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북양정부

덤프버전 :

중화민국 북양정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중화민국
中華民國 | Republic of China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장.svg
국기
국장
五族共和
오족공화

파일:china_map_1912.svg.png
1913년 ~ 1915년, 1916년 ~ 1928년[1]
성립 이전
동북역치 이후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국민정부
이칭
북양정부(北洋政府)
국가
오족공화가 ,(1913년),
경운가 ,(1913년~1915년),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1915년~1921년),
경운가 ,(1921년 ~ 1928년),
위치
중국 대륙
명목상 영토
투바, 외몽골, 티베트
수도
공식
베이징 ,(1913년 ~ 1928년),
임시
선양 ,(1928년),
면적
11,418,174km²
정치 체제
공화제
의원내각제[2](1913년, 1916년~1923년, 1924년)
초급총통제[3](1914년~1915년)
대통령중심제[4](1923년~1924년)
내각제[5](1925년~1927년)
군정[6](1927~1928년)
국가원수
대총통 ,(1913년~1924년),
집정 ,(1924년~1927년),
육해군대원수 ,(1927년~1928년),
정부수반
국무총리
입법 기구
양원제 국회
언어
중국어
문자
한자, 주음부호
종교
유교, 대승 불교, 도교, 기독교
민족
한족, 위구르족, 몽골족, 티베트족, 만주족, 소수민족
통화
위안
본위제도
은본위제도

1. 개요
2. 국기
3. 국가
3.1. 오족공화가
3.3.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4. 역사
5. 주요 사건
6. 관련 인물
6.1. 역대 국가원수
6.2. 역대 부총통
6.3. 역대 정부수반
6.4. 정치가
6.5. 국민당



1. 개요[편집]


북양정부(北洋政府, Beiyang government)는 베이징을 수도로 하는 중화민국과도정부였다. 북양정부라는 이름의 유래는 초대 대총통 위안스카이가 영도한 군벌인 북양군벌이다.


2. 국기[편집]


오색기(五色旗)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다섯 개의 색깔이어서 오색기라고 한다.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는데, 그 중 쑹자오런이 고안한 이 깃발을 1912년 1월 난징에서 중화민국 임시의회가 정식 국기로 제정하였다. 공모했었던 여러 깃발 중에서 쑨원이 고안한 청천백일기는 훗날 국민정부 수립과 함께 국기로 채택되기에 이른다.

붉은색은 한족, 노란색은 만주족, 파란색은 몽골족, 흰색은 위구르족, 검은색은 티베트족을 상징한다.[7] 중국을 한족의 국가가 아닌 소위 한만몽회장(漢滿蒙回藏), 즉 다섯 개의 민족이 연합된 국가로 규정하는 오족공화의 사상에 짙은 영향을 받았다.

사실 이 오색기는 긴 역사를 가진 상징이다. 기록에 따르면 수나라 때부터 5가지 색의 군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오행, 즉 나무(청색) 불(홍색), 흙(황색), 쇠(백색), 물(흑색)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오색기는 당나라 때도 사용되었는데, 5개의 서로 다른 깃발이 아닌 한 깃발 안에 5가지 색이 들어있는 형태로 진화하였다. 오색기가 오행만이 아닌, 다민족국가를 의미하게 된 건 정복왕조인 원나라 때부터였다. , 대를 거치면서 오색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 활용되어 점차 군기와 국기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물론 청나라는 말기에 황룡기를 공식 국기로 정하긴 하지만.

3. 국가[편집]



3.1. 오족공화가[편집]



오족공화가

쑨원이 중화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을 당시부터 북양정부 초기까지 쓰였던 국가.


3.2. 경운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운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가장 오랫동안 쓰인 국가이며 '북양정부 국가'라고 하면 대개 경운가를 칭한다.


3.3.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편집]



단호하게 선 조물주, 중국이여!

위안스카이의 홍헌제제 이후 쓰였던 국가. 위안스카이가 사망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가, 1921년 다시 경운가로 복귀하였다.


