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구성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주한미군

1. 규모
1.1. 본부
1.2. 주한미군 육군 제8군
1.2.2. 제19원정지원사령부
1.3. 주한미군 공군
1.4. 주한미군 해군
1.5. 주한미군 해병대
1.6. 주한미군 우주군
1.8. 기타
2. 여담
3. 한미 방위비(주한미군 운영경비)분담금
4. 주한미군 부대


1. 규모[편집]


  • 2019년 기준 28,500명#[1]
  • 한편 2019년 미국 국방수권법(1년 한시법)#에 따라 주한미군을 22,000명 이하로 축소시키려면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주한미군은 약 6,000명(1개 여단 규모)이 순환 배치된다. 미국이 순환 배치를 활용하면 이 규정을 무력화 시킬 수 있다.# 순환 계획에 따라 미국으로 돌아간 부대를 대체할 부대의 한국 배치를 지연시키며 한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2019년 1월 30일 미국 의회는 주한미군을 22,000명 이하로 감축하는 것은 북한 핵폐기 완료 전엔 안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하였다. 이들은 주한미군 감축에 들어갈 비용 지원을 제한하고 이를 어렵게 만드는 법안을 발의했다. 국방수권법(NDAA) 보다 한발 더 나간 셈이다. 현지 소식통들은 민주-공화 양당이 공동으로 법안을 발의한 데다 미 의회 내에서 주한미군 감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워낙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법안 통과에 별다른 장애물이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2020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에 따르면 현재 주한미군 규모와 동일한 28,500명으로 상향되었다.#
  • <그래픽> 세계 주둔 미군 현황(종합)
  • 한편 전국 각지의 주한미군 부대에는 한국인 근로자 12,000여 명이 시설 관리, 전투 지원, 금융, 의료서비스 등 업무에 종사한다.#


1.1. 본부[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USFK_Logo.svg.png
유엔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주한미군사령부가 해당된다. 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예하이다.
주한미군사령관
UN군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관
주한미군 부사령관
미공군 제7공군사령관
한미연합군 공군구성군사령관
파일:미 육군대장 Paul J. LaCamera.jpg
파일:Scott_L_Pleus.jpg
폴 라카메라 육군 대장
스콧 L. 플레우스 공군 중장
미육군 제8군사령관
한미연합군 참모장
한미연합군 지상군구성군 부사령관
주한미군 참모장
UN군 참모장
주한미군 주임원사
한미연합군 주임원사
UN군 주임원사
파일:벌레슨 중장.jpg
파일:미 육군준장 John Weidner.png
width=200
윌러드 벌러슨 육군 중장
존 W. 와이드너 육군 준장
잭 H. 러브 육군 원사
  • 본부: 주한미군사령부와 유엔군사령부는 USAG 험프리스로 이전, 한미연합군사령부도 입주할 예정이다.


1.2. 주한미군 육군 제8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ighth_US_Army_-_Korea.png
제8군 조직도
파일:벌레슨 중장.jpg

파일:조용근 준장.jpg


제8군사령관
제8군부사령관-Sustainment
제8군부사령관(한국군측)
제8군부사령관-작전
제8군주임원사
윌러드 벌러슨 중장
마이클 D. 로치 준장
조용근 준장
트레버 J. 브레덴캠프 준장
로버트 H. 콥 원사
  • 본부: 원래는 용산기지에 있었다가 평택으로 이전. 기존 용산기지 내 건물은 폐쇄되었다.
  • 예하 부대: 제8군본부대대, 제2보병사단(한미 연합사단), 제19지원사령부, 제1통신여단, 제2전투항공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 제65의무여단, 제106의무대, 제501정보여단, 미 육군 한국근무단, JSA 경비대대, 미 공병대 극동지부, 제8군 군악대, 제8군 부사관교육대 등
  • 육군 총 인원 약 17,146명


1.2.1.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편집]


제2보병사단장/한미연합사단장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지원부사단장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기동부사단장
한미연합사단 한측부사단장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참모장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한측참모장
제2사단주임원사
윌리엄 D. 테일러(William D. “Hank” Taylor) 소장
브랜든 앤더슨(Brandon Anderson) 대령
로버트 S. 브라운(Robert S. "Todd" Brown) 대령
김정혁 준장
웨이드 A. 저먼(Wade A. Germann) 대령
김기환 대령
케네스 R. 프랑코(Kenneth R. Franco) 원사
  • 본부: 캠프 레드 클라우드에서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
  • 예하 부대: 본부대대, 순환기갑여단, 제2전투항공여단, 제210화력여단, 제2지원여단 등


1.2.2. 제19원정지원사령부 [편집]


파일:Simerly.jpg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사령관: 마크 T. 시멀리 준장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주임원사: 라데릭 그린 원사

  • 본부: 캠프 헨리
  • 예하 부대: 본부중대, 501지원여단, 주한물자지원단, 175재정관리소, 94군사경찰대대 등.

  • 각 미군 기지를 관리하는 기지사령부 등 일부 주한미육군 부대들은 미8군 예하가 아닌 IMCOM-Pacific 예하이다.


