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서성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파일:3성6부.jpg
중국사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중앙관부로, 시대와 권력관계, 국가에 따라 역할이 다르긴 했으나 중서성이 일종의 군주의 측근기구인 대통령비서실에서 시작하여 중앙 행정관부인 국무조정실과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2. 역사[편집]



2.1. 한나라~위진남북조[편집]


중서성의 기원은 궁중의 문서를 맡아보던 한나라의 비서성(秘書省)으로써 중서는 본래 황제 가까이에 있으면서 정책을 결정하는 내조(內朝)에 속하는 관부로 전국 민정을 총괄하는 정책의 실행관부인 상서와 함께 황제와 외조(外朝) 사이의 문서 출납을 관리했으나, 광무제 이후 상서가 외조로 분리되어 좀 더 실질적인 업무를 맡게 됨으로써 중서는 내-외조의 연결을 독점하는 중핵이 되었다. 즉 십상시로 우리에게 익숙한, 후한 말 황제의 눈과 귀를 막은 환관의 전횡은, 그들 중상시들이 전통적으로 이 중서를 포함한 내조 전반을 장악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것. 한나라 때 중서는 사실 그 독자적으로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이런저런 환관 내조의 일부 관부에 불과했다.

환관 체제의 타파를 추구한다는 공통의 목표 아래 조조 이래 조씨와 호족 세력이 손을 잡음으로써 성립된 조위에서는 '탁류'로 변질된 내조 권력의 원류 - 즉 환관과 외척을 정치 무대에서 배제시키는 것을 사실상의 국시로 삼고, 그들의 전유물이었던 내조 관직을 사인(=호족)에게 전면 개방하였는데 위세조(조비) 때 비서성을 중서성으로 고쳐 상서성을 점점 대신하였으며 중서성의 장관으로 추밀에 관해서도 다루게 했다. 조위 때 내조가 본래의 폐쇄성(즉,사인 계급에 대한 배타성)을 상실하며 외조와 구분이 유명무실해지는 과정에서 과거 내조 기관에 가까운 폐쇄성을 유지한 '최후의 내조'로 남은 것이 이 시기 중서의 위치를 독보적으로 만든 것이다. 위열조(조예) 사후, ''의 시대에 이르러 황제권의 약화와 동시에 중서는 그 존재감을 크게 상실하는데, 이후 결국 사마씨가 조씨로부터 황위를 찬탈해 세워진 서진에서 중서의 자리는 주류 대호족 세력에게 넘어가고 만다.

즉 정리해 보자면 환관의 전유물이었던 한대의 중서가 황제(조씨)의 측근/수족의 역할에 철저했던 위대의 중서를 거쳐 마침내 주류 대호족 계층이 진출, 장악한 서진의 중서로 완성된 셈인데 이러한 중서의 변화는 결국 한말 당고의 금 이래 호족 사대부 계층 전체의 비원, 즉 자신들이 가진 향촌 지배력에 걸맞은 중앙 정부 내에서의 발언권과 입지 확보라는 과제가, 조씨와의 팽팽한 연립 정권이었던 조위를 거쳐, 끝내 문벌귀족 자신들의 계층에서 황제를 배출해 내고 만 서진대에 이르러 어떻게 실현되었는지 그 전개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로 보인다. 한-위진남북조 체제 그 자체의 변화와, 그것이 가지는 역사 발전 단계에서의 의미/방향성을 해석할 수 있는 열쇠가 바로 이 중서의 변혁사라고 볼 수 있다.

2.2. 수나라~당나라[편집]


외조(外朝)로써의 중서성의 시작은 수나라의 내사성(內史省)이지만 중국을 통일하고도 40년도 가지 못한 수나라의 짧은 역사로 인해 아무래도 본격적인 중앙 행정관부로써의 중서성의 시작을 당나라에서 찾는 경우가 많다.

중서성의 최고 장관은 중서령이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품계는 높았으나 시대 상황에 따라서 실권이 없는 명예직이 되는 경우가 흔했다. 아니면 생존해 있는 사람은 거의 임명되지 않고 죽은 후에 추존으로나마 직함이 쓰이는 경우도 있었다. 그 아래에 종2품 평장사나 평장군국중사가 실질적인 수장이 되었다.