4. 역사[편집]


쑨원으로부터 대총통직을 받고 북양정부 수립을 완료한 위안스카이는 수도를 베이징에 두었으며, 독재 체제를 굳히려는 양상을 보였다. 그는 안으로는 혁명가들을 탄압하였으며, 밖으로는 열강들에게 너무 많은 이권을 주어 점차 국민들의 반발을 산다. 대총통에 집권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고문들과 장남 위안커딩의 권유로 이전부터 꿈꿔왔던 황제의 꿈을 실현시켰다. 중화민국을 중화제국으로 바꾸고 스스로 황제에 오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수많은 중국인들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심지어 측근들도 대부분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가족들조차 위안커딩을 제외하면 모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더 나아가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열강들 반발에도 직면하였다. 결국 1915년 12월 25일에는 운남군벌량치차오, 차이어, 탕지야오 등이 합세하여 토원 봉기가 일어나는 등 봉기가 전국으로 퍼져 호국전쟁이 발발하자 3월 23일 제정을 취소했다. 하지만 계속되는 측근들의 배신과 하야 압력에 요독증이 악화되어 6월 6일 사망했고 그 뒤를 이은 대리총통 리위안훙은 임시약법과 구국회의 회복을 선언했다.

하지만 헌법 제정 문제로 국회 내부의 정쟁이 이어졌고 부원지쟁장훈복벽을 거쳐 중화민국 국회가 다시 전복되면서 호법전쟁 등 남북 내전이 이어졌다. 북방에서는 북양정부의 권력을 쥐기 위해 북양군벌에서 갈라진 계파인 직예군벌, 안휘군벌, 봉천군벌 등이 이합집산을 반복하며 아귀다툼을 벌이며 중앙에서 대립했다. 그리고 각 지방에서는 지역 군벌들이 난립하여 내전을 이어갔고,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이 1928년까지 이어졌다. 1919년 외몽골 출병을 통해 외몽골을 다시 복속시키는 등 성과가 없지는 않았지만 이마저도 1921년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세력에게 장악되어 다시 상실하고 만다.

1926년 장제스북벌이 시작되면서 북양정부를 치기 위해 북상했고, 이에 북양군벌들의 계파는 급하게 연합전선을 결성하여 대응했다. 국민당은 4.12 상하이 쿠데타 이후 잠시 분열되었으나 곧 영한합작을 통해 난징 국민정부로 통합하였고 1928년 펑위샹, 옌시산 등과 힘을 합쳐 2차 북벌에 나섰다. 결국 장쭤린은 수도를 봉천으로 옮긴다고 선포한 후 내각을 거느리고 본거지인 만주로 퇴각하다가 관동군고모토 다이사쿠, 도이하라 겐지 등이 일으킨 황고둔 사건으로 암살당했다. 그 뒤를 이어 장쉐량이 봉천군벌의 지도자가 되지만, 국민당과 일본 사이에서 저울질을 하다 결국 장제스에게 복종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동북역치로 국민정부에 합류함으로 북양정부는 완전히 소멸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중화민국/역사 문서의 r10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중화민국/역사 문서의 r1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주요 사건[편집]




6. 관련 인물[편집]



6.1. 역대 국가원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국가원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역대 부총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부총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역대 정부수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화민국 역대 국무총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 정치가[편집]




6.5. 국민당[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9:02:05에 나무위키 중화민국 북양정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13년 10월 10일 이전까지는 중화민국 임시정부 참고, 1915~1916년 사이는 중화제국 참고[2] 임시약법 시기[3] 신약법 시기[4] 차오쿤 헌법 시기[5] 구국회의 임기가 종료되었으나 국회가 구성되지 못하여 임시집정의 지명으로 국무총리가 내각을 구성했다.[6] 장쭤린 육해군대원수 시기[7] 일본이 만주에 세운 괴뢰국인 만주국의 국기 또한 이를 본따 만주의 다섯 민족인 만주족, 일본인, 조선인, 한족, 몽골인을 상징하는 신오색기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