1.3. 주한미군 공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Seventh_Air_Force_-_Emblem.png
주한미군 공군(제7공군) 수뇌진이다.
파일:Scott_L_Pleus.jpg


사령관
스콧 L. 플레우스 (Scott L. Pleus) 중장
소개
부사령관
라이언 P. 키니 (Ryan P. Keeney) 준장
소개
주임원사
제리미아 W. 로스 (Jeremiah W. Ross) 원사
소개

아래에도 언급되어있지만, 실제 소재지는 오산시가 아니라 평택시이다.
  • 약 8,815명
    • 제51전투비행단 - 오산공군기지(테일코드는 OS)
      • 제36전투비행대대
      • 제25전투비행대대
      • 제5정찰비행대대
    • 제8전투비행단 - 군산공군기지 (테일코드는 WP)
      • 제80전투비행대대
      • 제35전투비행대대
과거엔 광주공군기지에서 제90전투비행대대가 배치됐던 적이 있었다. 광주공군기지의 F-15E


1.4. 주한미군 해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Official_CNFK_Command_Crest_2010.jpg
파일:external/c3.staticflickr.com/24911791090_a1176402c2_k.jpg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CNFK)
CTF-78
주한미군 해군(미 제7함대 한국 분견대)은 7함대의 일부이다. 주일미군과 달리 한국에서 미 해군의 규모는 작다.



사령관
부사령관
주임원사
닐 A. 코프로스키(Neil A. Koprowski) 대령
제임스 R 말로네(James R. Malone) 대령
니콜라스 메시나(Nicholas Messina) 원사


1.5. 주한미군 해병대[편집]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usmarfork.gif
U.S. Marine Corps Forces, Korea(MARFORK)
주한미군 해병대 역시 주일미군과 교류가 잦다. 오키나와 등으로 예전부터 대한민국 해병대 인원을 보내 교육시키기도 했다.


사령관
주임원사
윌리엄 E. 소우자(William E. Souza III) 소장
헥터 J. 소토로드리게즈(Hector J. Soto-Rodriguez) 원사


1.6. 주한미군 우주군[편집]


파일:United_States_Space_Forces_Korea_emblem.png
United States Space Forces Korea (USSFK)
2022년 12월 14일 창설된 부대
주한미우주군 지휘관: 조슈아 맥컬리언 중령


1.7. 주한특수작전사령부[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0px-Special_Operations_Command_Korea.png
Special Operations Command Korea (SOC-K)
한반도에서의 특수작전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담당하고 미 본토의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및 예하 사령부와의 연락을 위한 기능적 구성 권역특수작전사령부. 구성군사령부가 아닌 권역 특수작전사령부인만큼, 한반도로 파병온 육/해/공/해병 미군 특수작전부대를 총괄하고 지원해주는 합동군 체계다.


1.8. 기타[편집]




2. 여담[편집]


  • 2015년 12월 1일에 전시작전권이 환수되면, 한미연합사가 폐지에 따라 카투사 제도도 함께 폐지된다는 루머가 있다. 그러나 카투사는 한미연합사 소속이 아니라 육군인사사령부 직할부대이며, 한미연합사가 창설되기 전에 카투사 제도가 먼저 있었다. 따라서 한미연합사가 폐지됨과 동시에 카투사 제도가 폐지된다는 것은 잘못 알려진 이야기이다. 애초에 전시작전권이 회수된다고 주한미군이 사라지는게 아닌데 한미 양국간 군사협력에 값싸고 훌륭한 노동력을 제공하는 지대한 공헌을 하는 카투사를 폐지할 이유가 전혀 없다...... 물론 주한미군이 철수한다면 카투사도 폐지될 것이다.


  • 과거 계획으로는 2012년 4월에 대한민국의 전시작전권 환수 시점까지는 현 수준으로 동결하다, 이후 2017년까지 16,285 ~ 16,764명. 그 이후로는 1,000여 명 혹은 수십여 명만 남기는 방안도 있었다. 주한美육군 1,000명만 남을 수도 결과적으로 보면 2015년 기준으로 더는 한국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미 지상군이 없게 되어 이 플랜은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

  • 유사 시 대한민국 방위를 지원하기 위해 투입되는 미군 증원전력은 미국 육군·미국 해군·미국 공군미국 해병대를 포함하여 병력 약 69만 명, 함정 약 160 척, 항공기 약 2,000 대의 규모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미국은 국방예산을 절약하기 위해 최근 지상전력과 1차 대응 전력은 한국이 맡고 미군은 해공군 위주로 10~20만 정도만 지원하는 쪽을 추진하고 있다.

  • 세탁·배식·시설보수 등 허드렛일을 포함해 미군 기지 내 240여 종 업무에서 13,000여 명의 한국인들이 일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군무원으로서 일하거나 기지 내 상점이나 식당[2] 등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들도 있다.


3. 한미 방위비(주한미군 운영경비)분담금[편집]



  • 방위비 분담금 지원 항목 (2010년 기준)
    • 인건비: 주한미군이 고용한 한국인 고용원에 대한 인건비
    • 군사건설: 주한미군용 시설 건설
    • 군수지원: 주한미군 탄약저장, 항공기 정비 등 용역 및 물자지원
    • Cato Institute의 더그 밴도(Doug Bandow)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정부가 주한미군에 쓰는 비용은 1년마다 약 150억 달러라고 한다(1998년 기준). # 150억 달러는 1998년 환율 기준으로 약 21조원이다. 그와 비교해 대한민국 국방부1998년 국방예산은 약 14조 원이었다.



4. 주한미군 부대[편집]


주한미군/부대 문서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1:45:46에 나무위키 주한미군/구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런데 2017년 기준으로는 23,000명이었다.# 순환배치에 따른 결과인 듯.[2] 군인 식당이 아닌 파파이스버거킹, 스타벅스 등의 상용 프랜차이즈 식당을 말한다.