중서령은 당초기에는 정3품이었으나 당대종 때 정2품으로 올랐다. 당 중기 이후 업무상으로 인해 중서성과 문하성이 합쳐지는 경향이었고, 2품 이상은 명예직화되는 추세였기에 이때에 이르면 실질적 권력은 3품관이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당초기부터의 동중서문하삼품(同中書門下三品) 관명이 실질적인 재상이 되었고,재상들의 회의기구인 정사당에 참여할 수 있는 관명이 동중서문하삼품인데, 2품 이상의 관직이 명예직화되면서 정사당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2품이상은 동삼품(同三品), 즉 3품과 같다고 붙여야 했다. 더욱이 당 초기는 상서복야에 동삼품이 따라와 정사당에 참여했지만 점차 상서복야에게는 동삼품을 주지않아 정사당에서 배제되어 중서, 문하만이 실질적 재상으로 칭해졌다. 대종 이후 동중서문하평장사라 하며 약칭으로 동평장사라 하였다. 이 명칭은 송대로 이어지며, 송대의 재상이 동중서문하평장사였다. 그 아래 부재상으로 참지정사를 두었고, 역시 복수였다.

대체로 중서성과 문하성의 업무범위 문제로 이 두 기구는 사실상 하나의 기구로 운영되었다.[1] 당나라 정사당(政事堂)은 중서·문하성의 장관이 합좌하는 회의기구로 당 중기(8세기)에 중서문하(中書門下)로 바뀌었다. 이 중서문하 산하에 5방(이방, 추기방, 병방, 호방, 형례방)이라는 자체 실무기구가 생기며 상서성은 유명무실한 기구가 되었다. 따라서 당 후기에 이르면 기존의 3성 6부제는 통치기구로써 그 형식만 남게되었다.


2.3. 송나라[편집]


북송에서는 추밀원(樞密院, 군정)과 삼사(三司, 재정)의 등장으로 중서문하(민정, 보통 중서로 축약)의 업무범위가 축소되었다. 송 초기에는 법률상 즉, 외관상으로 당제(唐制)와 같아서 그 관직은 그대로 존속했으나 실제 운영에는 차이가 있었다. 3성 중 문하성, 상서성은 궐밖에 두어 정치에 관여하지 못하였고, 중서성이 행정을 총괄하였다. 그러나 군정은 추밀원이, 재정은 삼사가 맡고 중서성은 간여할 권한이 없었다.

송신종 원풍연간에 관제개혁이 이루어져 중서성의 관직이 부활하였는데, 중서령은 여전히 임명되진 않았으나 상서좌복야와 우복야가 각각 문하시랑, 중서시랑을 겸하게 하였다. 부재상은 문하시랑, 중서시랑, 상서좌승, 상서우승으로 두었다. 또, 송인종 때부터 전시에는 동평장사가 추밀사를 겸직했는데 남송 송영종 때 겸직이 고정되었다. 재상들 위에 동평장군국사라는 명예직이 추가되었는데 남송 때에는 평장군국사라는 이름으로 권신의 자리로 변모하였다.


2.4. 원나라~명나라[편집]


금나라에서는 상서성만을 운영했으며 원나라에서는 중서성과 상서성을 운영했다가[2] 상서성을 철폐시켜 중서성의 휘하에 6부가 속하였다. 남송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서성에는 수장으로 중서령을 두었고 대체로 황태자가 겸직하였다. 그리하여 좌우승상이 명목적인 수상이 되고 실질적인 재상으로 평장정사를 두었으며, 모든 지방을 중서성의 파출 출장기관인 행중서성(行中書省), 약칭 행성(行省)으로 개편하였다.

명나라는 원의 제도를 이었는데, 명태조호유용의 옥을 거치며 황제독재권력에 저해가 되는 승상이 있는 중서성을 혁파하여 황제 - 상서 6부 독재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로써 중서성은 철폐되었다. 중앙의 중서성과 지방의 행중서성은 철폐하였으나 행성의 이름이 남아 지방 행정구역으로 쓰이는데, 이것이 현대 현대 중국의 지방 행정구역성(省)의 유래가 되었다.

3. 관련 항목[편집]


[1] 중서성과 문하성의 체계를 보면 같은 기관이 좌, 우로 나뉜 것임을 알 수 있다. 3성제 설립 이전에도 중서령과 시중은 한 사람이 겸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2] 그러나 원의 상서성은 사실상 재정 전담 기구였다. 황제에 의해 발탁된 상인 출신 총신이 앉혀져 재정을 장악했다가 몇 년 못 가 기득권 세력의 반격으로 해임, 폐지되는 식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6:24:32에 나무위키 중서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