 설치하였다.


3. 가족 관계[편집]


배(配)는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 친정아버지는 승지 서욱, 조(祖)는 집의 서인, 증조(曾祖)는 예빈사 서윤찬, 외조(外祖)는 여산 송씨 송자연 아들 : 지유용(池有容)


4. 평가[편집]


전장(戰場)에서는 관우(關羽)와 장비(張飛)의 용맹에 비교되었으며, 곽자의(郭子儀)와 이광필(李光弼)[2]과 같은 자질을 소유한 자로 평가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